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붓다와 사리불의 입멸과정에서 보인 상관성 연구

        원혜영 ( Hae Young Won )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8 No.-

        불교 이전부터 4선정은 요가 및 다른 사상 속에 펴져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사리불이 초기 교단에 합류하면서 불교 전통으로 편입되었다. 붓다와 사리불의 입멸 입출과정에 4선정은 위상을 얻게 되었다. 또한 초기 열반경의 이본(異本)들과 설일체유부 등의 텍스트에서 반복과 변형을 거쳐 입멸 입출과정의 타당한 이유를 거론하기에 이르렀다. 초기부파 텍스트에서 발전적으로 각각의 선정 단계의 특별한 뜻과 심리적 상황을 반복적으로 조명한다. 초기부파 텍스트들이 4선정을 거론하여 그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이유는 뭘까? 4선정에 대한 정의는 초기부파 텍스트에서 거의 이견 없이 표명하고 있다. 초선은 수행자가 하나의 대상에 전념할 때 욕계의 탐욕에서 벗어나고 불선법을 떠나 희(喜)와 락(樂)을 느끼는 것이다. 심(尋)과 사(伺)의 마음 작용이 존재한다. 제2선은 수행자가 심사를 떠나면 마음이 순일해져서 대상세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후로 동등하게 상속하는 청정한 믿음이 생겨난다. 제 2선은 희락을 느끼는 것으로 심사를 떠나 선정에 의해 생겨난다. 제3선은 희락을 버림으로 마음이 평정의 상태가 되고, 이 때 정념과 정혜가 나타나 진정한 즐거움을 느낀다. 희를 떠남으로 생겨난 미묘한 락이다. 제4선은 평정한 마음을 버리고도 여전히 마음이 평등하게 상속하여 어떠한 동요도 없고 괴로움과 즐거움을 모두 떠난다. 마음이 명경지수처럼 맑은 상태가 되는 것으로 궁극적인 선정이다. 이 논문은 4선정의 배경과 위상을 중심으로 한 것을 배경으로 놓고, 붓다와 사리불의 입멸 입출과정의 인과관계를 논하고자 한다. Why is the process of Buddhist death similar for Buddha and Sariputta? Even though the process is such a private and individualized experience, the internal experiences that both Buddha and Sariputta underwent are discussed in the early Buddhist texts. In particular, the four stages of Jhana or meditation, is a meditative practice that was common throughout the various religions that existed during Buddha`s time. The four stages of Jhana, which is present in both Buddha and Sariputta`s process of Buddhist death, exist as episodes. By being presented as episodes, the practice was able to be generalized to the public. The four stages of Jhana or meditation: four absorptions(samapatti), contemplations, or samadhi to be reborn in the Four Jhana Heavens. It is also called Sajeongryeo or simply Sajyeong. The first Jhana or contemplation is characterized by attaining the joy and bliss arising from solitude and freedom from desires and sins. The second Jhana or contemplation is characterized by attaining the joy and bliss arising from the cessation of discursive or speculative thoughts. The third Jhana or contemplation is characterized by abiding in equanimity leaving all speculative thoughts behind. The fourth Jhana or contemplation is characterized by utter purity and equanimity beyond pleasure or pain, elation or depression. In early Buddhism, the four stages of Jhana were regarded as a highly effective meditative method. Ultimately however, as it got associated with the triple realm, the practice got degraded as a method of practice to be reborn in the world of form, or Rupa-dhatu.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 among the various texts, but nothing significant. The four stages of Jhana that were present in both the process of Buddhist deaths of Buddha and Sariputta were enough to pique the public`s curiosity, and served as the reason why this early method of practice is still very much present among the public today.

      • KCI등재

        일반논문 : 왜 벽지불로 인해 공덕을 얻으려하는가 -벽지불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위해-

        원혜영 ( Hae Young Won )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5 No.-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벽지불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음은 초기불교 전통에서 벽지불이 ``홀로 깨달았다``란 어원적 이미지가 전혀 낯설지 않게 작용하여, 벽지불이 행한 행적들과 수행하는 모습은 대중들에게 신비적이고 존경의 대상이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홀로(eka)"는 문자적 의미가 아니라 상징적으로 종교적 삶 속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벽지불은 스승 없이 깨달아서 사람들에게 복과 이익을 주고 천상에 태어나게 하게 하는 이유로 존경의 대상이다. 벽지불에게 공양해서 공덕을 쌓는 에피소드는 보시와 공덕의 관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텍스트에서 벽지불의 위상은 역사적 건축물 속에서도 실행되었기에 잊혀져가고 있는 존재를 떠올리게 한다. 현장은 인도를 방문한 7세기 동안, 많은 스뚜빠가 벽지불을 기념하여 세워진 것을 발견한다. 벽지불의 위상은 스뚜빠로 이행되어 존재감을 이어갔다. 붓다와 벽지불은 동시에 함께 존재할 수 없다. 다른 대다수의 학자들은 벽지불의 출현이 무불시대의 현상이라고 믿는다. 붓다와 아라한, 그리고 벽지불이 가진 성격들로 인해 그들 사이에 차이는 있다. 벽지불의 신통력은 텍스트에서 주목되어 그에게 공양하여 전생에 쌓은 공덕이 중요한 미래 삶을 좌우한다. 벽지불의 신통력은 붓다만큼이나 그의 위상을 대변한다. 벽지불이 가진 근본적이고 보수적 이미지를 재고하고 탈피하 게끔 만들 수 있는 치밀한 고증들이 존재하기에 ``벽지불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관련된 논의가 가능하리라 본다.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new concept we generally know as pratyekabuddha. "Self-enlightenment (or realization by self alone)" in the early Buddhist tradition is not uncommon. Just look at the mystical and performance arts of the pratyekabuddha in respect to the public as the audience. The literal meaning of "eka (or alone)," is to enter into religious life symbolically. Hae-Young, Won This is special because in pratyekabuddha, there is no teacher and the enlightenment comes to the self without guidance from a teacher. This is the reason to give blessing and benefit to the people born in the heaves in respect to pratyekabuddha. Building merits as offerings were a clearly professed practice in pratyekabuddha. As recorded in the Buddhist text, Hsuan-tsang, he visited India during the seventh century and visited numerous pratyekabuddha stupas. Pratyekabuddha and Buddha cannot exist simultaneously in a single era. Many scholars believe that the emergence of pratyekabuddha was during the period where ``Non-Buddha`` phenomenon prevailed. The magical powers of pratyekabuddha were noted in the early Buddhist texts. The merit gained in one``s previous life is important to the future life. The magical powers that are taught by pratyekabuddha are a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e practice. Stock images are fundamentally about pratyekabuddha and tend to be conservative. In this manner, his images can be newly reestablished. And this is possible through the careful historical research of the past and even present.

      • KCI등재

        미술과 문학의 매체 전이성 연구

        원혜영(Won, Hae-Young) 동서미술문화학회 2013 미술문화연구 Vol.3 No.3

        ‘여인과 일각수’의 태피스트리를 펼쳐서 전체를 감상하면 그 조화로움에 놀랄 수밖에 없다. 미술품을 감상한다는 것은 도상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 그 작품을 해석하는 것, 다시 말해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과 같다. 여섯 개의 연작들에서 우리는 미술과 문학사이의 전일적 세계관을 적용할 수 있다. 상호의존성과 역동성을 두 개의 다른 형태에서 볼 수 있다. ‘여인과 일각수’의 여섯 개 태피스트리는 텍스트 즉 그 결을 중요시하면서, 즉 개별적 사실의 느낌을 그대로 전하면서, 때로는 축 늘어진 커튼 같은 질감을 온전하게 전하면서, 전일적인 세계관을 여섯 개 패널 안에서 이루고 있다. 또한 더 나아가서 어떤 힘의 느낌이 전달의 과정을 통해 릴케의 형상시 또는 소설문학으로 관계한다. 인물과 신령스런 동물들의 표현이 고정된 시점으로 추상화되지 않아서 쉽게 수렴되고 화면을 화려하게 장식한다. 모든 장면에서 여인이 등장한다. 그녀는 여섯 개의 패널 모두에서 일정한 손짓과 동작을 취하며, 각기 다른 의상과 머리장식을 하고 나타난다. 이 태피스트리의 발견과 관련된 최근의 사실 또한 대중에게 큰 인상을 심어주었다. 1844년 프랑스 남부 크루즈 지방 잘 알려지지 않는 도시 Boussac의 성에 유명한 소설가 조르쥬 상드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작품들은 이후 39년이 지나 끌뤼니 미술관으로 옮겨진 다음, 세상의 이목을 끌었다. 작가들은 찬미했다. 단순하지 않은 도안과 수고스러움을 감지한 또 다른 작가들은 그들의 상상력을 다른 형식으로 표현한다. 릴케는 여기서 다른 영감을 얻어 형상시를 도출한다. 미술품과 시에서 여러 가지 요인으로 다각적으로 삽화를 만들게 되면서 릴케의 시는 유니콘의 형상으로 그려낼 수 있다. 여기에 논지와 사상은 없다. 역사적인 간극이 존재하지만 ‘여인과 일각수’의 태피스트리의 연작들은 그것을 보는 이들로 하여금 많은 영감을 얻게 한다. 일각수와 여인은 그리스도와 성모 마리아로 나타나기도 한다. 사냥꾼의 화살에 맞고 처녀의 무릎 위에 엎드려 있는 일각수의 모습은 마리아가 십자가에서 내려온 예수를 안고 있는 피에타의 전형적 구도를 떠올리기도 한다. To unfold the tapestry of “The Lady and the Unicorn” and to observe its whole inspires wonder at its harmony. To enjoy a work of art goes beyond iconographic analysis. Rather it is about interpreting the work, creating a narrative. In the series of six works we can apply a unified cosmos between art and literature. We observe this in the two facets of codependency and dynamism. The six tapestries of “The Lady and the Unicorn” place importance on text and grain, transmitting the feeling of life within individual facts, the wholesome texture of a draped curtain. It constitutes a unified cosmos within the six panels. Furthermore, through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is strength, it relates to Rilke’s form-poetry and literature. The depiction of people and spiritual beasts is not made abstract from a set perspective, ornamenting the view. All scenes involve a woman. She maintains a certain movement and gesticulation in each of the six panels, with different costumes and hair ornamentation. A fact associated with the discovery of the tapestries left a huge impression on the public. They were discovered 1844 in the relatively obscure castle of Boussac in Creuse, southern France, by the famous writer George Sand. These works were moved to the Cluny Museum 39 years later, drawing the attention of the world. Writers showered praise. The writers recognized the complex patterns and the craftsmanship, expressing their imaginations in different forms. Rilke drew inspiration and created form-poetry. By creating multi-faceted illustrations using differing elements of artwork and poetry. There is no point or ideology here. While there are historic gaps, the series of tapestries of “The Lady and the Unicorn” inspires its observers. “The Lady and the Unicorn” is reminiscent of Christ and the Virgin Mary. The Unicorn, shot by a hunter’s arrow, lies upon the lap of the Lady, resembling the Pieta, which depicts Maria cradling Christ following the crucifixion.

      • KCI등재

        돌아온 탕자 텍스트에서 볼 수 있는 인간 자유를 행한 열망

        원혜영(Hae-Young Won) 한국민족사상학회 2023 민족사상 Vol.17 No.1

        자유는 모든 욕망을 추구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법화경의 장자궁자(長者窮子), 누가복음의 탕자, 렘브란트의 '방탕한 아들의 귀환'과 앙드레 지드의 문학작품, 완월회맹연 등이 수록된 '타락한 아들 시리즈'는 인간 존엄성의 근간이자 토대이다. 이는 개인의 부나 지위에 따른 것이 아니라 자연적 성향을 있는 그대로 인식함에 따른 것임을 강조한다. 아버지는 아들의 성공을 기준으로 평가하지 않는다. ‘탕자 시리즈’는 동서양의 종교, 문학, 예술에서 발견되는 개인의 ‘일탈’로 치부되면서 ‘자유’의 가치를 강조한다. 창조적이고 도전적인 정신이 나타난 것은 ‘자유’로 인한 것이다. 탕자 시리즈는 자유에 대한 허용이 아버지의 허락으로 최고점을 이룬다. 《탕자 시리즈》는 인간 존엄성을 근간으로 하는 시대가 요구하는 정체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들 작품의 구조와 맥락은 거의 유사하지만, 민족적 습관과 종교적 성향, 가부장제에 관련된 사회적 경향 등등으로 다양하게 분석된다. 게다가, 그것들은 붓다가 출가를 영위하기 위해 그의 집을 버렸다는 설명과 유사하다. 분석의 핵심은 탕자가 집으로 돌아오는 결과적 사건을 주요하게 다루며, 긍정적이고 부정적으로 자유를 지향하는 삶에 대한 다양한 장르에서 대조적인 서술과 해석의 소개에 있다. Freedom is a prerequisite for pursuing all desires. The Prodigal Son Series, which includes the prodigal son of The Saddharma Pundarika Sutra, the prodigal son of the Gospel of Luke, Rembrandt's ‘Return of the prodigal son,’ Andrejid's literary work, and the Wanwolhoemaengyeon (玩月會盟宴), is the foundation and foundation of human dignity. It emphasizes that this is not based on the wealth or status of an individual but on recognizing the natural tendency as it is. A father does not evaluate his son based on his success. The Prodigal Son series highlights the important value of freedom, examining deviations found in religions, literature, and paintings in the East and West. It was from the freedom to dream of deviance that a creative and challenging spirit emerged. Allowance for freedom peaks with father's permission. The “The Prodigal Son Series” is rooted in the identity demanded by the times based on human dignity. The structure and context of these works are almost similar, but they are analyzed in various ways by ethnic habits, religious tendencies, and social trends related to patriarchy. In addition, they are similar to the explanation that Buddha abandoned his house to become a priest. The key to the analysis is the introduction of contrasting descriptions and interpretations in various genres of life, which deals primarily with the consequential events of the Prodigal's return home, and positively and negatively toward freedom.

      • KCI등재

        돈황사본 『金光明最勝王經』에 관한 서지적 고찰 -현대출판물에서 오류와 재편을 중심으로-

        원혜영 ( Hae Young W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60 No.-

        이 논문은 돈황 문헌(Dunhuang Manuscripts)에서 『金光明最勝王經』에 관련된 사 본들의 특징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金光明最勝王經』은 호국적인 성향이 강한 『金光明經』류 중의 하나이며 義淨에 의해서 번역된 것이다. 『金光明最勝王經』일부 에서는 임금이 친히 만든 서문이 포함된 필사본도 존재한다. 고려대장경과 돈황 문헌에서 일치하는 부분, 삭제된 부분, 중복된 부분 등을 구별해 낼 수도 있다. 고려대장경과 돈황 문헌의 비교에 따라 필사한 사람의 의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 돈황 사본에서 『金光明最勝王經』은 북경본이 585개, 러시아(俄藏)본 173개, 스타인 (Stein)본 300개, 펠리오(Pelliot)본 34개가 있다. 북경본이 53%, 俄藏16%, 스타인 27%, 펠리오 3%가 있다. 돈황 문헌에서 발견된 古本은 지금 활발하게 연구 진행 중에 있다. 내용과 서지학적인 측면에서 비교연구는 고려대장경의 풍부하고 완벽한 底本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현대출판물은 돈황의 방대한 문헌의 정리 작업을 거의 일차적으로 완료한 상 태이며, 각각의 사본들에 대한 밀접한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다. 초반의 현대출판 물들의 업적은 돈황문헌에 기여한 바가 크다. 하지만 진본인 필사본만큼이나 현 대출판물들의 유통은 널리 펴졌으며, 그 출판물들에 의존하여 돈황사본들을 조사 하고 연구하는 실정이다. 여기서는 그 전부를 거론할 수는 없겠지만, 『金光明最勝王經』에 관련하여 현대출판물들에서 기입되어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오류들과 현 대출판물이 진짜 필사본보다 조사 연구에서 뛰어난 업적을 소유했다고 보아진 러시아 소장 관련 출판물을 소개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py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in the Dunhuang Manuscripts.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is a part of "Sutra of Golden Light" that has a very strong patriotic characteristic. The translation was by Eui Jung. In parts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there exists a manuscript that the King himself wrot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parts equivalent to, deleted from, and repetitive to the Tripitaka Koreanan period and the Dunhuang Manuscripts. Moreover, the intentions of the maunuscriptor also can be inferred from comparison to the latter two texts. There are 585 manuscripts of Beijing version, 173 of Russian version, 300 of Stein version, and 34 of Pelliot versions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K.0127, T.0655); thus, 53% are from Beijing, 16% are from Russia, and Stein and Pelliot make up 27% and 3% respectively. The research conducted on the original version found in the Dunhuang Manuscripts are currently active. The reason is because of its diverse quantity. In the perspective of content and bibliography, the comparative studies highly depend on diversity and completeness of the foundation texts of the Tripitaka Koreanan. The publication of the private copy of Sovereign Kings of the Golden Light Sutra is special in that it allows partial and brief understanding of the text. Parts are review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it with Taisho Tripitaka.

      • 심우도와 고통의 패러다임

        원혜영 ( Haeyoung Won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5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1 No.3

        이 논문은 초기불교에서 언급하고 있는 사성제와 심우도를 통해 자아를 찾고자 하는 맥락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심우도는 언어적인 설명과 분석이 필요없는 선종 계통의 그림이며, 마음을 관통하려고 직접적인 접근은 몇 개의 시구와 함께 대중화되었다. 초기불교에서 논의하고 있는 고통의 패러다임은 사실상 자아에 관한 획기적인 관점을 종전의 인도 전통에서 벗어나게 한 것으로, 그것은 무아(無我)를 직접적으로 거론하고 있지 않더라고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한다. 십우도가 가지고 있는 ‘자아 찾기’도 이런 점에서 무아를 떠올리게 한다.사성제의 핵심이 고통의 해결에 있듯이, 심우도에서 검은 소를 길들임은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이지만, 자아가 지니고 있는 고통을 조정하고 통제할 수 있다는 핵심을 가졌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한다. 우리가 자아를 신비적으로 보는 관점은 사실상 그것이 애매하고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초기불교에서 고통을 치유하고 해결하는 방편으로 자아에 대한 집착과 떠남은 선(禪)적인 요소가 가미되었다. 자아라는 새로운 세계를 열어 탐색 가능하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대중적으로 보급하기 위해서는 초기불교의 교리보다 어쩌면 심우도의 그림이 더 효과적일 수 있겠다. 자아를 찾으면서 그 근원에 자리 잡은 고통의 패러다임도 상당히 시적이고 심오한 깨달음으로 이끈다. 독특한 배경이 그것을 소요하고 있음을 함께 발견하게 한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paradigm from Pain through the Picture of Sim Woo do and to reconstruct the suffering in the early Buddhist. This Picture of Sim Woo Do would be the very concept of Zen rather than the need of explanation that is explanation that is expository and analytical with letters and languages it emphasizes on direct approach of mind penetration with Buddhist revelation. The composition of a pictures was formed to parallel type of reiteration space with was not flat in addition to ascetic process of Sim Woo Do.So I argue that the Picture of Sim Woo Do is very useful for the self, and that through this paper there will b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at one``s self and add abundance of life by finding reflec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中有이론으로 反出生主義 再考

        원혜영(Haeyoung Wo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0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54

        ‘Anti-natalism’ is based on various moral principles concerning the irresponsibility of bringing a person into the world without his/her permission to be born. A recent example demonstrates this. In Mumbai, India, a 27-year-old man named Raphael Samuel sued his parents for having given birth to him without his consent. This led to numerous controversies. The central point that Samuel raised was that “parents procreate for their own desire without a child’s consent to be born.” From the perspective of anti-natalism, it is clear that “it is morally wrong for parents to have children for their own benefit.” However, the desire to be in a state of unborn existence as Samuel claimed can also be considered an act of selfishness because there is a moral position for persons who are born and exist, but “there is none for those who do not exist.” Through discussions on anti-natalism, I would like to find a way to explain pain and alternatives regarding the issue of anti-natalism with respect to the Buddhist theory of intermediate existence.

      • KCI등재

        량(量)(pramana)의 종류에 관한 대론

        원혜영(Hae Young Won) 철학연구회 2014 哲學硏究 Vol.0 No.107

        In the Buddhist Pramana school, there are two types of the rightful knowledge(pramanas): pratysksa and anumana. In Pramanavarttika, Dharmakirti is showed a this view which confronts Carvaka and other Indian Buddhist philosophy schools and it naturally constitutes the formation of discourse. In the argumentation, it is noticeable that Dharmakirti regards jati and samanya as synonyms. In this argument ``abhava(無)`` is mainly used as background term in defining pramana, a means of recognition. Dharmakirti confutes Carvaka``s argument that pramana is just or is more than three kinds what it is by admitting that ``abhava(無)`` and anitya(無常) is percieved by anumana(比量). The said non-existence is accepted and carried to its logical extreme within the view of realism, namely that everything is objectively real. If all knowledge points to something beyond it, so also does the knowledge points to negation and implies its existence apart from its knowledge. The absence has to be admitted as the object of the negative form of cognition which we do possess. Without this such cognition cannot be explained. Criticisms of opponents, counterargument of Dharmakirti and derived problems are special ways to imprint the Buddhist epistemology different from other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