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지적 공공성’과 8ㆍ15 해방 공간

        원용진(Yong-Jin W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7 No.3

        전통적으로 한국 언론사 논의는 언론을 수동적 존재로 파악하는 태도를 견지해왔다. 특히 해방 전후 언론 연구에서 그런 경향은 더욱 짙다. 언론을 수동적으로 대한다 함은 언론을 수단 혹은 도구로 보는 태도를 말한다. 언론사 논의는 그 같은 경향 내에서 언론을 민족 해방, 민족국가수립에 기여했는지 혹은 아닌지로 분류하고 평가하려 했다. 민족언론, 친일언론 등과 같은 친근한 구분법은 그로부터 나왔다. 최근 들어 그 같은 경향을 벗어난 연구들이 등장하고는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그 같은 민족주의적 시각으로부터 자유스럽지 않다. 덕택에 언론의 독자적 문화, 민중들의 언론 습관, 일상 속의 언론 논의는 소홀히 다루어졌다. 이 글은 민족주의적 관점으로 언론현상을 논의할 경우 해방당시를 섬세하게 설명할 방도가 없어진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민족주의적 관점을 넘어선 국면 분석을 통해 새로운 언론사 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1945년 8월 15일이라는 해방 국면에서의 언론 상황을 점검하고, 그를 통해 새롭게 대안적으로 포착해야 할 언론 단면들을 드러내고자 했다. 그 점검을 통해 해방 국면에서 제한된 형태이긴 하지만 언론이 해방의 의미를 나누었고, 민중들은 그 같은 의미를 언론을 통해 받아들이는 습관을 나름으로 형성한 식민지적 공공성을 지니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그 공공성은 왜곡되고 식민지적인 것일 수밖에 없었지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당시 민중들에게는 감정적 구조를 전달해주고 있었으며 삶의 지침이 되기도 하는 영역이었다. 식민지 근대화론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일제에 의해 선사된 근대성의 공간도 아니고, 민족주의자들의 주장대로 식민화된 공간만도 아닌 그 둘이 혼효된 공간이었다. 그리고 그 공간은 이후 한국 언론 문화, 관습, 언론을 받아들이는 습관 등 언론규율로 연장되었을 것이다. 혹은 새롭게 등장하는 서구적 근대성과 조우하면서 전혀 새로운 형태로 변해갔을 수도 있다. 지금의 언론 문화를 정리해내는 데 있어 식민지적 공공성에 대한 관심은 더 늦출 수 없는 중요한 지점이 아닐 수 없다. A tendency to ignore the existence of public space in Kore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ems to be driven from nationalist historiography in which all historical events under the colonial power have to be interpreted in terms of militant controls and resistances against them. Historical approach to mass media of that period has lasted to be saturated with the tendency and forced history students to stick to the nationalist guidelines. Struggles against Japanese imperial power by national-capital-operated newspaper have been a main menu of studies on the period’s communication. The media were often hailed as fighting the colonial power for nation’s independence. The present thesis aims to criticize the nationalist point of view and to reveal that nationalist interpretations may miss a variety of historical information. Even under the severe surveillance of colonial police some journalists tried either to inform officially or to smuggle into informed groups. The colonized society could experienced fields of public-ness throughout the practices of such as media fields, cultural fields, political fields. Those fields, of course, didn’t come from the graceful favor of the colonial power but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colonized. The public-ness seemed to be born for the easiness of control, but became later a constructed field of public-ness with which the colonized semiotically wrestled the power and grew a modern type of political (un)consciousness. Depicting what happened just before 815 liberation day in Korea the present paper showed that the less nationalist historiography can render help to those seeking political practices of the colonized in a micro-level.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인터넷 공론장의 현실적 기술(記述)을 위한 이론적 제안

        원용진(Yong-jin WON),이수엽(Suyub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0 언론과 사회 Vol.18 No.3

        이 논문은 현재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공론장 현실에 맞는 공론장 논의를 꾸려 보자는 제안을 한다. 우선 인터넷 전반에 다양한 공론장이 편재해 있다고 파악한다. 편재되어 있는 공론장과 그 안에서의 공론행위를 ‘협력’이라는 관점을 통해 바라보자는 제안을 한다. ‘협력’을 통해 공론장과 공론행위를 봄으로써 기존 공론장 논의에서 제외되었던 현상을 실제로 작동하고 있는 공론장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 같은 파악과 제안을 위해 먼저 공론장을 논의한 정치이론을 검토했다. 롤즈와 애커먼을 중심으로 한 자유주의 이론, 아렌트를 중심으로 한 공화주의 이론, 그리고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을 살펴보았다. 각기 다른 이념적 기반에 있는 공론장 논의가 공동으로 지닌 가치를 추출해냈다. 모든 개인의 정치적 평등, 의사소통을 통한 협의, 강제되지 않은 사회적 협력, 공적인 영역에서의 자기실현을 공론장이 추구해야 할 기본 가치로 삼고 있었다. 하지만 각 이론은 공론장에 참여하는 행위를 의사소통적 대화라는 시각으로 바라봄으로써 일정한 한계를 보였다. 공론장의 주제를 제약하거나 대화방식을 제약하는 한계점이 그에 해당한다. 이 논문은 비트겐슈타인의 논의를 빌려 의사소통적 관계를 반드시 의사소통적 대화라는 시각으로만 바라볼 필요가 없음을 지적했다. 호네트와 폴라니의 논의에 기대어 협력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공론장을 논의할 것을 제안했다. 현실의 공론장에서 벌어지는 유희적 요소, 비합리적 소통행위를 포괄하기 위해서도 그 제안이 적절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he present thesis aims at proposing a realistically potential discursive paradigm that can embrace all the variety of existing public sphere working on internet network. Above all, we presume that there are a variety of public spheres where public discursive activities are actively done throughout tens of ways of internet performance. The omni-present public spheres on internet need to be seen as results of public co-operations. The proposal asks the Internet Public Spheres(hereafter IPS) students for a theoretical shift from the communicative consensus to the communication co-operation, in other words, from the Habermasian paradigm to elsewhere. The thesis suggests that the new paradigm helps IPS discussion out to widen its boundaries and to describe itself in a thicker way. We reviews a bunch of related political theories to build the proposal, including J. Rawls, B. Ackerman of the libertarian traditions, H. Arendt of the republic traditions, M. Walzer, C. Taylor of the communitarian traditions, and J. Habermas of the critical theory traditions. Even if those theoretical traditions show distinctive views on public spheres, they share common values in terms of public debate, public sphere. They commonly put much values on the citizen’s individual political equality, the free communicative activity, the unforced social co-operations, the self-realization via public sphere. They, however, show limits by pursuing the communicative activity as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 thus, try to sanitize the IPS by giving the guidelines to its theme and procedure. The limits bear an infertile relation between IPS discourses and reality. The thesis finally propose that to avoid the infertility the IPS students should give a spotlight on the social co-operation on internet. Depending on Wittgenstein, we conclude that IPS students can evaluate the IPS performance with any aids from social co-operation thesis instead of communicative act thesis. Especially social co-operation thesis suggested by both A. Honneth and M. Polanyi can help the IPS envisage newly mobilizing internet activities and establish new IPS thesis. Even emotional dimension on internet, which has been excluded from IPS discussions, can put its name on the inventory of IPS studies. We anticipate that by accepting the new proposal the IPS students will get a variety of discussion agenda and develop a new horizon of IPS studies.

      • 언론학 내 문화연구의 궤적과 성과

        원용진(Yong-Jin Won) 한국언론학회 200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 No.1

        이 글은 한국 언론학에서 수용해 발전시켜 온 문화연구의 이론적 궤적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그에 대한 평가와 향후 방향을 제시하는 목적을 지닌다. 한국 언론학 내 문화연구는 지난 10여 년간 괄목할 만한 압축적인 성장을 보여주었다. 압축 성장 과정에서 문화연구자들은 더하기 전략을 구사하였다. 앞의 연구 성과들에 차후 연구 성과들을 보태거나, 절합하는 과정을 반복한 것이다. 이데올로기 연구주력을 시작으로 했던 언론학 내 문화연구는 한국의 특수한 사회적 국면과 긴밀히 연계하여 권력, 욕망의 문제틀을 부가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언론학의 문화연구는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지양하고 하나의 문제틀로 환원되지 않는 포괄적이고 유연한 문화의 개념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문화 연구의 외연과 내포가 확장되면서 문화 연구에 대한 정체성 혼란이 가중된 것도 사실이다. 이를 막고자 문화연구자들은 다양한 형태로 문화연구를 묶고자 하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지만 그 임시 봉합을 거두기 위해서는 문화 연구 자체를 강력하게 규정하고 있는 진보성에 대한 고민을 진지하게 행해야 할 것이다. 진보성의 유지는 문화연구의 이론적 태도일 뿐만 아니라 더하기 전략을 가능케 하는 가족 유사성의 조건이기 때문이다. The paper am" to grasp the theoretical traces of cultural studies in communication research field (i.e, communicational cultural studie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in the field, the present paper evaluates its contribution to other research fields and suggests its future directions. Above all, cultural studies in communication research field has employed a very unique strategy, i.e. 'and strategy', for the purpose of its successful unfolding. While it tries to transcend old paradigms, it never throws them out. Instead, it embraces the old paradigms into new paradigms, that is, the state of art of cultural studies always becomes 'old paradigms and new paradigms.' Through the strategy, cultural studies in communication studies could figure out new conceptualization of culture, ideology, power and desire and transform its own figure in a unique direction. It is the reason why cultural studies in communication field could achieve a considerable progress in a short period. As many meta-study on cultural studies suggested, of course, it lacks sophisticated theoretical basis, political intervention into cultural process, and its own unique thesis. Nonetheless, if it can successfully articulate its own performance so far with the political progressive-ness and consistently stick to the 'and strategy,' it can keep itself away from any problems and lacks. The strategy would be a key point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Korean way of cultural studies in communication field.

      • KCI등재

        화폐 읽기

        원용진(Yong-Jin Won),홍성일(Sung-IL Ho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1 No.1

        화폐를 소통 미디어로 간주하고 화폐가 야기하는/실패하는 소통 형식을 추적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현대 자본주의사회에서 화폐를 경제적 역할(가치척도 수단, 유통 수단, 축장 수단, 지불 수단)에만 한정해 논의할 수는 없다. 사회 전 영역에서 인간을 매개하고, 의미를 전하는 사회문화적 역할을 수행하는 미디어로도 이해해야 한다. 이 같은 인식 아래 화폐에 대한 언어학적/기호학적 이론화를 시도했다. 마르크스의 가치형태론과 언어학/기호학을 접합시키고자 했다. 접합을 통해 소통 미디어로서 화폐는 두 가지 의미작용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하나는 무한한 부의 축적을 욕망케 하는 메타 의미작용이다. 그 결과 화폐는 두 번째 의미작용인 개별 상품들 사이의 구체적이고 중층적인 의미작용들을 대신하게 된다. 화폐가 주인 기표가 되며 모든 기호들의 의미작용은 파괴되고 아무것도 아님은 모든 것이 될 수 있음을 의미화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소통 미디어로서의 화폐는 모든 개별 주체의 보편적인 상상적 동일시의 대상이 되었다. 화폐는 개별 기호를 묘사할 뿐만 아니라 대표하는 지위를 점한다. 그러나 대표와 묘사는 지속적인 긴장을 일으키며 주인 기표로서의 화폐의 지위를 위협한다. 마르크스의 보나파르티즘 분석에 대한 화폐기호학적 재독해는 이와 같은 긴장의 구체적 국면을 드러내고 있었다. 즉 묘사될 수는 있으나 보나파르티즘에 의해 대표되지 못하고 이탈된 주체들은 체계의 위협 요소로 상존하였다. 소통 미디어로서의 화폐는 의미작용의 작동을 통해 화폐 체계의 성립과 와해의 가능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The paper aims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money in terms of communication in which we can find the specific communicative and cultural form of money. In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we cannot limit money within the economical terms - for example, store of value, medium of exchange, unit of account and means of payment - because money mediates all human activities beyond the economic boundary and conveys specific meaning in the social and the cultural area. Money can be the medium of the cultural and the communicational as well as the medium of the economic. In this respect, we've try to articulate money with linguistic or semiotic insight. Through this theoretical dialogue, we find two significations of money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The first signification is meta-signification which drives the individual to the unlimited accumulation of the money. Meta-signification displace the second signification of the money that is the singular, over-determined and the mosaic significations. In this process money can be the signifier without signification. And then, money is the Master signifier which all sign should be identified imaginary. Finally, Money is not only the re-presense (Darstellung) of all sings but also the representative (Vertretung) of all signs. But this double position creates some tensions and makes master signifier of money unstable. Marx's analysis of Bonapartism, which shares the linguistic or semiotic insight, shows the crack of the re-presence between the representative. Like Marx's analysis, the money has the tension between two signification which makes the room for the struggle to signify.

      • KCI등재

        문화 연구의 미디어 논의 반성과 전망

        원용진(Yong-Jin Won) 한국방송학회 2000 한국방송학보 Vol.14 No.3

        The field of cultural studies is experiencing an unprecedented international 'boom'. It explicitly attempted to cut across diverse social and political interests and address many of the struggles within the current scene. Communication studies in Korea is no exception. Those who had studied abroad had 'imported' the discipline and put it into curriculum with a great eagerness. Since then, it is not hard to find cultural-studies-based-articles in communication research journals in Korean any longer. It is the turn to evaluate what Korean cultural studies tradition has done and to position the discipline in communication research field. This paper grew out of a large scale of review of media studies in cultural studies done by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holars through media-concerned academic journals in Korean and English. In addition to those published in the journals, a number of other papers collected in single volumes were also selected for the better work. The main goal of the paper was to position 'Media Studies' in Korean tradition of cultural studies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reorientation for the field by juxtaposing domestic works with international ones. It was necessary for the analysis to make sub-categories into which the selected papers were put. For the categorization, the paper took the traditional way by which disciplines stake out their territories and theoretical paradigms mark their difference. Five sub-categories were collected: Media Text studies, Media Audience studies, Media Institution studies, Media-Related Discourse studies, Media and Modernity studies. Though each categogy contained at least more than a single media studies done by Korean scholars, many of them were concentrated in favor of - so called - 'revisionist' areas such as audience and text-audience studies. Korean students in cultural studies rarely paid attention to the media institutions, especially the press. Considering media students in traditional communication research field have given a great emphasis on the area, cultural studies students' are to deserve to be criticized for neglect of duty. Interesting enough, none of international studies belonged to the category of Media-Modernity studies. The category consisted of the studies on the role of mass media in the formation of modernity, the origin of modern-type media performance. It was an obviously emerging topic among Korean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evaluation, the paper suggested that cultural studies should widen its focus on such mass media phenomema as journalism, media-scape, and other media-related texts(department store, street, advertisements etc.). Repositioning cultural studies in terms of social practice was also recommended. Cultural studies students seems to be satisfied with its institutionalization and with its advance into curriculum in college. It is necessary for cultural studies to remind itself of the spirit in the earlier stage of cultural studies. Most works done by Korean students neglected to historicise and to put its results into the concrete social conjuncture. It had led cultural studies to the research for its sake. Overall, media studies in Korean cultural studies tradition need to reposition and to reorient itself for the purpose of its expansion in terms of academic, social influence and for the success in competition with traditional communication research paradigm.

      • KCI등재후보

        텔레비전 장르의 중첩적 공진화(dual co-evolution)

        원용진(Won Yong-Jin),주혜정(Joo Hae-Jung)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1

        구조화된 문화적 취향으로서의 아비투스가 아니라 구조화 과정으로서의 사회적 아비투스인 텔레비전은 정치경제학적 변화, 방송 산업의 변화, 수용자들의 감성구조의 변화 같은 요동을 지닌다. 이 요동은 특정 장르를 변화시키기도 하고 연쇄적으로 다른 장르의 변화를 이끌기도 하며 사회의 변화와도 관련된다. 이런 점에서 텔레비전 장르 연구는 중첩적 공진화 개념의 유용성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타 장르나 텍스트와의 상호 침투성과 장르-사회 간의 역동성 및 정치성을 드러내는 두 겹의 중첩적 공진화는 장르를 분류나 범주로, 구조화된 결과물로 파악하는 확정의 완고한 경향으로부터 탈피하여 텔레비전 장르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게 한다. 이 연구는 사극 장르의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통해 이를 실증적으로 설명한다. A concept. “Dual Co-Evolution,”(hereafter DCE) is being introduced in this study for extending popular genre studies into the further advanced level. The concept, through which a TV drama genre is tested whether works or not, implies that a genre has a dialogue with not only other neighboring genres, but society. The dialogue is not one-sided. Both sides in the process of dialogue give an effectivity to each other.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depends on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genres are put and dialogues take place. The concept, DCE, succinctly represents the dynamics of popular genre and makes genre students reframe their works. Two television dramas are brought in to test if DCE can enhance the level of genre study. The study is showing that the concept is so helpful that it can not only lead genre studies to a well organized territory, but add political meaning to the studies, At the first level of co-evolution, the (historical) dramas, which deals historically great persons and events, are seen as being influenced in terms of styles by contemporary dramas. The intertextuality seems to happen even in between the historical dramas and contemporary soap operas, The other level of co-evolution refers to frequent dialogues between socio-political circumstances and the genres. The historical dramas take advantage of social, political events and mingle historical facts with contemporary event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