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화승 禮芸堂 尙奎의 <神衆圖 草本> 고찰

        윤선우 동악미술사학회 2017 東岳美術史學 Vol.0 No.21

        불화 초본은 제작할 그림의 봉안처를 염두에 두고 도상과 크기, 장황형태까지 고려하여 실물크 기로 조성한다. 그 중 개인 소장 <신중도 초본>은 ‘出草画 金禮芸’이라는 묵서와 함께 그림 전면에 색과 천의의 명칭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출초는 불화의 밑그림인 초본을 그리는 일 또는 그 소 임을 맡은 화사를 의미하고, 김예운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에 활동한 화승 상규의 본명이 므로 이 초본은 ‘禮芸堂 尙奎’가 출초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신중도 초본>의 도상은 8곡 병풍을 배경으로 대범천·제석천·위태천을 위시한 天部와 天龍部의 여러 제성중이 儀式道場에 강림한 찰나를 시각적으로 묘사한 그림으로, 1769년 『請文』이나 1826년 『作法龜鑑』 같은 신중 의식문을 근거로 하였다. 이러한 신중 도상은 18세기 후반에서 19세 기 전반에 도붕이 신중과 주악천인 도상을 결합하여 廣度寺 <신중도>(18-19세기)를 조성하였다. 그 리고 1844년 체정과 대원, 세원이 해금악공을 주축으로 전체적인 구도를 갖춘 奉恩寺 <신중도>를 제작하고, 1868년 영환과 응석이 봉은사 도상을 연화합장을 한 제석천과 용고악공으로 바꾸어 興國寺 <신중도>를 완성하였다. 이후 상규는 영환이나 응석과 화업을 같이하며 흥국사 도상을 수용하고 냉철하게 분석한 뒤 어 색한 부분은 의식문이나 『樂學軌範』같은 문헌을 철저히 고증하여 <신중도 초본>(19세기 말)으로 재창출하였다. 이로써 <신중도 초본>이 화연관계에 있던 환감과 긍법, 윤익, 응륜, 봉법에게 模本으로 인식되고 그들 사이에 공유되며 유사한 大芚寺 <신중도>(1901)와 靑蓮寺 <신중도>(1905), 靑巖寺 <신 중도>(1914)가 제작되게 되었다. 특히 응륜과 봉법은 도상은 물론 색까지 유사한 청련사 <신중도>와 청암사 <신중도>를 조성함으로써 비슷한 색구조의 불화가 확산되었다. 이처럼 상규는 불화의 도상적 근거가 되는 각종 불교경전이나 의식문, 전적 등을 두루 익히고 도상을 출초할 때 객관적 사실에 입각하여 세부 모티프나 색을 짜임새 있게 창출하여 다른 화승들 에게 도상을 전파하는 허브 역할을 하였다. The drafts of Buddhist paintings are made in life size, considering the place to enshrine the painting, icon, size and mounting type. Among them, the private collection of <The Draft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 has names of colors and clothes as well as the writing ‘Chulcho Kim Ye-Wun’ on the front of the painting in detail. As Chulcho means drawing a rough sketch of a Buddhist painting, abstract, or a monk who is in charge, and Kim Ye-Wun is the real name of monk artist Sang-Gyu who worked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this abstract can be assumed to be made by ‘Yewundang Sang-Gyu.’ <The Draft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 visually describes various Buddhas from Tian and Tianlong, including Daebeomcheon, Jeseokcheon and Witaecheon descending to the ritual ground with the background of an 8-part folding screen. It is based on Shinjung formulas, including 『Cheongmun』 in 1769 andJak-Beob-Gwi-Gam』 in 1826. Between the late 18th and the 19th centuries, Dobung combined Shinjung and Juakcheonin icons to create Gwangdo Temple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 (18-19th century). In 1844, Chejeong, Daewon and Sewon created Bong-eun Temple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 which has an entire structure centering around court musicians playing the haegeum, and Younghwan and Eungseok changed the Bong-eun Temple icon to Jeseok and Yonggoakgong putting his hands together to create Heungguk Temple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 in 1868. Later, Sang-Gyu worked with Younghwan and Eungseok to accept the Heungguk Temple icon; they analyzed it realistically to convert awkward parts into <The Draft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 (at the end of 19th century) by reviewing formulas or literature such as 『Ak-Hak-Gwe-Beom』. Consequently, <The Draft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 was considered an example for and shared among Hwangam, Geungbeop, Yunik, Eungryun and Bongbeop, who were in a Buddhist relationship, and similar paintings, including Daedun Temple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 (1901), Cheongryun Temple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1905) and Cheong-am Temple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 (1914) were created. Particularly, Eungryun and Bongbeop made Cheongryun Temple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 and Cheong-am Temple <Buddhist Guardian Deities Painting>, which have similar icons as well as colors, and a similar color structure of Buddhist paintings became widespread. Sang-Gyu played a hub role of spreading icons to other monk artists by learning various Buddhist scriptures, formulas or books, which are iconic bases of Buddhist paintings, and creating icons with detailed motifs or colors in balance based on objective facts in Chulcho.

      • KCI등재

        朝鮮後期 佛畵 草本 硏究

        윤선우 동악미술사학회 2011 東岳美術史學 Vol.0 No.12

        불화는 전통적으로 초본을 出草하여 바탕천에 옮겨 그린 후 채색하고 문양과 상호를 그리기까지 여러 엄격한 절차와 법식에 따라 제작된다. 특히 도상의 이해와 필력을 두루 갖추었던 화사가 소의경전에 의 거해 그린 草本이 있어야만 제작할 수 있다. 초본은 유탄으로 도상의 전체적인 윤곽을 잡고 그 위에 선으 로 묘사하여 완성한 밑그림을 말하며, 이러한‘초를 내는 사람’을 出草畵師라고 한다. 조선후기 불화 초본은 통도사성보박물관 소장 開巖寺〈괘불화 초본(조선후기)〉을 비롯하여 18세기 이 후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현재 통도사와 修德寺등 여러 사찰 및 박물관과 화승들을 중심으로 전승되 고 있다. 특히 18세기는 個人소장〈석가여래설법도초본(조선후기)〉, 華蓮의〈삼십삼조사도초본(1768)〉과 같이 전통도상을 계승하고 소의경전의 내용을 충실하게 반영하거나 화보류나 판본류의 도상을 차용하 여 섬세하게 묘사한 완성도 높은 초본들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19~20세기에는 통도사성보박물관 소장 〈시왕도초본(19~20세기)〉이나 日燮의〈감로왕도초본(1940)〉처럼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고 창의력을 발휘 하여 소재와 내용을 다양화한 초본들이 제작되었다. 이 초본의 종류는 크게 習作, 習繪用草本, 魚繪用草本이 있고, 어회용 초본은 다시 불화 제작과정에서 배접유무에 따라 眞本과 定本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초본은 불화의 밑그림으로써 기능을 충실히 하고, 동일도상의 그림 제작 시 모본이 되어 모사본으로서의 기능을 갖기도 한다. 또, 초본에는 그림에 관련된 화기와 색, 크기 등을 출초화사들이 직접 기재하고 용도를 밝히고 있어 작품의 제작배경이나 그 작품의 시기성 및 지역성, 화연관계 까지 유추해 볼 수 있다. 결국 불화 초본은 완성되기 이전에 밑그림이자 중간 단계의 결과물로써, 그림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도상을 완성하고, 제작과정 전반의 색과 크기 등을 집대 성한 불화의 설계도인 것이다. 이러한 초본은 사찰의 본·말사를 중심으로 같은 화맥을 이루고 있는 화 사들끼리 여러 유통과정을 통해 초본을 공유하며 비슷한 도상이나 구도, 크기의 불화를 제작하는데 기여 한다. 따라서 이처럼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초본을 재조명한다면 불교도상의 전파와 수용, 계승 및 변용 등 불화의 경향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Buddhist paintings are traditionally created through a series of stringent procedures and processes from making outline drawings and moving them to the background fabric to coloring and drawing patterns and sanghos. Especially outline drawings made by a painter armed with an understanding of icons and the force of brush strokes based on the So-ui Scripture are essential to the painting of Buddhist paintings. Outline drawings refer to rough sketches made by getting the overall outline of an icon and adding line descriptions. Those who“ make rough sketches”are called Chulcho painters. The outline drawings of Buddhist paintings during late Joseon were mostly created in the 18th century and after including the Outline Drawing of Goibulhwa(late Joseon) of Gae-am Buddhist Temple housed in the Tongdo Saseongbo Museum. They have been transmitted through various Buddhist temples such as Tongdo and Sudeok Buddhist Temple, museums, and monk painters. In the 18th century, outline drawings of high completion level were created which either inherited the traditional icons and truthfully reflected the content of So-ui Scripture or borrowed the icons from picture books or block books for detailed depiction.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outline drawings increased in materials and content as they reflected the social aspects of the times and benefited from the painters’creativity. There are three major categories of outline drawings, namely etudes, outline drawings for Seuphoi, and outline drawings for Eohoi, which are then further categorized into Jinbon and Jeongbon according to whether they are lined or not in the painting process. Outline drawings fully serve as rough sketches for Buddhist paintings or function as copies that act as models when making a painting based on the same icon. Chulcho painters personally write down the information about instruments, colors, and sizes and the purposes on outline drawings, which are thus useful for estimating the background, temporality, locality, and Hwayeon relationships of Buddhist paintings. In short, outline drawings for Buddhist paintings are rough sketches before completion and the products of the middle stage. They are also plans for Buddhist paintings that complete icons that are the basic structure of paintings and offer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creation process, colors, and sizes. Outline drawings are shared through many different distribution processes by the painters of the same school around the main and branch temple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Buddhist paintings with similar icons, compositions and sizes. An examination of outline drawings that play those critical roles will hold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understanding of trends in Buddhist paintings including the spread, acceptance, transmission, and change of Buddhist icons.

      • KCI등재

        디지털 시장과 혼합결합 규제 정책 - 온라인 플랫폼 결합을 중심으로 -

        윤선우 한국경제법학회 2022 경제법연구 Vol.21 No.3

        The recent growth of the digital market and conglomerate merger cases implemented by the online platforms are causing an unprecedentedly rapid market concentration. Furthermore, a small number of online platforms are forming their own empire by rapidly blocking the access and entry of competitors through unexpected domination of separate markets and aggressive business diversification. In particular, such phenomenon is drastically maximized along with uniqu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arket which is substantially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traditional markets. On the other hand, the growth of digital market and online platform is also creating a high level of efficiency that leads to unprecedented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ultimately to the welfare of consumers. Therefore, it is undeniable that the conglomerate merger strategy enables the parties to effectively diversify their business and benefit from economies of scale. For this reason, simply expanding and intensify scope of regulation will not likely to meet the regulatory purpose of merger control or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competition regime. The analysis and issues on aggressive conglomerate merger strategies of online platform business are not only addressed in legal theoretical fields, but also various competition authorities have been reviewing on growth of online platform business by means of mergers and acquisitions, and putting effort to discuss on efficient regulations. This article firstly focuses on unprecedented growth of current digital market. especially focusing on expansion of online platform business, then overviews on merger control policy of various authorities on online platform business’ diversification strategies through mergers and acquisitions. Then, characteristic aspects of conglomerate merger strategies of online platform business and the necessity of regulations on these phenomenon are addressed. Lastly, how effective regulations can be achieved to protect growth and efficiency provided by online platforms in digital market is discussed. 최근 일어나고 있는 디지털 시장의 성장과 이를 주도하는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혼합결합 양상은 기존 시장에서 목격할 수 없었던 빠른 속도의 시장집중을 초래하고 있고, 더 나아가 결합 당시 예측하기 어려운 인접 또는 이종 시장에까지 미치는 지배력 확대와 공격적인 사업 다각화로 인하여 소수의 사업자가 경쟁자의 접근과 진입을 신속히 봉쇄하면서 자신들만의 제국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디지털 시장이 가지는 기존의 전통적 시장과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과 융합되어 그 효과가 극대화되고 있어, 이와 관련하여 혼합결합에 대한 현행 규제체계가 적절한지에 관하여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시장과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성장은 전례 없던 혁신과 기술의 발전 그리고 종국적으로 소비자의 후생으로 연결되는 고도의 효율성을 창출하고 있는바, 혼합결합 전략이 사업자들의 효과적인 사업 다각화와 범위의 경제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혼합결합에 대하여 엄격한 심사기준을 적용하여 규제의 범위와 강도를 일률적으로 확대하는 것만으로는 기업결합의 규제 목적이나 경쟁제도의 근본적인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의 공격적인 혼합결합 전략에 대한 경쟁법적 쟁점은 비단 이론적으로만 검토된 것은 아니다. 각국의 경쟁당국 역시 디지털 시장의 성장과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인수합병 전략을 통한 몸집 키우기에 대한 상당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정책적 차원에서도 규제의 필요성 또는 효과적인 규제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새로운 시장 환경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특히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의 사업 확장 현황을 살펴본다. 나아가, 각국 경쟁당국이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다각화 전략에 대한 기업결합 정책에 대하여 개관한다. 그리고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혼합결합 전략의 특징적 양상에 대하여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이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 여부, 더 나아가 디지털 시장에서의 온라인 플랫폼이 제공하는 성장과 효율을 보호하는 효과적인 규제를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논의한다.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에 대한 심사지침」의 시행과 온라인 플랫폼 규제 측면에서의 시사점

        윤선우 한국경제법학회 2023 경제법연구 Vol.22 No.1

        The possibility of dynamic innovation and various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easily witnessed in the traditional market are occurring in the digital market and the online platform ecosystem allow a small number of online platform operators to concentrate their influence in the market, which in turn brings greater benefits to the user group, creating a cycle that allows even greater concentration. While this may provide other potential innovations and consumer benefits, there are concerns on the other hand that it may limit the emergence of new competitors, thereby removing competitive pressure beforehand, and consequently promoting the long-term monopoly of a small number of operators, resulting in anti-competitive effects in the relevant market. These discussions have been very active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over the past decade and are leading to actual legislation of laws or enactment of guidelines related to practical regulatory systems for online platforms by major authorities. In line with this trend, in January 2022, the Fair Trade Commission of Korea has announced and issued a draft of 「Examination Guidelines for Abuse of Dominant Market Position and Unfair Transactions by Online Platform Operators」to regulate abuse of market dominance and unfair trade by online platform operators. In this regard, seminars and discussions were held in academia and the National Assembly, discussions were held with policy councils and related ministries, and opinions of other stakeholders were collected. And on January 12, 2023, 「Examination Guidelines for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by Online Platform Operators」came into effect. The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this guideline and the resulting regulatory effect or competition order in the market are expected to act as a very important part of online platform regulation and related legislative procedures of Korea for next few years. Therefore, in the process of enforcing this guideline, thorough and close studies whether the direction of regulation we are currently moving in is suitable for maximally protecting competition in the digital market and online platform ecosystem, and whether various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being discussed in rapid succession are not overlapping or excessive shall be necessary. 디지털 시장에서는 전통시장에서 쉽게 목격할 수 없었던 역동적인 혁신 가능성과 다양한 특성이 나타나고 있으며, 온라인 플랫폼 생태계는 소수의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로 하여금 시장에 보다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이용자 집단에게 더 큰 혜택을 부여함과 동시에 더욱 강력한 시장집중의 가능성을 허용하는 사이클을 형성한다. 이러한 현상이 잠재적 혁신과 소비자 혜택을 창출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새로운 경쟁자의 출현을 제한하여 경쟁 압력을 사전에 제거하고, 결과적으로 소수의 사업자들의 장기적 독점을 촉진한 결과 관련시장에서 반경쟁적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논의들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주요 국가들의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규제를 위한 법률 또는 가이드라인 제정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공정거래위원회는 2022년 1월,「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및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심사지침」안을 고시하여 온라인 플랫폼 운영자 및 이와 관련한 학계 및 입법 관련자, 관련 이해관계인들의 의견을 다양하게 수렴하였다. 그리고 2023년 1월 12일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에 대한 심사지침」이 시행되기에 이르렀다. 위 심사지침의 시행 및 적용, 그리고 이에 따른 시장에서의 실질적 규제 효과 및 경쟁 질서의 양상은 향후 몇 년간 국내의 온라인 플랫폼 규제 및 관련 입법 논의에서 중요한 의미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심사지침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현재 우리가 나아가고 있는 규제의 방향이 디지털 시장과 온라인 플랫폼 생태계에서의 경쟁을 최대한 보호하는 데 적합한지, 그리고 최근 급격하게 논의되고 있는 각종 관련 법규와 규제가 온라인 플랫폼 생태계의 활동에 과도하거나 중복 규제로 작용하지 않는지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볼 것이다.

      • KCI등재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물류 산업보안 기술 및 정책

        윤선우,이일구,박소현,박나은,전소은,오예솔,이지은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2021 한국산업보안연구 Vol.11 No.1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tact-free and e-commerce are being recognized in the logistics industry. As a result, improving the logistics system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as the volume of logistics has increased. Currently, smart logistics systems that converge with technologies such as AI, IoT and drone are being introduced, but systems that guarantee safety and security are lacking.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policy related to drones and the security vulnerability of drones, and figure out the reasons why it is difficult to commercialize drones for delivery purposes. In addition, we analyze the key technologies needed to build a safe, efficient and smart logistics system using drones, and propose industrial security policies to activate them. 최근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주요국 정부와 글로벌 기업들의 스마트 물류 산업 분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경쟁이 치열하다. 물류 산업 분야에서 언택트 트렌드와 이커머스 활성화로 인해 물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물류 시스템의 지능화와 자동화를 통한 혁신적인 물류 효율성 개선이 산업의 핵심 경쟁력이자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물류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드론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스마트 물류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지만, 공공 안전과 보안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혁신적인 기술의 상용화는 요원한 일이다. 스마트 물류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물류 공급망 내에서 안전한 배송과 보안 위협 탐지를 위한 물류 산업보안 기술과 정책이 필수 요소인데, 나날이 증가하는 사회적산업적 요구에 비해 이 분야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대비 드론이 가지는 주요 보안 취약점과 종래의 물류 산업 분야에서 배송 목적으로 상용화하기 어려운 원인을 분석한다. 그리고 융합보안 관점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드론 기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요소 기술을 분석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산업보안 정책을 제안한다.

      • KCI등재

        외부감사인의 감사업무 수행에서의 구체적 주의의무와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대법원 2022. 7. 28. 선고 2019다202146 판결을 중심으로 -

        윤선우 한국상사판례학회 2023 상사판례연구 Vol.36 No.1

        Investment activities in the capital market are basically based on the information acquired by investors. Therefore, accurate and transparent inform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for sound investment market order. If a company only provides information favorable to itself or false/exaggerated information to cover up unfavorable factors, the order of the free investment market will inevitably be disrupted. These concerns are addressed by an independent external auditor’s audit system, which has been introduced to eradicate malicious practices such as poor or inaccurate financial information handling or fraudulent accounting, and furthermor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more sound and transparent capital market investment practices. In light of the purpose of the external audit system, the external auditor's fair and faithful audit performance can be seen as the core of the system, which in turn serves as the basis for protecting investors and establishing sound investment order. These points are specifically reflected at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and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among which a notable part is the external auditor’s liability for damages to third parties. Independent external auditors are charged with compensation for damages caused by poor or false audits, and the specific distribution or method of such compensation system has been improved through various legislative revision. On the other hand, the legal principles such as the specific and detailed duty of care and limitation of liability have been specified through case precedents. In the recent STX Offshore & Shipbuilding Co. Ltd. case of fraudulent accounting, the Supreme Court once again specifically explained the external auditor's active audit duty. And it would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details of the specific duty of care, which were not directly mentioned in the existing Supreme Court precedents. This case acknowledged and addressed the inherent limitations of the external audit system, but it also specifically determined the duty of care of more faithful and active audit performance, and also further specified that characteristics and the business condition of the company shall be considered in the course of audit performance. In this respect, the case has emphasized once again the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the specific duty of care of external auditors.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tandards to determine the violation of duty of care have been further materialized or strengthened in certain perspective. In addition, This case has not applied proportional responsibility system when determining the defendants’ portion of responsibilities while it has actually applied different portion of responsibility has been imposed to each defendant.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system, it is hoped that related legal principles will be accumulated by actively applying such system. Furthermore, the current relevant statutes actually presum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lse statements in audit reports and investors' investments, but in this case, as in past precedents, the method and degree of proof for reversing the presumption were specifically presented, bug reversal of the presumption was not recognized. Lastly, given the court is making an active judgment regarding the specific duty of care related to the company’s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system, this case is likely to be one of such trend of cases. Following the recent judgment on the elements of specific duty of care related to the director’s inspection duty and relevant duties of establishment of internal control system, this case can be considered meaningful from the fact that it states and clarifies external auditor’s audit performance, that is, specific and details of duty of care from the perspective of external control system. 자본시장에서 이루어지는 투자활동은 기본적으로 투자자들이 취득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건전한 투자질서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은, 정확하고 투명한 정보의 제공이라 할 것이다. 회사가 자신에게 유리한 정보만을 제공하거나, 불리한 요인을 은폐하기 위하여 허위 또는 과장된 정보를 제공한다면, 자유로운 투자시장의 질서가 와해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우려는 부실한 또는 부정확한 재무정보 처리 또는 분식회계와 같은 악의적 관행을 근절하고, 나아가 더욱 건전하고 투명한 자본시장의 투자 관행의 기초를 다지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가 바로 독립된 외부감사인의 감사제도이다. 이러한 외부감사제도의 취지에 비추어볼 때, 외부감사인의 공정하고 충실한 감사 수행이 제도의 핵심이라 볼 수 있으며, 이는 다시 투자자의 보호와 건전한 투자질서 확립의 밑바탕이 된다. 이러한 점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과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법제화되어 있으며, 그 중 주목할만한 부분은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규정이다. 외부의 독립된 감사인에게 부실 또는 허위감사로 인하여 발생한 손해에 대하여 배상책임을 부과하고 있는데, 배상책임의 분배나 방법에 대하여는 여러 입법적 개정을 통하여 개선되어 왔다. 한편, 그 구체적 주의의무나 책임 제한 등의 법리는 판례를 통하여 보다 구체화되어 왔는데, 최근 STX 조선해양 분식회계 사건에서 대법원은 외부감사인의 적극적인 감사의무에 대하여 다시 구체적으로 설시한 바, 기존 관련 대법원 판례에서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던 구체적 주의의무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는 데에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대상판례는 외부감사제도의 본질적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보다 충실하고 적극적인 외부감사인의 주의의무를 구체적으로 판시하였고, 또한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피감회사 업종의 특성 및 경영상황을 고려할 것을 명시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대상판례는 외부감사인의 구체적 주의의무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를 다시 한번 강조하였고, 실질적으로 그 기준이 일정 부분에서는 구체화 또는 강화 되었다고도 해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상판례에서는 비례책임제도를 적용하지 않으면서도 개별 피고에 대하여 상이한 책임제한을 하였는데, 이는 해당 제도의 도입 취지와 목적에 비추어볼 때 향후 적극적인 적용을 통하여 관련 법리를 축적하여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현행 법령은 감사보고서의 허위기재와 투자자의 투자 간의 인과관계를 사실상 추정하고 있는데, 대상판례에서는 과거 판례에서와 마찬가지로 추정 번복을 위한 입증 방법 및 정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추정의 번복을 인정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최근 회사의 내외부통제시스템과 관련된 구체적 주의의무에 대하여 법원이 적극적인 판단에 나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대상판결 역시 그러한 흐름 속에 있는 판례로 생각된다. 최근 대표이사와 평이사 및 사외이사의 구체적인 감시의무와 내부통제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구체적 주의의무의 요소들을 판시한데 이어, 대상판결에서도 외부감사인의 감사업무 수행, 즉 일종의 외부통제시스템에 있어서 구체적 주의의무의 요소를 추가한 데에 있어 의미가 있는 판례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n Avian-origin Reassortant H7N1 Influenza Virus

        윤선우 한국생명과학회 2023 생명과학회지 Vol.33 No.8

        Recently, sporadic cases of human infection by genetic reassortants of H7Nx influenza A viruses have been reported; such viruses have also been continuously isolated from avian species. In this study, A/wild bird/South Korea/sw-anu/2023, a novel reassortant of the H7N1 avian influenza virus, was analyzed using full-genome sequencing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A/wild bird/South Korea/sw-anu/2023 belonged to the Eurasian lineage of H7Nx viruses. The polymerase basic (PB)2, PB1, polymerase acidic (PA), and nucleoprotein (NP) genes of these viruses were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avian influenza viruses isolated from wild birds, while the hemagglutinin (HA), neuraminidase (NA), matrix (M), and nonstructural (NS) genes were similar to those of avian influenza viruses isolated from domestic ducks. In addition, A/wild bird/South Korea/sw-anu/2023 also had a high binding preference for avian-specific glycans in the solid-phase direct binding assay. These results suggest the presence of a new generation of H7N1 avian influenza viruses in wild birds and highlight the reassortment of avian influenza viruses found along the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Overall, H7Nx viruses circulate worldwide, and mutated H7N1 avian viruses may infect humans, which emphasizes the requirement for continued surveillance of the H7N1 avian influenza virus in wild birds and poultry.

      • KCI등재

        차세대 감염병 백신

        윤선우 한국생명과학회 2023 생명과학회지 Vol.33 No.9

        Viral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the greatest threats to global public health. The recent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caused by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2 (SARS-CoV-2) is a stark reminder of the threat posed by emerging viral infections. Developing and producing appropriate and efficient vaccines and therapeutics are the only options to combat this pandemic. The COVID-19 pandemic has highlighted the need for novel vaccine platforms to control and prevent emerging viral diseases. Conventional vaccine platforms, including live-attenuated vaccine and inactivated vaccines, pose limitations in the speed of vaccine development, manufacturing capacity, and broad protection for emergency use. Interestingly, vaccination with the SARS-CoV-2 vaccine candidate based on the mRNA-lipid nanoparticle (LNP) platform protected against COVID-19, confirming that the nucleoside-modified candidate is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vaccines. Moreover, the prophylactic strategies against the COVID-19 pandemic have been mRNA nucleic acid-based vaccines and nanoparticle-based platforms, which are effective against SARS-CoV-2 and its variants. Overall, the novel vaccine platform has presented advantage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vaccine platform in the COVID-19 pandemic. This review explores the recent advancements in vaccine technologies and platforms, focusing on mRNA vaccines, digital vaccines, and nanoparticles while considering their advantages and possible drawbac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