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원광대학교박물관의 서화 수집과 민화

        유미나(Yu, Mi-na) 한국민화학회 2022 한국민화 Vol.- No.17

        원광대학교박물관은 익산지방의 역사•문화적 중요성과 문화유산의 보존 및 발굴, 교육 등을 담당할 전문기관의 필요성에 따라 1968년에 세워졌다. 원광대박물관은 구입과 기증의 형식으로 소장품의 규모를 확대시키고 발전시켜왔다. 서화 부문의 기증 유물 가운데 조선 중기의 문신 박상(朴祥, 1474~1530)과 박순(朴淳, 1523~1589)의 초상화가 있으며, 민속학자 김태곤 교수의 무속 유물 기증, 그리고 고형곤 교수와 박순호 교수의 서화 유물 기증을 주목하였다. 구입 유물로는 〈대곡사명 감로왕도〉(보물 1990호)와 <고종황제 어진>(전북유형문화재)이 있다. 원광대박물관의 민화 소장품의 대강을 보면 화조도 유형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채색화조도 중에서는 자유로운 필치의 활달한 작품들을 살펴보았고, 수묵화훼도의 경우는 조선말기~근대기에 유행한 ‘사군자화훼도’ 유형의 작품들이 주목되었다. 산수화 화목에서는 금강산도, 관동팔경도, 구곡도, 소상팔경도와 사계산수도 등을 고루 볼 수 있었다. 산수화는 대부분이 수묵화이고, 일부 담채를 사용한 작품들이 있다. 화조화와 산수화 작품 중에 화가의 이름 혹은 호가 확인되고 있어서 앞으로 민화 작가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이 외에 자수 작품이 많아서 근대기 자수 병풍의 인기를 실감케 한다. 원광대박물관의 민화 소장품들이 대부분 미공개 작품들이었기 때문에 지면을 통해 새로운 자료를 소개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고자 한다. 이들 작품에 대해 학자들의 많은 관심과 연구를 기대하고, 작가들에게는 창작의 영감을 주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Wonkwang University Museum was established in 1968 recognizing the historic and cultural importance of Iksan region and to meet the need for a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the preservation, excavation, and educa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Wonkwang University Museum has been expanding the size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museum collection through purchase and donation. Wonkwang University Museums Minhwa collection comprises almost all genres; flowers and birds, landscape, figures, letter paintings, chaekgeori, etc. They are mostly mounted in the folding screen form and each work consists of 6~12 paintings. Among them, the flowers-and-birds take the largest number. The flowers-and-birds rendered in color show bright and free workmanship, while the flowers-and-birds in ink wash take after the typical style of the literati painters active in the late 19th~20th centuries. The landscape collection includes the paintings of Mt. Keumgang, Eight Sceneries from Gwandong Region, and Nine Sceneries of Gosan, etc. Some of the paintings had an inscription or seal, which however does not reveal the painters identity as to when and where he or she was active. More of such information need to be collected and studied to understand the Minhwa painters and their activities. The Wonkwang University Museums Minhwa collection have not been open to public. It is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some of the works here helps attract the interest of both scholars and painters to enhance their study and work in their field.

      • KCI등재
      • KCI등재

        싱잉볼 자애 명상 프로그램이 성인들의 생활스트레스와 뇌파에 미치는 효과

        유미령(Mi-Ryoung Yu),윤상일(Sang-Il Youn),원희욱(Hee-Wook We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3

        본 연구는 싱잉볼 자애 명상 프로그램이 성인들의 생활스트레스와 뇌파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40세 이상 64세 미만의 성인들 중 남성 2명과, 여성 5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중재 기간은 2022년 8월 7일부터 동년 8월 13일까지 7일간 60분씩 참여하였다. 회기마다 도입 20분 ‘자기성찰’, 본론 30분 ‘싱잉볼 자애 명상’, 마무리 10분 ‘나누기’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인 특성, 생활스트레스를 평가하고 뇌파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으로 인구 사회학적 특성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 Wilcoxon 부호순위검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싱잉볼 자애 명상 프로그램이 생활스트레스 하위변인 중 역할 문제 (*p〈.05)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하지만 경제 문제, 가족 문제, 건강 문제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뇌파에서는 육체적 스트레스와 자기 피드백 능력 베타1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정신적 스트레스와 자기 피드백 능력에서 알파와 베타 2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싱잉볼 자애 명상 프로그램이 생활스트레스와 뇌파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싱잉볼 자애 명상 프로그램을 객관적 근거인 뇌파로 탐색했다는 것에 그 의의를 들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a singing bowl loving-kindness meditation program on life stress and EEG of adults. Two male and five female adult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40 and 64 yea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tervention period was 60 minutes per day for 7 days, from August 7 to August 13, 2022. Each session comprised a 20-minute introduction of self-reflection, a 30-minute main period of singing bowl loving-kindness meditation, and 10 minutes of final shar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ife stress were evalua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EEG was measured for each individual.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to identify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We observed that considering the sub-variables of life stress, the singing bowl loving-kindness meditation program imparts a significant change in role problem (*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tained in the factors of economic problems, family problems, and health problems. EE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stress and self-feedback ability beta1 (*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pha and beta 2 in mental stress and self-feedback ability.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singing bowl loving-kindness meditation program improves life stress and brain waves. We believe that exploring the singing bowl loving-kindness meditation program with objective evidence and EEG is meaningful with positive consequences.

      • KCI등재

        전문대학 평생교육 학습자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만족도가 참여 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

        유미수(Mi-soo, Yoo),곽근혜(Keun-Hey Kwak),박선정(Sun-Jung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를 분석하고,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 운영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요구도를 반영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성인학습자의 관심과 평생교육 참여지속률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 5월 1일에서 6월 20일까지 경기도에 소재한 4개 전문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성인남녀 41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주요 변수들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교육 만족도, 참여지속 의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참여자의 참여동기, 교육 만족도, 참여지속 의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고, 참여자의 참여지속의도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 동기, 교육만족도 및 참여지속 의도 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참여 동기, 교육 만족도, 시설 및 환경 만족도이었고 모형이 유의하고 41.2%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전문대학 평새교육프로그램 학습자의 참여동기를 높이기 위해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lleg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among adult learners. and participation of continuing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operated by College and to develop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the needs of adult learners and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rate. This study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412 adult males and females taking courses at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in four professional universities in Gyeonggi-do from May 1 to June 20, 2017.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1.0 program,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ANOVA were us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participants" motivati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Participants" motivati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colleg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programs,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The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nt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er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41.2%.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a program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can improv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o increase learner motivation.

      • 전기전자제품의 재활용 소재 사용 현황 연구

        유미진 ( Mi-jin Yu ),윤혜리 ( Hye-ri Yun ),고관태 ( Kwan-tae Ko ),박희준 ( Hee-jun Park ),이한웅 ( Han-woong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최근 유럽은 2015년 순환경제사회로의 정책 기조 발표에 따라 자원효율성 지표 개발 등 관련 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자원순환기본법이 2018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또한 기존의 전자제품등자원순환법에서는 재활용 소재 사용에 따른 재활용 분담금 감면 정책이 시행되는 등 폐기물 최소화 및 순환자원 확보를 위한 정책 및 제도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국내외 자원순환 관련 정책 및 제도에 사전 대응하기 위해 국내 기업의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 현황을 파악하고, 재활용 소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전자제품 완제품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설계단계의 소재선정에 대한 일반현황, 재활용 소재 사용 현황,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 활성화 방안, 재활용 플라스틱 표준화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응답 기업의 주요 생산제품은 소형기기, 중형기기, 대형기기, 통신사무기기 순이며, 제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으로는 ABS, PVC, EP 등이 있다. 또한 응답 기업의 41%는 제품 설계단계에서 소재선정 및 검토의 주목적으로 성능 및 품질향상, 바이어 및 법적요구사항 만족으로 답변하였으며, 86%의 기업은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에 대해 현재 적용하고 있거나 확대 예정이라고 응답하였다. 응답 기업의 95%는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 시 재활용 분담금 감면 제도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나 감면인정금액이 적어 활용하기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재활용 플라스틱 활성화를 위해서는 금융·조세지원의 제도적 보완뿐만 아니라 재활용 소재 기술개발 지원, 국가표준 제·개정, 재활용 사용비율 의무화 도입 등의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 기업의 100%가 재활용 플라스틱 함유율 산정 방법 등 재활용 플라스틱 관련 표준 제정의 필요성을 인지한바, 표준 제정이 재활용 플라스틱의 보급·확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다발골수종의 Cyclophosphamide 및 Prednisone 복합화학요법의 효과

        유미라 ( Mi Ra You ),임현종 ( Hyun Jong Lim ),이희정 ( Hee Jeong Lee ),김형호 ( Hyung Ho Kim ),문우람 ( Woo Ram Moon ),정춘해 ( Choon Hae Chung ),박치영 ( Chi Young Park ),박상곤 ( Sang Gon Park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5

        본 연구는 3회 이하로 투여된 환자가 13명으로 총 29명 중 상대적으로 많은 환자에서 빨리 중단되었고 후향적 분석으로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기록하여 약제의 정확한 치료 효과 및 부작용을 판별하는 점은 쉽지 않았다는 한계점은 있다. 그러나 다발골수종은 고령에서 발생하고 진단 당시 합병증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연령이나 활동도 또는 합병증, 여러 경제적 상황들로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하기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현재 많은 표적 치료제가 임상에 적용되고는 있으나 많은 제약점으로 여전이 과거의 알킬화 제제를 이용한 항암화학요법이 현재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현재 임상 상황에서 melphalan과 prednisone 복합요법보다 부작용에이 적고 정주를 통해 체내 일정 농도의 유지가 가능하며 투여 요법이 간편한, 그리고 보다 중앙 생존 기간의 연장을 보일 수 있는 cyclophosphamide, prednisone 복합요법을 전신상태가 좋지 못한 환자에서 다발성 골수종의 초기 치료로서 사용하는 것도 좋은 치료 전략으로 보인다. Background/Aims: For many years, conventional treatment for multiple myeloma (MM) not ineligible for high-dose therapy has been the combination of oral melphalan and prednisone (MP). However, melphalan-based regimens are associated with numerous complications. Another alkylating agent, cyclophosphamide, has similar effects on MM and is associated with fewer reports of complications. Therefore, cyclophosphamide-based regimens have usually been used as salvage therapy in patients with refractory or relapsed MM, despite the development of newer drugs. The purpose of this report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cyclophosphamide and prednisone as a first-line therapy for MM. Methods: For the period January 2002 to June 2012,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9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MM who underwent a treatment regimen consisting of intravenous cyclophosphamide (1,000 mg/kg) for 1 day and prednisone (100 mg) for 4 days. Results: The rate of response to this regimen was 31.1 percent. The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was 5.5 months and the median overall survival (OS) was 47.3 months. The regimen was well tolerated. Adverse effects of grades above III were as follows: anemia in seven patients (24.1%), neutropenia in five patients (17.2%), and thrombocytopenia in two patients (6.8%). These adverse effects were easily adjusted. No one developed a secondary malignancy or hemorrhagic cystitis. Conclusions: Although PFS was less than for the MP regimen, median OS was better than for the MP regimen. Furthermore, the cyclophosphamide-prednisone regimen was well tolerated, and the adverse effects that did occur were easily adjusted. The cyclophosphamide-prednisone combination regimen may represent an effective and well tolerated first-line therapy for non-transplant candidates with MM. (Korean J Med 2013; 84:690-697)

      • KCI등재

        조선시대 최초의 사대부상, 최덕지(崔德之, 1384-1455) 초상화의 전승과 현황

        유미나(Yu, Mi-na)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1 美術史學 Vol.- No.41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 1384-1455)는 조선 태종~문종 연간에 활동한 문신으로서 특히 세종조의 성세(盛世)에 관료를 지내면서 집현전 학사들과 교유하며 덕망이 높았던 인물이다. 그는 문종 즉위 후에 예문관 직제학을 지내다가 노령을 이유로 사퇴하고 전라도 영암으로 내려가 학문에 몰두하였다. 최덕지 사후에 그의 초상화는 그의 강학처였던 존양루에 봉안되었고, 이후 사당과 서원의 건립이 이어져 이모본이 봉안되면서 후손 및 사림의 첨배 대상으로 존숭되었다. 최덕지 초상화는 조선시대의 사대부상 중 가장 이른 작품으로 일찍이 학계의 주목을 받았고, 영암 영보리 영당의 <최덕지상 정본>과 <유지초본>은 1975년 보물 제594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최덕지 초상은 영보리 영당에 2 점이 더 있고 임실 주암서원에도 1본이 있어 총 5점이지만 이들에 대한 면밀한 고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을 통해 최덕지 초상화의 전승 내력을 살펴보고, 이어 현존하는 5점의 작품에 대한 양식 고찰을 행하였다. 먼저 최덕지 초상화에 표현된 복식을 보면 직령(直領)의 청포를 걸치고 허리에 홍대(紅帶)를 둘렀는데 이는 고려 말의 유풍이 있는 공복(公服)에 해당되고, 머리에 착용한 관모(冠帽)는 일종의 오건(烏巾)으로 단추와 같은 돌기가 있는 독특한 규식인데 이는 사복(私服)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서안을 앞에 놓고 독서하는 선비의 모습을 표현한 도상이다. 이는 고위 관료를 지낸 최덕지의 위상을 드러낸 동시에 향리에 은거한 선비의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표상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최덕지 초상화의 전승 내력을 살필 수 있는 곳으로 첫째, 최덕지가 중앙 관료직을 사임하고 은퇴하여 살았던 영암 영보 마을의 영당, 둘째, 영암의 사족이 힘을 모아 설립한 녹동서원(구 존양사),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원(현 임실)의 주암서원이다. 첫째 영암 영보리 영당은 최덕지가 거처했던 곳에 설립된 사당이다. 최덕지 초상화는 최덕지의 강학처였던 존양루에 봉안되다가 1578년(선조 11)에 사당 건립 후 사당의 영당에 봉안되었다. 정유재란 중에 이 사당은 소실되었으나, 초상화는 나주의 본손(本孫) 묘산에 매안(埋安)한 덕분에 온전하였다. 전란 후 1610년(광해 2)에 꺼내어 개장했고 이후 이모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초상화는 1659년(현종 즉위년)에 다시 건립된 영당에 봉안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현재 영보리 영당에 총 3점의 최덕지 초상화 정본과 유지초본 1점이 있는데, 이 중 ‘궤장본’이 17세기 양식을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 영보리 영당본이라 여겨진다. 둘째 녹동서원은 본래 최덕지 향사(享祀)를 위해 1630년(인조 8)에 창건된 존양사(存養祠)에서 시작되었다. 1713년(숙종 39)에 사액되어 녹동서원으로 개칭되었으며, 이 때 최덕지 초상화 이모본을 제작하여 봉안하였고, 1769년(영조 45)에 또 한 차례 이모하여 봉안하였다. 이후 녹동서원에는 1769년 제작본이 봉안되어 내려오다가 1868년(고종 5)의 서원철훼 때 영보리 영당으로 옮겨졌던 것으로 파악된다. 영보리 영당의 현존작 중 ‘보물 지정본’과 ‘유지초본’은 18세기 양식 특징을 보이고 있어 녹동서원의 1769년본일 가능성이 크다고 여겨진다. 셋째, 주암서원은 남원(현 임실)의 최덕지 후손들이 영정을 봉안하기 위해 1774년(영조 50)에 설립한 곳이다. 녹동서원의 1769년본을 토대로 이모본을 제작하여 주암서원 영당에 봉안하였다. 주암서원에 현존하는 <최덕지 초상화>는 양식에서도 18세기 말의 특징을 지닌 작품으로 기록과 부합된다. 한편, 영보리 영당에 현존하는 ‘신본’은 20세기 중반에 ‘궤장본’을 토대로 이모한 본이다. 당시 ‘궤장본’을 모본(母本)으로 삼았던 것은 그것이 영보리 영당에 원래 걸려있던 영정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상 문헌 자료와 현존 초상화의 양식을 검토하여 최덕지 초상화의 전승 내력을 알아보고 현존작에 대한 편년을 시도하였다. 최덕지 초상화는 초상화 양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던 1970년대에 보물로 지정된 이래 작품에 대한 면밀한 분석 검토 없이 지금까지 15세기의 원본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본 연구에서 그동안 흑장궤에 담긴 채 잊혀졌던 ‘궤장본’과 기존에 주목되지 않았던 ‘주암 서원본’ 및 ‘신본’에 대한 조사를 하여 최덕지 초상화 현존작 5 점에 대한 편년을 새롭게 시도하였다. Choi Deok-ji(崔德之, 1384-1455) was a high-ranking official active during the reign of Kings Taejong~Munjong. In 1451, he resigned from office and returned to his home in Yeongam, Jeolla Province to concentrate on confucian studies. After his death, his portrait was enshrined in Jonyanglu(存養樓) Pavilion, where he had studied and taught students. Later, as his offsprings and followers constructed mortuary shrines for him, his portrait was copied and enshrined in more places to be revered and cherished. Choi Deok-ji portrait has been acknowledged as an important work because it is the earliest extant example of a scholar"s portrait of Joseon Period. The Choi Deok-ji Portrait and the Sketch(Chobon) versions in the Portrait Shrine in Yeongbori Village in Yeongam were designated Treasure No. 594 in 1975. Since then, these two versions have been authorized as the original versions from the 15th century. However, there are two more versions of Choi Deok-ji portrait extant in the same shrine in Yeongbori Village, one of which has been kept inside a portrait case and long forgotten, and one more version in Juam Seowon(舟巖書院) in Imshil, North Jeolla Province, both of which had not yet been studied. In this paper, written document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portrait were studied in detail to find out when and how each copies were produced and how they were handed down in each shrine. Also, five extant versions of Choi Deok-ji portrait were studied and analyzed to assess the stylistic features and their production dates. The conclusion is that unlike the existing authorization, the portrait and the sketch designated Treasure No. 594 are the 18th century copies which had been enshrined in Nokdong Seowon(鹿洞書院) and moved to the present location of the Portrait Shrine in Yeongbori Village after the crack down on Seowon in 1868. And the probable original version which the written records point to be the work from the 15th century is the one kept in the portrait case in the same shrine in Yeongbori Village. However, this portrait case version stylistically shows it"s from the 17th century, which, in fact, accords with the written record that the Choi Deok-ji portrait was repainted between 1610 and 1635. Thus, the original Choi Deok-ji portrait from the 15th century does not exist and the portrait kept in the case is the oldest extant version from the 17th century. One more version in the shrine in Yeongbori Village is a work of the mid 20th century. Since the production of this 20th century new version, the offsprings say the older three versions had been put together in the portrait case until two of them were designated treasures. At present, the treasure versions and the new version are hung on the wall. Finally, one more version enshrined in Juam Seowon(舟巖書院) was produced in 1774 when Choi Deok-ji"s offsprings residing in Namwon(present Imshil) constructed the shrine. The stylistic features of this version accords with the written reco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