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sociation between Allergic Diseases and the Number of Persons per Household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유승아,도지윤,유은희,김영호,한경도,이지현 대한피부과학회 2023 대한피부과학회지 Vol.61 No.2

        Background: Atopic dermatitis (AD) and asthma are chronic allergic diseases that affect quality of life. Objective: In this study, we analyze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llergic diseases and number of household members living withthe patient.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0,893 participants >19 years of age from the KNHANES (2010∼2013). Multiple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odds ratio (OR) for presence of AD or asthma accordingto number of household members. Results: The OR of allergic diseases including AD and/or asthma increased a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decreased in the age <40 group after adjustments for age, sex, smoking status, drinking status, regular physicalactivity,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nd stress level (1 member: adjusted OR [aOR]=2.019, 95% confidenceinterval [CI]=1.256∼3.245; 2 or 3 members: aOR=1.3, 95% CI=1.031∼1.64; ≥4 members: reference). And thosewith an allergic disease were less likely to have a spouse and had a higher stress level compared to those without. Conclusion: Based on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urvey,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of householdmember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ates of AD and asthma.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tended to behigher in households with fewer members.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국어 교과서 사용에 대한 인식과 실제

        유승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새국어교육 Vol.0 No.10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use and its practice.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114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classroom practices of two focused teachers, whose perception levels of textbook use were different each other, were observed. On the bases of study find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level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use and its actual use was patternized, and the variables impacting on textbook use patterns were divided into teachers’ inner-and outer variables, then its influences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extbook use and their practice types were classified into four patterns.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variables impacting on the perceptions of textbook use and the practice showed that learning objectives in classroom, students’ interest and its level, and the assessments were impacting elements. These results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pursuing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 use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국어 교과서 사용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과 교과서 사용의 실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교과서 사용에 대한 인식 수준이 다른 초점 교사 2인의 실제 수업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교사들의 국어 교과서 사용에 대한 인식 수준과 실제 사용의 관계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국어 교과서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교사 내적 변인, 교사 외적 변인으로 나누어 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국어 교과서 사용에 대한 인식과 실제 사용 양상은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교사들의 교과서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교사 내적 변인으로는 ‘국어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견해’, ‘수업 학습목표에 대한 고려’가 교사 외적 변인으로는 ‘학생의 흥미 및 수준’, ‘평가’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국어 교과서 사용에 대한 지원 방향을 모색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 SCOPUSKCI등재

        기체의 성질에 대한 중·고등 학생들의 오개념에 관한 연구

        유승아,구인선,김봉곤,강대호,Yoo, Seung A,Koo, In Sun,Kim, Bong Gon,Kang, Dae Ho 대한화학회 1999 대한화학회지 Vol.43 No.5

        본 연구는 학생들이 갖고 있는 입자개념과 분자운동에 관한 개념을 바탕으로 기체의 상태변화, 분자운동, 압력과 부피, 기체법칙 등 기체의 성질과 관련된 중${\cdot}$고등학생들의 오개념을 조사하고, 그 오개념의 분포상황을 고찰함으로서 개념 학습의 효율화를 추구하고, 교사에게는 관련 단원의 학습 전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1O0명, 고등학교 2학년 150명을 대상으로 기체의 성질과 관련된 개념조사 문항지를 개발하여 오개념의 유형을 조사하엿다. 그 결과 학생들은 기체의 성질에 대한 다양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주 오개념은 다음과 같다.(1) '기체 분자들끼리 부딪혀 에너지를 방츨한다' 또는 '기체 분자들 사이에 공기가 채워져 압력이 나타난다'를 비롯하여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중력 방향과 관련 있다', (2) 온도에 따른 부피변화에서 '분자가 열을 받으면 분자의 크기가 커져 부피가 증가한다'와 '분자수가 증가해 분자들의 운동이 활발하다', (3) 고도에 따른 압력과 부피 개념에서는 지상에서 높이 을라감에 따라 압력이 낮아지는 것은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와 '기체 분자의 압력은 기체분자의 충돌 수에 반비례한다', (4) '분자의 크기가 다르므로 같은 부피에 존재하는 분자수가 다르다' 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an improvement of conceptional learning about the properties of gas based on molecular kinetic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o help an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for reducing misconceptions regarding the molecular kinetics in gas phase for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00 students of 9th grade and 150 students of 11th grad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had various misconceptions about the properties of gas. The major misconcep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energy is released due to the collision of the molecules, and also the direction of action of pressure i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gravity. Second, as molecule is heated, the size of molecule is increased, and the molecule is more active because the number of moIecules is increased. Third, the pressure is reduced because of decreasing the temperature at the higher altitude and the pressure of gas molecuIes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llision number of gas molecules. Forth, the numbers of molecules of two different molecules in two same containers differ because the size of molecules differ each o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se problems ought to be addressed in chemistry textbooks and in the classroom teaching of chemistry. If teachers are more aware of students' misconceptions they wilI be better able to remove them.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쓰기 활동에 나타난 글과 그림의 의미 구성 양상

        유승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4 No.-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글과 그림을 활용하여 작성한 복합양식 텍스트를대상으로 학생들의 복합양식 문식성 실천양상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글(문자기호)과 그림(시각적 기호)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이 두 기호 체계를 어떻게 결합하여 의미를 구성하는지를 학생들의 학년 발달에 따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담임교사의 협조 아래, 초등학교 1, 3, 5학년 총 93명의 학생들이작성한 복합양식 텍스트와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복합양식 텍스트의미 구성에 있어서 글과 그림의 관계를 ‘대칭’, ‘상호보완(부연과 보충)’, ‘그림 없음’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1학년에서는 ‘대칭’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3학년에서는 ‘대칭’과 ‘상호보완’, 5학년에서는 ‘상호보완’과 ‘그림 없음’의 비율이 높게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복합양식 텍스트를 작성하는 이유가 학생들의 문식성 발달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문식성 지도가 어느 한 시점에서만 단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을 능동적인 의미 구성자로 길러주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ltimodal literacy implementation ofmultimodal texts composed of writings and drawings by elementary schoolstudents. It also examines how they recognize roles of writings (letter sign) anddrawings (visual sign) construct their meanings by qualitatively combining thesetwo sign systems, according to students’ developments. In this regard, the multimodal texts produced by a total of 93 students in 1st,3rd and 5th grades are analyzed, and materials of interviews with students andmaterials of interviews with class teachers, conducted by them are used in theanalysis. Therefore, relationships between writings and drawings can becategorized into ‘symmetry’, ‘enhancing and complementary (amplifying andcomplement)’ and ‘no drawings’ in the multimodal text meaning construction. Itcan be observed that while the ratio of ‘symmetry’ is higher for 1st students,‘symmetry’ and ‘enhancing and complementary’ for 3rd students and those of‘enhancing and complementary’ and ‘no drawings’ for 5th students are increased. In addition, the reasons that multimodal texts are produced are varied,depending on literary developments of students.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train studentsto be positive meaning constructors by conducting multimodal literary instructionnot for the short term at a certain time, but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 KCI등재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설명글과 이야기글 쓰기 양상 연구

        유승아,이순영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2 No.-

        This study collected 566 text samples written by 299 4th graders and analyzed their writing abilities focusing on quantity, quality, genders, and levels of writing. On average they produced 441 letters (expository) and 614 letters (story) in a text, and the number of sentences was 18.5 (expository) and 31.6 (story). These fourth graders showed an improvement in the length and accuracy in their writing compared to when they were lower graders. The pace of improvement, however, slowed significantly once they became fourth grade. From some characteristics of these fourth graders it could be said that they were entering a stage of ‘the text creation at the level of paragraphs and discourse.’ But their sentence structure was still simple, and the organization of writing was poor. In addition, both explanatory and story texts showe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and the gap between writing levels (especially between upper and lower groups) was also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ctualization of writing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by providing empirical data on writing abilities of fourth grade students. 초등의 쓰기 교육은 표준적 글자 쓰기와 전사 능력의 습득을 강조하다가 점차 텍스트의 생성과 조직 능력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초등학교 4학년은 문식성이 비약적으로 발달하고 교과 학습 내용이 고도화 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299명의 초등학교 4학년생이 작성한 566편(설명글 282편, 이야기글 284편)의 글을 수집하여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분석하였다. 4학년생은 20분 동안 평균 441글자(설명글)와 614글자(이야기글) 분량의 글을 작성하였고, 문장 수는 18.5개(설명글)와 31.6개(이야기글)였다. 초등 저학년에 이어 단위 시간 동안 생성한 글의 분량(쓰기 유창성)은 매년 증가하였으나 4학년에 이르러 그 증가폭이 크게 둔화되었다. 4학년생은 전사 기능 확보와 같은 기초 쓰기 단계를 넘어서서 ‘문단·담화 수준의 텍스트 생성’ 단계에 진입한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아직 문장의 구조가 단순하고, 글의 조직이나 사건 구성 능력이 미숙했다. 이외에도 설명글과 이야기글 모두 여학생의 성취가 남학생보다 높은 성차가 나타났으며, 쓰기 수준별(특히 상·하 집단의)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특성도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 고학년의 진입기이자 학습을 위한 문식성을 요구 받는 4학년 학생들의 실제 쓰기 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교의 쓰기 교육 교육과정을 실제화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독자의 그림책에 대한 흥미 비교 연구

        유승아,김해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8 No.-

        Child readers’ interests in reading take up huge significance. This study looked into how differently readers at elementary school would be interested in picture books depending on their grades at school. Results of the research confirmed that developments of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have effects on how and why the students become interested in picture books. When the students are in lower grades, they get interested in these fragmentary events in texts, or the students are attracted to the picture books when they can finally identify themselves with characters in the texts. On the other hand, as the students advance into higher grades, they show their interests based on how much they understand narrative texts. The study also learned that the students find the picture books interesting when they look at characters from objective angles comparing their own experiences with these of the characters. Add to that, the study noticed that the students in the higher grades also get interested in the picture book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n narrations presented in pictures or on contrasting expressions between texts and pictures. W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implies that reading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these interest factors subject to change with the developments of the students. In addition, the study argues for the necessity of a follow-up research to investigate text-based interest factors. Moreover, despite such significance of interests, the actual field of reading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cares less about the interest factors of the students. In the light of that, this study demands that a systematic design of reading education to consider the interest factors which would change along with the students’ developments be conducted. 아동 독자의 독서에 흥미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초등독자의 그림책에 대한 흥미가 학년에 따라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의 발달에 따라 그림책에 대해 보이는 흥미의 양상과 이유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 저학년 때에는 텍스트 속 단편적인사건 자체에 대해 흥미를 느끼거나 텍스트 인물과 독자 자신을 동일시 할 수 있을때 흥미가 나타나고 있었다. 반면에 고학년으로 진입할수록 학생들은 텍스트 서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흥미를 보이고 있었으며, 텍스트 속 인물을 객관적으로바라보면서 독자 자신의 경험과의 비교를 통해 흥미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고학년 학생들은 그림에 담겨 있는 서사나 글과 그림의 대조적 표현에 대한 이해를바탕으로 그림책에 대한 흥미가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생들의 발달에 따라 변화하는 흥미 요인을 고려한 독서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텍스트 기반 흥미 요인을 면밀히 살펴보는 후속연구를 고취할 필요가 있다. 흥미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독서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흥미 요인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따라서 학생들의 발달에 따라 변화하는 흥미 요인을 고려한 체계적인 독서교육의 설계를 촉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