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환자와 구순구개열환자의 두부방사선계측치의 비교

        백형선,유형석,전재민,Baik Hyoung-Seon,Yu Hyung-Seog,Jeon Jai-min 대한구순구개열학회 2003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Vol.6 No.2

        A cephalometric study was performed to reveal differences betwee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nd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The material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6 males (mean age 19.8, range 17-29) and 9 females(mean age 19.4, range 16-27) with cleft lip and palate, and 222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males 106, females 116), Cephalometric tracing and measurements were done by one investigator. Results were followed: 1. Cleft lip and palate group had more retrusive maxilla than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2, Cleft lip and palate group had smaller effective maxillary and mandibular length tha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ore prominent in the mandible than in the maxilla. 3. Dental compensation was not observed in the upper incisors of cleft lip and palate group and in the lower incisors it was smaller than skeletal Class III group. 4, In the Gonial angle and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valu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eft lip and palate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These results can be used in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and orthognathic surgery for the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KCI등재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 전치열 후방이동 절충치료의 안정성

        송호진,유형석,Song, Ho Jin,Yu, Hyung Seog 대한치과의사협회 2019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7 No.6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s a relatively common form of malocclusion in Korea. In borderline cases where only mild skeletal discrepancy exists and if worsening of the facial profile is expected as a result of premolar extraction, mandibular full arch distalization with miniscrews is the treatment of cho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tooth movement and evaluate the stability of mandibular full arch distalization and to identify correlation between stability and factors such as initial skeletal pattern, dental changes during treatment and alveolar bone in symphysis region using lateral cephalograms.

      • KCI등재후보

        정상 교합자와 adenoid가 과식증된 부정교합자의 악골 형태의 비교

        박선형(Sun-Hyung Park),유형석(Hyung-Seog Yu) 대한치과교정학회 2002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2 No.1

        과증식도니 아데노이드가 악골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대답은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많다. 일부에서는 구호흡의 병력을 가진 환자에서 좁은 안면 폭경, 돌출된 치아, 언정시 입술의 이개, 전안면고경의 증가, 큰 수평피개와 감소된 수직피개를 보이는 아데노이드 안모(adenoid face)라는 특징적인 안모형태를 가진다고 보고하였다. 반면에 일부에서는 과증식한 아데노이드를 지닌 환자 중 적은 수에서만이 이러한 소견을 나타내면서 아데노이드와 두개악안면 성장과의 관련성을 부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비호흡을 하며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 상에서 과증식된 아데노이드가 보이지 않는 정상교합자를 대조군으로 하고 구호흡을 하며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 상에서 과증식도니 아데노이드가 보이지 않는 정상교합자를 대조군으로 하고 구호흡을 하며 아데노이드가 과증식된 환자들을 실험군으로 하여, 골 연령(bone age)별로 비교함으로써 각 시기마다 구호흡과 악골 형태간의 연관성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골의 형태에 있어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차는 남자에서는 CVMI 3과 CVMI 4(사춘기 전후)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여자에서는 CVMI 1 부터 유의차를 보였다. 2. 실험군 하악골이 남자는 CVMI 4부터, 여자는 CVMI 5부터 하방에 위치하고 있었다. 3. 남자는 CVMI 3부터, 여자는 CVMI 1부터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큰 전안면고경을 보였으며, 이는 주로 전하아면고경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었다. 4. 아데노이드는 대조군 남자에서 CVMI 2(10.58 ± 1.07세, 사춘기 성장 직전)에 최대크기를 보였고, 대조군 여자에서는 CVMI 1(6.92 ± 0.53세)부터 아데노이드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ypertrophy of adenoid and jaw morphology during growth, this paper was based on children patients with experimental adenoids (male-15 subjects at each bone age group, female-16 subjects at each bone group) and comparing them to data taken from a cantrol group (male-15 subjects at each bon age group, female-15 subjects at each bone group) with normal respiratory function. The comparisons between the groups were done at each growth stage using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index(CVMI) of Hassel.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differences in craniofacial morpholg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ppeared from CVMI 3 and CVMI 4 (aroud adolescent period) in males, and from CVMI 1 in females. 2. The mandibuular position of experimental group was more inferior than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appeared at adolescent period(male : at CVMI 4, female : at CVMI 5). 3. Experimental group had greater anterior facial height than control group. This difference seemaed a relation with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The difference appears at CVMI 3(11.94 ± 1.38 years old, at adolescent period) in male and at CVMI 1 in female. 4. The adenoid size of control male group was increased until CVMI 2(10.58 ± 1.07 years old, just before adolescent grwth peak) and then decreased, but in female tne adenoid size was decreased from CVMI 1(6.92 ± 0.53 years old).

      • SCOPUSSCIEKCI등재
      •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의 하악골 ASO를 동반한 선수술 치험례

        송한솔(Han Sol Song),유형석(Hyung Seog Yu)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두개안면기형연구소 2017 연세임상교정 Vol.24 No.1

        골격적인 부조화가 있는 환자에서 악교정 수술을 계획했을 때 보통 술전교정, 수술, 술후교정의 3단계로 진행된다. 치열 보상을 수술 전 교정치료를 통해 탈보상하는 과정은 보통 1~2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이 기간 동안 환자의 심미 및 저작능력은 악화되고, 생리적인 움직임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교정치료가 이루어진다.1 본 증례에서는 상악 소구치의 발치를 동반한 이전의 절충치료 경험이 있는 환자에서, 성장 완료 후 하악의 anterior segmental osteotomy(ASO)를 동반한 악교정 수술 시행 후 교정치료를 진행하여 조기에 안모를 개선하고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었기에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Conventional orthognathic surgery for patients with skeletal deformity is comprised of three steps: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orthognathic surgery, and post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Many previous studies reported the duration of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it takes appoximately 1~2 years. During this period, the patient's esthetics and functional occlusion deteriorates because of dental decompensation.1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a skeletal Class II patient with previous orthodontic treatment treated by surgery-first orthodontic treatment with mandibula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 SCOPUSSCIEKCI등재

        교정용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연속호선과 분절호선의 유한요소분석

        이언화(Eon-Hwa Lee),유형석(Hyung-Seog Yu),이기준(Kee-Joon Lee),송진욱(Jin Wook Song),박영철(Young-Chel Park) 대한치과교정학회 201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1 No.4

        설측의 연속호선과 분절호선의 3차원 유한요소 모델에서 레버암의 길이와 미니스크류의 위치를 달리하여 전치부 후방 견인 시의 변위 양상을 비교하였다. 구개 경사면 견인 시, 두 호선 공히 레버암이 짧을수록 전치부의 설측 경사 이동을, 20 mm인 경우 중절치의 치체 이동 및 견치의 치근 이동 양상을 나타냈다. 정중구개봉합부 견인 시의 변위 양상은 구개 경사면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나, 레버암이 20 mm인 두 호선에서 절치의 치체 이동 및 연속호선에서 전치부의 함입 소견을 보였다. 호선 종류에 관계없이 레버암이 길어질수록 절치의 정출은 감소하였고, 구개 경사면에서의 견인인 경우와 함께 견치의 협측 변위가 증가하였으며, 분절호선에서 변위량이 많았다. 연속호선상의 제2소구치는 근심 경사 이동 및 함입 소견을, 대구치는 레버암이 길수록 원심 이동 및 협측 변위를 나타낸 반면, 분절호선상의 구치부도 3차원적 이동 양상을 나타냈으나 변위량은 미미하였다. 전치부 후방 견인 시 레버암 작용에 의해 절치의 경사 이동과 견치의 측방 이동 경향이 있었으며, 치체 이동을 위해서는 약 20 mm의 레버암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호선의 종류가 치열 변위 양상 및 변위량에 차이를 나타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splacement patterns shown by finite element analysis when the maxillary anterior segment was retracted from different orthodontic miniscrew positions and different lengths of lever arms in lingual continuous and segmented arch techniques. Methods: A three dimensional model was produced, the translation of teeth in both models was measured and individual displacement was calculated. Results: When traction was carried out from miniscrews in the palatal slope, lingual tipping of crowns and extrus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segment were found in both continuous and segmented arches as the lever arms were made shorter. With miniscrews in the midpalatal suture area, the displacement patterns were similar to the palatal slope, but bodily movement of the upper incisors was observed in both continuous and segmented arches with the lever arm at 20 mm. When lever arms were longer, there was less extrusion of the incisors and more buccal displacement of the canines. Such displacement was shown less in the continuous arch than the segmented arch. The second premolar showed crown mesial tipping and intrusion, and the molars showed distal tipping in the continuous arch. The posterior segment was displaced three dimensionally in the segmented arch, but the amount of displacement was less than the continuous arch.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 that lever arms of 20 mm in length be used for bodily movement of the anterior segment. Use of continuous or segmented arches affect the displacement patterns and induc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displacement.

      • KCI등재

        성인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학 전치열 후방이동 절충치료의 안정성

        송호진(Ho Jin Song),유형석(Hyung Seog Yu) 대한치과의사협회 2019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7 No.6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is a relatively common form of malocclusion in Korea. In borderline cases where only mild skeletal discrepancy exists and if worsening of the facial profile is expected as a result of premolar extraction, mandibular full arch distalization with miniscrews is the treatment of cho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tooth movement and evaluate the stability of mandibular full arch distalization and to identify correlation between stability and factors such as initial skeletal pattern, dental changes during treatment and alveolar bone in symphysis region using lateral cephalograms.

      • KCI등재

        브라켓의 접착 전후 입술 주위 연조직의 3차원적 변화

        이원제(Won-Je Lee),이기준(Kee-Joon Lee),유형석(Hyung-Seog Yu),백형선(Hyoung-Seon Baik) 대한치과교정학회 201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1 No.6

        브라켓의 접착에 의한 입술 주위 연조직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심한 골격적 부조화가 존재하지 않는 18세 이상, 29세 미만의 성인 환자 중 포괄적 교정 치료를 위하여 상, 하악 치아의 순측에 브라켓을 접착한 45명을 대상으로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접착 직전과 직후의 3차원 입체 영상을 획득하였다. 브라켓의 접착 전후 입술 및 입술 주위 연조직의 변화를 3차원 좌표계 상에서 분석하였다. 3차원 변화량(distance: 동일 계측점 간의 변화에 대한 최단 거리)에서 유의성을 보인 모든 계측점에서 전방 변화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측면 계측점들은 측방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상순의 계측점들은 상방으로, 하순의 계측점들과 B"는 하방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하순의 Li (labrale inferius)에서 1.39 mm로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고 (p < 0.01), Li Rt (labrale inferius right), Li Lt (labrale inferius left)에서 1.15 mm, 1.09 mm의 변화가 나타났다 (p < 0.01). 상순의 양측 ULP (upper lip point), Ls (labrale superius), Ls Rt (labrale superius right), Ls Lt (labrale superius left)에서 0.81 mm, 0.85 mm, 0.82 mm, 0.97 mm, 0.92 mm의 변화를 보여 (p < 0.01), 하순에 비하여 상순의 변화가 작게 나타났다. 양측 Ch(cheilion)과 Stm (stomion)에서 1.17 mm, 1.16 mm, 1.02 mm (p < 0.01), Sn (subnasale)와 B" (soft tissue B point)에서 0.46 mm, 0.63 mm (p < 0.01, p < 0.05)의 변화가 나타났다. 브라켓의 종류에 따른 연조직 변화량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성인 교정 환자에서 브라켓의 접착에 의한 입술 및 입술 주위 연조직 변화의 예측에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대치교정지 2011;41(6):411-422)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ip and perioral soft tissue changes after bracket bonding. Methods: The soft tissue changes in 45 adult patients (age greater than 18 years and less than 29 years) without severe skeletal discrepancy were evaluated using three-dimensional images acquired with a laser scanner before and after bracket bonding was performed using 4 types of labial orthodontic brackets. Results: Among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distance observed for the landmarks, the biggest change was observed in forward movement. The landmarks on the lateral sides also showed significant changes. While the landmarks on the upper lip showed significant upward movement, those on the lower lip showed significant downward movement. However, the changes were smaller for the landmarks on the upper lip (average, 0.87 mm) than for the landmarks on the lower lip (average, 1.21 mm). The type of bracket use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oft tissue changes. Conclusions: These findings will help predict soft tissue changes after bracket bonding for orthodontic treatment. (Korean J Orthod 2011;41(6):411-422)

      • KCI등재

        성인에서의 수평적, 수직적 안면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 두께의 비교

        김윤수(Yoon-Soo Kim),차정열(Jung-Yul Cha),유형석(Hyung-Seog Yu),황충주(Chung-Ju Hwang)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5

        본 연구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안면골의 수평적, 수직적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순설측 두께를 하악 전치 치축을 기준으로 계측하고,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을 비교해 형태학적 차이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20세 이상 성인 환자들의 초진 시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여, 수평적, 수직적 분류 기준에 따라 9군으로 분류하여 무작위로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씩, 총 270명을 추출하였다. 수평적 골격 형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ANB 각도가 사용되었으며, 수직적 골격 형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하악평면각(SN-MP 각도)을 사용하였다.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에서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협설측 두께와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을 계측하여 형태학적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연구 결과로 high angle group은 low angle group과 average group에 비해 CEJ 하방 2 mm 부위 아래의 협설측 치조골과 모든 부위의 설측 치조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은 두께를 보였으며 (p < 0.05), low angle group과 average group 중에서 Class I, II group은 모든 부위에서 Class I average group에 비해 유사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두꺼운 치조골 두께를 보였다 (p < 0.05). Average group 내에서 Class III group은 Class I, II group에 비해 치근 중간 부위의 협설측과 설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은 치조골 두께를 보였으며 (p < 0.05), high angle group 중에서도 특히 Class III인 high angle group에서 더 얇은 평균 치조골 두께를 보였다. 수직적 안면 골격 형태에 따라 하악 이부 치조골의 단면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이상의 결과에서 성인의 교정 치료 시 Class III이면서도 high angle을 보이는 환자에서는 하악 전치부에서 얇은 치조골 두께를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하악 전치의 위치를 결정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대치교정지 2010;40(5):314-32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differences of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bone thickness and symphysial cross sectional area in 9 different horizontal and vertical facial types. Methods: By using the initial cephalometric radiographs of 270 adult patients (male 135, female 135), the authors measured the buccolingual thickness of anterior alveolar bone on the basis of the root axis and symphysial cross sectional distance. Results: The high ang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thinner buccolingual alveolar bone width except for the CEJ area and lingual alveolar bone width (p < 0.05). The low angle group and Class I, II average group showed similar or significantly thicker alveolar bone width than the Class I average group (p < 0.05). The Class III average group showed significantly thinner buccolingual and lingual alveolar bone width than Class I and II average groups (p < 0.05). The Class III high angle group showed minimal alveolar bone width in all facial skeletal typ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ymphysial cross sectional area of the different vertical facial skeletal types (p > 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Class III high angle patients have thinner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bone thickness; therefore, more attention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incisor position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for this group of patients. (Korean J Orthod 2010;40(5):314-32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