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근육피부신경과 정중신경의 연결 및 임상적 의의

        정인혁(In Hyuk Chung),윤관현(Kwan Hyun Yoon),라종주(Jong Joo Ra),김동환(Dong Hwan Kim),임중혁(Joong Hyuk Yim),시게노리 다나까(Shigenori Tanaka) 대한해부학회 1998 Anatomy & Cell Biology Vol.31 No.5

        근육피부신경과 정중신경 사이의 연결 변이를 한국 사람에서 관찰하여 다른 종족의 것과 비교하고 이런 변이가 갖는 임 상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재료로는 한국성인 팔 72쪽을 사용하였다. 72쪽 중 24예 (33.4%)에서 두 신경 사이에 연결이 있었다. 근육피부신경에서 정중신경쪽으로 연결 가지가 있는 것이 19.5%였고, 그 반대 방향으로 연결된 것이 6.9%였다. 또 연결가지가 두 개 이상 있는 경우가 5.6%였고 한 예 (1.4%)에서는 근육피부신경과 정중신경이 하나의 줄기로 합쳤다가 갈라졌다. 근육피부신경이 부리위팔근을 뚫고 가지 않는 경우가 2예 (2.8%) 있었다. 연결가지의 유무와 관계없이 근육피부신경이 부리위팔근을 뚫고서 정중신경과 같이 달리다가 다시 가쪽으로 휘어서 달리는 경우가 5.6%였다. 팔을 모은 자세에서 근육피부신경이 부리위팔근을 지나는 곳에서 휘어지는 각도는 평균 159±9.0도였고 두 신경이 함께 달리다 갈라지는 경우는 각도가 더 적어졌다. 이런 각도를 근육피부신경의 압박증상과 관련지워 그 임상적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ations in the communicating branch between the musculocutaneous and the median nerves and to discuss their clinical significance. Seventy two arms from 36 Korean adults were used. Twenty four cases (33.4%) among 72 arms had communications between the musculocutaneous and the median nerves. In 19.5%, a communicating branch ran from the musculocutaneous to the median nerves and in 4.2% of these a communicating branch formed a loop. A branch running from the median to the musculocutaneous nerves was observed in 6.9%. There were more than two communicating branches between two nerves in 5.6%. The average angle between the musculocutaneous nerve proximal and distal to the coracobrachialis was 159±9�at adduction of the arm. The musculocutaneous nerve did not pierce the coracobrachialis muscle in 2.8%. One case (1.4%) showed partial fusion of the trunks of the musculocutaneous and median nerves. The musculocutaneous nerve ran next to the median nerve after the coracobrachialis muscle and coursed laterally in 5.6% with or without a communicating branch. In these cases, the angle of the musculocutaneous nerve was more acute. The musculocutaneous nerve entrapment is discussed with this angle.

      •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발등동맥과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김중경(Joong Kyeong Kim),정인혁(In Hyuk Chung),이혜연(Hye Yeon Lee),윤관현(Kwan Hyun Yoon),길영천(Young Chun Kil) 대한해부학회 2001 Anatomy & Cell Biology Vol.34 No.1

        발등동맥과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은 손과 발에 조직 결손이 생겨서 수술을 할 때 혈관줄기로 이용되므로, 두 동맥의 형 태 변이는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저자들은 이들 동맥의 형태 변이를 밝히기 위하여 발등동맥은 한국 성인 시체의 발 92쪽에서,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은 발등동맥에서 일어나는 경우 중 50쪽을 선택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발등동맥은 달리는 방향에 따라서 여섯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발등동맥이 첫째 발허리뼈사이공간쪽으로 달려서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을 이루는 경우가 79.3%였다. 발등동맥이 가쪽으로 달리다가 다시 안쪽으로 휘어져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이 되는 경우는 5.4%였다. 발등동맥이 가늘고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으로 계속되지 않는 경우는 8.7%였다. 발등동맥이 발목 부위에서 갈라지면서 끝나는 경우가 2.2%였고, 발등동맥이 가쪽으로 주행하여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는 3.3%였다. 또한 발등동맥이 근막 바깥쪽으로 달리는 경우도 1쪽 (1.1%)에서 발견되었다.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은 첫째 등쪽뼈사이근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유형은 첫째 등쪽발허 리동맥이 첫째 등쪽뼈사이근 위로 달리거나 속으로 주행하는 경우로 72%였고, 둘째 유형은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이 첫째 등쪽뼈사이근 아래로 지나는 경우로 22%였다. 셋째 유형은 첫째 등쪽뼈사이근의 위쪽 또는 근육 속으로 첫째 등쪽발허리 동맥이 달리지만 굵기가 가늘어서 이식수술 때 혈관줄기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로 6%였다. Morphological variation of the dorsalis pedis and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ies are important because these arteries are used as flap pedicles during surgery of hands and feet with tissue de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ations in the running pattern of the dorsalis pedis and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ies. We investigated the dorsalis pedis artery in 92 adult cadaver feet and 50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ies that arose from these dorsalis pedis arteries were studied. The dorsalis pedis artery was classified into six types according to its running direction. The dorsalis pedis artery runn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termetatarsal space and branching into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was observed in 79.3%. The dorsalis pedis artery coursing laterally and becoming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after changing its direction medially was seen in 5.4%. The dorsalis pedis artery was thin and did not connect to the first dorsal metataral artery, split in the region of ankle and came to an end, and ran laterally and did not connect to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in 8.7%, 2.2%, and 3.7%, respectively. The dorsalis pedis artery ran superficial to the deep fascia in 1 of the 92 specimens (1.1%).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and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ran above or into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in 72% and ran below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in 22%.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that was either above or inside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but could not used as a flap pedicle because it was too small was seen in 6%.

      • KCI등재

        장딴지빗근 이는곳, 주행 및 닿는곳의 복합 변이: 증례보고

        박광락(Kwang Rak Park),조재호(Jaeho Cho),최유진(Yu Jin Choi),김디귿(Digud Kim),권형욱(Hyung Wook Kwon),이미정(Mijeong Lee),윤관현(Kwan Hyun Yoon),박정(Jeonghyun Park) 대한체질인류학회 202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3 No.3

        통상의 해부학 교육과정에서 만 89세의 한국인 남성의 종아리뒤칸 얕은근육무리에서 장딴지빗근의 이는곳, 힘살 주행 및 힘줄이 닿는곳에서 복합적인 변이가 관찰되어 다음과 같이 보고하고자 한다. 첫째, 장딴지빗근의 이는곳이 넙다리뼈의 가쪽관절융기와 무릎관절주머니 위쪽의 오금면에서 시작하는 변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힘살의 주행이 가쪽관절융기 안쪽과 정강신경의 사이를 따라 내려오는 변이를 관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아주 짧은 형태의 힘줄이 장딴지근의 가쪽갈래와 안쪽갈래가 만나는 지점에서 장딴지근 근막 앞면에 융합되는 변이를 확인하였다. 장딴지빗근의 이러한 복합적인 변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한 이전에 보고된 바가 없는 경우로서, 장딴지빗근 힘줄의 수확 또는 수술과 같은 외과적 접근이 필요한 의사들에게 임상적으로 유용한 해부학적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During routine educational dissection, we found complex variations of plantaris muscle, including origin, course of muscle belly, and tendon insertion, from the 89-years-old Korean male leg. First, we identified a variation in which plantaris muscle originates from the lateral condyle of the femur and the popliteal surface above the knee joint capsule. Second, variation was observed in the course of the muscle belly passing between the inside of the lateral condyle and the tibial nerve. Finally, the tendon was very short and showed an insertion variation that fused to anterior surface of the muscle fascia at the point where the lateral head and medial head of the gastrocnemius muscle merged. These complex variations of plantaris muscle have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our literatures review and will be clinically useful to surgeons for the surgical approach to harvest of tendon as well as for presence or absence of tend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