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모와의 동거에 따른 혜택 - 비용

        윤순덕(Soon Duck Yoon),한경혜(Gyoung Hae Han) 한국노년학회 1994 한국노년학 Vol.14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동거에 따른 혜택-비용을 파악하고자 서울 및 경인지역의 시 단위이상에 거주하고 있으며 시/친부모 중 적어도 어느 한 분과 함께 살고 있는 221명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동거에 따른 혜택은 손자녀 돌보기, 집안청소, 세탁, 부엌일, 집봐주기, 주택비 절감, 자녀교육에서의 도움의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비용은 경제적ㆍ심리적ㆍ가사일 부담, 사생활 부족, 생활시간 차이, 행동제약, 의견충돌, 집의 협소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혜택과 비용 각각의 평균이 3.11, 2.41로 비용보다는 혜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ADL능력이 높을수록, 부모-기혼자녀 관계가 좋을수록, 동거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부모의 필요에 의하여 동거가 이루어진 경우보다 규범적인 이유에서 동거하게 된 경우에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혜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혼자녀의 경제ㆍ서비스적인 이유에서 동거했을 경우 규범적 이유에 의한 동거보다 부모와의 동거에 대하여 지각하는 혜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기혼여성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낮을수록, 부모-기혼자녀 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비용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혜택-비용에 가장 유의미하게 설명력이 높은 변수는 부모-기혼자녀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nature and the level of benefits-costs of the coresidence with parents, perceived by urban married women. The data were gathered from a total of 221 married women living with at least one parent or parent-in-law in the urban area,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Perceived level of benefits(child care, house cleaning, laundry, kitchen work, home keeping, lessening housing cost, and educational effects on children) of the coresidence with parents were higher than the costs(economic and psycological burden, and burden in domestic tasks, lack of privacy, differences in time-use pattern, behavioral constraints, opinion conflict, space problem). 2. Urban married women's perceived benefits of the coresidence with their parents were higher when mother or mother-in-law living with them had higher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mpetence and their relationship quality was better. 3. Coresidence duration and the reasons of coresidence also show significant effect on married women's perceived benefit : Respondents showed higher perceived benefits when coresidence duration was longer, and when they coresided because of economic and service needs of married children than normative reasons. At the same time, respondents who coreside with their parents because of the normative reasons perceived higher benefits than the respondents reside with parents due to the economics, physical, & emotional needs of the parents. 4. Respondents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lower marital satisfaction, and poor parent-married children relationship quality perceived higher costs of the coresidence with their parents than their counterpart. 5.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married women's perceived level of both benefits and costs of the coresidence with their parents. In s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residence of married children with their parents can be an adaptive alternative for the Korean families.

      • KCI등재

        한국 수도권 가구의 변화하는 쌀 가공식품 구매패턴: 2010 ~ 2014

        윤순덕 ( Soon-duck Yoon ),오세관 ( Sea-kwan Oh ),박혜영 ( Hye-young Park ),우관식 ( Koan-sik Woo ),최인덕 ( In Duck Choi ),조용빈 ( Yong-bin Cho ),박성호 ( Sung-ho Park ),정응기 ( Eung-gi Jeong ),김욱한 ( Wook-han Kim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5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7 No.5

        1. 우리나라 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쌀 가공식품의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농식품 소비자 패널조사 자료(703가구)를 이용하여 최근 5년간 쌀 가공식품 구매패턴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쌀 가공식품을 밥류,죽류, 면류, 떡류, 방류, 과자류, 주류, 음료류, 조미류, 가루류10종류로 분류하고, 쌀 가공식품의 종류별, 월별, 구매장소별구매가구 수, 구매금액, 구매빈도 등 전반적인 구매패턴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3. 향후 소비 증가가 예상되는 쌀 가공식품의 종류와 향후 요구되는 관련 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of consumption patterns for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during the last five years in Korea. For this purpose, panel data, collected periodically from a total of 703 households from 2010 to 2014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ere used.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were grouped into 10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Bob, Jook, Noodles, Cake, Bread, Snack, Alchol, Drink, Seasoning, and Flou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otal annual purchase amount for processed rice foods per household was increased 1.32 times from 110,868 won in 2010 to 145,880 won in 2014. By 10 categories, their proportion based on the purchase amount in 2014, the highest kind of processed products was Cake, followed by Alcohol, Bob, Snack. Compared with 2010, Bread, Jook, and Seasoning were highly increased but Noodles and Drinks were reduced in 2014. Second, while monthly purchase amount for processed rice products was the highest in January, February, and October due to Korean feast, it was the lowest in summer season. Third, based on their proportion of total annual purchase amount, the biggest buying store was specialty store, followed by large discount supermarket, super supermarkets, and supermarket. Compared with 2010, specialty store, non-store, and department store were highly increased but temporary and traditional market were reduce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will be suggested.

      • KCI등재

        농촌노인의 부업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윤순덕(Soon Duck Yoon) 한국노년학회 1999 한국노년학 Vol.19 No.2

        이 연구는 농촌노인들의 개인 및 공동부업에 대한 실태 및 의사를 파악하고자 '자신의 농사이외에 하고 있는 모든 경제활동'을 부업활동으로 정의하고, 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하고 있는 농촌노인생활지도마을 중 공동부업을 실시하고 있는 지역의 생할지도사 100명과 부업경험이 있거나 현재 부업을 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농촌남녀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자가기입조사 및 설문지에 의한 면접조사를 병행ㆍ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1) 조사된 개인부업의 종류는 총 37종으로, 생산ㆍ제조업(식품가공, 민속공예품 제작 등), 경노동업(품팔이, 막노동 등), 농축관련업(소사육, 양봉 등), 고용업(경비, 공장취업 등), 상업(가게운영 등), 관청사업(가로청소, 산림보호 등), 기타(아기돌보기 등) 등 7부문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중 품팔이가 대부분(59.4%)이며 부문별로는 경노동업이 가장 많았다. 2) 개인부업을 통한 월 평균소득은 25만원 정도로 60.9%가 '생활비에 보탬이 된다'고 하였고, 47%가 부업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경제적인 이유로 74%가 부업을 계속할 의사가 있었고, 그만두고 싶어하는 이들의 50.8%가 '나쁜 건강'을 이유로 들었다. 3) 공동부업의 종류는 개인부업보다 더 다양하였으며, 농업(공동전답경작 및 관리), 축산업(한우ㆍ흑염소사육등), 임ㆍ원예업(나무묘목ㆍ꽃묘생산 등), 농산물가공ㆍ제조업(유과제조, 메주ㆍ장류생산, 농산물 건조ㆍ포장, 고춧가루 분쇄작업 등), 생산ㆍ제조업(생활공예품 제작 등), 농관련 경노동업(마늘까기 등), 기타(재활용품 수집 등)등 7부문으로 분류되었다. 4) 공동부업은 70% 이상이 4∼10월에 이루어지며, 평균 29명의 노인이 참여하고 있고, 부업당 평균지출금액은 340만원, 1인당 년평균순소득은 23만원이며, 순소득은 마을공동경비, 기금 등(57.5%)으로 사용되며, 노인공동부업 추진시 어려운 점으로는 '적당한 부업거리 부족'(28.4%)을, 좋은점으로는 '노인생활 활력화'(44.3%)를 들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sonal and common activities of the rural elderly for extra income.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gathered from 300 rural elderly 60 years older working or worked and 100 home management guidances in charge of the village working commonly for extra income from 10 province,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kind of personal works were a total of 37 in 7 areas. About sixty percent of them were piecework. And they were production & manufacture(food processing, folding the envelope, making the lotus light etc,), light work(piecework, rough work, etc,) farming & livestock(picking wild greens, beekeeping etc,) hiring(guard etc,), commerce, official work, and the others. 2. The average monthly income earned from private work was 250 thousand won. Only the 47% of them were satisfied with their work for extra income. Also, the most(74%) of them wanted to work continuously due to economic needs. 3. The kind of common works were more various than that of personal works and classified into 7 areas. They were farming, livestock, horticulture, agricultural product processing, agriculture-related light work, and the others. 4. The average yearly income earned from common work when divided individually was 230 thousand won. The income was mostly used common expenses and endowment. The problems in working commonly were the lack of suitable work for old aged in the rural. Also, The benefits mentioned were vital life(44.3%) and good friendships with their old neighbors(43.2%).

      • KCI등재

        도시 장년층의 은퇴 후 농촌이주의사 결정요인

        윤순덕(Yoon, Soon-Duck),강경하(Kang, Kyeong-Ha),박공주(Park, Gong-Ju),이정화(Lee, Jeong-Hwa)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3

        이 연구는 도시민이 직장생활을 마친 후 이주하여 살 수 있는 거주공간으로서 농촌의 잠재력을 탐색하고자, 도시 장년층의 은퇴 후 농촌이주의사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34개 특별ㆍ광역시 및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눈덩이표집과 자기보고식 설문조사에 의하여 1,89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응답자의 58%가 은퇴 후 농촌으로 이주할 의사가 있었으며, 이들이 이주를 희망하는 이유로는 '복잡한 도시를 떠나 자연과 더불어 건강하게 살기위해, 남은 인생을 농촌에서 텃밭 등을 가꾸며 살기위해'가 다수를 차지한 반면, '도시소득 미흡, 직장상의 이유'는 낮았다. 즉, 장년층 도시민이 은퇴 후 농촌으로 이주하고자 하는 의사에는 도시의 배출요인보다는 농촌의 환경적 흡인요인이 강하게 작용하였다. 농촌이주 희망지역은 '자연경관이 좋은 곳, 본인소유의 토지나 집이 있는 곳, 고향ㆍ친척 등 본인의 연고가 있는 곳, 친구나 선배 등 지인이 살고 있는 곳'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은퇴 후 농촌이주의사 결정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농촌거주경험, 농업ㆍ농촌에 대한 태도 등 농촌관련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성일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농촌거주경험이 있고 농업ㆍ농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은퇴 후 농촌으로 이주할 의사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농촌으로 이주할 도시 은퇴노인은 건강하고 소득수준이 높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농촌으로의 인구유입을 위해 농촌생활의 장점을 적극 홍보함으로써 농촌체험기회와 농촌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For the last three decades Korea has experienced an unprecedented urbanization. Therefore, about 80 percentage of Korean population is living in cities nowadays. Many of them wish to move to rural areas to avoid urban problems like pollution, crowdedness, crime, etc.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migration intentions to rural areas after retirement among urban residents in Korea.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1,891 urban residents aged 40 and over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PC windows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62.7%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 to live in the rural; 2) 58.2% of respondents wished to move to rural area after retirement. The two most reported reasons for movement were enjoyment of countryside life (88.3%) and liking to grow plants such as vegetable, flower, and tree (77.1%); 3) Migration intention was founded to be greater for those who were: male, younger, more healthy, and perceived higher income-earner. It was also positively influenced by job, experience to live in the rural, and attitude to the rural.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revealed that 16 percent of the variances were explained by all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such as silver farm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귀농·귀촌패널로 본 역귀농·귀촌실태

        윤순덕(Soon-duck Yoon),최정신(Jung-shin Choi),마상진(Sang-jin Ma),남기천(Ki-choen Na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7 農村社會 Vol.27 No.1

        본 연구는 최근 귀농 · 귀촌가구의 증가와 사회적 관심에 비해 역귀농 · 귀촌에 대한 대표성 있는 통계가 거의 전무하며 발표되는 역귀농 · 귀촌비율에 편차가 크다는 점에서 출발하여, 귀농 · 귀촌패널 중 2년차, 3년차 미응답자 392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와 현장방문조사를 병행하여 역귀농 · 귀촌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몇 가지 중요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귀농 · 귀촌인 중에 최초 정착지를 떠나는(체감역귀농 · 귀촌) 비율은 11.2%이었고, 이중 도시로의 순역귀농 · 귀촌은 6.8%, 다른 농촌으로의 2차 귀농 · 귀촌은 4.3%이었다. 둘째, 40세 미만의 젊은 귀농 · 귀촌층일수록 다른 농촌으로의 2차 이주자가 많았다. 셋째, 도시 출신의 귀농 · 귀촌자일수록 농촌 출신자들 보다 도시 또는 다른 농촌으로의 이주가 많았으며, 귀농 · 귀촌 정착 초기 집단에서 이주자가 많은 경향이었다. 위의 연구결과와 더불어, 도시와 농촌에 각각 집을 마련하여 양쪽을 정기적으로 오가며 거주하는 다중거주등 다양한 역귀농 · 귀촌 유형화를 기반으로 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portion and characteristics of outmigrants among urban-rural migrants in Korea.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392 cases who has not responded at wave 1(2015) and wave 2 (2016) in urban-to-rural migrants panel survey b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nd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hich was began in 2014 and will be continued to 2018. As result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s. Firstly,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proportion of outmigrants who returned to urban areas was 6.8 percent and the total proportion of outmigrants including movers to other rural areas was 11.2 percent. Secondly, the relatively young outmigrants who are under 40 years old had a tendency to move to other rural area in search of better farming conditions, while the old move to urban area rather than other rural area. Thirdly, the urban-rural migrants who were born in urban area outmigrated to urban area or other rural area much more than urban-rural migrants who were born in rural area. Lastly, some limitation in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