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형 직업위세 측정 척도 개발

        유홍준 ( Hong Joon Yoo ),김월화 ( Worl Hwa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4 조사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위세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측정방법을 모색하고, 다양한 측정방법들 간의 비교·분석을 통해 직업위세 측정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다. 국·내외의 기존 연구를 검토한 결과, 직업위세에 대한 조사방법으로 그동안 5점 척도, 0~100점으로 점수 부여, 서열화 등의 방법이 이용되어 온 것을 확인하고, 본 연구진은 각설문 유형별 장단점을 고려하여 11점 척도를 추가로 구성하였다. 이에 대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하여 5점 척도(유형1), 100점 점수 부여(유형2), 서열화(유형3), 11점 척도(구성1)의 네 가지 측정방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의 객관적 용이성과 주관적 용이성 그리고 조사의 신뢰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11점 척도로 조사하는 구성1이 직업위세 측정 척도로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응답 소요시간 및 응답의 편의성, 신뢰도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직업위세 조사방법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에서의 직업위세 인식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조사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아울러 기존 연구에서 실시했던 30개 전후의 직업에 대한 위세조사 규모를 넘어서 100개에 달하는 많은 직업의 직업위세를 조사한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which reflects peoples’ evaluation for the occupational prestige more accurately by comparing the existing methods of measurement. The previous studies reveal that ranking method, rating on a 100-point scale method, and a 5-point scale method have been used for measuring occupational prestige. In addition to those methods, we proposed ‘Composite 1’ method in this research. The sample respondents are 137 junior or senior students from S. University in Seoul. Four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are asked; ① Type 1: 5-point scale (1~ 5), ② Type 2: rating on a 100-point grade, ③ Type 3: ranking, and ④ Composite 1: 11-point scale (0~10). The analysis shows that ‘Composite 1’ is the most adequate model for measuring occupational prestige in Korea when considering response time, easiness of response,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in developing a scale for measuring occupational prestige in Korea and in trying to measure prestige scores for as many as one hundred occupations.

      • KCI등재

        한국 직업지위 지수

        유홍준(Yoo Hong Joon),김월화(Kim Worl Hwa)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6

        사람의 일생에서 생활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직업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직업의 위계에 따라 달리 부여되는 직업위세는 한 사회의 계층구조를 드러내는 강력한 지표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표준직업분류’에 따른 직업별 직업지위 점수를 산출하고, 지난 25년간 우리나라의 직업지위 변화를 비교분석해 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까지의 연구들에서 조사된 주관적 직업위세와 이 연구에서 계산된 직업지위간의 상관관계는 0.87로, 수입과 교육으로 계산된 직업지위와 주관적으로 부여된 직업위세가 상당히 일치하였다. 둘째, 현재 직업지위 구조의 전반적인 양상은 직업대분류에 따라 역(逆)대각선의 형태로 나타났다. 즉, 대분류 1에서 9로 갈수록 평균적 직업지위가 대체로 하강한다. 셋째, 직업지위 결정에 있어서 1975년에는 직업지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교육에 비하여 수입의 영향력이 높았던데 반해, 2000년에는 수입에 비해 교육의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1975년과 2000년의 직업지위를 비교해 보면, 직업지위 간 상관관계가 0.81로 대체로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지위 변화의 대체적인 경향은 상승세이다. 구체적으로 직업대분류별 직업지위의 변화를 살펴보면,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에 속하는 직업들의 직업지위가 크게 높아졌고, ‘4 서비스 종사자’ 및 ‘5 판매 종사자’의 직업지위는 대체로 상승하였다. 반면에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및 ‘3 사무종사자’는 전반적으로 직업지위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 전문가’나 ‘6 농업 및 어업 종사자’,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8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9 단순노무 종사자’의 경우에는 일부 직업의 직업지위는 상승한 반면에, 일부 직업의 직업지위는 낮아져서 이중성을 보인다. 다섯째, 1975년에 비해 2000년에는 직업위세와 직업지위간의 상관관계가 낮아지며, 회귀식의 설명력 역시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지위의 결정에 교육과 수입만으로 설명되지 않 는 부분이 더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직업지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에 대한 연구가 추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the Occupational Status Score Scheme for Korean occupations based on KSCO(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the trends in changes of status scores during the last 25 years. The equation is withdrawn with the median value of education from 2000 Census and the median value of income from 2002 KLIPS(Korea Labor Institute Panel Survey)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ith the 'subjective perception for occupational prestige' taken from 2000 Equity Survey as a measure of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Hong's(1983) to analyze the patterns of change. The overall pattern of occupational status shows a reversed diagonal line, which represents that the status ranking is higher if the one-digit KSCO score is smaller. During the last 25 years, those occupations in categories number 0, 4, and 5 have experienced increase of occupational status score, while those in categories number 2 and 3 have experienced decrease. The other occupations belong to categories number 1, 6, 7, 8 and 9 have shown a sort of dualistic pattern, some of which are increased while the others are decrea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의 직업지위에 관한 연구 : 사회경제적 지위를 중심으로

        유홍준,김월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5 No.2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standard scheme for the measurement of the 'occupational status' in Korea. According to the preceding studies in the Western sociology, occupational status index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First, 'occupational prestige' shows the position of the occupations in the job hierarchy, which represents people's subjective cognition and evaluation. Second, 'occupational socioeconomic status' represents the estimation by the objective features of those. For the purpose mentioned abov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valid index on the hierarchy of the occupational socioeconomic status in Korea.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formulates the regression equation as follows: Y = a + bㆍX_1 + cㆍX_2 (Y: the score of the occupational status; X_1: median of monthly income; X_2: median of the years of education) The result shows that 'managers' and 'professionals' enjoy high scores. In other words, they are at the upper position in the occupational hierarchy. 'Service workers' and 'constructionㆍmachinaryㆍmanufacturing workers' locate in the middle, while the 'workers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are at the low position. In addition, in case of the same occupational category, the jobs which need elaborated skills and knowledge tend to get higher scores. Our finding is compared with a previous finding by Hong(1983) to figure out the change in occupational status during the last 20 years. The comparison shows that the overall occupational status structure has remained s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