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공교통서비스품질 측정 모형의 비교 연구

        유승환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성공적인 기업들의 분위기는 높은 서비스품질의 운영과 전반적으로 중요한 서비스품질 대한 후속 관리 측정을 하게 된다. 서비스는 고객의 직접참여 아래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발생할 뿐 만 아니라 형태가 무형이므로 재고 발생이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품에서 적용되는 품질에 대한 개념이 서비스품질에 적용되기는 한계를 나타남에 따라 고객-만족을 적용시켜야 한다. 품질은 개인적 특성을 지닌 주관적 개념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 높은 만족을 제공하는 서비스 특성의 최적 결합 개념을 도출해 낼 수 있게 한다. 품질관리는 서비스 기업들의 전략적 운영관리에서 가장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고객 만족과 고객들에게 가격 대비 가치의 높은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얻어지는 충성도 뿐 만 아니라 장기 생존을 위해서 중요하다. 이 중요성 때문에 학자 및 기업들은 서비스품질에 대해 커다란 관심을 보여 왔으나 아직도 확실히 규명되어야 할 뜨거운 논쟁거리들이 존재하고 있다. 그런 논쟁이 많은 것들 중 하나는 서비스품질의 개념화와 측정에 대한 부분이다. 서비스품질의 측정은 제품 품질과 달리 내구성 혹은 불량률 같은 객관적인 척도에 의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고객의 기대와 지각을 측정하여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있다. 서비스품질의 측정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서비스에 대한 기대와 인지한 사실에 입각한 지각된 성과를 중심으로 연구자의 서비스 품질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품질 개선을 위해서는 서비스품질 수준을 정확히 측정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적정한 측정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 항목 척도를 이용하여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모형으로 SERVQUAL모형, SERVPERF모형 그리고 SERVPEX 모형에 항공교통서비스품질 측정 도구로 사용하여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그리고 적절하고, 모형의 우수성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SERVQUAL모형, SERVPERF모형 그리고 SERVPEX 모형에서 유효성과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그 간 중요시 여기지 않았던 SERVPEX모형이 다른 SERVQUAL모형과 SERVPERF모형보다 뛰어나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항공교통서비스품질의 다각성이 탐색되었으며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 그리고 물리적환경품질 3가지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항공교통서비스 이용자들은 서비스품질을 자신들이 인지한 사실과 기대를 비교함으로써 평가한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항공교통서비스 이용자의 기대를 이해하는 것이 더 우수한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한 선행조건이라 볼 수 있다. 서비스 마케팅 문서에서 인지는 받았거나 경험한 서비스를 고려한 소비자들의 믿음이나 경험된 서비스로 정의된다. 기대는 Parasuraman등에 의해 “소비자들의 욕망 혹은 욕구, 예를 들어 그들이 서비스제공자들이 제공해야만 하는 것과 제공한 것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한 것”이라고 정의되었다. 여기서“기대”라는 용어가 소비자만족에 대한 문서와 서비스품질에 대한 문서에서 다르게 쓰였다는 점을 강조하였으며 서비스 기대는 서비스 제공자들이“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제공해야만 하는 것”에 대한 예상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설명된 것처럼 만일 서비스품질 평가에서 기대가 필수적인 요소라면 항공교통이용자에 대해 더 잘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중요한 결과는 서비스제공자가 더 나은 행동에 적용시키기 위해 기대를 더 알맞은 방법으로 관리해야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기대 관리 모델을 재조명한다.(표2-6; 그림2-10) The pressures driving successful organisations toward top quality services make the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and its subsequent management of overall importance. There can be little doubt that quality is nowadays, among the most critical aspects for the strategic management of service firms.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secured through high quality products and services providing value for money for the consumer are essential for long-term survival, let alone long term success. Because of its importance, researchers have devo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to service quality, but there are still some hot debates going on in the area that need to be addressed. One of the more controversial ones refers to the conceptualisation and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This study compares three different methods for measuring service quality within an airline setting : there are three tools are SERVQUAL, SERVPERF and SEVPEX. Three instruments are used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of Domestic flights Route between Kimpo ↔ Jeju airline companie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hree different models is examined:it is concluded that SERVPEX methods are superior to the others. The dimensionality of quality in airlines is explored and three factors appear as determinants : Interaction Quality(INTQ), Outcome Quality(OUTQ), and Physical Environment Quality(PHYQ). The author feel tempted to say that understanding customer expectations is a prerequisite for delivering superior service, since customers evaluate service quality by comparing their perceptions of the service with their expectations. As a result, a model to manage expectations is proposed. A set of research directions is offered. In the services marketing literature, perceptions(P) are defined as consumers' beliefs concerning the service received or experienced or experienced service. Expectations(E) are defined by Parasuraman et al.(1988) as“desires or wants of consumers, i.e. what they feel a service provider should offer rather than would offer. Parasuraman et al.(1988) emphasize that the term“expectations”is used differently in the service quality literature from in the consumer satisfaction literature, in that service expectations(E) do not represent predictions about what service providers“would”offer, but rather what they“should”offer. If as has been demonstrated in this study, expectations are an integral part of service quality evaluations, it is necessary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m. Another important implication is that the company has to manage appropriately those expectations, so it can match them with its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I support a model for managing expectations(see table2-6; Figure2-10) that is divided into two different parts.

      • 화재피해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 대피공간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유승환 창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나라는 급속한 국가 경제의 고도성장?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농촌지역으로부터 도시지역으로 인구의 집중이 급속화되어, 이러한 도시화 과정 속에서 평면적인 토지의 이용만으로는 도시로 모여든 인구를 수용하기에 한계점이 있었다. 이는 결국 토지이용의 극대화를 위해 평면적 도시계획보다는 입체적 도시계획을 불러왔으며, 도시지역 토지이용의 고효율화 및 늘어나는 도시민의 주거공간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단독주택보다는 공동주택 중심의 건설을 불러온 당연한 결과이다. 공동주택은 도시민에게 편리하고 쾌적한 주거공간을 제공하나, 다양한 불특정 다수가 거주하는 복합된 형태의 생활공간으로 단독주택과 비교하여 예측 불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안전위협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화재 발생시 대량피해를 일으킬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경제발전에 따른 건축기술의 발달로 공동주택 화재발생 요인은 다양해졌으며, 또한 화재가 발생할 복합적인 개연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화재로 인한 피해저감을 위해 법적인 화재예방 규정들이 있으나, 실효성이 적은 경우가 많다. 발코니는 화재시 피난하지 못한 재실자가 마지막으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이나, 2005년 12월 발코니 개조가 전면 허용되면서 최소한의 대피공간을 확보하지 못해 대피공간에 대한 기능이 사라지고 경량칸막이 경계벽의 전?후면에 붙박이장을 설치하며, 피난상 장애가 되는 물건을 쌓아두는 행위 등 창고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피난시설의 용도에 장애를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동주택 화재피해 방지를 위한 법적인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법적 규정의 변천과정에 따라 공동주택 화재피해 저감설비 및 계획 검토에 따른 개선점을 제안하며, 공동주택단지에 대한 화재피해 저감 측면에서의 건축계획 실태와 거주민의 설문조사를 통한 문제점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관련제도 및 단위세대별 건축계획 실태의 장애요인 등을 고찰하여 조금 더 발전적 방안을 강구하는데 등을 통하여 공동주택 화재피해 저감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법규의 목적에 맞게 설치 및 유지 관리되고 있는지와 현재 공동주택의 대피공간을 비롯한 관리현황과 실태에 관한 조사를 위하여 조사대상 2단지를 선정하여 실제 거주민을 대상으로 거주자의 의식을 항목별로 살펴보았다. 공동주택 대피공간 현황 및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공동주택에는 화재발생시 피난을 위하여 대피공간을 의무적으로 설치토록 하고 있으나, 별도의 대피공간을 설치하지 않고 경량칸막이, 하향식피난구 중 하나를 설치할 경우에도 이를 피난을 위한 공간의 설치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 대피공간 현황 및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공동주택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대피공간 또는 경량칸막이에 대해 높은 인식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와 관련하여 화재시 피난을 위한 경량칸막이 또는 대피공간 설치가 인명피해 방지에 대한 효과성이 크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량칸막이의 실제 설치율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용도 전용 및 물건적치 등 창고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피난시설의 용도에 장애를 주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실제 화재시 즉시 사용이 불가능하게 대부분 방치되고 있었다. 따라서 연구를 통한 공동주택 화재피해 저감의 실효성을 증진하기 위한 건축계획적 개선방안을 연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대피공간은 각 세대별 발코니에 2~3제곱미터 이상의 실내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된 공간을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방화문을 설치하여 화재시 1시간 이상 생존이 가능하도록 시행되어져 왔다. 하지만 대피공간의 실효적인 측면에서 보면 연기와 불꽃을 막을 수 있는 반면에 대피공간에 대한 명확한 위치, 크기, 차열성 등에 대한 규정이 없어 안정성을 확보한 대피공간이라는 목적을 충분하게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첫 번째의 이유 때문에 화재시 대피공간 내 거주자의 화재피해 저감을 위해 대피공간의 법적 규정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대피공간으로의 피난동선을 고려하여 화재경보를 인지 후 각 방과 침실로부터 거실로 나온 후 바로 진입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명확한 장소를 제시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셋째, 대피공간의 목적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발코니 확장시 설치기준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여 대피공간의 전용용도외 사용금지를 통한 안전의 확보가 요구된다. 타용도 전용을 불허하는 등 법적 바닥면적을 확보하더라도 보일러실 등 다른 설비와 같이 사용 할 수 없도록 하여 대피공간의 장애요인을 해소할 대피공간 인정요건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경량칸막이는 인접 세대간의 상호관리가 되어야 그 효율성이 높으나, 이에 안전관리 규정이 없으며 유사시 피난로가 되는 경량칸막이가 폐쇄된 상태로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즉 상호 세다간 설치된 경량칸막이 등 피난시설의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을 구체화하여 비상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앞으로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경량칸막이를 공용용도로 관리토록 개선하여 적극적인 피난시설로의 변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범위로서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공동주택 화재피해 저감을 위한 관리자와 거주자의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지역의 공동주택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 차세대 위성항법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이진천이반송파로 변조된 확산신호의 새로운 동기기술

        유승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전역위성항법 시스템에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사용하는 이진천이 반송파로 (binary offset carrier, BOC) 변조된 확산신호의 동기기술에 대해 논한다. 차세대 GNSS는 기존의 이진위상편이 (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변조된 확산신호와 BOC 변조된 확산신호를 사용한다. 특히 BOC 변조된 확산신호는 다수의 GNSS가 같은 주파수 대역을 점유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측위 정확도를 높일 수 있어 차세대 GNSS에서 사용한다. 이로 인해 각 GNSS는 독자적이면서도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직접수열 확산대역 시스템을 (direct sequence/spread system, DS/SS) 물리계층으로 사용하는 GNSS의 신호동기 기술은 측위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확한 신호동기가 요구되고 이과정은 크게 획득과 추적으로 구분된다. 본 논문은 BOC 변조된 확산신호를 사용하는 GNSS에 적합한 신호동기 기술을 제안한다. 획득과 추적 과정에서 각각 제안하는 기법들은 BOC 변조된 확산신호의 상관함수 특성을 이용한다. 제안하는 획득 기법은 기존 기법보다 더 빠르게 동기시점 인근을 찾아낼 수 있다. BOC 변조된 확산신호의 상관함수는 BOC 변조율에 따라 하나의 주첨두와 다수 주변첨두를 갖는다. 특히 각 첨두의 폭은 BOC 변조율이 커질수록 협소해진다. 따라서 부호획득 과정에서 주첨두 인근 시점을 획득 결과로 결정하기 위해 좁은 간격 탐색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 기법을 사용할 경우 탐색횟수가 증가해 부호획득 시간이 크게 소모된다. 이를 막기 위해 탐색과정을 두 단계로 나누어 부호획득을 수행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각 단계에서 탐색간격을 BOC 변조율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하고 직렬과 병렬 탐색을 수행한다. 추적과정에서는 다중경로 환경에서 나타나는 부호추적편이를 완화한다. 이를 위해 먼저 부호추적편이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부호추적 기법을 제안한다. 다중경로 신호는 항상 가시신호보다 늦게 수신된다. 따라서 BOC 변조된 확산신호의 이른옵셋 영역의 상관함수는 늦은시점의 상관함수에 비해 덜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부호추적편이를 줄일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각 기법들의 성능분석 및 검증을 위해 부호획득에서는 최대 탐색횟수를 지표로 한다. 그리고 부호추적에서는 다중경로 환경에서 모의실험을 수행해 부호추적편이를 기존 기법과 비교하였다. 또한 부호추적편이의 누적성능을 알 수 있는 이동평균을 사용해 제안한 부호추적 기법의 성능을 확인한다.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synchronization technique for binary offset carrier (BOC) modulated spreading signal in next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The next GNSS uses 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and BOC modulated spreading signals. Among these, BOC modulation makes spectrum separation as modulation ratio to share the same frequency with a number of GNSSs, so systems cannot be affected by signal interferences. Thus, the GNSSs are able to use the same bands and they can be used compatibly to improve the positioning accuracy. Moreover, it has advantages in a view of frequency resource and correlation function. The main lobe in correlation function of BOC modulated spreading signal is narrower than that without BOC modulation, so it results in higher positioning accuracy. GNSSs, using direct sequence/spread spectrum (DS/SS) as a physical layer for communications, require an accurate code synchronization process to measure precise positioning. The synchronization process of DS/SS systems consists of code acquisition and tracking. This paper proposes novel synchronization schemes for BOC modulated spreading signal. The each scheme which is proposed for acquisition and tracking, respectively, uses correlation characteristics. BOC modulated spreading signal has multiple characteristics within ±TG with correct synchronization offset. Therefore, true code acquisition have to be achieved in main lobe offsets of the correlation function to get correct synchronization. Hence, BOC modulated spreading signal has to search using narrower step size than step size one, because its correlation function has narrow main lobe. From this, many steps search processes need and bring a increase of the time to first fix (TTFF), resulting in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GNSS receiver. This paper proposes a rapid code acquisition scheme for BOC modulated spreading signals. And we also propose the code tracking bias compensation scheme in multipath environments. This process uses less-distorted correlation function of the BOC modulated spreading signal. Because the multipath signals are always received after the line of sight signal, correlation values in advanced offset are robust to multipath signals. So, we proposed the compensation technique. The performance criterion of code acquisition scheme is maximum search step. It link directly to TTFF. And the criterions for code tracking bias compensation scheme are code tracking bias and moving average. From thes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and proposed schemes are verified and analyzed.

      • 차로 예측을 이용한 무인자동차의 횡 방향 오차 보정

        유승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인자율주행차량은 대부분 사전에 알려져 있는 경로점 주행을 기반으로 한다. 경로점 주행 시 항법시스템의 위치오차는 무인자율주행차량을 계획하지 않은 경로로 주행하게 하며, 포장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차선을 이탈해 버리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카메라와 레이저 스캐너를 비롯한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차선을 검출하고 차선을 유지하는 LKS(Lane Keeping System)이 연구되고 있다. LKS에서 차선을 유지하기 위해 생성하는 정보의 종류는 두 가지이며, 첫째는 차량의 조향각을 생성하는 것이고, 둘째는 차량이 가야할 경로점을 생성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항법 정보와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LKS을 수행하는 동시에 횡 방향 오차를 보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생성된 경로점은 검출된 주행차선간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이것은 위치오차가 없을 경우 기존의 경로점과 일치한다. 위치오차가 존재하게 되면 생성된 경로점과 기존의 경로점 사이에 거리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생성된 경로점과 기존의 경로점 사이에 거리오차는 간단히 계산이 가능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횡 방향 오차를 추정할 수 있다. Most of the unmanned ground vehicles use waypoint navigation. When doing waypoint navigation, position error in navigation system makes unmanned ground vehicle move out of path. When moving on road, the vehicle moves out of lan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we can detect the road paint like lane, using sensor equipped on vehicles which includes camera and laser range scanner. LKS(Lane Keeping System), which uses detected lane information, makes vehicles maintain the current lane. LKS generates either steering angle or new waypoint. This study introduced the method to correct lateral error using lane estimation for LKS by post processing. New waypoint is located on the estimated center lane of detected road paint. Unless position error exists, new waypoint matches prior waypoint. If position error exists, it causes distance error beteween new waypoint and prior waypoint. This distance error can be calculated simply and we can estimate lateral error of vehicles based on the result.

      • 대학 디자인학과의 창업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유승환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창업교육이 대학 디자인학과에 어떻게 추가될 수 있는지, 그리고 스타트업으로 성공하기 위한 지식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디자인 마인드로 자체제품을 디자인, 개발, 마케팅, 판매하는 스타트업의 육성을 포함하는 교육적 창업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업계 전반에 걸쳐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스타트업을 시작하는 어려움이 줄었고 디지털시대에는 서로 다른 산업이 융합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아이디어와 행동을 할 수 있는 젊은 창업가가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대학생은 안정적인 직장과 많은 급여를 원하거나 창업에 대한 두려움과 그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창업 후 취업을 선호한다. 그러나 디지털시대에서는 자신의 능력을 활용하면서 만족스러운 일을 찾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특히 재택근무, 오프라인 활동 축소 등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19 관련 산업 등 성장 잠재력을 경험하고 있는 산업에서는 더욱 그렇다. 결과적으로 성장을 경험할 수 있는 회사에서 자신의 가치관과 생활 방식에 맞는 일자리를 찾고 있는 경우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디자인 중심의 스타트업이 많이 생기고 있지만, 창업이나 창업교육의 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는 대학교의 디자인 교육과정에서 창업을 위한 준비사항과 창업 후, 경영에 필요한 지식을 학습할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대학의 창업교육은 청년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대학교 내 디자인 교육과정에서 창업, 경영을 위한 지식과 디자인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한 파악과 그 교육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디자인 창업의 정의, 창업교육의 과정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디자인 전공자들에게 적합한 창업교육을 설계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창업과 창업가 정신, 디자인 프로세스, 창업 프로세스, 대학의 창업교육과 디자인학과의 교육을 조사, 분석하였다. 기존에 경영 프로세스로 해결이 어려운 스타트업을 위해 등장한 프로세스가 린 스타트업으로 빠르게 최소의 기능을 가진 시제품을 만들고 그에 따른 시장반응을 확인하여 이를 수정, 개선하여 제품의 완성도와 시장의 만족도를 계속 높이는 프로세스이다. 이러한 린 스타트업은 디자인학과의 정규 수업에서 접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와 비슷한 부분과 차이점이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디자인학과의 정규 수업에서 습득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와 내용을 조사하였고 스타트업의 대표적인 프로세스인 린 스타트업과 애자일 개발, 신제품개발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여 5단계 창업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현재 창업교육은 교양과목 수업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디자이너를 위한 창업교육은 많지 않고 이러한 교육 부족은 변화가 필요하다. 디자인학과의 수업내용과 창업에 필요한 요소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 현재 시장에서 제조업 기반의 창업환경이 디자인 전공자에게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린 스타트업 방식은 디자인학과의 학기 수업시간에 진행되는 아이디어를 내고 결과물을 만드는 방식과 유사하며 조사 대상 대학의 정규 수업을 보면 아이디어 창출을 돕는 수업, 3D 프린터와 스티로폼을 활용한 목업을 만드는 디자인 수업 등 스타트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있다. 그에 반해 스타트업을 창업하고 경영하기 위한 교육은 부족하여 아이디어나 최종 결과물만 가지고 창업하여 실패의 위험을 크게 가지고 사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디자인학과의 학생의 스타트업을 위한 창업 프로세스의 순서로 이야기하면 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단계 중 첫 번째인 이해와 도출 때는 CEO의 역량은 무엇인지, 현재 업계에서 경쟁하고 있는 분야와 트렌드는 무엇인지 아는 것이 중요하며 성공적인 창업이 될 수 있도록 기업가 정신에 대해 교육이 필요하다. 두 번째 단계인 검토에서는 트렌드와 사용자 분석, 기회 영역의 정의, 아이디어 개발이 필요하다. 세 번째 단계인 계획에서는 아이디어와 개념 개발에 중점을 두며 이를 이론과 실기 기술을 가르치는 디자인학과 수업을 통해 배울 수 있지만, 인증에 관한 내용은 추가 교육이 필요하다. 네 번째 단계는 상업화가 필요한 때로 디자인, 연구 개발 및 마케팅에 대한 학습이 포함되며 디자인 경영, 디자인마케팅, 디자인세미나 수업을 통해서 학습할 수 있다. 그러나 지식재산권인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학습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지식재산권을 검색하여 다른 사람이 이미 유사한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개발 여부와 이를 중심축으로 만들거나 개선 가능한지를 알아보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단계에서는 디자인 수업에서 사용되는 입체모형과 3D 렌더링을 사용하여 타 학과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작업이 가능하고 목업 제작을 통해 자신의 디자인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 피벗이 유리하다. 마지막 창업 단계에서는 인적 자원, 무역, 투자 및 대출에 대해 배워야 하며 계약법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디자인전공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디자인 수업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데 능숙하지만, 자신이 만든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알리고 판매 채널을 확보하고 늘리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교육은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교육이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디자인학과의 창업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로 창업을 위한 과목개발 및 프로세스를 위한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현재 디자인전공 학생들을 위한 창업교육이 부족한데, 디자인전공 학생들이 성공적인 기업가가 되도록 돕기 위한 변화를 위해 대학과 디자인학과에 맞는 체계적인 과목과 커리큘럼이 필요하다. 디자인학과 수업에서 필요한 창업 지식 및 기술을 도출하기 위하여 디자인학과의 수업과 청년창업사관학교의 수업을 비교, 분석하여 디자인 창업교육에 필요한 과목을 구성하고 이를 활용함으로 디자인 분야에 특화된 디자인학과의 창업교육을 위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또, 디자인 프로세스와 경영 프로세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여 디자인학과 수업이 창업에 가장 적합한 부분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고, 이를 통해 창업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 창업에 필요한 다양한 교과목의 교육내용이 필요하고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통해 디자인학과의 창업교육이 디자인 전공자의 스타트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으로 발전할 것을 바란다. This study examines how Startup education can be included in the university's Design Department and the types of knowledge required to succeed as a start-up. It aims to provide an educational Startup model that promotes start-ups that design, develop, market, and sell their products with a design mindset. Recently,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digital transformation has advanced rapidly across the sector, reducing the challenge of starting a business. In a digital age, different industries converge, and young entrepreneurs who may have other ideas and actions are desperately needed. However, many college students prefer a job after starting a business because they want a stable job and a large salary or fear of starting a business and lack of information about it. However, in the digital age, there is clearly an increasing desire to find a satisfying job while using one's abilities. This is especially true in industries that are experiencing growth potential,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related industries, such as working from home and reducing offline activities. Consequently, more people are looking for jobs that reflect their values and their way of life in businesses where they can grow. As a result of this influence, many design-oriented start-ups are emerging, but in many cases there is no experience in Startup. This is because there is a lack of opportunities to learn the knowledge required for Startup preparation and post-Startup management in university design classe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knowledge and design for students, and to identify what education is needed for students, and that education is necessary. This study looks at the definition of Startup design, the process, and the need for Startup education and offers a theoretical basis for designing Startup education suitable for design majors. For this purpose, the Startup and Startup mind, the design process, the Startup process, the teaching of university Startup, and the education of the Design Department are studied and analyzed. The process that has emerged for start-up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with the existing management process is Lean Start-up, which quickly creates a prototype with minimal functions to check the market response and corrects and improves in order to continue to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 product and satisfaction in the market. These Lean start-ups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design process that can be met in regular classrooms in the Design Department. Therefore, the design process and contents that can be learned in regular classes of the Design Department were investigated, and lean start-up and agile development, which are representative processes of start-ups, were compared to confirm. Startup education is currently conducted similarly to cultural studies, but there needs to be more Startup education for designers, and this lack of education needs to be chang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ourse content of the Design Department and the elements necessary for Startup, the manufacturing-based Startup environment in the current market is advantageous to design majors. For example, the Lean Start-up method is similar to the way of generating ideas and making results during classes in the Design Department. Also, the regular classes of the universities that have researched, some classes help create ideas, and design classes that make mock-ups using 3D printers and Styrofoam, which can be used in start-up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choice but to proceed with a high risk of failure by starting a business with only ideas or final results due to a lack of education for starting and managing a start-up. In terms of the start-up process for a student in the Design Department, the first step is to know what the CEO's capabilities are and the fields and trends currently competing in the industry, as well as the entrepreneurial mind education for successful start-ups. The second step, validity verification, requires analyzing trends and users, defining areas of opportunity, and developing ideas. The third stage, the business development plan, focuses on developing ideas and concepts. They can be learned through classes at the Design Department that teach theory and practical skills, but additional training is required for certification. In the fourth stage, commercialization is required, including studying design, research development, and marketing which can be learned through design management, design marketing, and design seminar classes. However, as there are various kind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patent rights, utility model rights, design rights and trademark rights, there is a need to consider learning more about them. This will assist in researching intellectual property to see if others have already developed similar technologies or ideas and if they can be made essential or improved. At this stage, it is advantageous to pivot using three-dimensional models and 3D renderings used in design classes because they can work relatively quickly than students in other departments and check their design results through mock-up production. In the final stage of Startup, human resources, trade, investment, and lending are required to learn and should also be familiar with contract law. The students in Design major are generally skillful at creating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design classes but often have difficulties in promoting their products or services to consumers and securing and increasing sales channels. This education is essential for successful Startup.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s for follow-up research for course development and process for Startup as a study on the necessity of Startup education in the Design Department. As there is a lack of Startup education for design major students, systematic courses and curriculums suitable for the universities and Design Departments are required to change to have successful Startup for the students in design major. In order to derive the Startup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in the Design Department classes, the Design Department classes and the Youth Startup Academy classes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organize and utilize the contents necessary for design Startup education, thereby providing Startup education in the Design Department specialized in the field of design.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starting a business is checked by looking in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esign process and the management process and finding the most suitable part for starting a business for graduates of the Design Department. However, for a successful start-up, it is also essential to develop an effective training method,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various subjects for start-up are necessary.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the Startup education of the Design Department to develop effectively, and the Startup education of the Design Department will develop into an education that can help start-ups for design majors.

      • 전자책 콘텐츠 가치사슬 상의 집단지성 활용에 관한 연구

        유승환 건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전자책 콘텐츠와 기존 종이책 중심의 아날로그 출판의 가치사슬상의 특성과 변화를 분석하고 이때 형성되는 집단지성의 문화의 가능성을 탐구하여 전자책 콘텐츠를 기획, 제작, 유통 소비 하는데 있어 집단지성의 영향력과 활용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 논문의 수행 목적 및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전자책 콘텐츠 가치사슬의 특성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전자책 콘텐츠 가치사슬 상에서의 집단지성은 어떻게 만들어 지고 가치사슬 단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연구문제 3. 전자책 콘텐츠 가치사슬 상에서의 집단지성 활용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1의 연구 결과 전자책 콘텐츠 가치사슬은 서책형 콘텐츠 가치사슬과 달리 창작자와 소비자간의 거리가 더욱 가까워지면서 소비가가 창작과 제작에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지고 이를 통한 상호작용으로 창작자와 소비자가 함께 전자책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완성된 콘텐츠를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 변경 경우가 많아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연구문제 2를 통해서는 발견된 집단지성의 특징들이 발현되는 사례를 분석함으로 가치사슬상에서 어떠한 형태로 집단지성이 발생되고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기획단계에서 전문가 간의 집단지성 형성을 통해 제작되는 전자책 콘텐츠의 사례를 통해 전문 전자책 콘텐츠 기획에 있어 전문가들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볼 수 있었고 제작중심 아이북스 스토어 사례를 통해 전자책 콘텐츠 저작 도구를 공개 배포함으로서 프로슈머로서의 사용자들의 기반을 만들고 다양한 콘텐츠를 플랫폼에 공급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곧 제작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으로 연결되어 플랫폼의 가치를 높이는 다양하고 질 좋은 콘텐츠들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 유통 중심의 메키아 사례를 통해 생산자를 위한 서비스 설계와 소비자를 위한 서비스 설계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소비중심의 웹툰 사례를 통해 소비자의 참여가 콘텐츠 생산에 미치는 영향과 이후 관련 콘텐츠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었다. 연구문제 3에서는 실제로 집단지성을 활용한 콘텐츠와 플랫폼을 기획하는 실무자들과의 심층인터뷰와 앞에서 연구된 연구문제1,2를 통해서 기획의 유형별로 전자책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있어 집단지성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적용점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 발견된 집단지성의 요소들인 ‘제작자 간 상호작용’, ‘제작 진입장벽 최소화’, ‘서비스 설계’, ‘소비자 참여’ 가 어떻게 전자책 콘텐츠 가치사슬 상에 활용되어야 할지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기획, 제작, 유통, 소비의 단계와 ‘프로슈머’, ‘운영자’, ‘전문가’, ‘전자책 콘텐츠 큐레이터’ 입장에서의 해석하여 각각 단계와 상황별로 집단지성을 전자책 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소비에 활용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라오스 홍낭시다 셀라 출토 요니의 디지털 재조립과 정보모델링 연구

        유승환 국립공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라오스 홍낭시다 사원의 셀라 내부 붕괴 부재 해체과정에서 중요도가 높은 요니 부재 100개가 파편화된 개별 석재 형태로 수습되었다. 홍낭시다 사원의 역사적 가치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파편화된 요니 부재의 접합을 통한 원형 복원이 필요하다. 완형으로 출토되지 않은 요니 부재는 파편화되어 있어 복원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하부 및 상부 하단석, 페데스탈, 디파짓스톤, 요니 등의 층별 부재는 별도로 구성되어 있고, 무게로 인해 운용이 어려워 물리적 방식을 통해 재조립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요니 부재의 3차원 스캐닝 및 형상 분석과 3차원 프린팅 축소모델을 통해 디지털 재조립을 수행하였다. 또한 디지털 재조립 결과물을 기반으로 개별 부재에 대한 기본 제원과 보존 이력을 통합할 수 있는 정보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파편화된 석재의 가상 재조립은 보존처리가 완료된 층별 부재의 3차원 스캐닝 모델을 참조모델로 설정하여 완료하였다. 또한 추가 발견된 6개의 석재는 육안상 페데스탈의 결손부로 추정되나, 보존처리가 완료된 페데스탈을 물리적으로 거동시키기 어려워 재료압출 방식 3차원 프린팅을 통해 물리적이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원위치를 확인하였다. 파편화된 석재의 가상 재조립 모델은 개별 부재 전체를 통과하는 연결구조를 만들고, 불리언 모델링을 거쳐 폐합 모델로 변환되었다. 그런 다음 샌드프린터로 층별 부재를 1/5 크기의 축소 모형으로 출력하여 물리적 조립 여부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하부 및 상부 바닥석은 인위적으로 제작한 유사 형상이 존재하고, 평단면도를 비교한 결과에서 형상학적 일치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부 바닥석과 디파짓스톤은 모두 정방형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며, 디파짓스톤은 상부 바닥석 소형 결구부에 비해 약 10㎜ 정도 작은 형태를 보이는데, 이는 조립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함으로 판단된다. 상부 바닥석의 결구부는 페데스탈에 비해 가로 6㎜와 세로 1㎜ 정도 큰데, 이는 조립 적합도를 높여주는 요소이다. 또한 페데스탈 북쪽 하부 가공부가 결구부 홈에 비해 높이가 크고, 안쪽 방향으로 가공되어 있다는 것은 최초 조립 과정에서 치수 문제가 있어 가공을 통해 조립 완성도를 높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페데스탈과 요니의 조립구조를 유추해 볼 수 있는 특징은 페데스탈 상부에 요니 입구와 연결되는 구조가 존재하는 것으로 충분히 알 수 있다. 물리적 환경에서 조립 적합도 평가를 마친 샌드프린팅 축소모형은 3차원 스캐닝 후 본래 크기인 5배로 확대되었고, 이를 기준으로 각 층별 3차원 모델을 정렬하였다. 셀라 출토 요니의 가상재조립 결과물은 유산정보모델링의 기초 모델로 활용되었다. 3차원 스캐닝 결과를 BIM 소프트웨어 내에서 호환하기 위해 고해상도 폴리곤메시를 1.8%의 저용량 모델로 최적화하였고, 두 형상 간의 RMS는 평균 0.1㎜로 미세한 차이를 보여 유산정보모델링 구현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개별 석재의 다양한 속성정보들은 Historic England의 유산정보요구사항을 수정 및 세분화하여 3개의 대분류와 6개의 소분류로 정리되어 형상 정보와 연계되었다. 셀라 내부 출토 요니의 디지털 재조립은 현장에서 이차 손상이나 무게로 인해 직접적인 운용이 어려운 부재를 디지털 환경에서 재조립하면서 물리적인 한계를 극복하였다. 또한 개별 석부재의 원위치와 부재 간의 결합상태 및 전체적인 형상을 구현할 수 있었다. 셀라 내부 출토 요니의 유산정보모델은 개별 부재의 다각적인 형상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형상 정보와 속성정보의 통합으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기록 방법은 해체복원 문화유산의 개별 부재에 대한 새로운 기록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uring the dismantling of a collapsed member inside the cella at Hong Nang Sida Temple in Laos, 100 highly significant yoni members were recovered as fragmented individual stones. To restore the historical value of the Hong Nang Sida Temple,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original cella by cementing the fragmented yoni members. Yoni members that were not excavated in a complete form were fragmented and difficult to restore. In addition, each layer, such as the lower and upper floor stones, pedestal, deposit stone, and yoni, is composed separately and is difficult to move due to its weigh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it can be reassembled through physical methods. Therefore, in this study, a digital reassembly was performed through three dimensional (3D) scanning and shape analysis of the yoni members and the use of 3D-printed scale model. Based on the digital reassembly results, inform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integrate the basic specifications and preservation history of individual members. The virtual reassembly of the fragmented stones was completed using a 3D scanning model of the conserved layer-by-layer member as a reference model. In addition, six additional stones were visually identified as missing pedestal; however, due to the difficulty of physically maneuvering the conserved pedestal, their locations were confirmed in a physical and intuitive manner through material extrusion 3D printing. A virtual reassembly model of the fragmented stone was created with connections running through the individual members and converted into a closed model using Boolean modeling. SandPrinter was then used to print out 1/5 scale models of the members layer by layer to determine if they were physically assembled. The lower and upper floor stones had similar artificially fabricated shapes, and a comparison of the cross-sections showed a high degree of geometric congruence. Both the upper floor stone and the deposit stone had a near-square shape, with the deposit stone being approximately 10 mm smaller than the upper floor stone's smaller hole, which is likely to facilitate assembly. The holes in the upper floor stone were approximately 6 mm wide and 1 mm long compared with the pedestal, which can improve the assembly fit. Moreover, the fact that the lower machined part of the north side of the pedestal is taller than the hole and is machined inward suggests a dimensional problem during the initial assembly process; therefore, machining was done to improve the assembly completeness. A feature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pedestal and yoni is the presence of a structure on the top of the pedestal that connects to the yoni opening. Afte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the assembly in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sandprinted scale model was enlarged to five times its original size after 3D scanning, and the 3D model of each layer was aligned based on this. The resulting virtual reassembly of the cella excavation yoni was used as the basis for heritage information modeling. To make the 3D scanning results compatible within the BIM software, the high-resolution polygon mesh was optimized to a low-volume model of 1.8%, and the RMS between the two geometries averaged at 0.1 mm, which was deemed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heritage information modeling. The various attribute information of individual stones were organiz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and six minor categories based on the revised and refined heritage information requirements of Historic England and linked to the shape information. The digital reconstruction of the yoni from the cella interior overcame physical limitations by reassembling in digital environment members that were not directly operable in the field due to secondary damage or weight. It was also possible to realize the original position of individual masonry members, the connections between them, and the overall geometry. The heritage information model of the yoni excavated inside the cella enabled a multi-faceted shape analysis of individual members, and the integration of shape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can aid in systematic management. This recording method can be used as a new method to record individual parts of deconstructed cultural heritage structures.

      • 곰팡이 유래 스왈레닌 유전자의 맥주용 효모에서의 발현

        유승환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Plant cell wall proteins called expansins are thought to disrupt hydrogen bonding between cell wall polysaccharides without hydrolyzing them. The activity of loosening the plant cell wall structure during plant growth is known to exhibit by disrupting hydrogen bonding between cellulose micro-fibrils. A expansin-like protein named swollenin, which is presumed to have similar functions to expansin has an N-terminal fungal type cellulose binding domain connected by a linker region to the expansin like domain. We cloned swollenin from Trichoderma reesei into Saccharomyces cerevisiae. This study aims to express this protein in the yeast. Plant cell wall proteins called expansins are thought to disrupt hydrogen bonding between cell wall polysaccharides without hydrolyzing them. The activity of loosening the plant cell wall structure during plant growth is known to exhibit by disrupting hydrogen bonding between cellulose micro-fibrils. A expansin-like protein named swollenin, which is presumed to have similar functions to expansin has an N-terminal fungal type cellulose binding domain connected by a linker region to the expansin like domain. We cloned swollenin from Trichoderma reesei into Saccharomyces cerevisiae. This study aims to express this protein in the ye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