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령자의 활동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 궤적의 종단적 관계: 잠재성장모델 분석

        유재남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22 비판사회정책 Vol.- No.74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cross-sectional studies on active aging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tried to longitudinally verify how active aging affected the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over time among middle aged and older adults. The study used 5 year panel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and analyzed the data based on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fe satisfaction trajectory of middle aged and older adults through the unconditional model, it was analyzed that life satisfaction increased relatively slowly over time. Second, the effect of active aging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trajectories was verified while controlling demographic factors through a conditional model. Health factors affecting the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were subjective health status,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while medical health status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In the participation factors, volunteer and social relationship had an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trajectory, but labor market participation did not. Lifelong education only affected the initial value of life satisfaction. As for the guarantee factors, both social security and housing security were found to affect only the initial value of life satisfaction.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analysis results. 본 연구는 활동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기존 횡단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중고령자의 활동적 노화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삶의 만족도 궤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와 방법은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 데이터 5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잠재성장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조건부 모형을 통해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궤적을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가 시간이 경과되면서 천천히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건부 모형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활동적 노화 요인이 삶의 만족도 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삶의 만족도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 심리적 건강상태, 기능적 건강상태로 나타났고 의료적 건강상태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참여요인에서 자원봉사 및 사회적 관계는 삶의 만족도 궤적에 영향을 미쳤고, 노동시장 참여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평생교육은 삶의 만족도 초기값에만 영향을 미쳤다. 보장요인에서 사회보장과 주거보장 모두 삶의 만족도 초기값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경제와 노후생활

        유재남 현대경제연구원 2014 연금시장리뷰 Vol.115 No.-

        급속한 고령화에 대비하여 노인을 의존적인 존재로 보았던 기존 시각에서 벗어나 노인에게 독립성뿐만 아니라 생산적인 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됨 성공적으로 노화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할 줄 알며, 성공적 노화를 성취함으로써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특히, 신체적 건강상태와 심리적 건강상태가 좋은 노인들은 그렇지 않은 노인들에 비해 삶의 만족도 초기값은 높았으나, 상대적으로 천천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하지만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노인들과 그렇지 않은 노인들은 초기 삶의 만족도는 같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가 훨씬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됨 향후 100세 시대를 앞두고 노후에 필요한 부분은 노인의 재취업과 관련된 부분이며, 이와 관련된 정책적·실천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함

      • 取得時效에 관한 考察 : A Sketch of the Faculty Theory 그 機能論 小描

        劉在南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8 大學院論文集 Vol.13 No.-

        The question has been arisen whether the prescription is a immoral system or not, because it is a system that one takes possession of proprietary rights by possessioning other's object for a long term, or acquits oneself of a obligation for a term. Above all, The reason for being of positive prescription must definite, because the system brings a result of having a right to a non-rightful person and forfeiting of a right of a rightful person. Therefore theories of a reason for being of positive prescription have been confronted up to the present. There has been theory that gave a explanation of it with negative prescription unitedly or discriminately. Nevertheless these theories that have been insisted by this time were ambiguous and obstract. Consequently, to achieve the aim, this dissertation mainly carried out as follows, Ⅱ. The history of the positive prescription system. Ⅲ. the exemple of a legislation of nations about the positive prescriptino system, Ⅳ. theories about a reason for being of the positive prescription system, specially theory of dividing in two of a positive prescription, Ⅴ.a conculusion.

      • KCI등재

        중고령자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의 종단분석

        유재남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노인복지연구 Vol.0 No.68

        This study aims to examine longitudinally trajectory of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old aged.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itial subjective health status on the slope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initial life satisfaction on the slop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aim is also to identify how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trajectory has been influenced by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The panel data dawn from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of National Pension Service was used and a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people aged more than 55 years old. The analysis showe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slope of initial life satisfaction are negatively correlated. The slop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hose subjective health status is high increases more slowly than that of others. And the slop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people whose initial life satisfaction is high increases more slowly than that of others. In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effect of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as a control variable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rajectory has similarity with the results of the existing cross-sectional studies but it is not the sa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is important for middle-old adults’ active lives. Based on this, 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중고령자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궤적을 종단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중고령자 주관적 건강상태 초기값이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삶의 만족도 초기값이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궤적에 대한 인구학적 요인과 사회경제학적 요인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국민연금공단의 국민노후보장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였고 55세 이상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의 종단적 관계는 상호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관적 건강상태 초기값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변화율이 천천히 증가하며, 삶의 만족도 초기값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율이 천천히 증가하는 것이다. 또한 인구․사회경제학적 요인은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 건강상태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기존의 횡단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도 있으나 상이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활기찬 중고령기를 위해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기 성인기 자원봉사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종단연구: 대학 사회봉사 교양교육의 방향

        유재남 한국사례관리학회 2022 사례관리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verify the effect of young adults volunteer activity on life satisfaction and to seek the general educational direction of university social service for revitalizing volunteer work.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3,587 adults who are in young adults, and the analysis data is data from the 5th to 14th years of the Korea Welfare Panel, and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as used as the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unconditional mod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in young adults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volunteer activity on the life satisfaction trajectory through a conditional model, adults who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y showed high life satisfaction at the starting point, but life satisfaction slowly increased as time passed. In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ffecting the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only the initial values ​​were significant for gender, education, and age, and only the change rate for labor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Income level and health status showed significant both the initial value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rate of chang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at volunteer activities in young adults affect the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policy and practical directions for general education of university social service that can activate volunteering a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기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검증하고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대학 사회봉사의 교양교육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성인 3,587명이다.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 5차년도 부터 14차년도 까지 데이터이며 잠재성장모델을 분석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조건적 모델 분석결과 초기 성인기 삶의 만족도 궤적은 시간이 경과되면서 서서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만족도 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건적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성인은 출발점의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되면서 삶의 만족도는 서서히 증가하였다. 삶의 만족도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 성별, 학력, 연령은 초기값만, 근로활동 참여는 변화율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소득수준과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도 초기값과 변화율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초기 성인기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만족도 궤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원봉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대학 사회봉사 교양교육의 정책적․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국·독일·호주의 노인장기요양보호에서 케어매니지먼트 체계 비교 분석

        유재남 한국노인복지학회 2009 노인복지연구 Vol.0 No.43

        This study is to compare care management systems of U.K., Germany, and Australia in long term care for the elderly and analyze each national differences. The used data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OECD reports, WHO reports, Statistics data of local government in England, Statistics data of Federal government in Australia, and individual researcher's article. Analysis variables are a decentralization and a debureaucracy. The decentralization was measured through such variables as an administration decentralization and a fiscal decentralization. As for the debureaucracy, care manger's comprehensive of role, care manger's qualification and the number of care personnel were used as measuring variables. As a comparative result of three Nations, U.K. features care management type with high level of both decentralization and debureaucray. Germany features care management type with low level of both decentralization and debureaucracy. Australia features care management type with middle level of both decentralization and debureaucracy. It was found from the result that following suggestions should be taken considerate. Like a care management model of U.K., local government should take responsibility on the operation of care management system by enacting law and need formal support with financial assistance. And like a care management model of Australia, it will be desirable to use multi-disciplinary professional team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coordinated service for elderly people. 본 연구는 영국․독일․호주 3개국이 노인장기요양보호에서 케어매니지먼트 체계가 국가별로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OECD보고서, WHO보고서, 영국(잉글랜드) 지방정부 통계자료, 호주의 연방정부 통계자료, 개별연구자들의 아티클을 중심으로 문헌 고찰이 이루어졌다. 분석 변수는 탈중앙화와 탈관료화이고 탈중앙화 변수는 행정 탈중앙화와 재정 탈중앙화를 통해 측정하였고 탈관료화는 케어매니저 역할의 포괄성, 케어매니저의 자격과 케어인력의 수를 통해 측정하였다. 3개국 비교 결과 영국은 탈중앙화와 탈관료화 모두 높은 케어매니지먼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독일은 탈중앙화 탈관료화 모두 낮은 케어매니지먼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호주는 탈중앙화와 탈관료화 중간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영국의 케어매니지먼트 모델과 같이 지방정부가 케어매니지먼트의 서비스 총괄 책임 및 운영 책임을 질 수 있도록 법제화하고, 재정지원을 통해 제도내의 공식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호주의 모델과 같이 장기요양보호가 필요한 노인 사이에서 통합․조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학제간 전문가팀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