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새로운 과학기술혁신체제의 시스템다이내믹스

        원동규 ( Dong Kyu Won ),윤진효 ( Jin Hyo Yun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05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6 No.1

        If Korea Research & Development reinforces integrated control function, indeed would Korea Research & Development`s output be increased? Truly, could Korea`s competition be ultimately improved with technology innovation and accumulation of knowledge. Can reinforcement of Integrated control that reinforced efficiency of Research & Development`s investment effects make Korea Research & Development`s investment, itself, be decreased? I try to answer clearly that in a way to reorganize Korea technology Administration`s system, introduced Korea Research & Development integrated control system`s establishment is what to effect Korea innovation system`s direction after answering clearly previous mentioned problems. In this study, to answer these problems view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Korea innovation system,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system dynamics. Set up analytic tools of system dynamics which includes Korea innovation system and integrated control system. Then, draw a general casual loop diagram, which includes established Korea Research & Development`s integrated control system, of Korea innovation system`s activity. In based these, develop situation model to analyze trend of Korea innovation system and derive a political meaning by analyzing value of Korea innovation system`s major inflow, outflow and stock variations according to extent of Korea Research & Development`s integrated control in the same model.

      • 복잡계 상황에서의 새로운 과학기술정보인프라구축의 틀 모색

        원동규(DONG KYU WON),서지현(JEE HYUN SUH)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_1

        오늘날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국가과학기술정책에서 당면하고 있는 최대의 관건은 불확실한 기술개발환경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의 문제가 될 것이다. 우리를 둘러싼 사회경제 환경은 한 마디로 질서와 무질서가 병존하는 제한적 불확실성 상황(복잡계)이며 기술개발환경은 더욱 복잡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복잡계 상황에서 창조적 기술개발의 실천적 관점을 관철하기 위해서는 기존 선형적이고 정태적인 국가과학기술정보 인프라구축에서 벗어나 ‘모방에서 창조로의 전환’, ‘기술혁신의 자기조직화(self-organization)’, ‘동태적 능력(dynamic capability)의 확보’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기 위한 새로운 ‘복잡계 과학기술정보인프라구축의 프레임 워크’ 구축으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을 통하여 불확실성 하에서 태동하는 질서를 간파하고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가는 자기조직화가 가능한 과학기술 정보인프라는 기존의 정보공유중심에서 정보공명이 중심이 되는 인프라 구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Web 3.0은 이러한 정보공명이 가능한 상태 즉, 피드백이 가능한 맞춤형 분석 정보 지원체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하여 개개인이 갖고 있는 지식, 자기 조직화된-노하우가 공유됨으로써 서로 간에 공진화(co-evolution)가 발생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새로운 과학기술정보 인프라 구축의 정책적 진화가 이루어 질 것이다. Today, the most pivotal issue in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policy is to overcome uncertainties in the environment of technology development. The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around us is at restricted uncertainty (complex system) where order and disorder coexist. Furthermore, the environment of technology development is more complicated. In order to bring about creativity in practices of technology development, we need a paradigm shift towards a new framewor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which entails a shift to creativity, self-organization and dynamic capability. The paradigm shift will lead the present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which centers on information sharing, to move towards one that enables information coherence through self-organization.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new Web 3.0 will provide a client-flexible analysis information system that will make information coherence and feedback possible. Through this system, the policy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scientific and technical infrastructure will evolve, which will bring about co-evolution of individual's knowledge through sharing of self-organizaed knowhow.

      • KCI등재

        무인항공기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김광훈(Kwang-Hoon Kim),원동규(Dong-Kyu Won),여운동(Woon-Dong Yeo)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무인항공기 산업과 관련된 기술별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고용창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 감응도 계수, 영향력 계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분석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로 한다. 분석결과, 고용유발효과는 투자액 10억원당 10.017명으로 확인되었으며,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원의 예산이 투입될 경우, 0.9771원의 부가가치가 발생하여 타제조업 평균치(고용유 발계수: 2.285, 부가가치유발계수: 0.581) 대비 모두 월등히 높은 수치를 보였다. 한편, 무인항공기 산업은 전방연쇄효과를 의미하는 감응도 계수는 0.7870로 제조업 평균치(감응도 계수: 1.125)보다 낮고, 후방연쇄효과를 의미하는 영향력 계수는 각각 1.161로 제조업 평균치(영향력 계수: 1.116)보다 높기 때문에 최종 수요적 제조업형 산업으로 분류된다. 이는 무인항공기 산업이 경기변동에 영향을 적게 받는 산업임을 의미하며, 다른 부문에 비해서 투자지출대비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정략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무인항공기 산업의 기술별 R&D 투자 방향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conomic ripple effects of technology relat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dustry by applying industry association analysis. Specifically, the effects of employment creation, value added inducement, sensitivity coefficient, and influence coefficient can be calculated, and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result are presented. As a result,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as confirmed to be 10.017 persons per 1 billion won of investment. The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 was much higher than the other manufacturing industry average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2.285,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 0.581) when the 1 won budget was added, resulting in 0.9771 won added value.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dustry, the coefficient of sensitivity, which means the front chain effect, is 0.7870, which is lower than the manufacturing average (sensitivity coefficient 1.125), and the coefficient of influence, which means the backward chain effect, is 1.161, which is higher than the manufacturing average (influence coefficient: 1.116). Therefore, it is classified as the final demand manufacturing industry. This means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dustry is an industry that is less affected by economic fluctuations and can be interpreted as an industry with a greater economic impact than other sectors. Based on these data, it can be used to establish the R&D investment direction policy of the unmanned aerospace industry.

      • 무인항공기 분야의 정부 R&D 투자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광훈(Kwang-hoon Kim),원동규(Dong-kyu Won),이방래(Bang-rae Lee),여운동(Woon-dong Ye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 분야에서 우선적으로 투자가 필요한 핵심 기술군들을 대상으로 투입 대비 산출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무인항공기 분야의 중요 기술 영역을 탐지하기 위하여 Scopus DB에서 무인항공기 관련 키워드 검색기반으로 계층적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였다. 선별된 총 34개 기술군들을 대상으로 총 7가지 지표(정부연구개발투자비, 국내 논문건수, 국내 특허건수, 고용창출효과, 부가가치창출효과, 전방산업연쇄효과, 후방산업연쇄효과)를 도출하였다. 투입 대비 산출의 효율성 분석에는 자료포락분석 기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를 구분하고, 34개 핵심 기술군들에 관하여 투입 대비 산출의 효율성을 측정하여 정부 연구개발 투자방향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input-output efficiency for core technology groups that need to invest first in the field of unmanned aerial vehicles. Hierarchical clustering was performed on Scopus DB based on keyword search related to unmanned aerial vehicles in order to detect key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 total of nine indices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34 technology groups selected.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techniques are widely used for efficiency analysis of input-output calculation. In this study, we divide input variables and output variables and provide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about govern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direction by measuring the efficiency of output calculation for 34 core technology groups.

      • KCI등재SCOPUS

        우리나라 과학기술성과의 지역기술 특성화 분석

        정용일,이방래,주시형,원동규,배영문,Jeong, Yong-Il,Lee, Bang-Rae,Joo, Si-Hyung,Won, Dong-Kyu,Bay, Young-Moo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7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8 No.1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성과가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지역별로 얼마나, 어떻게 산출되는가를 살펴보고 지역별로 어떠한 특성을 갖는가를 분석하였다. 지역특성화 분석은 주요 과학기술성과인 논문과 특허정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의 광역자치단체 중에서 서울, 부산, 인천, 울산, 대구, 광주, 대전 등 1개 특별시와6개 광역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의 주요 지역의 기술 분야별 논문과 특허의 게재 및 등록 순위, 게재 건수 및 등록 건수 분포를 계량정보학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학기술성과가 지역 차원에서 몇 개의 소수 분야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역 차원에서 기술의 성과가 과학의 성과보다 좀더 소수의 몇 개 분야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becomes the nerves of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industry of our future in the regional level as well as i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In Korea,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local governments launched, and they are strategically fostering their specialized regional industries. Bo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regional governments prepare and execute policies to foster specialized regional industries. Though there are many kinds of methods to analyze the outcomes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region, in this paper, we measure the outcomes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region by applying an informetric analysis on the SCIE papers and USPA patents. To seek for the regional speciality, we analyze the total national outcomes and the regional outcomes of S&T activities in Korea.

      • KCI등재
      • 글로벌 시대의 기술혁신과 리스크 거버넌스를 위한 의사결정구조의 변화

        서지현(Suh Jee-Hyun),원동규(Won Dong-kyu)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_1

        고도의 지식 기반사회인 현대사회에서 과학적 지식과 기술 혁신은 개인과 사회, 그리고 국가의 경제 발전과 경쟁력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서 자리매김해 왔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줄기세포연구, 유전자조작기술 등 기술혁신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은 사회적 불안 및 갈등요소로도 작용하고 있다. 기술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사회가 다원화하면서 과학기술정책의 의사결정과정도 기존의 톱다운 방식인 ‘거버먼트(Government)’에서 점차적으로 ‘거버넌스(Governance)로 옮겨가고 있다. 다양한 사회 구성원의 참여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거버넌스는 복잡한 사회 현상들에 대한 다원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본고에서는 거버넌스, 특히 기술혁신과 관련된 리스크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지식을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모델을 살펴보고, 글로벌 시대에 과학기술과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During the recent decades in democratic and industrialized countries, government policies for govern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risks to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have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The shift from a top-down legislative approach to a more inclusive and deliberative atmosphere is, putatively the most prominent change. Such a move is often described as a move 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In the governance of technology and risk, public engagement has been a major strategy in technology decision-making process. This article aims to look into the changes in the procedural modes of technology decision-making process. It discusses the main viewpoints that have been placed on the basis of such a move. Also, it further relates the changes in local decision-making process to science and technology decision-making at global level. It argues that the democratic and reflexive trends in local science and technology decision-making will be the basis upon which to shape and respond to global governance system: while international decision-making process would require accountability in integrating different values and rationalities, such accountability may be sustained and reinforced depending on the robustness of the local decisions and social cho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