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융합문명에 부유하는 헤테로토피아

        유승호(Seoungho Ryu) 한국문화사회학회 2015 문화와 사회 Vol.18 No.-

        현대사회를 구조사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김문조의 ‘융합문명론’은 새로운 기술과 미디어가 물적, 정신적, 신체적인 전 분야를 아우르며 최종적으로 사회적 진화를 촉진시킨다는 융합적 테제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융합문명은 그 실현과정에서 기존 사회가 가지고 있던 분화적 특성의 개인주의가 각 영역의 집합체들과 충돌하게 되면서 개인의 자아정체성 상실, 아노미적 소외감과 같은 문제를 불러오고, 궁극적으로 현대사회의 합목적적, 합리적 이성의 문제를 급진적으로 탈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융합문명’ 개념을 중심으로 그 과정에서 발현되는 혼란과 갈등의 근원, 그리고 융합문명의 파고 속에서 인간의 융합적 삶의 실현 가능성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특히, 융합문명의 세계에 존재하는 개인들에게서 어떻게 상호적 이타성이 발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사회학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또한 개인 차원의 각종 혼돈, 불화와 같은 불안의 문제들을 ‘의미화’와 ‘인정론’을 기반으로 살펴보며, 이를 바탕으로 호혜적 인간에서 증여적 인간으로의 진화를 포괄하여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개인은 타인과의 상호성에 따라 공진화하는 사회적 인간으로 격상되어야 하며, 그리고 유동성의 융합문명이 개인의 정체성과 결합되어야 사회와 개인의 지속성이 달성될 수 있다는 점을 헤테로토피아와 연계하여 탐색해보았다. The convergence civilization theory that views the modern society in structural viewpoint is a These of convergence that argues new technology and media comprehends the material, spiritual, and physical fields while promoting social evolution. In this kind of convergence process, the individualism in differentiation collides with assemblies of each field,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problems such as the loss of self-identity, anomic alienation, and ultimately discloses dislocation with flexible and floating capitalism. In this paper, the authentic meaning of the convergent life proposed by Mun-jo Kim will be examined that should spread in this "convergence civilization". Also, this paper focuses on apprehending the nature of the reciprocal altruism and empathy of the communication which are a new standard of individuals" life in the convergence civilization. Subsequently, the advance of the giver beyond the reciprocal human is reviewed based on "recognition" by Honnett around the "meaning of life" in response to catch the elusive problems such as all kinds of disparities and inequality. Finally, the connectivity with heterotopia will be emphasized based on the co-evolutionary relationship following the restoration of identity.

      • AI 로봇과 비인간 역할의 역설

        추미선(Misun Chu),유승호(Seoungho Ryu)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고프만은 사회라는 무대에서 연기자인 개인은 기대되는 역할을 연기하고 자아의 표현도 그 무대에 맞게 요구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개인의 역할은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고프만 이론에는 인간이면서도 인간이 아닌 ‘특별하고 예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인간이 있다. 상호작용에 참여할지라도 연기자나 관객역도 맡지 않는 ‘비인간 non-person 역할’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로봇이 현대사회에서 비인간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펼쳐지는 상황을 고프만의 이론을 기반으로, 그리고 영국드라마〈Humans〉를 사례로 삼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드라마〈Humans〉는 로봇이 인간의 생활에 개입했을 때 생길 수 있는 상황을 보여주는 ‘거대한 사고실험’의 드라마로 인간이 로봇을 대하는 태도에 따라 인간들 간의 갈등, 즉 근대적 인간과 전 근대적 인간의 갈등을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드라마 속에서는 하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로봇을 동경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관점까지 드러남으로써 로봇을 둘러싸고 출현하는 인간 간의 갈등을 세밀하게 보여준다. 또한 로봇이 왜 동경의 대상이 되는지 드라마를 통해 분석하고 4 차 산업혁명시대의 로봇을 둘러싼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출산율은 삶의 질과 비례하는가? OECD 국가의 삶의 질 요인과 출산율의 관계에 관한 추이분석

        김경희 ( Kyunghee Kim ),유승호 ( Seoungho Ryu ),정희태 ( Heetae Chung ),김혜영 ( Hyeyeong Gim ),박형준 ( Heongjoon Park ) 국제지역학회 2018 국제지역연구 Vol.22 No.1

        출산율 제고에 대한 정책적 고민은 OECD국가들의 공통된 관심사일 뿐 아니라 세계 최하위인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 한국의 최대 관심사이기도 하다. 많은 국가 예산을 투입해왔고 출산율 관련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출산율은 계속 감소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출산율 연구에서 다루어져 왔던 출산율에 영향을 주는 세부적 요인들의 영향력 및 효과성 검증과 유럽 선진국가들의 사례를 통한 정책적 접근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출산율과 삶의 질에 관한 거시적이고 구조적 접근을 통해 전체적 흐름을 다시 파악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선진국의 높은 삶의 질은 출산율을 높이는지, 삶의 질과 출산율이 모두 높은 국가 모델은 어느 나라이며 그 나라의 출산에 대한 사회 및 정책적 흐름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OECD국가들의 삶의 질 요인(BLI)와 CIA출산율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삶의 질 수준이 높은 국가 중에도 출산율이 낮은 국가가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삶의 질 수준과 출산율이 모두 높은 국가가 한국이 지향해야 할 국가 모델임을 인지하고 본 연구에서 새로 도출된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뉴질랜드의 사례와 삶의 질 수준은 높지만 출산율이 낮은 독일의 사회적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앞의 세 나라는 양성평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그 결과로 성별에 따른 임금 차이는 낮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독일의 경우는 성별에 따른 임금 불평등이 비교적 더 크게, 출산율은 더 낮게 나타남으로써 양성평등을 위한 인식전환이 출산율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부모-자식 간의 ‘상승관계(synergy)' 에 기초하여 가정 및 노동시장에서 양성평등 의식을 고양하는 것이 정책의 최우선 순위가 되고, 여타의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를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즉 출산율 정책의 우선순위와 인프라적 지원을 동시에 추진하기 위해 국가의 출산율 목표를 ‘임신 가용한 여성의 출산율 제고’에서 ‘국민이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것’으로 재설정하여 행복한 사회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스스로 출산을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Policy concerns related to raising fertility rates are not only common interests among the OECD countries, but they are also issues of great concern to South Korea whose fertility rate is the lowest in the world. The fertility rate in South Korea continues to decline, even though most of the national budget has been spent on measures to address this an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increase in the fertility rate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tailed factors affecting the fertility rate that have been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fertility rates, and to investigate the overall trend toward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and increasing the fertility rate through macroscopic and structural studies under the recognition of problems related to the policy approache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European countries. Toward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if a high quality of life in advanced countries contributes to the increase in the fertility rate, which country serves as a state model that has a high quality of life and a high fertility rate, and what kind of social and policy environment does the country have with regard to childbirth. The analysis of the OECD Better Life Index (BLI) and CIA fertility rate data showed that the countries whose people enjoy a high quality of life do not necessarily have high fertility rates. In addition, under the recognition that a country with a high quality of life and a high birth rate serves as a state model that South Korea should aim for,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Iceland, Ireland, and New Zealand, which turned out to have both a high quality of life and a high fertility rat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Germany, which showed a high quality of life but a low fertility rat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s, the three countries that were mentioned showed higher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therefore, the gender wage gap was small.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s of these countries support various policies that promote both parents sharing the care of their children. In Germany, on the other hand, the gender wage gap was large and the fertility rate was low. In a related move, however, the German government has made active efforts to a paradigm shift toward gender equality. The fertility rate increases when the synergy l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refore, awareness about gender equality should be firmly established both at home and in the labor market.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provide support for the childbirth and rearing environment through appropriate family policies, and exert greater effort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relevant systems rather than simply promoting a system construc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help people in making their own childbearing decisions dur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better society by changing the national goal from ‘raising the fertility rate’ to ‘creating a healthy society made of happy families’.

      • KCI등재SCOPU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영화산업에서의 소비 집중도와 산업의 성장성의 관계: 49개국의 영화 흥행 데이터를 중심으로

        사영준(Sah, Young June),유승호(Ryu, Seoungh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9 문화산업연구 Vol.19 No.2

        영화산업은 흥행하기 시작한 영화가 입소문을 통해 더 큰 흥행을 이루고, 그렇지 못한 영화들은 흥행에 크게 실패하는 고위험 고수익(high-risk high-return)시장으로, 관객의 수요가 일부 영화에 집중되는 수요 집중 현상이 흔히 발생한다. 소비 집중은 산업의 성장을 위한 자연적 현상으로 이해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다양성의 저해와 산업 불안정성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 집중도와 영화산업의 규모 및 성장률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소비 집중이 영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분석을 위해 영화 흥행 데이터를 제공하는 49개 국가에 대해 2002년부터 2017년까지 패널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국가 별, 연도 별 영화 소비 집중도와 영화산업 규모 및 성장률을 산출하여 소비 집중이 영화산업의 성장률과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소수영화에 소비가 집중되는 경우 영화산업의 규모가 증가하였고, 이로 인한 규모의 증가는 이듬 해 산업규모의 축소로 이어져 궁극적으로는 소비 집중이 산업의 불안정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영화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영화들의 다양한 소비와 관객들의 안정적인 취향 개발이 뒷받침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When a few films among hundreds are selected by a majority of moviegoers in movie theaters, the box office revenue concentrates on those mega-hit movies. While consumption concentration is considered as a natural consequence ofmoviegoers maximizing their utility with their budget, those who emphasize the value of cultural diversity argues that movie concentrationmay have negative consequences to themovie industry. Testing these two opposite views on concentration of box office revenue, the current study presents an empirical evidence on how concentration of movie consumotion is associated with the size and growth of the industry. Panel data of box office revenue over 49 countries were collected from Box Office Mojo. Results revealed that the current year’s revenue concentration was not predictive of the market size but previous year’s consumption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Furthermore, the current year’s consumption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growth rate, but the previous year’s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ption concentration may be related to the growth of the movie industry only for a short period. The current study presents empirical evidence showing that the concentration of box office revenues on a fewmoviesmay cause the temporal growth of themovie industry, but the growthmay not persist in following years.

      • 스마트폰 사용자의 해석수준에 따른 스마트폰 자기통제에 관한 연구

        김혜영(HyeYeong Gim),유승호(SeoungHo Ryu)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스마트폰에 대한 자기 통제력은 스마트폰 중독 및 문제적 이용을 극복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으며, 해석수준이론(Construal Level Theory, CLT)에서는 성공적인 자기통제는 해석수준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주장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석수준이론에 근거하여, 개인의 해석수준이 스마트폰 자기통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목표 중요성이 해석수준에 따른 스마트폰 자기통제의 효과를 달라지게 하는가의 문제를 검증하고, 스마트폰 자기통제 연구의 확장으로서 해석수준과 스마트폰 중독 및 성격과의 상관관계도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결과, 상위해석수준으로 조작된 참가자는 하위해석수준을 지닌 참가자보다 스마트폰에 대하여 강한 자기통제를 보였으며, 반면에 하위해석수준 조건의 참가자는 상위해석수준을 지닌 참가자보다 스마트폰에 대하여 약한 자기통제를 보였다. 그러나 목표 중요성과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위해석수준이 하위해 석수준보다 성격에서 높은 호의성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smartphone users’ construal level and smartphone self-control. In particular, we focu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which explains high-contrual level facilitates one"s self-control.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the users" construal level affects smartphone self-control and whether goal importance moderate the effect of construal level and smartphone self-control. We also attempt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construal level, smartphone addiction and personalit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high-contrual level participants showed higher smartphone self-control compared with low construal level participants. There was, however, no influence of goal impor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al level and smartphone self-control. Lastly, high-construal level participants showed higher agreeableness in personality.

      • 시간적 거리감과 사회적 거리감이 온라인 구전 정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이윤진(YunJin Lee),장예빛(YeBeet Jang),유승호(SeoungHo Ryu)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당장 필요한 물건을 구매하려 정보를 탐색할 때와, 미래에 필요한 상품을 구매하려 하려 정보를 탐색 시간의 효과에 따라 구전정보의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매와의 시간적 거리에 따라 소비자의 온라인상의 구전정보 수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해석수준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온라인 구전커뮤니케이션에서 심리학적 측면들이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는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해석수준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구매와의 시간적 거리와 구전정보원과의 사회적 거리가 매칭 될 때 구전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이에 페이스북 친구를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구전 정보원으로, 블로거를 사회적 거리가 먼 정보원천으로 설정하고, 구매와의 시간적 거리와 소비자가 구전 정보원에 느끼는 사회적 거리가 소비자의 정보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페이스북 친구의 정보의 경우 구매와의 시간적 거리가 멀 때보다 가까울 때 정보의 신뢰도가 높았으며, 블로거의 구전정보의 경우 구매와의 시간적 거리에 따라 신뢰도가 달라지지 않았다. 또한 구매와의 시간적 거리가 가까울 때에는 블로거보다 페이스북 친구의 구전정보에 더 신뢰도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적 거리가 멀 때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Decision making can be differed by the time effect, for example, a difference is shown between information seeking for the product you need right away, and information seeking for the product need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 it can be expected that eWOM(electronic word of mouth) would be more effective, when the temporal distance between the purchase matches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eWOM informants. Distinguishing Facebook friends as eWOM informants with a close social distance and bloggers as eWOM informants with a far social distanc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emporal distance between the purchase and th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eWOM sources affect the choice of the consumer.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formation from the Facebook had more effectiveness when the temporal distance between the purchase was close, and the eWOM information from the bloggers had no difference in information credibility according to the temporal distance. Moreover, when the temporal distance between the purchase was close, it showed that the eWOM of Facebook friends had higher credibility than the bloggers , however, when the temporal distance was f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