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론에서 본 자유의 형이상학과 인문교육

        윤선인 ( Yun Sunin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3

        본고는 인문교육에 요청되는 자유 개념을 고찰한다. 우선 인문교육과 자유교육의 역사적 철학적 관련성을 간략히 살펴보고 현대 자유교육론에서 제한적으로 논의된 자유 개념을 분석한다.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현대 자유교육론의 형이상학적 한계를 분석한 서용석(2015)은 현대 자유교육론에서 형이상학적 토대가 부재한 채 다원주의적 가치를 주장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본고는 이때 논의된 ‘교육의 잃어버린 차원’ 혹은 ‘초월적 가치’를 하이데거의 자유론에 입각하여 분석한다. 특히 현대자유교육론에서 폐기된 형이상학적 담론이 오늘날 자유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관념 및 실천과 관련됨을 밝힌다. 한편 하이데거의 자유론은 자유가 이상이나 도덕적 기준점이 아닌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때 인간 존재의 지위는 자유라는 이상을 성취할 수 있는 위치, 혹은 형이상학 체계 내 우월적 자리에서 목자의 자리로 이동되며, 자유는 교육이라는 행위의 가능성을 전제한다. 때문에 자유란 존재 세계에 참여하는 시작함의 경험, 그 경험의 의미화로 이해된다. 마지막으로 교육에서 자유의 의미를 윤리형이상학의 확실성이 아닌 가능성으로 제시하며 본래적인 의미의 인문교육의 방향을 고찰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freedom in liberal education and the fundamental relation to humanities. Following a brief note on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relation between humanities and liberal education, it attempts to show the narrow approach by R. S. Peters and P. Hirst in pursuit of the picture of a modern liberal education in 1960s. In reading of Martin Heidegger, Yong-Seok Seo(2015) criticises that the modern liberal education underestimates the impact of what Heidegger calls ‘onto-theo-logy’, or philosophy of system, when it bargains the whole western metaphysics for overcoming the subject/object dualism. This paper furthers the argument by tackling the pervasive understanding of freedom in western metaphysics permeated in liberal education as an ideal or morality. Martin Heidegger provides a unique insight to the concept of freedom that is a precondition for human being. In this, things are understood not just as meaningless objects but in terms of possibilities and it is freedom that allows human to exist. Freedom is experienced as beginning, thinking, and action upon which a new understanding of humanities and its practice should be pursued.

      • KCI등재

        스콜라스틱 경계의 사유: 영화『이매진(Imagine)』에 나타난 통합교육의 교육적 함의

        윤선인 ( Yun Suninn ),이동 ( Lee Dong-yoo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2

        통합교육은 불가능한가? 본고는 학교의 학교다움을 실현하는 실천적 방향으로서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논구한다. 마스켈라인과 시몬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교육을 특정한 이상이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는 기존의 교육담론에서 벗어나, 학교의 공적 사안으로서 통합교육의 교육적 의미를 밝힌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학교(school)의 어원인 고대 그리스어 스콜레(Schole)에 간직된 자유시간의 의의를 중심으로 스콜라스틱(scholastic) 경계의 공간이 되는 학교의 의미를 모색한다. 스콜라스틱 경계 안에서 학교는 생활세계에서 가져온 교육내용을 가지고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다양한 가능성을 실험해 보는 기관으로 규정된다. 스콜라스틱 경계와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기 위하여 시각장애아동을 위한 시설을 배경으로 한 영화『이매진(Imagine, 2012)』을 분석한다. 본고에서는 학교의 본래적 의미를 스콜라스틱 경계의 차원에서 도전과 안전, 탈경계의 사유의 장으로서 논구하여 통합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Is inclusive education possible?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inclusive education that makes a school as a school. To do so, it examines the public issue of the school in reading of Masschelein and Simons(2013). The authors take issue with the current dominant discourse of education in which education is considered in terms of a means for an ideal. In this discourse, schools of today are regarded as ineffective or even unproductive institutions to be abolished. Drawing upon Derrida’s idea of deconstruction in the discourse of educational practices, this paper suggests the meaning of the school as a scholastic border in terms of challenge and trans-border. The scholastic border is understood as an institution at the margin of the society in which various things taken from the society are experimented or tried out in order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towards the world. And the educational practice of school is described as a secured challenge to move beyond the border. For this, this paper reviews the film, Imagine(2012) and tries to show that the practice of the scholastic border is possible in the form of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나를 만지지 마라’: 박물관과 만짐의 교육철학

        윤선인 ( Yun Sunin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박물관의 전시기법에 내포된 교육적 의미를 검토한다. 관련하여 본고는 근대 박물관의 전시기법에 내포된 정치성과 인식론적 담론을 분석한다. 그 결과 박물관은 근대 인식론이 물질적으로 구현된 곳이자 동시에 진리의 이중성이 발현되는 곳으로 해석되었다. 이때 진리의 이중성이란 규정된 듯 보이나 규정되지 않고 발화하는 진리의 성격을 지칭한다. 한편, 장-뤽 낭시의 『나를 만지지 마라』(Nancy, 2015)는 기존의 근대 박물관의 전시문법으로 표현되는 ‘만지지 마시오’ 문구를 재해석해 보는 계기를 마련한다. 관련하여 낭시는 성경의「요한복음」에 등장하는 부활의 예수가 막달라 마리아와 만나는 장면에서 마리아의 접촉을 금지시키는 장면에 주목한다. 이 장면에서 낭시는 ‘만지지 않음의 만짐’으로 경험되는 진리를 토대로 인간 삶의 의미를 제고한다. 특히 낭시의 논의에서 진리의 이중성은 진리에 닿고자 하나 끝내 닿을 수 없는 몸과 사유의 한계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박물관의 ‘만지지 마시오’ 전시 문법은 바로 ‘만지지 않음의 만짐’으로 요약되는 관람객의 참여로 해석한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박물관에 방문하는 경험은 우리가 사물과 타자를 인식하고 대하는 윤리적 태도를 제고하는 교육적 경험과 관련됨을 제시한다. Based on Noli Me Tangere: On the Raising of the Body by Jean-Luc Nancy(2015), this paper discu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ouching in a museum. To do so, it first examines the political and epistemological discourses incarnated in the modern museum. In specific, it explores the 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museum institutions and the nature of modern epistemology in terms of subject-object dichotomy in a form of seeing. This paper argues that despite the certainty that the modern epistemology rigorously pursues and its museographical attempts to realise it, there are meanings that cannot be grasped in the grammar of the modern epistemology. In relation to this, the paper turns the focus on Nancy’s discussion on the biblical scene in which the resurrected Jesus greets Mary Magdalene but commands her not to touch his body. Nancy interprets this religious scene into non-religious meanings which imply the ontological politics that is found in touching of not touching. This paper extends the ontological politics to be experienced in museums with the expression of ‘do not touch’ as an educational lesson to understand otherness of the others through bodily experiences as a way of being-with.

      • KCI등재후보

        픽미세대를 위한 자유교육 소고: 천원 오천석의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윤선인,Yun, SunInn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8 敎育硏究論叢 Vol.38 No.3

        본고는 천원 오천석의 민주주의 교육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제고한다. 특히 그의 후기 저서에 강조된 민족주의에 대한 논의 또한 요구되는 바이나 본고에서는 천원의 민주주의 교육이념 나타난 자유 개념을 분석하는 것으로 한정짓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오늘날의 시대적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한병철의 논의를 바탕으로 천원의 민주주의의 의미와 평가를 논하고 그의 사상에 내재된 교육철학적 한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천원이 궁극적으로 지향하였던 도의적 민주주의 사상을 제고하여 오늘날 픽미세대에게 요구되는 자유 개념을 고찰하도록 한다. This paper begins with the notion of 'pick-me generation', which refers to today's young generation in Korea. It is named after the title of a song introduced at the Television programme for the competitive audition for girl-group singers. This name gives an idea of the atmosphere of the competition that the current young generation experiences in South Korea. In parallel to it, the research examines the meaning of freedom and choice in democratic education in Oh Chunsuck, in his later work in particular. This paper attempts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to relate Oh's notion of freedom and democracy in relation to Han who critically analyses contemporary discourses on neo-liberalism and democracy. This paper re-views Oh's ideals of democracy and education within its own limitations on freedom. The argument extends Oh's idea of freedom and ethical democracy to the idea of freedom that is relevant to today's younger generation.

      • KCI등재

        성취기준의 차용 및 변용: 단계별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분석 연구

        성열관 ( Youl Kwan Sung ),백병부 ( Byuong Bu Baek ),윤선인 ( Sun Inn Yu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8 교육과정연구 Vol.26 No.3

        이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이후 차용된 ① 성취기준 용어의 기원을 밝히고, ② 이 개념이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③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정착되고 변용되었는지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Phillips와 Ochs(2003)의 교육정책 차용모형을 한국적 상황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① 유인단계 ② 결정단계 ③ 실행단계 별로 성취기준 개념의 도입 및 내면화 과정상의 특징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였다. 첫째, Standards는 원어의 의미에서 다소 변용되어, 한국에서는 ① 평가기준의 선행요건과 ② 교육내용 진술방식을 지칭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둘째, 성취기준 개념은 교육과정 개발자들 간의 인식 공유의 부족으로 인해 기존의 한국 교육과정 체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이에 성취기준 차용에 대한 성과와 한계를 도출하고 향후 바람직한 적용 과제의 도출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uthors examine the borrowed concept of `standards` from the beginning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In doing so, the study investigates when this borrowed language was first circulated for what and the way that the term is internalized and transformed in Korean curricular discourses. For this, authors adapted the Phillips and Ochs` model of educational policy borrowing into Korean context and analyzed som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each stage of cross-national attraction, decision, implementation, and internalization. The study takes notice of the commonality in the borrowing and transforming process between language contact across nations and educational policy i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dopting `standards` and their internalization. First, the term of standards is transformed from borrowing elements of original meaning into prerequisite condition for evaluation standards and the method of contents standards statement. Second, English-spoken countries such as USA already borrowed the concept of standards from East Asian countries whose systems to be thought standardized. And Korea re-borrowed the concept of standards, so this adoption was not effective to bring any influential changes into national curriculum system of Korea. Lastly the paper recommended the necessity of reasonable adaptation of adopted policy by considering its strength and shortcomings as far as the adoption of `standards` is expected to actually solve Korean own curricular problems.

      • KCI등재

        영역특수적 창의성의 발현기제 비교: 개방성의 하위측면과 성장 마인드셋의 역할을 중심으로

        안동근(An, Donggun),권유선(Kwon, Yousun),표정민(Pyo, Jungmin),윤선인(Yun, SunIn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개방성의 하위요인과 영역특수적 창의성(과학, 예술, 학문)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창의, 지능)의 매개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영역마다 상이하게 나타나는 창의성의 발현 기제와 관계패턴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98명을 대상으로 영역특수적 창의성(과학, 예술, 학문)과 개방성의 6요인(상상, 심미, 감수성, 신기, 지성, 가치), 창의성장 마인드셋과 지능 성장 마인드셋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감수성은 창의성장 마인드셋을 매개하여 예술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심미는 지능성장 마인드셋을 매개하여 학문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신기와 감수성은 창의성장 마인드셋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신기와 심미는 지능성장 마인드셋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과학적 창의성에는 지성의 영향력이 높았고, 예술적 창의성에는 감수성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학문적 창의성에는 지성과 심미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제적 함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growth mindsets (creativity,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ets of openness and domain-specific creativity (scientific, artistic, scholarly),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t mechanisms that underlie creativity across domains. A total of 298 college students completed measures of domain-specific creativity (scientific, artistic, scholarly), 6 sub-facets of openness (fantasy, aesthetics, feelings, novelty, ideas, and values), and the growth mindsets of creativity and intelligence. Results showed that feeling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rtistic creativity by mediating the growth mindsets of creativity, and aesthetics g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larly creativity by mediating the growth mindsets of intelligence. Novelty and feelings influenced the growth mindsets of creativity significantly, and novelty and aesthetic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growth mindsets of intelligence. The impact of ideas was significant on scientific creativity, and the influence of feelings was significant on artistic creativity. For scholarly creativity, the impacts of ideas and aesthetics were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