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쇼듕화역ᄃᆡ셜>에 나타난 역사와 문학의 접점 연구

        윤보윤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7 No.-

        이 논문은 <쇼듕화역ᄃᆡ셜>을 통해 역사서사와 문예적 형상화의 측면을 살핀 것이다. 이 작품은 6권 4책으로 이루어진 국문 전용의 필사본이며, 창작 연대와 작자는 미상이다. 권말에 표기된 간지를 통해 필사시기를 추정하면 1915년과 1916년 사이인 것으로 보인다. 필사자는 확정할 수 없으나 성 부인이라는 여성인물임을 짐작할 수는 있다. <쇼듕화역ᄃᆡ셜>은 역사적 사건을 독자에게 이해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목적 하에 특정 사건을 역대 왕의 순서대로 배열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조선왕조의 내력을 기술하고 명신과 학자의 일화를 알려주기도 하며 사화를 비롯한 정치적 사건과 전쟁 상황 등을 설화하여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리하여 이 자료는 일차적으로 역사담론의 성격이 강한 독서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쇼듕화역ᄃᆡ셜>은 단순한 사실을 나열하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문예미를 발현하여 독자의 관심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역사서를 표방하였으면서도 독자의 접근이 수월하도록 문예적 특성을 가미한 것이다. 신이한 태몽을 소개하고 현실성이 희석된 기이한 이야기를 내세웠으며 민족문화의 우월성을 드러내기도 하는 등 독자의 흥미성을 촉발할 수 있는 부분이 두드러진다. 뿐만 아니라 특정 인물의 일화를 확대하여 구성하며 문학작품을 첨부하여 문예담론의 특성을 갖추고 있다. 이것은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역사적 사실을 감동적으로 이해시키려는 의도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쇼듕화역ᄃᆡ셜>은 문학의 소재가 되는 역사적 사건을 왕조 중심으로 기술하였다는 것에서 역사담론의 특성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으며 문학적인 흥미소를 활용하여 민중의 읽을거리로 기능하였다는 것에서 역사와 문학의 접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민중이 역사와 문학을 불리의 관계로 인식하고 향유했던 문화적 전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이 역사소설의 핵심적인 요소로 기능했던 사정 또한 짐작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historical narrative and literaryimaginary aspect through Sojunghwayukdaesul. Sojunghwayukdaesul isa manuscript consisted of 6 volumes and 4 books only in Korean language,and era of creation and name of writer is unknown. The transcribed timeis presumed between 1915 and 1916 according to the slip sheet at theend of the book. The transcriber is unidentified but a female named ‘Ms. Sung’ is assumed as it. Sojunghwayukdaesul is supposed to be written for enlighten historicalevents to readers. For this purpose, it adopted a written method in thatspecific accidents were arrayed in order to kings of many generations. The historical facts were tried to be described objectively by describingthe origin of Chosun dynasty, telling anecdotes of the great retainersand scholars, and transmitting stories of political accidents and warsituation into tales. Therefore, this material is regarded as a readingmaterial with character of historical discussion primarily. Also, Sojunghwayukdaesul tried to draw interest of readers with beautyof literary art rather than simply arraying of facts. It claimed to be ahistorical book but also added literary elements for readers to approachto it easily. It is notified that many parts are for reader’s interest such as introduction of marvelous dreams of conception and amazing storieslack of reality, and revealing of superiority of ethnic culture. Furthermore,Sojunghwayukdaesul is characterized as a literature discussion by addingof expended specific people’s anecdotes as literature form. It is becauseof the intention for readers to understand historical facts affectively byliterary configuration. Sojunghwayukdaesul is regarded as a historical discussion in the waythat historical events, which were literary materials, were writtenrevolving around dynasty. The point of contact of history and literatureis confirmed in that it has a function as a public reading material by usingliterary interesting points. Through this, literary tradition that publicrecognized history and literature interrelated is confirmed and thecircumstance is assumed that historical events or characters were coreelements in historical novels.

      • KCI등재

        <양풍전>의 조력 양상과 영웅화의 관계 고찰

        윤보윤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0 No.-

        <양풍전>은 양태백이 부인과 세 자녀를 학대하는 전반부의 내용과, 아들인 양풍이 군사적 능력을 배양한 뒤 국난을 타개하는 후반부의 내용이 병치되어 있다. 전반부의 사건은 ‘영웅의 일생’ 중에서 어린 시절의 시련에 해당하므로, 이것을 양풍이 영웅인물로 성장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가정 내 어려움을 딛고 어머니와 누이들, 초월적 존재의 도움을 통해 성장하는 영웅의 이야기인 것이다. 첫째, 어머니의 1차 조력을 통해 양풍은 어린 시절의 정서적·신체적 안정을 제공받고 영웅인물이 될 수 있었다. 양태백이 부인과 자녀들을 쫓아내려 하였을 때 양풍의 어머니는 이를 막기 위해 합리적인 근거를 들어 양태백의 결심을 무마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내쫓긴 후에도 자녀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곳이 어디인지 최선을 다해 찾으려 하였다. 둘째, 누이들의 2차 조력을 통해 양풍은 초월 공간에 도달하여 영웅인물의 면모를 인정받을 수 있었다. 어린 나이에 험난한 여정이 될 수밖에 없지만, 어머니를 만나겠다는 누이들의 굳은 결심으로 거침없이 나아간 결과 그들은 어머니를 상봉하고 비로소 시련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양풍은 모험의 과정에서 초월자에게 영웅성을 인정받는 단계로 진입할 수 있었다. 셋째, 초월적 존재의 3차 조력을 통해 양풍은 완벽한 영웅이 되었다. 옥황상제는 양풍에게 그 운명을 알리고 갑옷을 하사하였으며, 천황보살은 그를 제자로 삼아 운명을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게 돕고 신이한 물건까지 제공하였다. 그리하여 양풍은 마침내 완전한 영웅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 양풍이 세 차례에 걸친 도움으로 영웅인물이 되면서 지향한 것은 효의 실천이나 가문의 번창이 아니었다. 나라를 구한 후 부귀영화의 삶 속으로 들어온 것처럼 보이지만 아버지 사후에는 자신의 책임을 다하였으므로 지상의 삶에 미련을 두지 않는다. 양풍은 결국 어머니와 누이들을 다시 만나 선도를 닦으며 진정한 의미의 영웅에 이르고자 하는데 이것이 그가 지향한 궁극적 가치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쇼듕화역ᄃᆡ셜>의 인물 형상화 방식과 의미 - 인조를 중심으로

        윤보윤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3 No.-

        Sojunghwayeokdaeseol is a historical narrative whose author is unknown, elaborating on stories of kings and ministers entrusted. The life story of King Injo was mainly narrated in volume 4 to inform the whole story of the incidents of King Injo’s Restoration, Rebellion of Yi Gwal, First Manchu Invasion in 1627, and the Byeongja-year War with the Manchurians to reveal the activities of significant figures. Meanwhile, the author intended to express King Injo uniquely in specific scenes. Firstly, King Injo was embodied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ministers. The author tried to convey King Injo’s Restoration more excitingly by elaborating the mysterious connection with Kim Ryu, a literati of Lee Hangbok. He also emphasized King Injo’s insight through the activities of figures like Jeong Chungshin, Hong Myunggu, and Lee Hangbok. The stories with Yoon Jip, Oh Dalje, and Lim Kyungeop also show the benevolent and gracious aspects of the king. Secondly, the painful trials during the rebellion and war which King Injo went through were significantly expressed. King Injo’s agony during the rebellion of Yi Gwal was described in very detail. During the First Manchu Invasion in 1627, he was forced to forge a treaty as a brotherhood nation with Houjin. In addition, the humiliation of surrender at Samjeondo during the Byeongja-year War with the Manchurians was elaborated with how Qing Empire persecuted King Injo. Thirdly, the personality of Injo was an austere counterpoint to that of Gwanghaegun. The author emphasized that King Injo was recognized by his ancestors, and his character was good enough for ministers to pledge their fidelity. On the other hand, he described in detail how disqualified Gwanghaegun was as a King because he committed treason without caring for the people’s livelihood. It implies that King Injo was qualified to be a successor, but Gwanghaegun was the target of eradication. Sojunghwayeokdaeseol represents a historical narrative that records actual events. However, it is a literature work expressing the author’s consciousness to convey the tragic history, including the Byeongja-year War with the Manchurians, in a more positive direction. It could be a way to narrate the entire history of Joseon from a positive perspective, not to record everything precisely the same as the facts but to emphasize some events of history. 이 글은 <쇼듕화역ᄃᆡ셜>에 나타난 인조의 형상화 방식과 그 문학적 의미에 대해 살핀 것이다. <쇼듕화역ᄃᆡ셜>은 작자 미상의 역사서사로, 조선의 군왕과 주요 대신의 일대기를 서술하고 있다. 독자들이 역사적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제 있었던 일을 나열하기도 하고 작자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사건에 대해서는 문예적인 묘사까지 더하기도 한다. <쇼듕화역ᄃᆡ셜> 권지사는 대부분 인조의 일대기로 구성되었는데, 우선 능양군이 왕위에 오르기까지 인조반정의 과정을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이괄의 난 부분에서는 역모가 일어난 이유와 사건의 전개, 관군이 전투에서 승리한 장면까지 소개하였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부분에서는 조선이 처한 어려움을 사실적으로 그리되 그 대상이 인조를 비롯한 왕실과 주변 대신 정도로 한정되었다. <쇼듕화역ᄃᆡ셜>은 역사서사로서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일차적 목표였을 것이나 몇몇 상황에서는 인조를 특별하게 형상화하였다. 첫째, 인조와 대신들의 관계를 부각하고 있다. 인조반정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능양군과 김류의 기이한 인연을 서사하면서 이항복과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또한 인조가 등용한 인물 중 혁혁한 공을 세운 신하들이 이항복과 연관이 있음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척화신과의 관계를 통해 임금의 자애로운 모습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둘째, 인조가 여러 차례 반란과 전쟁을 겪으며 시련을 감내하였음을 극대화하여 표현하였다. 조선이 전란에 휩싸인 것은 인조를 위시한 집권층의 무능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이러한 사건의 원인을 어쩔 수 없는 운명 탓으로 돌리고 인조가 감당해야 하는 고난에만 집중하였다. 그리하여 이괄의 난이나 병자호란에서 몽진하였을 때의 궁색한 기억과 삼전도에서의 치욕을 매우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인조가 전란의 가장 큰 피해자인 것처럼 형상화하였다. 셋째, 인조와 광해군의 선명한 대비를 통해 인조를 칭송하고자 하였다. 능양군의 탄생을 신이하게 연출하기도 하고 일찍이 선조에게 인정받은 존재임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뛰어난 신하들이 인조와 대의를 함께 하는 모습을 통해 그의 인품이 고귀함을 알렸다. 이러한 자질을 가지지 못해 민생을 도탄에 빠뜨리고 서슴없이 패륜을 저지른 광해군은 마땅히 폐위의 대상이 되고, 인조는 반정의 명분을 증명할 수 있었다. <쇼듕화역ᄃᆡ셜>의 독자는 문면을 통해 인조의 인간적인 면모를 발견하고 그를 동정의 대상으로 생각하며 반정을 비롯한 통치행위를 정당하게 여길 수 있었다. 군왕으로서 인조의 무능은 감추고 긍정적인 모습으로 형상화했기 때문이다. 인조에 대한 우호적 이미지는 조선 왕조의 역사 전체에 대한 믿음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곧 작자가 역사를 기술하면서 독자가 보다 희망적인 시선으로 조선의 역사를 접하도록 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금방울전>의 인물 형상화 방식 고찰 - 색채의 부여와 표현을 중심으로

        윤보윤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0 No.-

        Geumbanguljeon is a literature piece that centers on the reincarnated protagonist, who tries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from the past life. Geumbangul helps key characters with her mysterious powers that were gifted from the heaven to accomplish her purpose of current life. By focusing on the styles of characterization of the figures in the story, the use of expressions related to color becomes prominent. First the use of color is used to emphasize the character’s heroism. When Geumbangul demonstrates heroic actions and values, the color gold is described. Moreover, there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gods dressed in vividly colored clothing appointing Geumbangul with holy gifts. Moreover, the description of color used to characterize the monster, a subject of elimination, intensified the treacherous aspects of it, allowing Geumbangul’s heroism to be more salient in reflection. Secondly, the hiding of color transfers heroism of characters. With Geumbangul’s effort, the gloomy life of Haeryong and other key characters encounters a changing moment. As Haeryong realizes and embodies its heroism, color is no longer used to describe Geumbangul. In the description of Haeryong as the hero that protects the nation and his heroic deeds, description of color is not used. As the color is no longer used as an expression, it implies that the heroic status has transferred from Geumbangul to Haeryong. Third, the heroic finish is accomplished by calling the audience’s attention on the visualized materials. As the story employing visualization and vivid description to characterize the figures, the audiences are captivated by the colors. The picture scroll(the hanging picture) is a visualized media that relays messages from each side for Geumbangul, who cannot engage in verbal expressions. The layout of these picture scrolls are designed to solve a problem at once when they are put together, implying that the union of family is the final quest of the hero. Fourth, the use and focus on the color enabled effective delivery of the theme. The expression of color characterized a female heroine, as well as allowing narrative attention on specific topics. Indeed, it allows even the depiction of the story of an active, self-driven female who paves her own path. 이 논문은 <금방울전>에 나타난 인물의 형상화 방식을 색채의 부여와 표현에 집중하여 살핀 것이다. <금방울전>은 전생의 미진한 인연을 잇기 위해 주인공이 환생하여 활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금방울은 다섯 선관이 제공한 신이한 능력을 발휘하여 주요 인물을 조력한다. 이 작품은 인물을 묘사할 때 색채 표현을 주로 활용하고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영웅인물의 면모를 드러내고 특정한 서사적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첫째, 색채 드러내기를 통해 영웅성을 제고한다. 금방울이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장면에서 금빛이라는 색깔을 함께 그려내고, 다양한 빛깔의 의복을 착용한 선관들이 신물을 수여하는 모습을 묘사하며, 괴물의 포악성을 색으로써 표현한 것이다. 이렇게 색채 표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기 때문에 금방울의 영웅성이 더욱 두드러질 수 있었다. 둘째, 색채 감추기를 통해 영웅성을 전이시킨다. 금방울로 인해 해룡과 그의 가족은 인생의 전환점을 맞게 된다. 해룡이 영웅성을 자각하여 금방울의 조력이 필요하지 않게 된 순간부터 금방울의 금빛은 더 이상 문면에 나타나지 않는다. 해룡만이 유일한 영웅인물로 묘사되며 이를 위한 행위에서도 색채와 관련된 표현이 전무하다. 색채에 대한 언급이 사라져 영웅의 지위가 금방울에서 해룡으로 옮겨갔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시각 매체를 통해 영웅성을 귀결시킨다. 인물을 형상화할 때 시각적 요소를 주로 활용하면서 독자가 색채에 집중하도록 한다. 그림 족자라는 소재는 금방울이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양측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각 매체이다.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가족이 무사히 상봉하도록 하였는데, 이 순간이 바로 영웅인물의 모든 과업이 달성되는 때이다. 이후 영웅적 행위는 요구되지 않고 오로지 영화로운 삶만이 남아있을 뿐이므로 영웅성의 귀결이라 할 만하다. 넷째, 작중인물에게 색채를 부여하고 표현하는 방식을 통해 주제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색채 표현에 집중하여 여성영웅의 능력을 뚜렷하게 묘사할 수 있었다. 여성영웅만이 발휘할 수 있는 힘을 구체적으로 그려내기 위해 색채를 빈번하게 언급하고 남성영웅과의 차별점을 부각하였다. 그리고 작품 내 시각적 요소를 특화시켜 결국 그림 족자라는 특정한 소재에 독자가 집중하도록 하였다. 또한 남성영웅의 활동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여성영웅의 활약을 한시적이나마 강렬하게 표현하여 여성인물의 주도적인 면모를 드러낼 수 있었다.

      • KCI등재

        <쇼듕화역ᄃᆡ셜>의 반동인물 고찰 - 전쟁서사를 중심으로

        윤보윤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6 No.-

        Sojunghwayeokdaeseol is a historical narrative that chronologically chronicles the stories of the kings and critical officials during the Chosun Dynasty. This narrative includes stories of the Imjin War and the Jeongyu War, the First Manchu Invasion, and the Second Manchu Invasion. The antagonists set out to create contrasting characters by depicting figures that could be negatively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osun dynasty, such as traitors and defeated generals, influential figures of Japan, and emperors and generals from the Qing dynasty. First, Sojunghwayeokdaeseol attracts interest by contrasting good and evil by depicting antagonists in war narratives. It does not simply describe the achievements of war heroes who brought victory to Chosun but also strives for narrative stability by contrasting them with villains who put the country in danger. It creates even more fascinating stories for readers. Second, it secures lessons by concentrating on the depiction of antagonists. It concretely describes the antagonists as careless and incompetent, unable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While war is inevitable, the responsibility is more significant for those who fail to cope with such situations properly. The narrative also reflects the loyalty and sense of duty that courtiers should possess. Third, it pursues narrative completeness by presenting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By describing in detail the influential figures and generals of the enemy, who are antagonists, and revealing their inherent ambition and wickedness, it emphasizes that they were the ones who caused the most damage in the war. It achieves narrative completeness by clearly revealing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like how the war had started and how much the country got damaged. Sojunghwayeokdaeseol reveals the painful history of the Chosun dynasty through this war narrative, but it maximizes the negative aspects of antagonists to make readers positively evaluate the Chosun Dynasty. It indicates that the overall history of Chosun could have been flown in the right direction with wise kings and excellent officials, even though there were antagonists in our history. This is the thematic consciousness that permeates through Sojunghwayeokdaeseol. <쇼듕화역ᄃᆡ셜>은 6권 4책의 국문 필사본으로 조선의 역대 군왕과 주요 신하의 생애를 시간 순서대로 기술한 역사서사이다. 여기에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전쟁서사에서 국가에 피해를 입힌 인물을 반동인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조선의 간신과 패장, 왜의 권력자와 장수, 청 황제와 장수 등을 반동인물로 규정하였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부분에 등장하는 반동인물로 이일, 신립, 김명원, 이양원, 김순량, 송유진, 원균, 가등청정, 소서행장, 풍신수길 등이 있다. 그리고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부분에 등장하는 반동인물로 이완, 박유건, 윤훤, 김류, 김자점, 신경진·원두표·구굉 휘하의 장수들, 김경징, 용골대, 청 황제 등이 있다. 이들은 조선왕조에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쇼듕화역ᄃᆡ셜>에서 부정적으로 형상화한 인물이다. 첫째, <쇼듕화역ᄃᆡ셜>은 전쟁서사에서 반동인물을 형상화하면서 선악의 대비를 통해 흥미성을 고양하고 있다. 조선왕조에 충성을 다하거나 전투에서 승리한 주동인물의 업적만을 기술하지 않고, 태만하거나 무능하여 나라를 위험에 처하게 한 반동인물의 행위를 대조적으로 그려냄으로써 흥미로운 이야기를 완성하였다. 둘째, 반동인물을 집중적으로 형상화하여 교훈성을 확보하고 있다. <쇼듕화역ᄃᆡ셜>은 역사서처럼 모든 의미 있는 사건을 순차적으로 배열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특정한 인물의 이야기를 확대 서술하는 서술방식을 활용한다. 전쟁 중에 안일하고 무능한 모습을 보이는 반동인물을 묘사할 때에도 이러한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그들이 실현하지 못한 충절의식과 사명감을 강조하였다. 셋째, 인과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서사적 완결성을 추구하고 있다. 왜와 청의 권력자와 주요 적장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그들의 야욕과 악독함을 생생하게 묘사함으로써 전쟁이 장기화되고 그 피해가 극심했던 까닭이 그들에게 있음을 드러낸다. 이를 통해 왜란과 호란의 발발과 경과, 종결 등 사건의 인과관계가 분명하게 밝혀졌으므로 구성면에서 완결성을 충족할 수 있었다. <쇼듕화역ᄃᆡ셜>은 왜란과 호란을 다루며 조선의 아픈 역사를 그려내었다. 이 시기의 전쟁서사는 독자에게 외면하고 싶은 부분이 될 수도 있으나 반동인물의 부정적인 모습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선조와 인조의 실정은 감추고 오직 반동인물에게 전쟁의 책임이 돌아가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조선왕조를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 반동인물이 우리 역사에 잠시 등장하여 국난이 닥쳐오더라도 주동인물이 활약하고 있으므로 역사가 올바른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는 믿음, 이것이 <쇼듕화역ᄃᆡ셜>을 관통하는 주제의식이다.

      • KCI등재

        <쇼듕화역ᄃᆡ셜>의 인물 형상화 방식과 의미 - 인조를 중심으로

        윤보윤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3 No.-

        이 글은 <쇼듕화역ᄃᆡ셜>에 나타난 인조의 형상화 방식과 그 문학적 의미에 대해 살핀 것이다. <쇼듕화역ᄃᆡ셜>은 작자 미상의 역사서사로, 조선의 군왕과 주요 대신의 일대기를 서술하고 있다. 독자들이 역사적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제 있었던 일을 나열하기도 하고 작자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사건에 대해서는 문예적인 묘사까지 더하기도 한다. <쇼듕화역ᄃᆡ셜> 권지사는 대부분 인조의 일대기로 구성되었는데, 우선 능양군이 왕위에 오르기까지 인조반정의 과정을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이괄의 난 부분에서는 역모가 일어난 이유와 사건의 전개, 관군이 전투에서 승리한 장면까지 소개하였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부분에서는 조선이 처한 어려움을 사실적으로 그리되 그 대상이 인조를 비롯한 왕실과 주변 대신 정도로 한정되었다. <쇼듕화역ᄃᆡ셜>은 역사서사로서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일차적 목표였을 것이나 몇몇 상황에서는 인조를 특별하게 형상화하였다. 첫째, 인조와 대신들의 관계를 부각하고 있다. 인조반정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능양군과 김류의 기이한 인연을 서사하면서 이항복과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또한 인조가 등용한 인물 중 혁혁한 공을 세운 신하들이 이항복과 연관이 있음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척화신과의 관계를 통해 임금의 자애로운 모습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둘째, 인조가 여러 차례 반란과 전쟁을 겪으며 시련을 감내하였음을 극대화하여 표현하였다. 조선이 전란에 휩싸인 것은 인조를 위시한 집권층의 무능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이러한 사건의 원인을 어쩔 수 없는 운명 탓으로 돌리고 인조가 감당해야 하는 고난에만 집중하였다. 그리하여 이괄의 난이나 병자호란에서 몽진하였을 때의 궁색한 기억과 삼전도에서의 치욕을 매우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인조가 전란의 가장 큰 피해자인 것처럼 형상화하였다. 셋째, 인조와 광해군의 선명한 대비를 통해 인조를 칭송하고자 하였다. 능양군의 탄생을 신이하게 연출하기도 하고 일찍이 선조에게 인정받은 존재임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뛰어난 신하들이 인조와 대의를 함께 하는 모습을 통해 그의 인품이 고귀함을 알렸다. 이러한 자질을 가지지 못해 민생을 도탄에 빠뜨리고 서슴없이 패륜을 저지른 광해군은 마땅히 폐위의 대상이 되고, 인조는 반정의 명분을 증명할 수 있었다. <쇼듕화역ᄃᆡ셜>의 독자는 문면을 통해 인조의 인간적인 면모를 발견하고 그를 동정의 대상으로 생각하며 반정을 비롯한 통치행위를 정당하게 여길 수 있었다. 군왕으로서 인조의 무능은 감추고 긍정적인 모습으로 형상화했기 때문이다. 인조에 대한 우호적 이미지는 조선 왕조의 역사 전체에 대한 믿음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곧 작자가 역사를 기술하면서 독자가 보다 희망적인 시선으로 조선의 역사를 접하도록 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쇼듕화역ᄃᆡ셜>의 작가의식 연구 - 단종과 세조 형상화를 중심으로

        윤보윤 어문연구학회 202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2 No.1

        <쇼듕화역ᄃᆡ셜>은 태조에서 정조까지 조선의 역사를 기술한 역사서사로, 6권 4책의 국문 필사본이다. 제1책의 권지일과 권지이에 단종과 세조 관련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권지이에는 단종의 능호를 딴 ‘장릉사젹’이라는 부제가 달려 있다. 이를 보면 작자가 단종의 삶과 죽음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은 조선 왕조를 긍정적인 입장에서 그리는데, 단종과 세조가 형상화된 방식을 살핌으로써 작가의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단종을 형상화할 때에는 독자가 느낄 애상감을 끌어올리기 위해 정서적으로 접근하였고 세조를 형상화할 때에는 대강의 서술만 이루어졌다. 단종은 어린 나이에 수양대군에게 옥좌를 찬탈 당하고 죽음을 맞았기 때문에 그 불우한 생애에 작자가 감정적으로 대응하면서 독자의 동정심을 유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세조에 대해서는 조카를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없애기 위해 이에 대한 기술을 최소화하였다. 둘째, 단종의 이야기에는 문예적 표현을 적극 활용하고 세조에 대해서는 일생을 축약하여 객관적으로 제시하였다. 독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단종의 생애를 서사하면서 마치 야담이나 소설처럼 흥미롭게 내용을 조직하기도 하고 한시와 시조를 인용하기도 하였다. 단종이 사사된 후 세조의 여생 부분은 단편적인 사건만 대강 언급하여 단종의 경우처럼 문예적 요소를 넣거나 치밀한 구성을 꾀하지 않았다. 셋째, 단종은 주변 신하들의 태도를 통해 인물을 간접적으로 형상화한 부분이 두드러지고 세조는 단종 사후의 일대기를 보면 역사서사에 으레 나타나는 군왕의 모습 정도로 표현된다. 단종에게 목숨을 바쳐 충성한 인물을 두루 드러내어 그 불우한 생애를 상세하게 그려냈다. 그러나 세조는 여생 부분의 분량이 적은 편이고 다양한 인물도 등장하지 않는다. <쇼듕화역ᄃᆡ셜>의 작자는 단종과 세조를 연이어 기술하면서 조선 왕조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려는 집필의 방향을 지키기 위해 각기 다른 형상화 방법을 활용하였다. 두 임금에 대한 독자의 상반된 평가가 이루어지면 조선 왕조를 회의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면을 무마하고자 표현방식을 달리한 것이다. 그리고 정사뿐만이 아니라 야사도 포함하여 역사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도모하면서도 사건을 흥미롭게 형상화하기도 하였다. 조선의 역대 임금을 중심으로 사건을 전개하기 때문에 집권층의 입장에서 내용을 기술한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겠으나 일부 내용에 있어서는 야사를 적극 인용하여 민중의식을 대변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쇼듕화역ᄃᆡ셜>은 역사를 사실적으로 이해한다는 교훈성과 과거의 이야기를 흥미롭게 만끽한다는 대중성을 겸비한 독서물로 향유될 수 있었다. Sojunghwayeokdaeseol chronicles the historical episodes of Joseon from King Taejo to King Jeongjo. The author consistently employs distinct approaches in portraying King Danjong and King Sejo, highlighting positive aspects of the Joseon Dynasty and our national history. Firstly, an emotive approach was employed to maximize a sense of pathos from readers in terms of portraying King Danjong, but a more abstract approach was adopted to depict King Sejo. King Danjong was deprived of the throne at a young age, and the author aimed to elicit reader empathy through this narrative choice. However, the author minimized technical details to move away from the image as a murderer who caused the death of his nephew for the throne. Secondly, a rich array of literary expressions was employed to describe the story of King Danjong, but the approach shifted towards an objective portrayal of facts in detailing the life of King Sejo. Conversely, King Danjong’s life was artistically organized, utilizing poetic forms of Chinese poetry and Sijo. However, in the posthumous account of King Sejo's later years, only brief references to significant events were made, lacking the meticulous composition and literary elements observed in the depiction of King Danjong. Thirdly, numerous interactions with surrounding figures were depicted in the portrayal of King Danjong. However, King Sejo was described relatively flat after King Danjong passed away. While King Danjong's narrative extensively revealed individuals who remained loyal to him, offering a detailed depiction of his unfortunate life. The later years of King Sejo lack details without diverse characters in its narrative. The author of Sojunghwayeokdaeseol tried to draw attention while simultaneously rendering past events and facilitating understanding for this history from readers. This narrative book focuses on introducing the history of Joseon through its successive kings, but some parts also represent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As a result, this book serves as a literary work that combines instructiveness in promoting a realistic comprehension of history with popularity, allowing readers to both appreciate historical accuracy and enjoy the narratives of the past.

      • KCI등재

        <쇼듕화역ᄃᆡ셜>의 송시열 형상화 방식 연구

        윤보윤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4

        Sojunghwayeokdaeseol is a historical narration that disclosed the origin and history of Joseon Dynasty and described the events of the time with focus on illustrious retainers and eminent persons. Song, Si-yeol, who was the leader of Noron faction, frequently appears in Sojunghwayeokdaeseol due to exercising of his significant political influences on the foundation of his in-depth academic attainment. However, it is possible to have glimpse of the intent of the author to organize events by focusing on embodiment of affirmative aspects of Song, Si-yeol. First, among the countless numbers of appeals Song, Si-yeol made to the King, only several were selected and presented or lengthy appeals were condensed and introduced. For example, appeals of Song, Si-yeol to request enshrining of Queen Shindeok at Jongmyo (royal ancestral shrine) and siding with his student Yoon-jeung are presented in detail. In addition, the incident that broke out for several days at the time of Gihaeyesong was edited and illustrated in the manner that is advantageous to Song, Si-yeol. Second, it highlight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Song, Si-yeol and the King. It expressed affection of king towards Song, Si-yeol by depicting the scene of acquiring the approval of King Sookjong in spite of somewhat unreasonable request he made and scene in which the King Song illustrat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academic competencies of Si-yeol. Moreover, it arranged the story that King Hyojong provided full support for Song, Si-yeol for having pursued political stances tha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King. Third, the author reversed temporal order and dealt with events on the basis of specific material. In order to explain how discordance with Yoon-jeung began, the author arranged the past incident between the incidents of the present. In addition, the author attempted to highlight the honorable aspects of Song, Si-yeol by utilizing the same materials in the portion on the appearance and death of Song, Si-yeol. The author of Sojunghwayeokdaeseol, through such embodiment methods, was able to highlight the political influences of Song, Si-yeol. Moreover, the author concentrated in illustrating the firm affections that King had towards Song, Si-yeol, along with emphasis on the magnanimous presence and personality of Song, Si-yeol. As such, the author of Sojunghwayeokdaeseol recognized Song, Si-yeol as a friendly person in the process of telling stories on the past Kings and eminent personalities of Joseon Dynasty, and selected and introduced stories in the actual history that would illustrate affirmative aspects of Song, Si-yeol. <쇼듕화역ᄃᆡ셜>은 조선의 임금과 저명인물의 이야기를 편년체의 양식으로 기술한 역사서사이다. 창작 연대와 작자는 미상이나 충남대학교 소장본의 경우 20세기 초반에 한 여성에 의해 필사된 것이어서 당시 읽을거리로 흥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효종·현종·숙종대를 다룬 5권에 송시열과 관련된 일화가 다수 등장하는데 조선의 역사를 기술한 전체 분량에 비해 꽤 많은 부분을 송시열의 이야기를 소개하는 데 할애하였다. 송시열은 학문적 소양을 바탕으로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였기 때문에 <쇼듕화역ᄃᆡ셜>에 여러 차례 등장한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는 송시열의 긍정적인 면모를 형상화하는 데 집중하여 사건을 조직하려고 한 작자의 의도가 엿보인다. 첫째, 송시열이 올렸던 수많은 상소 중에서 몇 가지 상소문만 선택하여 제시하거나 긴 상소를 축약하여 소개하기도 하였다. 송시열이 신덕왕후의 종묘 배향을 청했던 상소나 제자인 윤증을 두둔하는 상소를 자세히 제시하였다. 또한 기해예송 당시 며칠 동안 발생했던 사건과 그에 따른 상소문을 송시열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편집하여 보였다. 둘째, 송시열과 임금의 친밀한 관계를 부각하였다. 다소 무리한 부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숙종의 윤허를 받는 장면과 송시열의 학문적 능력에 대해 숙종이 매우 흡족해 하는 장면을 통해 송시열에 대한 임금의 총애를 표현하였다. 뿐만 아니라 효종이 정치적 입장을 함께 한 송시열을 전폭적으로 지지하였다는 일화도 함께 배치하였다. 셋째, 시간적 순서를 역전하기도 하고 특정한 소재를 바탕으로 사건을 대응시키기도 하였다. 윤증과의 불화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현재의 사건 사이에 과거의 사건을 배치하였다. 또한 송시열의 등장과 죽음 부분에 동일한 소재를 활용하여 송시열의 떳떳한 면을 부각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형상화 방식을 통해 <쇼듕화역ᄃᆡ셜>의 작자는 송시열의 정치적 영향력을 부각하였고 그에 대한 왕의 총애를 집중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그의 대인적 풍모와 인품을 강조할 수 있었다. 이처럼 <쇼듕화역ᄃᆡ셜>의 작자는 조선의 역대 임금과 저명인물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과정에서 송시열을 우호적인 인물로 인식하고 실제 역사 속에서 그의 긍정적인 면모를 드러낼 수 있는 일화를 선별하여 소개하였다.

      • KCI등재

        <권익중전>의 구조를 통해 본 작가의식 고찰

        윤보윤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4 No.-

        KwonIkjungJeon, one of Korean medieval novels, begins with hero’s love story and turns into a story about a treacherous courtier Ok Nang-mok’s finesse to break wedding march. Here, Seon-dong, a character born from Ik-jung and Chun-hwa, reveals outstanding abilities and also plays a role as hero against Ok Nang-mok, which involves a sort of heroic story. Moreover, the revival of the dead Chun-hwa reveals an aspect of story on return to life. In the aspect of plot structure, this novel has a combination of stories on wedding crisis, heroic actions and return to life. The author of this novel lets Ok Nang-mok meddle in the love story of hero to form a major obstacle against wedding, but allows for resolving unhappiness between couple in wedlock, so that he could embody the high-handedness of ruling class. On the way to punishment against Ok Nang-mok, the heroic story of Seon-dong becomes remarkable, which is a result from the expression of author’s inner desire for success through his novel. Seon-dong became the subject of identification for readers as well as author, and thereby could attract enthusiastic responses from them. In denouement where all conflicts are resolved to determine destiny of characters, the author of this novel decides to return Chun-hwa, a fairy being to the life in the world, because the author thought that the ultimate happiness for mankind should be attained in this world. KwonIkjungJeon is a Korean medieval novel set in the peaceful world under the reliable control of Confucian ideal order, but turns into application of Taoistic world view, because such an order is broken up by Ok Nang-mok. As the evil character is killed by Seon-dong and former Confucian order becomes restored, the author uses Buddhist world view for the revival of Chun-hwa. The author adopts both Taoistic and Buddhist world view as an epoch-making means to solve given conflicts, ending up with correction of Confucian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