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학 첫 학기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야기글 쓰기 연구

        유승아 ( Seung-a Yo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6 청람어문교육 Vol.5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취학 첫 학기 초등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전주의 초등학생 265명이 20분 동안 이야기글을 작성하였고, 이러한 ‘쓰기 수행 검사’의 결과는 양적 측면(글자, 어절, 의미 단위, 문장, 철자 오류의 수), 질적 측면(인물, 사건, 배경, 표현)에서 분석하였다. 이 외에도 학생들의 초기 문식성 발달 수준을 확인하고, 이야기글 쓰기 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취학 첫 학기 학생들은 평균 ‘약 93글자, 약 6문장’의 이야기글을 작성하였다. 학생들은 철자 학습 수준에 비해 이야기글을 생성하는 능력은 미숙하였다. 이야기글의 양적, 질적 요인 간에 뚜렷한 상관이 있었고, 초기 문식성 요인과 이야기글의 양적, 질적 요인 간에는 상관이 낮았다. 회귀 분석 결과, 초기 문식성 요인은 이야기글 쓰기 능력에 대해 약 21%의 설명력이 있었다. 학생들이 작성한 이야기글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야기글 구조 발달에 따라 이야기글의 양적 요인이 증가하였다. 또한 이야기 구성 요소가 잘 드러난 글일수록 글의 완성도가 높았다. 이외에도 학생들은 이야기의 특성을 반영한 글을 작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d elementary students’ writing ability and 256 first graders in Seoul and Jeonju wrote story texts for 20 minutes in their first semester. The tex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numbers of syllables, syntactic words, t-units, and sentences) and qualitatively (characters, events, settings, and expressions). Results from a standardized test for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NRI), and a dictation exam were also analyzed to identify developmental levels of early literacy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ability for story texts and the levels of early literacy. The average text length of a story text was 93 syllables and 6 sentences. Students showed relatively low levels of composing ability in comparison with their learning to read and spell. Story texts with a developed structure usually showed high levels in quantitative factors. Various characteristics, including writing styles and opening-ending words, were also identified and discussed to expand understanding about first graders as writers and their story writing.

      • KCI등재

        초등학생의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 발달 연구

        유승아 ( Seung A Yoo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2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이 어떠한지,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은 학년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는지, 독자 인식과 독서 실행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3~6학년 413명을 대상으로 RSPS1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독자 인식 을 알아보고, 이와 함께 독서량, 독서 시간, 선호하는 독서 분야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들의 독자 인식의 평균은 124.53이었으 며, 이를 5점 척도로 환산하면 3.77에 해당하는 점수로 보통 수준의 독자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생들의 독자 인식은 부적으로 발달하는 경향을 보였다. 독자 인식과 독서 실행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높은 수준의 독자 인식을 가진 학생들은 독서량, 독서 시간 등에 있어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며, 정보 텍스트 분야의 도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수준의 독자 인식을 가진 학생들의 경우 높은 수준의 독자 인식을 가진 학생들에 비해 독서량은 많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독서 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긍정적인 독자 인식을 지향할 수 있도록 독서 교육이 설계되고 자신이 지향하는 독자의 모습을 바탕으로 독서 수행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at self-perceptions that elementary students have as readers look like, how their self-perceptions develop as they advance through school, and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 perception and reading practice looks like. Surveys were conducted from 413 elementary students. Reader self-perception is investigated using RSPS1 and reading quantity and reading time are surveyed. The average value of reader perceptions among the students was 124.53, that is, 3.77 on 5-point scale, indicating a normal level of reader percep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 perception and reading practice showed that students who had positive reader perceptions had good amounts of both reading and time spent in reading. Compared to students of higher levels of reader perception, those who had lower levels of reader perception were seen to have less amount of reading tim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reading between the two student groups. Through this study the reading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ensure that students can have positive reader perceptions, and that reading should be practiced based on the images of readers that individual students persue.

      • KCI등재

        초등 저학년의 이야기글 쓰기 발달에 대한 종단 분석

        유승아 ( Yoo Seung-a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8 청람어문교육 Vol.0 No.6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저학년 학생들의 이야기글 쓰기 능력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전주의 초등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3년간(2015, 2016, 2017) 데이터를 수집하고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잠재 성장 모형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저학년 학생들의 이야기글 쓰기 능력의 궤적은 선형 모형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쓰기 능력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초기 쓰기에서 2학년 2학기가 일종의 분기점이 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이야기 쓰기 능력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초기값에는 읽기 태도를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두루 영향을 주었으나 변화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없었다. 셋째, 1학년 때에는 쓰기 유창성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나 3학년으로 갈수록 글의 질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사실을 밝혔다. 본 연구는 종단 설계의 특성상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 필자들의 이야기글 쓰기 능력 발달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ability to write stories. For this, the study collected data for 3 years(2015-2017) with 349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and Jeonju, and analyzed them through Latent Growth curve Model. The results shown through Latent Growth curve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trace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ability to write stories was a linear model, and their writing ability tended to improve over time, Especially, earlier in writing, it was empirically confirmed that the second term of second-year grade is a kind of turning point. Second, when analyzing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write stories, all factors except for reading attitude affected all the initial values, but no factor affected the rate of change. Third, it turned out that writing fluency greatly affects writing ability in first grade, but according to going up to third grade, writing quality greatly affects writing ability. The present study is limiting by the nature of the longitudinal desig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examined the ability development in writing stories by the writers of our country's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생의 쓰기 발달 연구: 학기와 장르에 따른 양적 변화를 중심으로

        이순영 ( Lee Soon Young ),유승아 ( Yoo Seung A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2

        초등학교 1학년은 학령기의 원년으로, 학교 쓰기 교육이 시작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초등 입학 첫 학기 학생들의 쓰기 능력은 취학 전 학습의 차이로 인해 개인차가 크다. 또한 학교 학습이 진행되면서 불과 한 학기 만에 큰 변화를 보이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이러한 취학 첫 해학생들의 쓰기 발달 실태를 밝히고 그 변화를 추적한 연구는 희소한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1학년 학생들의 글 884편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쓰기 능력이 학기별로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하고 발달상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학생글은 학기(1, 2학기)와 장르(설명글, 이야기글)에 따라 1)글의 양적인 수치 변화, 2) 글의 질적인 수치 변화, 3) 쓰기 능력 집단의 구성과 이동 양상, 4)성별 측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학년 학생들의 학기별, 장르별 쓰기 발달의 기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쓰기 발달의 기본 지표인 글자 수는 학기별로 설명글은 54에서 102글자로, 이야기글은 104에서 165글자로 증가하였다. 오류 글자의 비율은 1학기 때 5%, 2학기에는 3.4% 미만의 수준이었다. 글의 분량은 1학기 대비 2학기 때 2배가량 증가하여 쓰기 유창성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질적인 변화폭은 작았고, 장르와 평가 영역에 따라 다양한 양상이 나타났다. 이외에도 전체 학생 중 35∼40%는 학기에 따라 쓰기 수준(상·중·하)에 변화가 있어 이동 양상을 추적할 수 있었고, 2학기 때는 중 수준에 많은 학생들이 몰려있는 양상이 완화되면서 수준의 분화가 나타났다. 남녀 성차는 학기 중에는 1학기 때, 장르 중에는 이야기글에서 더 뚜렷했고, 하 수준에 남학생의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취학 첫 해 학기 단위로 우리 학생들의 쓰기 발달 실태를 밝힘으로써, 학교 쓰기 교육의 지표를 마련하고 쓰기 교육의 내용과 수준을 적정화 하는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884 writing samples, expository texts & fictional stories, written by 221 first graders in their first and second semester. Data was gather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a middle-sized city in Jeollabuk-do. First grad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offered the same writing tasks and wrote two types of writing, expository texts and fictional sotries, in each semester. Students` writing samples were collected in June and November, 2015. Data analyses and interpretations were conducted focusing on four points; quantity(numbers of syllables, t-units, and sentences), quality(contents, organizations, and expressions for expository texts, characters, events, settings, and expressions for fictional stories, and total scores for each genre), level groups by writing scores, and gender. This study first found out various quantitative information for writing fluency and accuracy based on the numbers of syllables, sentences, and spelling errors written by 20 minutes. The amount of writing(number of syllables and sentences) in both genres was rapidly increased in the second semester. However, changes in the quality of writings were very limited compared 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fluency in two semesters. Most of first graders simply listed words or sentences and failed to organize/construct the contents. In addition, over 35∼40% of students changed their levels of writing in two semesters. Gender differences were broadly identified in students` writing performances. Especially the ratio of male to female students were critically high among underachievers. Based on these fingings, some idea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 저학년 필자의 텍스트 조직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유승아 ( Yoo Seung-a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4 No.-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 학생들의 텍스트 조직 능력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그리고 학생 글에 나타난 조직의 특성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도 당시 초등 1학년이었던 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이 학생들이 3학년이 될 때까지 매해 생성한 설명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년별 조직 영역 점수의 평균은 1학년(1.57점), 2학년(2.20점), 3학년(2.95점)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텍스트 조직 영역의 점수 차이는 1학년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쓰기 능력 수준별 텍스트 조직 능력의 차이는 세 학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한편 학생글의 텍스트 구조 유형을 분석한 결과 1, 2, 3학년 모두 ‘고정 주제(fixed-topic)’ 유형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정의’와 ‘묘사’의 내용 전개 방식을 활용하여 설명문을 생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글 조직에 대한 지도가 초등 중·고학년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저학년 때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쓰기 능력 수준별 유의하게 나타나는 조직 능력의 개인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를 촉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ext organizing skills of lower grad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develop and w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ing skills observed students’ writing is. This longitudinal study analyzed information texts made by 214 students who enrolled in 2015 for three years (2015 - 2017). The results show that mean scores of organiza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 were 1.57, 2.20, and 2.95 respectively. There was on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organization by gender in the first grade. Organizing skill by the level of writ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grades. Regarding the result of the types of text structure, fixed-topic type is the most frequent type of text structure and almost students wrote the informational text by using “definition” and “description” as a developing methods of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ystematic instruction in text organization should be conducted for lower grades students rather than only for middle or high grad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 follow-up study for minimizing the gap of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organizing skill by the level of writing ability.

      • SCOPUSKCI등재

        기체의 성질에 대한 중·고등 학생들의 오개념에 관한 연구

        유승아,구인선,김봉곤,강대호,Yoo, Seung A,Koo, In Sun,Kim, Bong Gon,Kang, Dae Ho 대한화학회 1999 대한화학회지 Vol.43 No.5

        본 연구는 학생들이 갖고 있는 입자개념과 분자운동에 관한 개념을 바탕으로 기체의 상태변화, 분자운동, 압력과 부피, 기체법칙 등 기체의 성질과 관련된 중${\cdot}$고등학생들의 오개념을 조사하고, 그 오개념의 분포상황을 고찰함으로서 개념 학습의 효율화를 추구하고, 교사에게는 관련 단원의 학습 전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1O0명, 고등학교 2학년 150명을 대상으로 기체의 성질과 관련된 개념조사 문항지를 개발하여 오개념의 유형을 조사하엿다. 그 결과 학생들은 기체의 성질에 대한 다양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주 오개념은 다음과 같다.(1) '기체 분자들끼리 부딪혀 에너지를 방츨한다' 또는 '기체 분자들 사이에 공기가 채워져 압력이 나타난다'를 비롯하여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중력 방향과 관련 있다', (2) 온도에 따른 부피변화에서 '분자가 열을 받으면 분자의 크기가 커져 부피가 증가한다'와 '분자수가 증가해 분자들의 운동이 활발하다', (3) 고도에 따른 압력과 부피 개념에서는 지상에서 높이 을라감에 따라 압력이 낮아지는 것은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와 '기체 분자의 압력은 기체분자의 충돌 수에 반비례한다', (4) '분자의 크기가 다르므로 같은 부피에 존재하는 분자수가 다르다' 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an improvement of conceptional learning about the properties of gas based on molecular kinetic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o help an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for reducing misconceptions regarding the molecular kinetics in gas phase for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00 students of 9th grade and 150 students of 11th grad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had various misconceptions about the properties of gas. The major misconcep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energy is released due to the collision of the molecules, and also the direction of action of pressure i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gravity. Second, as molecule is heated, the size of molecule is increased, and the molecule is more active because the number of moIecules is increased. Third, the pressure is reduced because of decreasing the temperature at the higher altitude and the pressure of gas molecuIes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llision number of gas molecules. Forth, the numbers of molecules of two different molecules in two same containers differ because the size of molecules differ each o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se problems ought to be addressed in chemistry textbooks and in the classroom teaching of chemistry. If teachers are more aware of students' misconceptions they wilI be better able to remove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