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벤트라시 석비』 - 위작 역사기술 및 신화학적 분석 -

        유성환 ( Yoo Sung-hwa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7 서양고대사연구 Vol.48 No.-

        『벤트라시 석비』는 테베의 콘수 신관(들)이 창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위서이다. 위서란 과거의 사건과 기록의 권위를 바탕으로 해당 텍스트의 위상을 높이고자 하는 고대 이집트인들의 문학적 시도로 정의내릴 수 있다. 『벤트라시 석비』에는 람세스 2세의 왕비 혹은 딸 등 역사상 실존 인물들을 모델로 한 가공의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이를 통해 석비를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후기 왕조 시대의 신관들이 람세스 2세 치세의 역사적 정황이나 사건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이 과거의 역사에 대한 비교적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위서를 창작했다는 점은 위서가 창작자의 의도하고자 한 결과를 실현시키는 데 상당한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중요한 저술 활동의 일부였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이야기의 배경은 이집트의 황금기 중 하나로 여겨졌던 람세스 2세 재위기로 설정되어 있으며 강력한 왕-제사장이 악령으로 인해 병에 걸린 속국 베크텐의 공주 벤트라시를 위해 치유의 권능을 가진 테베의 콘수, 섭리의 주관자를 파견하여 질병(귀신들림)을 치유한다는 것이 석비에 새겨진 이야기의 줄거리이다. 신관들은 이집트가 전성기를 구가하던 시기를 이야기의 배경으로 설정함으로써 이집트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한편, 당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던 어린이 신 중 하나인 콘수, 특히 테베의 콘수, 섭리의 주관자의 신격을 높이고자 했다. 신왕국 시대 테베의 삼신계의 일원으로 편입된 콘수는 달의 신으로서 다양한 신격을 보유하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신비한 치유의 권능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치유의 권능은 의학/주술과 관련한 지식, 지혜, 기예 등을 통해 치유의 권능을 행사하는 토트와는 차별화된다. 호루스를 비롯한 다른 어린이 신과 마찬가지로 콘수 역시 다양한 신격이 분화하여 이들이 독자적인 신들로 발전하는데 『벤트라시 석비』에는 이들 중 콘수 네페르호텝과 콘수, 섭리의 주관자가 등장한다. 흥미로운 사실은 동일한 신에서 분화된 신들 사이에도 위계가 존재했다는 사실이다. 석비에서는 테베의 콘수네페르호텝이 테베의 콘수, 섭리의 주관자보다 더 높은 신격과 지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콘수, 섭리의 주관자는 콘수의 여러 신격 중 앞서 언급한 신비한 치유의 권능을 체현한 것으로 보인다. The Bentresh Stela is an ancient Egyptian example of pseudo-historiography supposedly composed by a priest or priests of Thebes. Pseudo-historiography can be defined as a literary document aimed at enhancing its credibility by including historical elements that usually do not correspond to actual historical events or stand in stark contrast with current and/or later historical recordings. The fact that the characters depicted in the Stela have many things in common with historical figures such as the queen and a daughter of Ramesses II reveals that the Theban priest(s) who made up the story of the Bentresh Stela must have been well versed in the history of Ramesses II (1290-1224 BCE) during the late New Kingdom period. It also indicates that the genre of pseudo-historiography was assumed to be very effective among ancient Egyptians in the enhancement of a literary work's status and credibility to current and later readers. The Bentresh Stela records the most famous account of Khonsu's miraculous cure, describing in detail how a statue of Khonsu was sent by the powerful king of Egypt in order to help a foreign princess who was possessed by a spirit. As a healing deity, Khonsu’s power to expel evil spirits and cure patients gained importance in the course of time and his popularity as a healing deity increased substantially in the Late Period (712-332 BCE). His fame as an effective healing god continued into the Ptolemaic Period (332-30 BCE) and Ptolemy IV Philadelphus (221-205 BCE) was healed of an unknown illness through an intervention by Khonsu. Khonsu himself was regarded as a violent and bloodthirsty deity, so it was believed that he could also ward off threats from evil ones. Given that exorcism is a religious practice of casting out shadowy spiritual entities from a possessed person or place through the command or presence of a more powerful being, Khonsu’s ability to conduct a miraculous cure through exorcism points to his aspect as a god of light who drives the dark force with his divine brilliance. Like Harpocrates, or Horus the Child, Khonsu also carried the epithet “the child” in the later New Kingdom. The fundamental aspects of Khonsu as the child deity appear to stem from his status as the moon god. In this regard, he was imagined as the perpetually rejuvenating moon in the cosmic sphere. In his aspect as a youthful god of light, Khonsu became the child of Amun and Mut in Thebes, obtaining his status as a popular protective deity mostly sought out by the deceased and the living to mediate between the divine and the human.

      • KCI등재

        이집트에서의 “영웅”의 탄생과 성장 어린이 신 호루스의 탄생 및 성장 신화를 중심으로

        유성환 ( Yoo Sung Hwan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종교와 문화 Vol.0 No.34

        This paper focuses on the mythology of Horus that offers a rare glimpse on the birth and growth of a hero in ancient Egypt, which happens to be a civilization that notably lacks stories of heroes. For this, the aspects of Horus will be reviewed through three important stages of the deity's childhood: (1) the posthumous conception and birth of Horus; (2) Horus as an infant-child who was born and hidden after his birth by his mother-goddess in the papyrus thicket of Akhbit (so called, the Chemmis Motif); and (3) Horus as a youth who has grown strong enough to wrest the kingship of Egypt from Seth. When he belongs to the cycle of the Osiris myth, Horus is usually mentioned as the son of Isis. In this role, Horus is known as Harsiese, which literally means, Horus Son of Isis. In the cycle of the Osirian myth, Harsiese is born, nurtured, protected and raised by his devoted mother-goddess Isis who conceived him after the murder of her husband Osiris by his brother Seth. Later he grows up to avenge his father Osiris and takes his place as a legitimate ruler of Egypt. Even though the birth and growth of Horus seems to follow the pattern of a typical hero stor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ity's childhood story fits well with the cyclical concept of time held by the ancient Egyptians, which can be attested by the fact that, as is the case with the sun-child, the Horus child plays an important role on each of the cosmic, kingship and funerary levels. On the cosmic level, the Horus child symbolizes the renewal of the cosmos (as a third member of the divine triad, which represents the future generation). On the kingship level, the whole drama about the childhood of Horus from birth to coronation provides a mythic basis for legitimizing the kingship Moreover, the birth of the divine child also guarantees the continuity of life and the dynastic rule through the succession of generations. On the mortuary level, a transition between two successive generations represents the dynamic transformation from father to son, from death to life. Therefore, the deceased identified themselves with Osiris so that they might follow the mythic precedent of his salvation from death through vengeance and justification by his dutiful son.

      • KCI등재

        멤피스 창세신화 - 발화를 통한 창조행위의 비교종교학적 의미 -

        유성환 ( Yoo Sung Hwan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6 종교와 문화 Vol.0 No.31

        『멤피스 창세신화』는 고대로부터 전승된 이집트의 종교 문서 중 가장 심오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그러나 『멤피스창세신화』는 이집트의 종교를 다룬 여러 문서를 통해 단편적으로만 소개된 것이 사실이다. 이집트로부터 전승된 창세신화 중 『헤르모폴리스 창세신화』는 창조이전의 상황에 초점을 두고 태초의 대양이 보유한 본질적인 속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이집트의 가장 기본적인 창세신화라 할 수 있는 『헬리오폴리스 창세신화』는 태초의 대양을 배경으로 창조주이자 원발자인 아툼이 자신의 몸을 발현하여 우주를 창조하는 창조과정을 기술하는데 여기서 아툼은 자위 혹은 체액 방출과 같은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우주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신들과 다른 모든 대상을 창조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두 창세신화보다 비교적 후대에 창작된 『멤피스 창세신화』는 기존창세신화에 제시된 구조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멤피스의 주신 프타의 창조행위를 설명하는데 이 창세신화에 따르면 프타는 태초의 대양과 동일한 신격을 보유한 창조주로서 아툼에 선행하며 창조과정 역시 심장을 통한 창조적 인식과 혀로 대표되는 조음기관을 통한 창조적 발화가 핵심을 이룬다. 『멤피스 창세신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이원론적인 창조과정이다. 요컨대 창조주의 창조행위를 통해 현상계에 발현되는 모든 개별자에 대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성한 말씀” 혹은 “성각문자”가 동시에 창조되는데 따라서 창조행위를 통해 창조된 모든 개별자는 창조주가 원래 의도했던 창조적 인식의 형상, 즉 완벽한 이미지로서의 “성각문자”에 기인한다. 프타를 인식과 발화를 통해 모든 것을 창조한 창조주로 상정한 『멤피스 창세신화』는 향후 그리스 철학에 등장하는 신성한 데미우르고스와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의 “말씀” = “로고스” 개념에도 영향을 미쳤다. 『멤피스 창세신화』에 따르면 “성각문자”는 그리스 철학의 에이도스와 조응하며 따라서 고대 이집트인들이 가지고 있던 사물과 완벽한 기호 간의 관계는 그리스의 이원론 개념이 독자적인 신화를 통해 표현된 탁월한 지적 성취로 평가 받을 만하다. There were a number of creation myths in ancient Egypt. The Hermopolitan Theology, which is one of those myths, focuses on the conditions before creation. Ancient Egyptians believed that the Primeval Ocean existed before creation, which was composed of four elements such as Wateriness, Infinity, Darkness and Lostness. According to the Heliopolitan Theology, which was the most dominant and widely accepted creation myth, the god Atum created the world through masturbation or the ejaculation of his body fluid and ruled the created world as the creator god/divine king. As such, the Heliopolitan Theology is not only the cosmogony that explains the creation of the world but also the “cratogony” that shows how the divine kingship was transferred from the divine domain to the human sphere. In comparison with the two aforementioned creation mythos, the Memphite Theology was composed in the later period and relat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tah and Atum. In this creation myth, Ptah is the creator of all other deities and equated with the Hermopolitan Ogdoad. The Memphite Theology places Ptah on the top of the Heliopolitan Ennead in order to establish his primacy in the Egyptian pantheon. The so-called “mythological reversal” is based on the political intention of the Twenty-Fifth Dynasty that sought to justify their rule by designating Memphis that was the capital of Old Kingdom as their new power base. However, the active intellectual movements witnessed during New Kingdom also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the new idea such as the Memphite Theology. The Memphite Theology describes Ptah as a creator god that uses the heart that is the seat of the Divine Perception (“Sia”) and the tongue that represents the Divine Annunciation (“Hu”). Then the creation myth moves on to Atum and his Ennead of the Heliopolitan Theology. In this regard, the Memphite Theology makes it clear that Atum`s “seed” and “hand” are in fact Ptah`s “teeth” and “lips” and that, unlike Atum who uses the physical means for the creation for world, Ptah uses teeth and lips to use the power of the creative speech. The creation myth stresses that the heart and the organs involved with the divine speech have the creative power and explains that what has been perceived by sensory organs are reported to the heart, which then generates knowledge with the information reported by them and delivers commands through the tongue. The next is the various aspects of the cosmos created by Ptah.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 Memphite Theology equates the creation of everything with the creation of hieroglyphs, which also means the divine speech. The hieroglyphic writing has a dual nature as they are images of things in the real world and representations of idea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creation account signifies that everything that was created is itself a kind of hieroglyph of the creator`s original concept. Identifying Ptah as a creator god that made everything happen through perception and annunciation is a remarkable intellectual achievement that predates the notion of demiurge in Greek philosophy more than five hundred years earlier and this also influenced the concept of Word (Logos) in Christian philosophy.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that Ptah created everything and every hieroglyphic signs at the same time. If hieroglyphic signs can refer to all of the concepts and things in the real world, the world can be divided into ideal images and its infinite copies and this reminds us of Plato`s dualism. According to the Memphite Theology, the hieroglyphic writing corresponds to “eidos” in Greek philosophy and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s and things in ancient Egyptian world can be considered as another ancient version of the Greek dualism.

      • KCI등재

        아마르나 시대 예술에 투영된 시간관 ― “베를린 석비”에 묘사된 왕실 가족의 정경을 중심으로

        유성환 ( Yoo Sung Hwa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4

        신왕국 시대의 파라오 아멘호텝 4세는 즉위 후 급진적인 종교개혁을 단행하였으며 이와 같은 종교개혁은 이집트 예술을 비롯한 문화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파급효과를 가져왔다. 자신이 주도한 종교개혁 과정에서 아멘호텝 4세는 이집트 다신교 체제에서 비교적 뒤늦게 등장한 아텐을 숭배하였으며 아텐은 당시 조형예술에서 사람의 손이 달린 태양광선을 방사하는 태양원반으로 표상되었다. 이후 아멘호텝 4세는 아텐 신앙을 중심으로 한 종교개혁을 보다 강도 높게 실현하기 위해 수도를 중부 이집트로 이전하였으며 천도 후 자신의 이름을 아켄아텐으로 바꾸었다. 재위 11년 무렵 아켄아텐은 아텐을 유일신으로 격상시키는 한편, 신왕국 시대의 국가신이었던 아문을 비롯한 다른 신들의 숭배를 금지하고 이들을 모신 신전을 폐쇄하고 신관단을 해체시켰다. 과거의 전통을 부정하는 급진적인 종교개혁의 여파로 “영원한 동일성”(Dt)과 “영원한 반복성”(nHH)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했던 기존의 시간관에도 변화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두 개의 대극되는 개념을 중심으로 한 시간 혹은 영원에 대한 개념 대신 정체(wnn)로 대변되는 “영원한 동일성”보다 변화(xpr)로 대변되는 “영원한 반복성”을 중시하는 “지금-여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이는 추상적이고 신비한 신화적우주관보다는 감각, 특히 시각에 의해 파악 가능한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한 현실을 묘사하고자 하는 예술의지로 이어졌다. 이와 함께 조형예술의 생산을 담당했던 장인들의 초점 역시 시간의 작용이 배제된 이상적인 모습만을 구현하고자 했던 과거의 예술양식에서 “지금-여기”에서 관찰, 확인 가능한 구체적인 대상을 세밀하게 묘사하는 쪽으로 바뀌었다. 시간관과 우주관의 변화로 인해 아켄아텐의 종교개혁 시기, 즉 아마르나 시대의 예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 첫째,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없고, 기도 등을 통해 접근할 수도 없었던 아텐 신과 당시 이집트 일반인들 사이의 유일한 매개자였던 아켄아텐과 왕비 네페르티티를 비롯한 그의 가족 ― 즉, 성가족이 조형예술의 가장 중요한 주제로 부상했다. 이는 다른 신들의 이름과 형상을 새기는 것이 금지되었던 당시 종교개혁의 여파에 따른 것이기도 하며 동시에 개인 신앙의 확산에 따라 파라오와 신관을 거치지 않고 신과의 직접 접촉을 추구했던 새로운 경향을 차단함으로써 종교에 대한 왕실 독점을 추진했던 아켄아텐의 정책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둘째, 신성한 왕권의 상징적이고 전형적인 면모는 아켄아텐과 그의 가족이 아텐의 태양광선 아래 매일 취했던 실제적인 행동, 즉 왕권의 실제성에 대한 자연스러운 묘사로 대체되었다. 셋째, 아텐에 의해 구현된 공간 속의 모든 인물과 사물을 2차원의 한계 속에서도 최대한 사실적으로 묘사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아마르나 시대의 예술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베를린 석비”를 그 구체적인 실례로 선택한 후 이와 유사한 모티프를 가진 당대의 다른 조형예술 작품과 상호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이들 석비와 분묘의 부조들은 생생한 동작의 묘사, 미세한 움직임에 대한 관심과 표현, 신성이 매순간 구현되는 “지금-현재”에 대한 집착, 가시성과 세부묘사에 대한 강조 등 아마르나 시대의 독특한 예술양식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준다. After his ascension to the throne, Amenhotep IV embarked on a series of radical changes in art and religion. From the beginning of his reign, Amenhotep IV founded new temples to the Aten, a relatively new deity in Egyptian history, represented with the sun-disk (but, in essence, the radiant light of the sun instead of the physical disk) and built a new capital city in Middle Egypt to further the cult of the Aten. Soon after the foundation of the capital, he changed his name to Akhenaten and promoted the Aten as the sole deity of his religion. In the regnal year of eleven, he began to proscribe other older gods, especially the former state god Amun, throughout Egypt. Along with the dramatic departures with the past during his reign, the traditional concept of time, traditionally represented with two opposing but complementary concepts of Eternal Sameness and Eternal Recurrence, also underwent revisions and modifications. As a result, (1) the emphasis was shifted from the eternity (Dt + nHH) to the concept of here-and-now with a notable preponderance of Change (xpr) and the Eternal Recurrence (nHH) over Stasis (wnn) and the Eternal Sameness (Dt); (2) the abstract mystery of mythology as an intelligible reality was superseded by the physical reality of everyday life; and (3) artists, freed from the timeless and idealized artistic style of the past, began to pay more attention to detailing of the visual reality and the concept of here-and-now. Along with this changed temporal concept and worldview, the Amarna art demonstrates distinguished feature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imary focus on Akhenaten and his royal family that, as the Holy Family, stood between the invisible deity and their people; (2) prolific expression of immediacy and emotion to express the actuality of words and deeds of Akhenaten and his family; and (3) the three-dimensional treatment of space even on a two-dimensional surface. In order to observe the prominent features of the Amarna art, the Berlin Stela of the Royal Family is used in the paper as a primary example in addition to other closely related stelae and tomb reliefs because it employs a number of innovative artistic devices and shows the unique traits of the Amarna period, such as the lively expression of gestures, keen interest in movements, preoccupation of the present (as the time of the epiphany), and an unrelenting emphasis on visibility and frivolous details.

      • KCI등재

        외국인에 대한 이집트인들의 두 시선 - 고왕국 시대에서 신왕국 시대까지 창작된 이집트 문학작품 속의 외국 과 외국인에 대한 묘사를 중심으로

        유성환 ( Yoo Sung-hwa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3 서양고대사연구 Vol.34 No.-

        고대 이집트인들은 주변의 외국인에 대해 항상 양가적인 태도를 보였다. 외국인이 집단, 민족, 국가인 경우에는 거의 예외 없이 이집트인들이 생각했던 우주적 질서이자 사회적 준거였던 “마아트”의 적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외국인들이 개별적 존재로 인식될 때에는 고유의 특성을 가진 개인으로, 더 나아가 교류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물로 묘사되었다. 국경 밖 외국땅에 대해서도 양가적인 기준이 적용되었다. 창세신화를 바탕으로 한 공적국가 이념에 따르면 이집트는 세상에서 가장 축복 받은 땅이자 지상의 유일한 문명국인 반면, 외국은 하나같이 비참한 상황을 면치 못하는 황폐한 곳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관점에서는 노동력의 공급원으로, 진귀한 보석이나 석재, 이집트에서는 구할 수 없는 원자재와 특산품이 풍부한 곳으로 여겨졌다. 외국에 대한 이집트인들의 이와 같이 상충되는 두 관점은 크게 자전적 기록, 교훈서, 왕에 대한 찬가, 서사문학 등과 같은 문학작품을 통해 묘사되었는데 로프리에노(A. Loprieno)는 이와 같은 양가적인 태도를 “토포스(topos)”와 “미메시스(mimesis)”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로프리에노는 “토포스”를 “이집트 사회가 이념적으로 기대하는 바로서 관리들에게 전수되는 것”으로 정의했으며 이에 반해 “미메시스”는 “이러한 기대에 대한 개개인의 반응”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이념적 “토포스”는 고위 관리의 자전적 기록, 교훈서, 왕에 대한 찬가 등 고대 이집트에서 비교적 높은 지위를 점했던 어용문학 장르를 통해 표현되었으며 이집트인들이 주변의 외국인들과 직접 대면하며 체득한 경험은 “미메시스”를 통해 서사문학 장르에 속하는 문학작품에 반영되면서 외국/외국인에 대한 보다 사실적인 묘사를 가능하게 했다. 이집트 문학에서 외국인은 적 혹은 이웃/이집트인들과 동등한 인물 중하나로 간주되었다. 어용문학 작품은 이집트인들이 이들 외국인들에게 품었던 적의를 충실히 표현한다. 그러나 집단으로서의 외국인에 대해 경멸의 시선을 보냈던 문학작품이나 조형예술과는 반대로 중왕국 시대와 신왕국시대의 서사문학 작품들은 주변부의 외국인들을 신뢰할 수 있는 인물로 묘사한다. 외국 땅 역시 이집트 문학에서는 부정적으로 묘사되었다. 이집트인들은 자신들이 “모든 국가 중 가장 풍요로운 국가”에서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에 반해 외국은 “다른” 사람들의 왕국이요 혼돈의 영역이다. 그러나 서사문학에서 외국은 종종 살기 좋은 이상적인 곳으로 그려지는데 이와 같은 묘사는 외국에 대한 이집트인들의 또 다른 시선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다시 말해 이집트인들은 외국을 “이제페트”의 공간으로 인식하면 서도 이와 동시에 진귀한 산물들이 가득한 곳으로 동경했던 것이다. 이집트 역사 전반에 걸쳐 이집트 사회에는 항상 외국인들이 존재했다. 이들은 언제나 정형화된 부정적인 이미지로 묘사되었으며 외국/외국인에 대한 이와 같은 이미지는 왕권을 유지하고 사회의 결속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보다 실제적이고 개인적인 관계에서 이들 외국인들은 독자적인 정체성과 개성을 가진 인물로, 심지어 이집트인들과 친구가 될 수 있는 사람들로 묘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외국/외국인에 대한 이집트인들의 양가적 태도는 상치되는 두 개의 관점, 다시 말해 어용문학 작품을 통해 표현되는 이집트 중심의 세계관(토포스)과 직접적인 경험에 기반한 개인적반응(미메시스)에 기인한다. 어용문학이나 지혜문학과는 달리 이집트의 서사문학은 이 두 가지 상반되는 관점을 동시에 드러냄으로써 고대의 독자들은 물론 현대의 독자들에게도 “상이한 현실에 대한 비전”과 “대안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의 경험”을 제시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었다. Ancient Egyptians held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 their foreign neighbors. As a group, foreigners were almost always portrayed as an enemy of ma’at, the cosmic order and the way of life of the Egyptians. On the private level, however, they were depicted by ancient Egyptians as unique and sometimes trustworthy individuals. Egyptians also held two different views about foreign lands - the one stemmed from the official ideology that Egypt was the most blessed and civilized on the earth and thus less fortunate foreign lands lay in miserable conditions; the other was based on more economic and commercial pragmatism that saw them as sources of labor as well as rare and precious materials. Those opposing views are expressed in various genres of Egyptian literature, including autobiographies, teachings, royal decrees, and tales. A. Loprieno sought to explain the two “poles” of Egyptian views toward their neighbors based on a distinction between topos and mimesis. Topos represents the “ideological expectations of Egyptian society as transmitted to its officials” whereas mimesis reflects “individual response to these expectations.” The ideological topos was adopted in propagandistic literary genre of autobiographies of high-ranking officials, instructions and royal inscriptions that occupied the highest hierarchical level in the Egyptian literature; mimesis was about the daily, down-to-earth experience of Egyptians who had direct contacts with foreigners and thus allowed a more realistic portrayal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ir peoples through narrative literature. In Egyptian literature, foreigners were described as enemies or as neighbors and equals. A number of propagandistic literary works faithfully shows the enmity that ancient Egyptians harbored against their neighbors. In contrast to the literary and artistic representation of foreigners as a group with much disdain, many narrative works created during the Middle and New Kingdom Periods describe foreigners as trustworthy individuals. As in the case of foreign peoples, many Egyptian texts also paint the negative picture of foreign lands. Egyptians thought that they live in “the most fortunate of all possible states.” Foreign lands, as expected, were the kingdom of the “different,” and of disorder. However, foreign lands were also described as a pleasant place to be in some of narrative literary works. This kind of description betrays the other side of the Egyptian view alien to more rigid and official records - that is, their admiration for strange lands filled with rare and precious products. Throughout the Egyptian history foreigners can be found in Egyptian society. However, stereotyped and hostile expressions were used to portray foreigners (and foreign lands) and it was a way of maintaining royal power and strengthening domestic solidarity throughout the Egyptian history. On the commercial and private level, however, foreigners could even become friends with Egyptians. To reiterate the point, the Egyptian ambivalence toward its foreign neighbors stems from the two opposing points of view: the royal ideology versus the economic and commercial drive. By revealing those contrasting views, the Egyptian literature - and particularly narrative tales, unlike official and detached expressions of the didactic literature, shows its flexibility to present a “vision of different reality” and an “experience of alternative possibilities” to the audience of both ancient and modern.

      • KCI등재

        논문 : 이히, 시스트럼 연주자 -이히를 통해 본 어린이 신 패턴

        유성환 ( Sung Hwan Yoo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2 종교와 문화 Vol.0 No.23

        Usually depicted as a youthful deity wearing the menit around his neck and holding a sistrum in his hand, Ihy is the divine musician par excellence. He personifies the jubilation associated with the use of the sacred instruments. As the son of the versatile goddess Hathor, Ihy also plays the role of child-intermediary for his mother-goddess, mediating the two different spheres - the divine and the mundane - through the medium of music. In his role, Ihy accompanies his mother-goddess Hathor and serves as the divine acolyte and intermediary. This illustrates his strong bond with Hathor, which does not allow the entry of the generational succession that characterizes the pattern of the Horus child. It also explains the relatively late development of the divine triad. After the New Kingdom, lhy`s role as the divine musician is emphasized and his iconography is fixed as the divine musician playing the sistrum and the menit for deities. In later periods, lhy also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mammisis of the kings. In the mammisi of Nectanebo I at Dcndera, his conception and birth, identified with that of the king, was celebrated and the divine play regarding his mysterious birth was performed. lhy tends to follow the sun-child pattern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factors: (1) the superficial familial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 deities; (2) the absence of the dramatic childhood and the conflict with the formidable opponent at the crisis of puberty; and (3) the lack of evidence for the generational transmission from father to son. Other child deities, such as Khonsu and Nefertem, also follow the sun-child pattern because of the dysfunctional familial relationship in their respective triads. The primary role of the three child deities is as divine intermediary between the divine sphere and the human world through the medium of music (lhy) or fragrance (Nefertem), or through the status as the prominent celestial body that can stand face-to-face with the sun (Khonsu). In addition, their mediating role explains why the king could frequently replace them in their respective familial triads in his role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divine and human spheres. Their status as divine intermediary also explains why the child deities became so important and popular in the Late and Ptolemaic-Roman Periods. Possessing the charm and spontaneity of a child, they are friendlier and more accessible than other major deities in the Egyptian pantheon in the time of “personal piety”, They are regarded as the “great god” who retains full divine power in the form of a child who hears prayers for help and provides protection to his followers.

      • KCI우수등재

        민감도 분석을 통한 정비부서의 운영 전략 연구

        유성환(Sung Hwan Yoo),김성문(Seong Moon Kim) 한국경영학회 2009 經營學硏究 Vol.38 No.2

        We provide a 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 which calculates the number of workers to hire and assigns tasks to those workers for efficient operations of the maintenance department. The objective function of the mathematical model is to minimize the total labor costs. We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 through numerical evaluation.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the sensitivity analysis on the total labor cost and the optimal maintenance level by changing diverse parameters in the mathematical model. First, the increase on the failure rate of the major parts will sharply raise the total labor cost and the optimal maintenance level relative to the one of the minor parts. That is, if the major parts get older and break down more often than the average due to the long usage time, it will be better to perform maintenance more frequently in order to prevent any potential failure. Seco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intern workers will decrease the total labor cost and the optimal maintenance level. Usually the training cost of the educational program is requir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tern workers. Then, the investment on the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compared with the decreasing amount of the total cost by the increased efficiency of intern workers for justification of the investment. We also demonstrate that the decrease on the optimal maintenance level by the increased efficiency of intern workers is more sensitive for the minor parts than for the major parts. Third, if the maintenance level goes beyond the optimal level, the total labor cost will go up rapidly for the major parts relative to the minor parts. The case study on the current operations in the maintenance department shows that the level of maintenance is well above the optimal level in both the major and the minor parts. In order to minimize the total labor cost, it is crucial to perform maintenance corresponding to the optimal levels for the major and the minor parts, respectively. Lastly, the ratio of the repair time relative to the maintenance time has been investigated. Generally speaking, when the ratio gets bigger, the optimal maintenance levels for the major and minor parts proportionally increase, which means that if it takes longer for repairing the broken machine compared for performing the maintenance, it is advisable to raise the maintenance level in order to prevent any potential failure of the machine. We find the increasing rate of the optimal maintenance level is higher for minor parts than for the major parts.

      • KCI등재

        대퇴골 골 간단 부 골절치료용 복합재료 고정판의 국부적 거동 예측을 위한 기초 연구

        유성환 ( Seong Hwan Yoo ),손대성 ( Dae Sung Son ),장승환 ( Seung Hwan Chang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1 Composites research Vol.24 No.3

        본 논문은 복잡한 형상으로 드레이핑 성형된 직물 복합재료 구조의 국부적 물성 변화 및 재료거동 예측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대퇴골 골 간단 부 골절치료용 고정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드레이핑 공정 중 발생하는 재료의 거시적/미시적 변형에 의한 국부적 재료물성 변화를 다양한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 그 결과를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고정판의 정적/피로 거동 예측에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복합재료 구조물의 설계 및 성능평가에 유용한 정보와 해석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resents an estimating method for local property changes and failure prediction of composite materials experiencing large shear deformation during draping process. The bone plate for the metaphyseal femur fracture was chosen to apply the presented method because it has complex geometry. The local property changes due to macro-/microscopic deformations of fabric composites during draping process were evaluated by various tests and the result was applied to predict static/fatigue behaviors of the bone plate. This paper was expected to present useful information on the design of composite structures with complex geometry and their performance evaluation.

      • KCI등재

        모체열충격에 의한 Hsp70 유전자결손 생쥐 태아의 연골내 뼈발생의 지연

        유성환,(Seong-Hwan Yoo) 이진(Jin Lee),안상길(Sang-Gil Ahn),김원규(Won-Kyu Kim) 대한해부학회 2005 Anatomy & Cell Biology Vol.38 No.3

        실험동물 및 사람에서 모체의 고열은 선천성기형을 유발하는 기형유발물질의 일종으로 인정되고 있다. 세포배양실험에서 세포가 고열에 노출되면 세포내 Hsp70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포유류에서는 그 방어기전이 아직 불명확하다. 따라서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Hsp70이 결손된 생쥐를 제작하고, 임신시킨 후 고열에 노출하여 선천성기형을 동반한 태아의 비율을 정상생쥐와 비교하면 Hsp70의 방어기전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fibroblast growth factor 8 (FGF-8)은 창자배 발생과정부터 작용하여 안면부와 팔다리의 초기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팔다리싹(limb-bud)이 출현하기 전부터 발현되어 팔다리의 꼭대기외배엽능선에서 강하게 발현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중간엽으로부터 연골이 형성되고 연골내뼈발생과정이 진행중인 긴뼈에서 FGF-8의 역할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위팔뼈 발생에 미치는 모체열충격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선천성기형을 동반한 Hsp70 KO 태아를 실험군으로, 선천성기형을 동반하지 않은 정상태아(Hsp70 WT)를 대조군으로 정하여 alizarin red S 및 alcian blue 이중염색과 FGF-8 면역염색을 시행하였고, 연골내뼈발생가 진행중인 연골의 증식대 세포 및 바탕질의 미세구조를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 위팔뼈 평균 길이에 대한 실험군 위팔뼈 평균 길이의 비율은 1 : 0.58이었으며, 대조군에서 위팔뼈평균길이에 대한 뼈발생부분의 평균길이의 비율은 1 : 0.46이었고, 실험군에서는 1 : 0.18이었다. 2. 꼭대기외배엽능선은 대조군에서는 FGF-8 면역염색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실험군에서는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실험군 위팔뼈은 대조군에 비하여 발생과정이 지연되어 있었고, 태령 제17일에서 증식대의 세포는 FGF-8 면역염색에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3. 전자현미경소견상 실험군 연골세포내 사립체는 분화과정이 대조군에 비하여 지연되어 태령 제17일에서도 소포형의 사립체능선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연골바탕질내 아교섬유는 대조군에 비하여 느슨하게 배열되어 있었으며, 바탕질과립도 감소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모체열충격은 FGF-8의 발현을 억제하고, 증식대 연골세포내 사립체의 분화를 지연시켜 연골바탕질의 합성 및 분비에 관련된 세포내소기관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여 위팔뼈의 연골내 뼈발생과정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ernal hyperthermia on the endochondral ossification, pregnant Hsp70 knock-out and wild type mice at gestational day (GD) 8 were immersed in 43?C water bath until their body core temperature reached at 43?C. Thereafter, pregnant mice were given more 5 minutes hyperthermic exposure. Fetuses were collected at GD 15 and photographed for external appearance analysis. In addition, heat treated Hsp70 fetuses with external congenital anomalies and heat untreated wild type fetuses were used as experimental and control animals, respectively. Developing humeri at GD 17 were stained with alizarin red S and alcian bue according to the method of Kimmel and Trammell (1981). Developing upper limbs were immunostained for FGF-8, and observed with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1. The proportion of average length of the humerus in heat untreated group to heat treated group was 1 : 0.58. The proportion of average length of calcified part to average whole length was 1 : 0.46 in control and 1 : 0.18 in experimental group, respectively. 2. Apical ectodermal ridge was positively reacted to FGF-8 immunohistochemistry in the control group, but no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humeru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delayed endochondrial ossification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chondrocytes in the proliferating zone did not react in the experimental group. 3. Collagen fibers were loosely arranged in the experimental group. Mitochondria possessed early staged mitochondrial cristae, i.e. vesicular typ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ternal hyperthermia may inhibit the expression of FGF-8 in the developing upper limb, resulting in delayed endochondral bone growth of the humeru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