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에서의 윤리적 고려사항

        윤가현,Youn, Gahy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2 No.2

        의료기술 발달 및 경제개발 수준 상승 등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hospice & palliative care) 서비스를 받는 말기 환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호스피스 완화의료 분야 임상전문가들은 환자나 가족 대상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하는 연구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정부의 연구대상자 보호 정책이 강화되면서 IRB(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의 연구계획서를 심의할 때 환자의 취약성과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사안들을 더 엄밀하게 점검하고 있다. 그러나 말기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 및 유지를 위해서는 질적으로 보장된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윤리적으로 안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의 시도가 지지되어야 한다. 이에 필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연구의 윤리지침을 종설 논문 형식으로 제안했다. 이는 윤리적으로 안전하고 과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연구계획서를 준비해야 하는 연구자 및 그 연구계획서를 심의하는 IRB가 적절하게 참조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Along with the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more terminally ill patients are receiving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Moreove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linicians have been showing considerable interest in studies that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said care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Meanwhile, after th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its policy to protect research participants,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s (IRBs) are more closely examining various ethical issues related to patients' vulnerability when reviewing protocol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search. However, terminally ill patients should be provided with guaranteed qualitie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o improve and maintain their quality of life. To that end,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efforts to conduct ethical and safe studies with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Thus, this review paper proposes ethical guideline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search. The guidelines could be appropriately used as a reference for researchers who should prepare for ethically safe and scientifically valued research protocols and the IRBs that will review the protocols.

      • KCI등재후보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생과 사: 장수와 죽음의 대한 두려움의 관련성 이해

        윤가현(Gahyun Youn) 한국노년학연구회 2020 한국 노년학연구 Vol.29 No.1

        모든 유기체는 예외 없이 죽으며, 인간은 자신이 죽는다는 사실을 아는 유일한 동물이다. 생의 후반기에 와서는 젊은 시절보다 지인들의 죽음을 더 자주 접하게 되면서 자신의 죽음도 더 현실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장수의 욕구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소망들 중 하나에 해당되지만, 고령의 상태에서는 그 욕구가 더 강해져서 현실로 다가오는 자신의 죽음을 더 두려워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두려움에 대처하는 수단이나 방안은 여러 가지이다. 예를 들면, 자신의 과거 모습을 연상시킬 수 있는 물건들에 대해 애착을 보이는 것인데, 그 이유는 아직도 죽음하고는 거리가 멀다고 느끼는 위안이 되기 때문이다. 또 고집스러운 태도나 경직성을 보이는 것도 죽음에 대한 불안, 즉 젊은 시절부터 유지해온 자신에 관련된 것들만큼은 그대로 유지되기를 바라는 심리에서 비롯되었다. 역시 사후에라도 자신의 흔적을 사라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유산을 남기는 일도 그 두려움의 대처수단이다. 그러나 Erikson에 의하면, 생의 후반기에 와서 지혜로운 사람으로 살아가려면 또는 삶의 질 저하를 방지하려면 자아통합이라는 발달과업을 적절하게 완수해야 한다. 지혜로운 사람이란 세상을 이해하는 관점이 넓고, 조절능력이 뛰어나고, 변할 수 없는 과거에 대한 집착보다 현재를 더 중요시하고 또 만족하려고 노력하는, 그리고 자신의 죽음이 눈앞에 다가오더라도 두려워하지 않고 수용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런 맥락에서 생의 후반기에서 완수해야 할 마지막 발달과업은 매 순간을 죽음에 대한 두려움 없이 보내는 삶이라고 할 수 있다. All the organisms die without exception, and human beings are the only animals that know they die. In the second half of life, people are more aware of their own death while they encounter their acquaintances’ deaths more often than they were in their youth. The desire to live a long life is one of the most basic wishes of people, but the desire would become greater in the old age and thus they might be more afraid of their own death. There would be a variety of means and ways to cope with such fears. For instance, they are attached to objects that can remind them of their past, the reason for it is that the objects have the function of providing consolation to feel far from death. And their stubbornness and rigidity would result from a kind of death anxiety, that is, the wish to remain the same as much as their own that they have maintained since their youth. In addition, leaving a legacy in the mind that does not want their traces to disappear after death is a means of coping with the anxiety. According to Erikson, however, the developmental task of ego integrity should be properly completely in the second half of life in order to live as a wise person or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life. The wise person has a broad view of the world, is a man of great control, tries to value and satisfy the present more than his/her obsession with the unchangeable past, and accepts his/her death without fear. In this context, the final developmental task to complete in old age is to spend every moment with no fear of death.

      • KCI등재

        환경변화에 대한 고령자의 취약성: 고령친화 관점의 재조명

        윤가현(Gahyun Youn) 한국노년학연구회 2021 한국 노년학연구 Vol.30 No.1

        인구 고령화는 세계적인 현상이며, 2000년대에 접어들자마자 고령친화지역사회의 개념이 부각되었다. 이는 지역사회 거주자 모두가 생의 후반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회적 활동과 함께 활기에 찬 생활이 가능한 환경을 의미한다. 근래 세계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들이 폭증하면서 pandemic 상황이 전개되었다. 그 확산에 대처하는 수단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억압 조치가 강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로 인하여 생활환경이 급격히 변하자 고령자와 같은 취약계층은 적응하기가 매우 어려워졌다. 구체적으로 고령자들의 신체 및 정신 건강, 나아가서는 생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고령자 중에서도 특히 심신이 쇠약한 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더 지대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령친화 개념이 어떠한 상황에서나 적용될 수 있어야 함을 역설했는데, 특히 고령친화 건강관리 체계에 초점을 맞추면서 재정비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Population aging is a global phenomenon, and the concept of age-friendly community has emerged in the early 2000s. It means that all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can enjoy actively their daily life including a variety of social activities until the second half of their lives. In recent years, the pandemic has developed as the number of COVID-19 cases has soared around the world. Suppression strategies such as social distancing have been mandatorily adopted as a means of coping with the spread of the pandemic. This has changed the living environment dramatically, resulting in that vulnerable people such as older adults have become very difficult to adapt the change. Specifically, it has had a serious impact on the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nd even survival of the older adults. Among the older adults, the impact has been greater on the physically and/or mentally frail ones. It emphasized that the age-friendly concept should be applicable under any circumstances in this paper. Especially the current author stressed the concept needs to be restructured in the context of age-friendly health care system.

      • KCI등재

        노인성 치매환자의 주 부양자가 지각하는 심리적 부담 및 부양의무감의 비교 문화적 연구

        윤가현(Gahyun Youn) 한국노년학회 1998 한국노년학 Vol.18 No.1

        본 연구는 가정에서 치매환자를 돌보는 부양자들이 지각하는 심리적 부담이나 부양의무감을 비교 문화적으로 살펴보았다. 한국인, 재미교포, 및 백인 부양자들을 비교했을 때 부양자들의 특성에서부터 문화적 차이가 드러났다. 곧 한국인은 며느리들이 대부분 부양자이었던 반면, 백인들은 배우자나 딸이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불안 장애나 우울증을 비교하였을 때 한국인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으며, 그리고 백인들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연령이나 교육수준, 신체적 건강 등의 공변인의 중재 효과를 고려했을 때에는 우울증상의 차이가 사라졌다. 공변인의 효과에도 불구하고 불안의 차이는 사라지지 않았는데, 한국인들의 불안 증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난 점은 치매 현상이 최근에 사회적인 관심을 받기 시작한 것이나 치매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것과 관련될지도 모른다. 부양상황에 대한 주관적인 부담은 예상과는 달리 재미교포 부양자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미교포들이 문화적으로 다른 미국에서 살아가는 상황에 기인한 것 같다. 마지막으로 환자의 보호에 대한 의무감을 살피는 가족주의 척도에서는 기대한 바처럼 한국인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백인들에서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의무감이 높은 한학인들이 다른 집단보다 치매환자의 부양 상황을 더 부담스럽게 지각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Family caregiving for the cognitively impaired elderly patients can result in a number of negative problems such as psychosomatic disorders, mental health problems, limited social activities and so 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y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caregiving distress from the Korean, Korean-American, and White caregivers of the demented family members. Some of those differences were from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regivers and their parents. That is, most of the Korean caregivers were daughters-in-law while many White caregivers were spouses and some daughter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American were between the Korean and White groups. Among the three groups, the Korean caregivers reported that they have the least emotional as well as instrumental helpers while they have taken the caregiving roles. Moreover, the Korean caregivers reported their physical condition and functional abilities much poorer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Korean caregivers showed higher levels of emotional distress such as anxiety or depression and more negative appraisal of their caregiving situation such as subjective burden than the white caregivers, and showed stronger filial obligation due to their tradition than the White group while that of the Korean-American was in between the Korean and White groups. Even if many ethnic group differences have been found in this study, some limitations should be noted before generalizing the results.

      • 종교와 성(性)

        윤가현(Gahyun You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9 종교문화학보 Vol.6 No.-

        본고는 종교라는 사회제도가 인간의 성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었는가를 개략적으로 살펴본 글이다. 전통사회로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종교가 인간의 성욕 표현이나 성욕 발산을 조정하거나 억압하면서 고유한 성 문화를 창조하고 발달시켜왔다. 또 종교마다 성욕 표현을 조정하거나 억압하는 기준 설정이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그와 같은 차이는 기본적으로 성의 쾌락추구(또는 종족보존) 기능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에 달려있다. 본고에서는 그 쾌락추구 기능의 관점들을 원시종교들로부터 근래 우리 문화권에 영향을 크게 미친 기독교에 이르기까지 비교․조망해보았다. 아울러 전통사회에서는 종교가 인간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했지만, 과거에 비해서 근래는 그 영향력이 감소된 상태, 즉 종교제도의 본능 통제의 양상이 변하였음을 본고에서 암시했다. This is an article to review broadly how religion as a social institution could affect human sexual behaviors. Most religions have been controlling or suppressing peoples' expression of sexual desire from the traditional societies till now, and thus specific sex cultures have been created and developed. Every religion has had its own criterion to control or suppress the expression of the desire, and the criterion is primarily dependent upon how much a religion should emphasize the recreational (or procreative) function of sexual expression. A variety of viewpoints on the recreational function were compared and/or reviewed from the ancient religions to the Christianism that began to exercise its influence over the Korean culture since the late 18th century in this article.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religious institution has recently been less influential on controlling or suppressing peoples’ sexual desire than before in this article, although religion had exercised its great influence on human sexual behavior in the traditional societies.

      • KCI등재후보

        노인과 성 - 결혼생활과 독신

        윤가현(Youn Gahyun)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4 사회연구 Vol.- No.7

          성은 대부분의 결혼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또 개인의 건강이나 자존심, 삶의 질을 좌우하기도 한다. 그동안 전통사회에서는 노인들의 성을 여러 가지 방면으로 부정해 왔지만, 근래에는 성적 표현의 권리추구가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주요한 요인이 됨을 점점 더 잘 인식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배우자 유무와 성적 권리의 관계에 대한 문헌을 토대로 주로 결혼관계의 맥락에서 유지할 수 있는 노인들의 성적 권리를 논했다. 이 논문은 역시 생의 후반기에서도 성에 대한 가치나 역할을 노인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교육의 필요성도 언급하였다.   Sexuality is very important to most marital relationships and is central to one’s quality of life, self-esteem,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e traditional society denied sexual fulfillment to the elderly people in many ways, but their right to sexual expression is increasingly being recognized as a major factor of increasing quality of life. This paper discusses the sexual rights for the elderly people in the context of marital relationships, while the scientific literature concerning relations between sexual rights and marital status is stated. This paper also places stress on the importance of the elderly people’s own attitudes towards the role and value of sex in later life, in terms of educating them who lack knowledge about their sexual rights.

      • KCI등재후보

        평생발달 관점에서의 독립성 유지와 의존성의 관계

        윤가현(Gahyun Youn) 한국노년학연구회 2019 한국 노년학연구 Vol.28 No.2

        Population aging and its impact of increasing life expectancy means an immediate increment in numbers of older adults suffering from chronic health conditions such as geriatric syndromes and disabilities. While some of the older adults are able to live independently without any support, most of them have become dependent upon the other people for their daily needs owing to decline in physical function and so on as they are getting older. Maintenance of independence for the older people affect their quality of life, and further their continuous living in the home and community. There are a variety of factors associated with decline in physical function that would make the older adults difficult to live independently. Lack of exercise, poor nutrition, and unhealthy lifestyle such as smoking are major causes of losing independence to the adults, regardless of their age. Several essential requisites to help the older adults maintain their independence were reviewed in this article. Not to lose their independence, physical activity would play a fundamental role in maintaining the health and physical function, but the roles of cognitive function, financial resources, and social connectedness for their emotional stability were emphasized. Both personal responsibility for maintaining independence in the second half of life and policy at the state level for the older adults’ independence were discussed in the final part of the article. 평균수명의 연장과 더불어 나타난 고령인구 증가현상은 만성질환이나 장애 발생 등 건강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를 지닌 상태로 장기간 살아가는 고령인구의 증가를 의미한다. 고령자들의 일부는 타인의 도움 없이 독립적 생활이 가능하지만, 연령이 증가할수록 신체기능 저하 등으로 의존의 상태에서 살아갈 가능성이 높아진다. 고령자들의 독립성 유지 여부는 삶의 질을 좌우하며, 여기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인 거주 가능성도 달라진다. 고령의 상태에서 신체기능의 약화로 독립적이거나 자율적으로 생활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들은 다양하다. 운동부족이나 적절한 영양 섭취 결핍, 흡연 등 건강상태 유지와 거리가 먼 생활양식은 연령고저에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건강의 상실이라는 위기를 초래하여 독립성과 거리가 먼 일상생활을 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생의 후반기에 접어든 고령자들이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생활할 수 있는 제반 사항, 그 중에서도 독립적 생활의 영위를 위해서 필수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서 규칙적인 운동 등에 의한 신체기능 유지와 장애 예방도 필수적이지만, 인지기능도 유지해야 하며, 재정적 어려움이 없어야 하며, 가족이나 지인들과의 교류를 통해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어야 한다.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고령자의 독립성 유지를 위한 개인적인 노력 및 국가 차원의 정책방향을 논의했다.

      • KCI등재

        『韓國老年學』의 심리학 분야 연구동향

        정태연(Jung Taeyun),윤가현(Youn Gahyun)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학술적인 측면에서도 노년기의 심리를 다룬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노화의 심리적 과정을 다루는 심리노년학이나 노년기의 심리학을 다루는 노년심리학의 가장 근본적인 관심은 남은 생애 동안 높은 삶의 질과 안녕감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난 10년 간 『한국노년학』에 실린 심리학 분야 논문 중 자살(우울)의 문제를 다룬 91편의 논문과 노화 및 성공적 노화에 대한문제를 다룬 31편의 연구를 분석하여 그 연구동향을 검토하고, 또 이를 초기 30년의 연구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울이 자살이나 일상생활에 미치는 직접적 혹은 매개적인 효과를 다룬 연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노인/노화에 대한 인식이나 그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여준 연구, 그리고 성공적 노화 및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룬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이러한 주제를 다룬 연구가 첫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노년기 여생의 삶의 질의 제고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Academic research of the elderly psychology flourishes in an aging society. The basic concern of both psycho-gerontology dealing with psychological processes of aging and geronto-psychology dealing with psychology of the elderly is with the maintenance of high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Give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examined research trends of 91 depression and suicide studies and 31 aging and successful aging studies, and compared the trends with those identified in studies published within the first 30 years. It was found that a majority of studies are concerned with the direct or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suicide and everyday life, risk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perceptions of aging and factors influencing those perceptions, and successful aging and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Further, the number of studies of these topics is greater than that of studies published within the first 30 years.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heighten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older adults.

      • KCI등재후보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회상기법에 관한 소고

        박소영(Soyoung Park),윤가현(Gahyun Youn) 한국노년학연구회 2019 한국 노년학연구 Vol.28 No.2

        음악은 정서나 기분을 생성하고 규제하는 힘이 강력하여 음악치료사들에 의해 병원, 행동이나 정신질환 문제를 다루는 기관, 요양시설, 건강관리기관 등 다양한 임상장면에 응용되고 있다. 수많은 연구들은 음악이 통증이나 비애, 우울, 불안 등의 문제해결에 효과적이었음을 보고하고 있다. 불가피하게 진행되고 있는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범세계적으로 정서적인 보살핌이나 의료서비스를 요하는 노인환자의 급증 등의 사회적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효과성을 간략하게 개관했다.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되고 있는 음악치료는 고령자들에게 과거의 삶에 대한 회고를 통해 현재와 미래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도록 해주면서 신체 및 정신 건강상태를 유지⋅향상시켜주고 있다. 임종의 시기에 있는 자들에게도 음악에 의해 유도된 과거 삶에 대한 기억은 삶에 대한 가치와 의미, 희망 등을 가져다주고 있다. 음악치료는 근래 인구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고령자들을 위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Music is powerful to create and regulate emotion and mood, and thus music therapists have used music in a variety of clinical settings such as hospitals, behavioral and psychiatric settings, care homes, and other healthcare provide locations. A number of studies have reported that pain, grief, 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the other problems can be effectively treated with music. Population aging is an inevitable global trend with far-reaching social problems such as increasing numbers of older patients who need emotional as well as medical car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for the older adults was briefly reviewed in this article. Music therapy, which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helps the older adults to review their lives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resulting in promoting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s well as those facing end-of-life to find hope, value, and meaning in their lives through music-evoked autobiographical memories. Music therapy has recently begun to be recognized as an efficient means of providing emotional support for the older adults in Korean society facing rapidly aging population.

      • 경찰관의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박재원 ( Par Jaewon ),윤가현 ( Youn Gahyun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현대사회과학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경찰관들의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WRS) 요인과 그들의 개인적 특성(부서, 성별, 연령, 계급 등)들 간의 관련성을 찾아 WRS의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주마음동행센터를 방문한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자기보고식 심리검사 중 WRS를 측정한 자료와 검사의 응답내용을 토대로 진행된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WRS 요인 점수는 주취자 상대, 승진, 건강관리, 사고위험걱정, 민원인 상대, 업무로 인해 자녀 양육 및 부모님께 소홀한 점, 여가 부족, 직장내 관계, 업무에 대한 배우자의 이해부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업무부서 및 요인별로는 교통, 지역경찰, 생활안전, 경무 부서 근무자들로부터 주취자 상대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심했으며, 형사/수사, 과학수사, 기동대 근무자는 승진 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WRS 요인 중 부서별 평균차이가 가장 심하게 드러난 것은 주취자 상대에서 받은 스트레스였으며, 전반적인 WRS 점수는 경찰관의 성별이나 계급, 경력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찰관의 WRS 수준 파악 및 적절한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everal management strategies of WRS (work-related stress) for police officer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WRS and various variables (job division, gender, age, class, etc). Interview data for 485 police officers who visited the Gwangju Police Mental Health Center were analyzed, and the data were consisted of a self-reported WRS test and open-ended questions on job stress. The results showed that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heavily drunken people might be the most serious stressor, especially to the police officers of patrol division, public safety division, traffic affairs management division, and public security division, whereas high risks of accidents and/or injuries to them of both criminal investigation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divisions. In addition, difficulties in getting promotions were the most general stressors for the police offic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aling with drunken peopl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of each item. Also,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officer’s gender, rank, and career. This study is of value in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level of WRS and preparing appropriate management plan by examining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stress related to police officer 's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