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관적 공간인지를 위한 웨이파인딩 서비스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대구지역 종합병원 로비공간을 중심으로-

        유진욱 ( Jinwook Ryu ),이은영 ( Eunyoung Lee ),이돈일 ( Donil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에 근대적인 병원이 지어지기 시작한 1950년대 이후 60여 년 동안 병원의 건축 계획에 있어서 기능, 규모, 운영, 서비스 등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병원이라는 공간의 의미는 치료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치유도 함께 포함하는 공간으로 나아가고 있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병원의 기본적인 통합 서비스 부분 중 하나인 웨이파인딩에 대한 관심은 아직까지 계속 연구되어지고 있다. 웨이파인딩 서비스는 종합병원들이 병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 부분이다. 병원을 처음 방문하는 이용자들이 복잡한 종합병원 내에서 수많은 사인시스템을 보고 이동한다. 하지만 병원 내 웨이파인딩 시스템 구축이 미비하고 길 찾기를 함에 있어 인지가 부족한 이용자들은 길 찾기를 반복,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어 병원의 재방문율을 낮추고 병원이미지에 큰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에 종합병원에서 길찾기를 하면서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웨이파인딩 서비스 요소들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여 평가해 보고자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웨이파인딩 관련논문 및 문헌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웨이파인딩 요소들을 알아보고 이를 재정립하여 웨이파인딩 서비스 특성을 도출한다. 그리고 대구지역에서 인지도가 높은 종합병원 5곳의 로비공간에서 환자·이용자들의 길 찾기를 분석하고 공간에서 보여지는 웨이파인딩 서비스 특성들의 점수를 체크하여 웨이파인딩 서비스 요소들의 순위가 어떻게 나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 웨이파인딩 서비스 요소 중에서는 결절점 요소가 가장 높게 나오고, 사인체계와 랜드 마크 요소가 비슷하게 나왔고, 길 요소가 가장 낮게 나왔다. 웨이파인딩 서비스 특성에서는 가독성과 쾌적성이 높게 나왔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편리성과 안전성이 미흡하여 점수가 가장 낮게 나왔다. (결론) 대구지역 종합병원 5곳의 종합병원 로비공간에서 환자·이용자들이 직관적인 웨이파인딩을 함에 있어 앞서 도출된 웨이파인딩 서비스 요소로 분석하고 얻은 결과로는 전반적으로 사례분석 한 종합병원 로비에서는 미로처럼 되어버린 공간을 인지하여 결절점 부분에서 가장 많이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길 요소부분을 가장 소홀히 여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 웨이파인딩 서비스를 이행할 때 편리성과 안전성에 신경을 쓰고, 길 요소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면 이용자·환자들의 길 찾기가 더욱 더 잘 되어 병원이미지 향상과 더불어 업무의 효율성도 함께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hospitals in the sixty years since the 1950s, when the first modern hospitals began to be built in Korea, including changes in function, size, operation, and service. The meaning of a hospital space has transformed from just a space for treatment only to a space that includes healing as well. As hospital services grow, so too does their need for effective way-finding, one of the basic necessary integrated services of hospitals. Way-finding, a part of services that general hospitals use strategically to establish a their identity, enables users visiting the hospital for the first time or infrequently to navigate. Usually this involves multiple sign systems in complex hospita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way-finding system in the hospital, and the users who do not know how to do the route may have to spend a lot of time repeating the route search, which may reduce the return rate of the hospital and damage the image of the hospital.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way-finding service elements that users most need while searching for directions in general hospitals, and to evaluate their characteristics. (Method) As a research method, the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way-finding to identify way-finding theories and elements, and redefine them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y-finding services. We analyzed the directions of patients and users in the lobby space of five general hospitals in the Daegu area and checked the scor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y-finding service in the space, ranking them against each other. (Results) The case analysis showed that the node index elements were the highest among the way-finding service elements that relied on the sign system; the landmark elements were similar; and the road elements were the lowest. The readability and comfort of the way-finding services characteristics were high. The overall scores were the lowest when they involved lack of convenience or safety. (Conclusions) Analyzing the way-finding service factor derived in the intuitive way-finding of patients and users in the general hospital lobby space of five general hospitals in Daegu area yielded the following the results. The study was most concerned with the nodal point by recognizing the space, but it neglected the part of the way. Future studies should pay attention to convenience and safety when implementing the way-finding service, and if there is a plan to improve the road element, users and patients will be better able to navigate, the hospital will improve its image, and everyone`s pedestrian travel will be more effic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