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구소득 및 모의 취업 변인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적 관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인영 ( In Young Park ),유조안 ( Joan Paek Yo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가구소득과 모의 취업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교육적 관여가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아동패널(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1,297명의 초등학교 6학년 자녀와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모형은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구소득은 부모의 교육적 관여 중 시간적, 물질적, 정서적 관여에 대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모의 취업 변인 중에서 모의 근로시간은 부모의 시간적, 물질적 관여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교육적 관여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시간적, 정서적 관여는 가구소득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였으며, 시간적 관여는 모의 근로시간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저소득 및 취업모 가정의 교육적 관여 및 자녀의 학교적응을 도모하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among household income, maternal employment variables(whether or not mother is working and her working hours),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pplying Becker’s Parental Investment theory(Becker, 1981) and Family Process theory(Yeung, Linver & Brooks-Gunn, 2002).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used the third year data from the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SPSC, 2006)’, which consists of 1,297 mothers and their childr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utilized to examine the mediation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 household income had positive effects on parental time, material, and emotional involvement. Also, in case of maternal employment variables, only mother‘s working hour variable had a negative effect on time and material involvement. Further result showed that parental time and emotional involvement fu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household incom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lso,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working hours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as fully mediated by parental time invol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ies aiming to improv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for low-income and working mother families a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과체중,비만 및 신체상만족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주연 ( Ju Yeon Lee ),유조안 ( Joan Paek Yo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과체중ㆍ비만 및 신체상만족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자존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0 한국청소년 건강 실태 조사’ 대상자 중 초등학교 4, 5, 6학년 2,212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 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변수간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 신체상만족도는 자존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존감은 또래관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은 신체상만족도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 개하였다. 그러나 비만과 과체중은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객관적인 비만지위와 주관적인 신체상만족도가 초등학교고학년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대표성 있는 표본을 활용해 실증적으로 검증 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신체상만족도가 낮은 아동에 대한 심리사회적 개입에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고 개인적 차원의 개입 뿐 아니라 사회 환경의 변화를 촉구한다는 점 에서 사회복지 실천에의 함의를 제시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overweight, obesity, and body image satisfaction are associated with peer relationships and whether self-esteem mediates these associations for children in upper elementary school. Data from the 2010 Korean Survey on the Health of Youth and Children,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was utilized for analysis. The sample consisted of 2,212 children in 4th, 5th, and 6th. grad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as utilized to examine the mediation model. The analytic results demonstrate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body imag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imag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s is fully mediated by self-esteem. However, no significant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overweight or obesity on peer relationships was found in the analytic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dy image satisfaction influences peer relationships through self-esteem for 4th-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 사용자 구매내역을 활용한 딥러닝 기반 추천 시스템

        최세화(Sehwa Choi),신은지(Eunji Shin),양석진(Seokjin Yang),서영덕,이의종(Euijong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11

        4차 산업 혁명 시대가 도래하고 현대 시대는 많은 양의 다양한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들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유의미한 데이터로 사용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들어간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딥러닝을 통하여 데이터 간의 숨겨진 연관성을 찾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헬스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실제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를 전처리한 결과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의 결과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향후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아동·청소년의 피폭력 및 피학대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우울 및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현진(Lee, Hyun Jin),유조안(Yoo, Joan Pae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50 No.1

        본 연구는 학교와 사이버,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 및 학대 피해가 아동․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내면화 문제행동인 우울·불안이 매개하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좌절-공격성 이론에서 부정적인 사건과 공격성에 부정적인 감정이 매개요인으로 역할을 한다고 설명하고 있는바,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폭력이나 학대를 당한 피해 아동·청소년이 일관되게 보이는 우울과 불안 증상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아동종합실태조사에 응답한 만 18세 미만의 2,497명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과 사이버폭력 피해경험 그리고 가정 내 학대 피해경험 모두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과 가정 내 학대 피해경험은 부분 매개를, 사이버 폭력 피해경험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피해 아동·청소년의 공격성 완화 및 회복을 위해서는 우울과 불안감 해소를 위한 선제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school violence, cyber violence and domestic abuse on aggression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examine whether depression and anxiety are mediated. Based on Frustration-aggression theory(Berkowitz, 1989), this study primarily seeks to examine whether violence and abuse experiences affect the aggress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act of violence and abuse experience on aggress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ggression, including school, cyber violence, and domestic abuse.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whether depression and anxiety mediates between violence and abuse experience and aggression show that school violence and domestic abuse damage experience are partially mediated and cyber violence damage experience is completely mediated. This indicates that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relieve depression and anxiety in order to alleviate the aggression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영유아기 아동학대 위험요인 유형화와 재학대 간의 관계

        김세원 ( Kim Sewon ),이봉주 ( Lee Bong Joo ),김현수 ( Kim Hyun-soo ),유조안 ( Yoo Joan Paek ),이상균 ( Lee Sang-gyu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가족복지학 Vol.69 No.1

        본 연구는 영유아기 아동학대 사례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유형화하고 이들 유형과 재학대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의 영유아기 학대 사례 21,304건을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영아기 학대 사례는 빈곤, 양육 어려움 및 행위자 정서 문제 집단(8.2%), 낮은 문제 수준 집단(85.6%), 아동 내재화 문제 및 양육 어려움 집단(6.2%)으로 구분되었다. 유아기 아동학대 사례는 아동의 외현화 문제 및 행위자의 복합적인 문제 집단(7.4%)과 낮은 문제 수준(92.6%)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집단별 재학대 가능성은 영아기의 빈곤, 양육 어려움 및 행위자 정서 문제 집단이 0.137, 아동 내재화 문제 및 양육 어려움 집단은 0.106, 낮은 문제 수준 집단은 0.096이었다. 유아기의 아동의 외현화 문제 및 행위자의 복합적인 문제 집단은 재학대 발생 가능성이 0.127, 낮은 문제 수준 집단은 0.098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학대 예방을 위한 실천적 제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files of risk factors related to child maltreatment in early childhood and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profiles and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for 21,304 cases in the National Child Maltreatment Information System. The results showed three latent classes of infants who were maltreated and their families: poverty, parenting challenges, and perpetrators’ emotional problems group (8.2%); low-level problem group (85.6%); child internalizing problems and parenting challenges group (6.2%). Results also indicated two latent classes of toddlers who were maltreated and their families: chil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perpetrators’ multiple problems group (7.4%); and a low-level problem group (92.6%).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 among these groups, the probability of recurrence among the poverty, parenting challenges, and perpetrators’ emotional problems group was 0.137, the highest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child internalizing problems and parenting challenges group, the probability of recurrence was 0.106, and in the low-level problem group, the probability of recurrence was 0.096. The chil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perpetrators’ multiple problems group had a 0.127 probability of recurrence, higher than the 0.098 probability of recurrence in the low-level problem group.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practical proposals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