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리스 비앙의 『적초』에 나타난 자아 탐구

        유재명(YU, Jai-Myong) 프랑스학회 2008 프랑스학연구 Vol.46 No.-

        Dans l'Herbe rouge de Boris Vian, le moi se construit comme l'espace imaginaire qui permet de résoudre le problème de la vie amoureuse liée au “mal à l'aise” pour Wolf et au “mal de la mère” pour Lazuli. La volonté de dissiper le mal fait diriger le regard vers le ciel, vers le quartier des amoureuse et celui des jeux, et encore vers la caverne. Le malaise se reflète dans l'espace aérien et souterrain comme couches du déchirement de l'ame. La tentative de diluer le manque exige l'espace, car, malgré le regard conduit l'intérieur de l'etre à l'espace ouvert, la souffrance dans la vie ne diminue pas considérablement. Des espaces imaginaires guérissent le manque. Pourtant, meme si ce dernier est satisfait, un autre désir lui succède. Ce manque interminable dessine les profondeurs humaines. C'est à partir de ce transfert que l'espace apparait comme strates de chaque moment du passé ou comme organe intérieur humain. La recherché du temps et du moi perdus commence, l'événement survenu réapparait dans cet espace imaginaire. Et avançant vers le fond de la ceverne et visitant les quartiers, les personnages descendent au moi profond. Leurs coeurs s'épanouissent. La palpitation troublante, sinon joyeuse, équivaut à la découverte du temps primordial, car les retrouvailles avec le passé et le défoulement du désir charnel s'expliquent par le monde sensible. Le bain sensoriel ou l'union charnelle imaginaire répond à l'épanouissement du coeur, à l'affermissement du manque. Et pourtant, la force des images ronge, pourrit la fermentation intérieure et le souvenir, en devenant la force meme qui ruine tout. Car, aussitot que les personnages ont retrouvé le passé, l'épanouissement du coeur inflige la boulimie sensorielle, qui donne envie de vomir ce moment de bonheur. Le voyage imaginaire dans l'espace personnifié, en permerttant de descendre au moi, répond ainsi à l'exigence meme de rétablir le moi perdu. Le retour en arrière n'a pas pour fonction de remédier à l'état de malaise, mais évacuer le plus possible le moment du bonheur, en remplissant l'ame avec l'angoisse, la crainte, la souffrance nouvelle. En cela, l'élimination du double, les yeux vides, la déstruction de la machine révèlent l'image de la mort. En fait, la découverte du moi perdu, sinon la recherche du temps perdu est perception du temps, angoisse devant le Temps.

      • KCI등재

        아프리카 동화에 나타난 하이에나의 이미지

        유재명(YU, Jai-Myong) 프랑스학회 2011 프랑스학연구 Vol.58 No.-

        Dans les années 60, le conte afraicain transmis par l’oral se produit dans les langues européennes à l’occasion du mouvement de la Négritude et de la promotion culturelle africaines. Dans ce processus, montrant aux générations suivantes des valeurs universelles du conte africain qui appartiennent au patrimoine mondial, des écrivains africains voudaient non seulement leur apprendre la pensée et des valeurs collectives, mais aussi leur enseigner la société. Car il y a un échange entre le passé et le présent dans ce conte, dans lequel se relate un rôle religieux, politique, idéologique, initiatique, ludique. Dans ce sens-là, la tâche des écrivains africains a objectif pour “une thérapeutique préventive qui pallie les excès dans la société”, au sens du terme de Marie-José Tubiana. Dans cette perspective analyser des contextes divers de ce conte, c’est interpréter une pensée symbolique africaine, c’est-à-dire une vision du monde africaine. Notre travail est inspiré par celui de Mme Denise Paulme, Hyène, monture de Lièvre (vingt version d’un conte africain). Dans des contes africains que nous avons étudiés apparaissent nombreux d’animaux : la hyène, l’éléphant, le lièvre, la gazelle, etc. Pour y saisir une structure et une symbolique nous analysons l’image de la hyène, autour de laquelle s’organise le comportement ou l’attitude d’autres animaux, c’est-à-dire toutes sortes de ruses de divers animaux envers elle. En face de celles-ci, la hyène est toujours l’objet d’un sacrifice. Là, cet animal carnivore, prédateur ou charognard est stupide, incapable de réfléchir, succombé à toutes les tentations. Une stupidité, une avidité, une insatisfaction s’enchaînent les unes aux autres. La hyène devient une monture, un gibier, enfin des prémices. Sans doute, toutes ces images enchâ inées ne seront rien d’autres qu’une exutoire psychologique africaine en face de l’existence menacée par l’excès colonial.

      • KCI등재
      • KCI등재

        아프리카 구전 콩트의 서술 구조 - 베르나르 다디에의 작품 속 거미 이야기를 중심으로

        유재명 ( Yu Jai-my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0 比較文化硏究 Vol.61 No.-

        본 논문은 아프리카 구전 콩트의 서술 구조를 연구하고 있다. 프랑스어로 옮겨진 아프리카 구전 콩트는 한편으로는 전통문화 유지를, 다른 한편으로는 프랑스 문학으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했다. 본 논문은 후자의 목적을 가진 베르나르 다디에의 작품 중 거미 카쿠 아낭제의 이야기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다디에는 코트디부아르 아니바울레족의 구술전통 이야기를 일정한 형식을 갖는 서술 구조로 일반화하였다. 거미 이야기는 가뭄과 기근, 우연한 사건으로 현실을 탈피하여 유토피아적 공간으로 들어가기, 금기 위반으로 초기의 환경으로 귀환, 실낙원에 대한 그리움과 기다림의 구조를 갖는다. 이 구조에서 인간과 환경 간의 관계 표현은 애니미즘으로 표현되었다. 다디에는 이 구조를 통해 아프리카의 특징적인 생활환경과 그 환경에서 추구하는 가치인 풍요의 행복을 보여주며, 그 가치는 공동체를 통해서만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다. Translating African oral contes into French maintains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aims to become part of French literatu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African oral contes by analyzing The Spider Kacou Ananzè by Bernard Dadié. Dadié generalizes oral stories of Agni-baoulé of Côte d’Ivoire into a narrative structure with a definite form. In the spider story, the spider enters a utopian sphere, escaping from the reality of drought, famine, and happenstance; returns to its original environment after violating a taboo; and then longs for the utopia it lost. In this story, Dadié animistically depict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showing that the fulfillment of utopia is the ultimate value in this environment and gains significance only through the community.

      • KCI등재

        베르나르 다디에의 『검정 파뉴』에서 거미 카쿠 아낭제의 계략을 통해서 본 흑아프리카 도덕과 사회 풍자

        유재명 ( Yu Jai-my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比較文化硏究 Vol.52 No.-

        베르나르 다디에는 콩트 모음집 『검정 파뉴』에서 현실과 허구를 가미하여 흑아프리카 민담에서 중요하게 여겼던 미덕, 정의, 선을 거미 카쿠 아낭제의 삶을 통해 그리고 있다. 거미의 삶은 상상과 계략으로 가득 차 있다. 그 상상과 계략은 「거미와 거북이」에서 물질적 풍요와 좌절의 모습으로, 「거미와 혹」에서는 모체와의 분리를 거부하는 자폐적 삶의 모습으로, 「거미의 황소」에서는 금기위반의 흔적을 양에게 전가하는 행위로, 「혼인지참금」에서는 개인의 욕망 충족을 위해 타인을 아프게 함으로써 실패한 계략의 교훈으로서의 ‘보도아’로 다양화된다. 이 다양한 이야기는 작가가 민담이나 신화를 재해석하여 사회의 풍습과 관습에 대한 가치를 문제 삼아 그 가치를 명확하게 하여 교훈적인 의도를 담은 것으로 인간적인 품성과 결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Bernard Dadie expresses virtue, justice, and goodness by mixing reality and fiction through the life of the spider Kacou Ananze in The Black Cloth (le Pagne noir). In Black Africa folktale, especially Cote d'Ivoire, virtue, justice, and goodness are important factors. The spider's life is full of imagination and tricks that reveal a variety of lessons: i) material abundance and frustration in the ‘Spider and the Tortoise’, ii) an autistic life that refuses to separate from the mother in the ‘Spider's Hump’, iii) leaving a trace of violating the taboo on the sheep in the ‘Spider's Ox’, iv) the failure of a ploy by hurting others to satisfy individual desire in ‘The Dowry’. These diverse stories enable us to understand human characteristics and imperfections by questioning customs of society and value of customs, reinterpreting folktale, and clarifying instructional intentions.

      • KCI등재

        흑아프리카 구전 콩트와 현대적 변용 - 은게상과 다디에 작품 속 거미 이야기 비교

        유재명 ( Yu Jai-my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1 比較文化硏究 Vol.62 No.-

        본 논문은 흑아프리카의 구전 콩트와 현대적 변용을 연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마리위스 아노 은게상의 「거미와 혹」과 베르나르 다디에의 「거미의 소」를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다. 「거미와 혹」은 채록한 구전 이야기를 프랑스어로 옮겨 출판한 작품으로 구전 내용을 날것 그대로 담고 있다고 여겨진다. 「거미의 소」는 은게상의 「거미와 혹」의 이야기와 똑같은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변용하여 프랑스어로 출간한 작품이다. 이 점에서 다디에의 작품은 구전을 바탕으로 한 창작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작품 탄생에 주목하여 우리는 이 작품과 은게상의 작품과 비교하면서 원전과 달리 변용된 요소들, 즉 배경, 인물의 심리 묘사, 삶의 방식(공동체와 개인주의), 삶의 가치(사회적 연대와 개인적 욕망)를 분석하고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oral contes of Black Africa and their modern transformations through an analysis of Araignée et Bosse by Marius Ano N’Guessan and Le Boeuf de l’Araignée by Bernard Dadié. It is believed that Araignée et Bosse was published by translating the oral stories in French, as they were. Le Boeuf de l’Araignée is a modernized adaptation of the same story, titled as N’Guessan’s Araignée et Bosse and published in French, and is in this respect, regarded as a creation based on an oral story. Focusing on the process of these works’ creation, this study analyzes their adapted elements, such as their background, descriptions of the characters’ psychology, the ways of life (communal life and individualism), and the values of life (social solidarity and individual desires), and looks at how they differ from the original by comparing Le Boeuf de l’Araignée with Araignée et Bosse.

      • KCI등재

        흑아프리카 전통 가족 제도의 특징

        유재명 ( Yu Jai-my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5 No.-

        본 연구는 흑아프리카 전통사회에서 형성된 가족제도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흑아프리카 전통사회의 특징적 요소들, 혼인 풍습(일부다처제와 일처다부제), 부계 및 모계 사회의 모습 등 3가지 소주제를 택하였다. 우선, 우리는 흑아프리카의 전통 사회에서 가족 제도를 지탱하는 흑아프리카 사회의 특징적인 요소들로는 남녀 역할 구분, 토지 소유 및 운용, 혼인지참금, 가축의 사회적 가치 등을 분석하고 있다. 이 요소들은 가족 구성원을 확대하는 데 중요하게 이용되었다. 그 다음으로, 우리는 한편으로는 가족 구성원의 수를 늘리는 데 이용된 혼인 풍습, 다른 한편으로는 노동력의 관점에서 노동력 확보를 위한 혼인 풍습, 즉 일부다처제 및 일처다부제를 분석하였다. 흑아프리카 대부분의 전통사회는 일반적으로 일부다처제를 영위하였다. 예외적으로 바실렐레족과 바히마족은 일처다부제를 추종하였다. 흑아프리카 전통사회에서 일부다처제는 부계 혈족뿐 아니라 모계 혈족사회에서 모든 가족구성원에게 행사했던 수장의 권위와 위엄을 보여주는 전통사회의 관습에 근거하고 있었다. 수장의 권위와 위엄은 가족 구성원의 수를 유지하고 확대하는 데, 즉 공동체를 공고히 유지하는 데 이용되었다. 마지막으로, 흑아프리카에서 대다수의 전통 사회는 부계 혈족을 따랐다. 반면에 모계혈족은 일명 “모계 벨트”라는 지역에서 성행하였다. 모계 벨트란 반투족들이 거주하는 사바나 지역을 일컫는다. 즉, 대서양에 접하고 있는 앙골라 해안에서 인도양 연안의 탄자니아 및 모잠비크 해변에 이르는 지역을 말한다. 모계 혈족을 따르는 하위 종족으로는 콩고족, 쿠바족, 렐레족, 펜데족, 야카족 등이 있다. 흑아프리카 사회의 전통 가족 제도는 경제, 사회, 정치, 구성원의 공동체 정신 등을 바탕으로 발전하였고, 이는 종족의 번영과 안녕을 위한 선택의 결과였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systems of traditional societies in Black Afric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chosen three subtopic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raditional societies, marriage customs (polygamy and polyandry), and the societal features of patriarchal and matriarchal societies. First, we analyze men`s and women`s roles, ownership and management of the land, dowry, and social values of livestock as the distinctive features that support the family system in traditional Black African societies. These elem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Next we analyze marriage customs―polygamy and polyandry―which increase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on the one hand, and secure the labor force, on the other hand. Most traditional societies in Black Africa prectice polygamy. However, the Bashilele and Bahima prectice polyandry. Polygamy in traditional societies in Black Africa is based on the traditional social customs that display the authority and dignity of the family head, who has control over all family members in both patrilineal and matrilineal societies. The authority and dignity of the family head are used to keep and increase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that is, to secure the community firmly. Finally, most traditional societies are patrilineal. However, matrilineal societies are prevalent in the so-called Matrilineal Belt, which term refers to the savanna regions where Bantu peoples reside, that is, the coastal regions from the Angolan coast, bordering the Atlantic, to the Tanzanian and Mozambique coasts that border the Indian Ocean. These societies trace descent through the maternal bloodline.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in Black Africa is based on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factors, as well as on the community spirit of the members, which has resulted from the choices made to increase the prosperity and well-being of the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