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치료학에서 역사학의 역할

        유재춘(Yu Jae-Ch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6

        최근 새롭게 대두하여 인문학의 한 분야로 점차 자리매김하여 가고 있는 ‘인문치료학’은 기존 인문학을 활용해 현대인의 정서적ㆍ정신적 문제를 치료하는 이론과 실천방법을 연구하는 새로운 학문분야이다. 그런데 ‘인문학을 활용해 현대인의 정서적ㆍ정신적 문제를 치료’한다는 측면에서 그 치료의 대상은 한 개인, 혹은 집단, 또는 불특정 다수의 사회가 될 수도 있다. 인문치료(Humanities Therapy)가 기존의 의학적 치료로 개선되기 어려운 정서적ㆍ정신적 病症을 치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의학적 치료 대상의 범주에서 벗어나 있지만 한 개인, 집단, 사회에서 정서적ㆍ정신적 病이 되어 있는 것을 치유하여 더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특히 개인 또는 집단의 트라우마 치료나 ‘역사’에 말미암은 사회적 病因에 대한 치유를 위해서는 적절한 역사학의 역할이 필요하다. 역사는 매우 오래전부터 필수적인 ‘교양’으로 여겨져 왔고, 그런 측면에서 그 효용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독일의 철학자 니체는 역사학은 치료의 구체적인 기술이 아니라 치료법 자체에 대한 이론이며, 역사학은 지구가 가지고 있는 다양성과 각 지방이 가지고 있는 퇴화 현상, 질병 현상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널리 연구함으로써 인간이 진정으로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조건을 찾아내고 그러한 문제를 치유하는 ‘의학적 지리학’의 성격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니체는 역사에 대해 그 효용성과 필요성은 인정하였지만 당대를 풍미하고 있던 실증주의 역사학, 그리고 단순히 지식화, 학문화한 역사학에 대해 혹독한 비판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역사 과잉’이라는 歷史病의 폐해에 대해 통절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이에 단순 지식화한 역사가 아니고, 또 정치적 미화나 이용을 위한 만들어진 역사가 아니라 인간의 삶을 진정으로 풍요롭게 할 그러한 역사가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우리의 일상적인 삶은 본인이 자각하든 자각하지 않든, 利害關係가 있건 혹은 없건간에 모두 역사와 연결되어 있고, 그 가운데는 이른바 ‘인문학적 병’의 범주에 들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이 내포되어 있다. 우리는 지금도 국내적으로는 국사 인식의 문제로 인한 내적 갈등이 상존하고 있으며, 중국ㆍ일본과 벌이고 있는 외적 갈등도 마찬가지 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의 현실에서 ‘역사’ 문제는 단순한 지나간 역사의 문제가 아니고 현실과 깊이 연관된 현실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역사로 인한 갈등의 문제 해결을 모색하기 위해 단순히 정치적 해결이나 학술적 연구에 매달리지 않고 인문치료라고 하는 새로운 관점으로 진단하고 해결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역사 인식을 둘러싼 현실에서의 갈등 문제 해결은 용이한 것이 아니지만 인문치료라고 하는 입장에서 본다면 우선되어야 할 것은 ‘무엇이 병이 되어 있는가’라고 하는 진단이며, 또 스스로의 성찰을 통하여 ‘진정 그것을 병으로 인식하는가’하는 문제이다. 병을 진단해 내고 환자 스스로가 지병을 인정하고 스스로 치료를 받을 준비가 되었다면 치료가 지금보다 훨씬 수월해 질 수 있을 것이다. 당장 그 역사를 고치자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그러한 인식이 우리사회의 병이 되는가 아닌가를 진단하고 진정 병적인 요소가 있다면 그를 제거할 방안을 서서히 마련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고통과 갈등의 문제가 단순히 ‘역사학’이라는 학문에 의해서만 치유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이는 철학, 문학, 예술, 심리학 등 다른 여러 분야 학문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이렇기 때문에 철학치료, 문학치료, 예술치료, 역사치료를 떠나 ‘인문치료’가 필요한 것이다. Humanities Therapy, a newly arising branch of Humanities, researches the method of curing people's mental and emotional problems by utilizing existing Humanities theories and practices. Because Humanities Therapy strives to treat mental disabilities and emotional problems of people, the focal group can be an individual, a group of people, or unspecified number of society. Humanities Therapy can be beneficial to some treatments of mental disabilities and emotional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cure using existing medical science. Moreover, Humanities Therapy contributes to create a healthier society by healing people's mental and emotional problems. Especially, in order to treat trauma of an individual or a group, or social diseases that originate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role of Historical Science comes into a critical play in Humanities Therapy. History has been considered as an essential part of education for a long time, and its effectiveness has been evaluated positively. A German philosopher Nietzsche once said that History is not a concrete skill but the theory of the remedy itself. He insisted that History should have the characteristic of 'Medical Geography,' that strives find the optimal conditions for human beings to live in, and to cure different degradation, disease symptoms, and many other issues in various different regions by studying diversity of the Earth. While Nietzsche confirmed the efficacy and necessity of History, he criticized Positivist and simplistic History that were becoming popular at the time. Especially, he added a severe criticism to 'excess history'. Nietzsche emphasized that the society is in need of the History which enriches human's lives, rather than the kind that was meant for political utilization. Human life is related to history whether the human is aware of it. Various problems such as 'Humanities diseases' are involved in the center of people's lives. Domestically, we still have inner conflicts because of the recognition problems about national history. Similarly, we have external conflicts with Japan and China. In this sense, history issues are not the past issues but are present issues in the real world. Therefore, rather than researching into different studies for solutions for historical conflicts, looking into Humanities Therapy can add new perspectives to create the solution. Resolving conflicts is not easy in the real world surrounding history. In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Therapy, the primary diagnosis is that 'What is disease?' and 'Does the person recognize the disease himself/herself?' If the disease is correctly diagnosed and the person is prepared to receive treatment after acknowledging the disease, treatment can be much easier. History cannot be corrected right away. The effort to find historical diseases in our society is required. If any pathological element exists in our society, a plan to remove the element should be prepared. History is not the only way to heal historical conflicts and agony. To treat conflicts and agony, the help of Philosophy, Literature, Art and Psychology is necessary. For this reason, 'Humanities Therapy' is needed beyond Philosophy Therapy, Literature Therapy, Art Therapy and History Therapy.

      • KCI등재
      • KCI등재

        려말선초 강원도내 읍성 축조 과정과 그 유적

        유재춘(Yu Jae Chun) 중부고고학회 2013 고고학 Vol.12 No.2

        한국의 성곽의 역사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많은 성곽유적에 대한 지표조사, 시·발굴조사 자료가 축적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고고학적 자료가 문헌기록 연구와 결합하면서 그간에 과제로 여겨졌던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았거나 찾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도 지역적으로 볼 때는 매우 단편적 조사자료만이 축적된 곳도 있고, 각 지역간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말 조선초기 강원지역내에 소재하는 읍성이 국가 전체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왜축조되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 유적들이 현재 어떻게 남아있고, 그 사용시기는 어떻게 보아야 하며, 축성하는 방식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여러 가지 고고학적 발굴조사 결과에 대해 각기 다른 해석을 할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문헌자료와 고고학적 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볼 때, 강원지역 내에 있는 읍성 유적은 대개 고려말~조선초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지방 정무의 중심지인 읍치소는 어느 면으로 보더라도 대단히 중요한 곳이다. 고려말 잦은 외부로부터의 침략은 지역의 도심지역을 가변적으로 만들었고, 이는 지방도시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읍성 건설은 연해지역민의 정착에 기여하게 되고, 왜구 소멸에도 크게 기여하게 되었으며, 평화가 지속되면서 읍성은 군사외적인 기능이 커지면서 지방도시가 발달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강원도의 강릉·삼척·양양 등 읍성이 있었던 도시를 보면 과거 읍성이 있던 곳이 都心地로 발달하였음을 쉽게 알 수 있다. The studies on fortress in Korea encountered a new epoch in late 1990s thanks to the accumulation of academic survey resources. By the combination of archaeological resources with literary documentation studies, answers on various tasks are being found or in the process of finding. However, there are various regional deviation with areas having partial survey resources and it is still insufficient to take studies on common features and special featur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ason of the construction of town fortress in Gwangwon(江原) area in late Goryeo(高麗) dynasty and early Joseon(朝鮮) dynasty from the historical flow of the nation. The study also figured out the remaining, their period of utiliz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While there are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 findings of various archaeological excavation results, majority of town fortress in Gangwon was constructed during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period from the findings of documents and archaeological surveys. Town hall is an important area as the center of regional administration. Frequent invasion from outside at the late Goryeo period made the town center unstable which led to the limited development of local cities. The construction of town fortress contributed to the settlement of coastal residents, to the destruction of the Japanese pirates and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ity with sustained peace and expansion of extra-military functions. Cities like Gangneung(江陵), Samcheok(三陟) and Yangyang(襄陽) in Gangwon where there were town fortresses developed as city centers.

      • KCI등재

        강원지역 성곽유적의 성격에 대한 연구

        유재춘(Yu, Jae-Ch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68

        강원도내에 소재하는 100여개의 성곽 유적은 고대에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과 시대적 변화에 따라 축조된 것이다. 현재 100여개의 성곽유적 가운데 기록에 의해 확실하게 초축연대를 알 수 있는 유적은 조선시대에 축조된 읍성이나 수군진성 정도에 불과하고, 그마저도 최초 축성시기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더구나 100여개 유적 가운데 발굴(시굴)조사를 시행한 유적은 정양산성(영월), 영원산성(원주), 삼척읍성, 양양읍성, 호산리산성(삼척), 석성산성(양양), 속초리토성(속초), 강릉읍성, 강문동토성(강릉) 등 소수에 불과하고 이 가운데 고고학적 판단을 충분히 내릴 수 있을 만큼의 조사가 수행된 곳은 그 가운데서도 더 소수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100여개의 강원도 내 성곽유적에 대한 정확한 성격 규정은 사실상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수집된 각종 고고학적 조사와 문헌기록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삼국시대에 들어 신라, 백제, 고구려가 본격적으로 강원도 지역에 진출하기 이전에 축조된 성곽, 삼국이 본격적으로 강원도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축조한 성곽, 삼국통일후 나당전쟁기를 전후하여 새로 축조된 성곽, 후삼국시기에 축조된 성곽, 고려시대 11세기경 동여진에 대비하여 축조된 성곽, 고려몽골침입기에 새로 축조한 산성, 여말선초 왜구 침입에 대비하여 축조한 강원도 영동지역의 읍성과 영진보성, 15세기 후반부터 조선시대 수군진 운영 변화과정에서 축조된 수군진성 등 9가지 성격의 유적으로 분류하여 이해할 수 있다. There are currently about 100 fortresses in Gangwon-do. These relics were constructed for various purposes and times from the ancient period to the Joseon Dynasty. Currently, only a few of the more than 100 fortresses can clearly tell when they were built for the first, according to the records. Some of the fortresses built during the Joseon Dynasty, such as Eupseong Fortress, or the fortresses of the navy, correspond to this. Of course, some of the sites are controversial about the timing of the first construction. Furthermore, only a small number of the 100 sites have been excavated. However, some of them have been investigated to the extent that they can make archaeological judgments. Due to these circumstances,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stipulate the exact nature of the entire fortress site located in Gangwon Province. However,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analyze various archaeological research data and literature records collected so far. Through this analysis, all nine types of fortress ruins were classified and their historic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 KCI등재

        한국 중세 성곽의 城壁 설치 방어시설물 연구 -고려시대 城廊, 城頭, 遮城을 중심으로-

        유재춘(Yu, Jae-Ch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2

        역사고고학적 측면에서 성곽은 전근대 시기의 종합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유적이며, 문자로 기록되지 않은 우리 역사의 중요한 단면을 보여주는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각 시기별 축성 기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여 아직도 유적발굴현장에서 나타나는 유구에 대해 제대로 해석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고대 이래 가지고 있던 축성 기술이 중세-근세를 거치면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모해 왔는지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시대별 특징적인 축성 방식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성곽은 특성상 점령자에 의해 수리되어 재사용되거나 여러 시대를 거치면서 계속 개축, 증축, 보수되어 사용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이러한 과정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비로소 성곽 유구에 대한 보다 정확한 해석이 가능하다. 기존에 중세 성곽에 대한 연구가 있었지만 문헌사료에 등장하는 중요한 성곽 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이해조차 확보되지 않은 상황이며, 특히 『고려사』에 등장하는 성곽 시설물 가운데 성벽위에 설치한 것으로 추정되는 “城廊”과 체성 방어를 위해 만든 것으로 보이는 “遮城”, 그리고 “城頭” 등에 대한 실체가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성랑은 방어력 강화를 위해 女墻을 설치하지 않은 성벽 위에 설치하는 가설물이며, 성두는 雉城과 유사한 것이지만 그 용어의 출발은 모양에서 비롯된 것으로 아마 성벽이 능선부로 연결되는 지점에 돌출되어 치성형태로 축조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차성은 성문 방어력을 강화하기 위해 성문 앞쪽에 축조하는 옹성과 같은 시설물, 또는 성문으로 진입하는 요충이 되는 길목에 축조하여 적의 성문 접근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방어시설물 통칭하는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Construction of fortresses was the most important military facilities in premodern ages and were facilities constructed by the state through requisition of the most amount of labor. In particular, Korea built many fortresses and was nicknamed in the past as ‘Country of Fortresses’, and this is an important culture feature of Korea. From a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perspective, fortresses are relics that include the comprehensive character of pre-modern times and they show important parts of our history that are not recorded in writing.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fortress-building technologies of different periods and we are still unable to properly analyze the modes found in excavation sites.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fortress-building technologies that we possessed from ancient times transformed in detail through the medieval and modern periods, it is essential to first understand the particular fortress-building methods of each period. Though there were studies on medieval fortresses in the past, proper understanding on major fortress facilities that appeared in literature was not procured,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Seongnang’ presumed to be installed on top of the fortress wall among fortress facilities that appear in ‘History of Goryeo’, and ‘Chaseong’ and ‘Seongdu’, etc. that appear to be made for defending the fortress. In this study, it was presumed that Seongnang were temporary installations on top of fortress walls that did not install a battlement to improve defense capacities, and that Chaseong were walls installed in front of the gateway to reinforce defence capacities the gateway was developed later into Ongseong. Furthermore, it was judged that Seongdu was similar to Chiseong, but it was judged that the term was given from the shape where the point that the fortress wall is connected to the ridge protrudes and wa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Chiseong.

      • KCI등재

        한국 성곽 유적의 보수·복원에 관한 연구

        유재춘(Yu, Jae-Ch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6

        현재 국가 史蹟이나 시·도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성곽유적은 400여개소로, 그 수가 많은 만큼 매년 도처에서 보수공사가 수행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적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동안 축성법과 축성기술에 대해 연구는 다수가 있으나 성곽을 보수하는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한편 문화재청에서는 시방서를 발간하고, 성곽유적에 대한 정비 및 보존 관리 방안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는 등 보수공사의 질적인 수준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이러한 노력은 일정 부분 효과를 거두고 있지만 지금도 계속 도처에서 보수공사를 시행한 구간의 성벽 붕괴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논고에서는 기왕에 이루어진 성곽유적에 대한 보수, 복원공사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동안 간과한 사실을 살피고 보수 방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보다 견고한 성곽보수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붕괴요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전통적인 축조법을 이해하여, 그 핵심 내용을 보수설계에 정밀하게 반영하여야 한다. 성곽 유적에 대한 과도한 학술조사와 보수·복원 과정에서의 원형 훼손과 왜곡 문제 등이 수없이 제기되어 왔다. 기본방향은 문화재 ‘원형유지’의 기본원칙’에 충실하여, 그에 상응하는 적절한 관리가 뒤따른다면 무리한 성곽유적 보수·복원으로 인한 문화재 훼손 논란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성곽유적의 보수·복원은 매우 엄격하게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반면에 현존 유구를 현상대로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보수 방법은 적극 개발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원형을 훼손하지 않고 간단한 보수만으로 유구의 원형유지에 도움이 될 방안에 대한 사례연구와 적용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d the problems of the repair and restoration work of the castles in the past and examined the facts overlooked in the course of the renovation work, suggesting that the technology used in the traditional fortification method should be actively incorporated into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castles. The problems that appear in the fortress repair work can be largely narrowed down to problems in appearance and structure. First, the apparent problem is the sense of heterogeneity that occurs when new stone is brought in and used to repair the wall. The second is a number of factors that affect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walls. The main factors are load, stone bond, rainwater, etc. In order to eliminate these factors and carry out more robust repair work, traditional construction methods should be strictly applied, and these details should be accurately reflected in the castle renovation design. There have been numerous questions raised about excessive academic research on the fortress" cultural assets and the damage and distortion of the original structure during the process of repair and restoration. If the basic direction faithful to the "Basic Principles of Original Preservation" stipulated in Article 3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s set, and appropriate administrative measures and management are followed, at least there will be no controversy over cultural property damage caused by excessive restoration of the fortress. Therefore, it is most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fortress remains are repaired and restored in a very strictly limited manner, while the repair work method that will help maintain the existing remains as the status quo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 KCI등재

        강원도내 호구(戶口) 고문서(古文書)의 현황과 특이 사례에 대한 검토

        유재춘 ( Jae Chun Yu ) 한국고문서학회 2011 古文書硏究 Vol.39 No.-

        Family register is a record that figures out the status of family and its members based on family unit. It was actually originated as part of census for the purpose of tax and labor collecting and of understanding the status of people from ancient up to Joseon. In the late Daehan Empire, it became an official document to record family members under one family head and its family register, and also to keep the relation of position. In Gangwon area, studies on ancient documents on census have begun recently with 1,594 resources from 24 repositories completed so far. There are several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n census documents in Gangwon-do whi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several researched mentioned that diverse types of family unit and sub family unit appear in documents according to time and region, family register documents in Gangwon-do show similar. In particular, there are some registers which are not clear if they are clearly family registers or subfamily registers. It demonstrates that one criteria to distinguish family register from subfamily register in the 18th century by differentiating ``Yeon-seo``(連書) with Yeolseo(列書) is no longer applicable. Second is matters of Hogujeonjun(戶口傳準) only shown in Samcheok district, and Cheop(帖) In(stamp)(印) in Wonju district only. When it remarked <Samcheokbujeonjun> (三陟府傳準), it means this documents was approved in Samcheok district, which meant, in turn, Subfamily register(准戶口). Though it is usual to remark the issuing body`s authorization at the end of documents, it is quite peculiar to stamp Jeom(帖) in 19th century register found in Wonju. As some have Jeomand some are not made in the similar period, it is amatteroffurtherreview the existence of ``Jeom``(帖) stamp has different character and procedure of family register documents. Third is a matter of accuracy and forgery of family register documents. Some documents have no official seal(官印), signature (手決), pressed stamp(着押), or Juhyeopgaein(周挾改印). No studies have been made on to figure out it if it is forged or simply peculiar case. But, it is necessary to speculate these incomplete documents as there were many forgery(僞造) or imitation (冒錄) of family register in relation to exemption of labor service (免役), application of national examination, conferment of elderly position and verification of genealogy. Types of stamp are also problematic. Family register used to use official stamp (官印), Juhyeonggaejain(周挾改字印), Gakap(刻押) and Hogusangjunin(戶口相準印). Besides, stamps with names of region or Jeom(帖) stamp were also sued. It is conjectured either it was because diverse types were used or it was because they were forged. And customarily practice not to keep children or daughter in the register is also shown in the documents in Gangwon-do. There are some spelling errors, but some have serious defects in accuracy or reliability.

      • KCI등재

        18세기 全州府城 축성기록 ‘築城啓草’ 硏究

        유재춘(Yu Jae-Chun) 한국사학회 2006 史學硏究 Vol.- No.81

        우리나라의 축성공사와 관련된 구체적인 기록은 임진왜란 직후 경상도 금오산성 수축과 관련된 『築城金烏時日記』, 조선후기 동래읍성 축조기록인 「東萊府築城謄錄」과 수원 화성 축조공사에 대한 기록인 『華城城役儀軌』를 제외하고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築城金烏時日記』는 1606년 금오산성을 수축할 때 監董官이었던 鄭邦俊의 기록이고, 「東萊府築城謄錄」은 1731년 동래읍성을 축조할 당시 공사내역을 기록한 것이며, 『華城城役儀軌』는 정조 18년(1794) 1월부터 정조 20년(1796) 8월에 걸친 화성의 축조에 대한 전반적인 기록으로 화성축조공사는 국가적인 큰 토목건축 공사로서 많은 경비와 기술이 필요하였으므로, 그 공사 내용에 관한 자세한 기록을 남겨야 하겠다는 뜻에서 正祖가 金鍾秀에게 편찬을 명령하여 1801년 9월 발간된 것이다. 여기에는 성곽축조에 관계되는 일지를 비롯하여 관련 인물, 성곽과 각종 건조물 공사에 사용된 部材와 비용, 기계ㆍ도구 등의 그림 및 그 설명을 실은 圖說 등이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어서 당시 공사내역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br/> 본 논고에서 연구대상으로 한 ‘築城啓草’는 조선 영조대에 있었던 전주읍성 축조에 대한 전모를 기록한 자료로, 『華城城役儀軌』처럼 국가차원에서 기록을 남길 목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편찬한 것이거나 처음부터 儀軌를 편찬할 목적으로 기록한 것은 아니지만 『화성성역의궤』와 마찬가지로 영조대 전주읍성의 축조에 대한 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사료이다.<br/> 조선후기에는 淸의 압력속에 조선의 축성사업은 크게 위축되었으나 점차 자체방어론이나 도성방어론이 제기되면서 남한산성을 비롯하여 도성, 북한산성, 탕춘대성, 동래읍성, 평양성, 수원화성 등 국가적인 성곽 축조사업이 추진되었다. 특히 영조 4년(1728) 이른바 戊申亂 발생을 계기로 국가의 지방거점지에 대한 방어시설의 중요성을 새삼 일깨우게 되어 동래읍성(1731), 평양성 中城(1733), 대구읍성(1736) 등이 잇달아 개축되었다. 전주읍성은 이러한 국가방어론의 전개와 함께 호남지역의 정세불안을 계기로 지방 거점지역에 대한 방위의 중요성이 제기되면서 축조사업이 추진된 곳이며, ‘築城啓草’는 바로 그 추진 상황과 공사내역을 알 수 있는 사료인 것이다.<br/> 1733년~1734년 전주부성 개축공사가 시행되는 과정에서 작성되었던 ‘築城啓草’는 전주부성 자체의 상세한 공사 내역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사회경제적인 실상을 살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특히 17세기초 城役에 대한 기록인 『築城金烏時日記』, 그리고 「築城啓草」와 거의 같은 시기에 작성된 「東萊府築城謄錄」, 그리고 60여년 후에 작성된 『화성성역의궤』와 상호 보완적인 측면에서 조선후기 축성발전사, 사회경제적인 변화 등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또한 이러한 국가적인 축성사업에 인력과 財源을 동원하는 방식을 알 수 있으며, 전주부성수축공사는 호남지역에 기근이 들어 道는 물론 소속 각 고을도 재정상태가 열악한 상황에서 추진되었기 때문에, 이 자료를 통하여 여러 가지 사역인원과 재원 절감을 위한 방안이 강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concrete record related to the fortification construction of our country has hardly been known except '築城金烏時日記(record in fortifying Keumosansung)' related to the repair of Keumosansung of Kyungsang-do right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東萊府築城謄錄(record in fortifying Dongrae-eupsung)', the building record of Dongrae-eupsung in the late Chosun, and '華城城役儀軌(record in constructing Suwonhwasung)' that is the record of Suwon Hwasung building construction. '築城金烏時日記(record in fortifying Keumosansung)' was the record of Jeong Bang Jun who was the supervisor at the time repairing Keumosansung in 1606, and 東萊府築城謄錄 (record in fortifying Dongrae-eupsung)' recorded the construction details at the time building Dongrae-eupsung in 1731, and '華城城役儀軌(record in constructing Suwonhwasung)' was the overall record about the building of Hwasung castle from Jan. 1794(Jeongjo 18) to Aug. 1796(Jeongjo 20) and the Hwasung building construction was the big engineering construction nationally and needed much cost and technology, so by the meaning to leave detailed record about the construction contents, Jeongjo commanded for Kim Jong Su to compile and was issued in Sep. 1801. Here, the diary related to castle building, related characters, assistant material, cost, picture of the machine, instrument and the explanatory diagram that contained the explanation are included in detail, so we can grasp the whole aspect of the construction specifics.<br/> 'Draft of fortification to report to the government' that we have set as the study target in this study is the data which recorded the whole aspects about the building of Jeonjueupsung in Youngjo period, Chosun, and it wasn't compiled collecting the data for the purpose to leave records in the level of the nation like '華城城役儀軌(record in constructing Suwonhwasung)', and it wasn't recorded to compile important literature, too. But same as '華城城役儀軌(record in constructing Suwonhwasung)', it is a very precious historical record that can grasp the whole aspect about the building of Jeonjueupsung in Youngjo kingdom.<br/> The fortification business of Chosun was largely shrunk under the pressure of Qing Dynasty but as the self-defensive theory or castle town defensive theory suggested, national castle building business was promoted such as castle town, Bukhansansung, Tangchundaesung, Dongrae-eupsung, Pyongyangsung, Suwonhwasung, etc. Especially, in Youngjo 4(1728), by the case of occurrence of disturbance by military officials, it came to make aware of the importance of defensive facility about the local stronghold of the nation, Dongraeeupsung(1731), Pyongyangsung Joongsung(1733), Daegueupsung(1736), etc were reconstructed largely. Jeonjueupsung was the place the building business was promoted as the importance of defense toward the local stronghold region was suggested by the opportunity of political insecurity of Honam region together with the national defense theory like this, and 'Draft of fortification to report to the government' is the historical data that can know the very promotion situation and construction specifics.<br/> 'Draft of fortification to report to the government', which was written under the course the reconstruction of Jeonjubusung was implemented, informs us the detailed construction specifics of Jeonjubusung itself, and is a very important historical data that can look into the social & economic situation at that time. Especially, '東萊府築城謄錄(record in fortifying Dongrae-eupsung)' written almost at the same time, and '華城城役儀軌(record in constructing Suwonhwasung)', written after about 60 years, it is a very useful data that we can grasp the fortification development history of the late Chosun in the aspect of mutual complementation. Also, we can see the way it mobilizes manpower and financial resources in fortification business nationwide, and as the Jeonjubusung repair construction was promoted under a coarse situation in finance for each county as well as provinces due to the f

      • KCI등재

        조선전기 축성기술의 변천 연구

        유재춘(Yu, Jae-Ch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2

        The fortress was the most important military defence facilities during the before of modern times. For this reason, the country built a fortress with a lot of manpower and budgets. Although there was a research on history of fortress construction, it did not reach a definitive stag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each era. Usually, existing research focused on estimating dating using archaeological information. Those studies lacks the effort to synthetically comprehend the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information. The technology of building a fortress possesses us to build up our own selves, and there is a technological introduction through exchanges or contacts with foreign countr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wall by separating it with a long period of time, as i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For this reason, research on the techniques of building fortress walls requires proper use of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information. In this thesis, studied on the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wall was “What progress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in the first half of Josun Dynasty. Early in the Joseon Dynasty, the fortress was most urgent construction in preparation for the invasion of waegu(倭寇). However, through the era of King Sejong’s reign, the method of building a fortress was standardized, and various new additions were installed. Also, it was designed to build a defensive system for various Chinese fortress walls, including Seongjegongsudo(聖制攻守圖), and focus on military technology. Later, in the Joseon Dynasty, the waeran of the Joseon Dynasty had a great interest in refurbishing the fortress walls with the genesis of the 16th century, and many fortresses were repaired or rebuilt throughout the nation. However, this time, it was urgent to prepare for emergency measures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which was designed to build a special fortresses. Along wit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fortress wall of the Joseon Dynasty has become obvious that the fortress wall has become obvious, and the new battlefield needs a new fortress to cope with the Japanese military’s tactics. During this time, the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was actively considered to allow China and Japan to build a fortress in the Joseon Dynasty. In this process, construction of new fortress walls was created, and construction technology of the fortress wall of Joseon was newly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