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투고논문 : 남파(南坡) 홍우원(洪宇遠)의 논설류 산문 연구

        우지영 ( Jee Young Woo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남파(南坡) 홍우원(洪宇遠)은 인조(仁祖)에서 숙종(肅宗) 연간에 활동한 문인 관료이다. 홍우원의 문집인 『남파집(南坡集)』은 시와 상소문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기(記)·설(說)·서(序) 등의 산문 작품의 편수는 적은 편이다. 하지만 홍우원은 그의 논설류 산문에서 당대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단편적이고 직설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각종 문학적 장치를 통하여 효과적이면서도 흥미롭게 표현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소재와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분석을 해보았다.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 중 「노마설(老馬說)」에서는 늙은 말과 주인이 나누는 대화를 중심구도로 하여 필요할 때는 취하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버려버리는 인정세태에 대한 비판의식을 서술하였고, 「목근침설(木根枕說)」에서는 목침이라는 일상의 소재에서 이야기를 시작하여 위정자가 인재를 알아보고 등용하는 문제에까지 논의를 확대해 갔다. 「각설(角說)」에서는 뿔이 난 말과 고양이라는 기형의 동물을 소재로 하여 당대 정치 상황을 비판하였고, 「백흑난(白黑難)」에서는 선과 악을 상징하는 색깔인 백(白)과 흑(黑)이 서로 벌이는 문답을 통하여 옳고 그름의 가치관이 전도된 현실세태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담았다. 이들 작품에서는 버려지는 늙은 말, 나무등걸로 만든 목침, 뿔이 난 말과 고양이, 흑색과 백색 등의 친근하거나 흥미를 끌만한 소재를 통하여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켜서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주인과 늙은 말 사이의 대화, 백색과 흑색이 벌이는 허구적 문답을 가설하여 답변자의 발언 속에 작자의 목소리를 담아내어 주제를 논리적이면서도 설득력 있게 드러내었다. 그리고 당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비판을 하는 것이 아니라 비유와 기탁을 통하여 주제를 우의적으로 표현하였다. Nampa Woo-Won Hong(1605~1687) is a literary bureaucrat who acted in Sukjong ~Injo. 『Nampa collection』, Woo-Won Hong``s work collection, is largely comprised of poems and Sangsomun and the number of prose works such as Gi, Seol, and Seo. However, Woo-Won Hong express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reality of that time in an effective and interesting way through all kinds of literary devices rather than revealing it in a fractional and straightforward manner. Hereby this paper analyzed Won-Woo Hong``s editorial prose focusing on its material and descriptive way. 「Nomaseol」 among Woo-Won Hong``s editorial prose describ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condition that something is thrown away if it becomes useless by focusing on the conversation the old horse and master have, and 「Mokgeunchimseol」 expanded the discussion with the deep subject which could alarm the society by starting the story from the routine material of wooden pillow. 「Gakseol」 criticiz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at time by considering the horned horse and cat as a material, and 「Baekheuknan」 contained the criticism and satire on the reality that the sense of values of right and wrong was reversed through Byeonnan that black and white fought. These works expressed the subject effectively by bringing about the readers`` sympathy through the intimate material such as thrown old horse, wooden pillow made of tree, white and black colors. Also, it revealed the subject logically by hypothesizing the fictional question and answer of white and black, question and answer of old horse and master. And it expressed the subject indirectly through the metaphor and deposition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reality of that time in a specific and direct way.

      • KCI등재후보

        터어키안 및 그 주위 종양에서 이중시기 나선식CT를 이용한 조영 증강 양상의 분석

        우지영,유재욱,나동규,노홍기,변홍식,Woo, Ji-Young,Ryoo, Jae-Wook,Na, Dong-Gyu,Roh, Hong-Gee,Byun, Hong-Sik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1

        목적: 이중시기 나선식 CT에서 나타나는 터어키안 및 그 주위 종양의 조영 증강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수술로 진단된32명의 터어키안 및 그 주위 종양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막종이 17예, 뇌하수체 거대선종 6예, 신경성 종양 5예, 해면 혈관종, 연골육종, 골육종, 접형동 종양이 각 1예였다. 이중시기 나선식 CT는 초당 3 ml로 90 ml의 조영제를 주입한 후 30초와 120초 후에 조기 및 지연 횡단 영상을 얻었고,횡단면 영상을 얻은 후 관상면 영상을 얻었다. 종양의 감쇠 변화와 조영 증강 양상을 육안적으로 평가하였고,조기 횡단 영상에 대한 지연 횡단 및 지연 관상면 영상의 CT수치의 비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육안적 평가에서 조기 횡단 영상에 대한 지연 횡단 영상의 감쇠 변화는 수막종17예 모두(100%)에서 감소하였고, 뇌하수체 거대선종6예 모두(100%)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신경성 종양 5예 모두(100%)에서 증가하였다.조기 횡단 영상에 대한 지연 관상면 영상의 감쇠 변화는 수막종 17예 모두(100%)에서 감소하였고, 신경성 종양 5예 모두(100%)에서 증가하였으며, 뇌하수체 거대선종 6예중 4예(66.7%)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막종, 신경성 종양, 뇌하수체 거대선종에서 계산한 CT 수치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결론: 이중시기 나선식 CT에서 터어키안 과 그 주위 종양은 병리에 따라 특징적인 조영 증강양상을 나타냈다. 이중시기 나선식 CT를 이용한 조영 증강 양상의 분석은 이들 종양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ssess the enhancement patterns of sellar and parasellar tumors at two-phase helical CT.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proven sellar and parasellar tumors [meningioma (n=17), pituitary mocroadenoma (n=6), neurogenic tumor (n=5), cavernous angioma (n=1), chondrosarcoma (n=1), osteosarcoma (n=1), sphenoid carcinoma (n=1)]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wo-phase helical CT was performed after the injection of 90 mL of contrast material at a rate of 3 mL/sec. Transverse helical CT scans were obtained during the early and late phases, with scanning delays of 30 and 120 seconds, respectively. Delayed coronal images were obtained after delayed axial images. Attenuation change and the enhancement patterns of the tumors were visually assessed; the former was also assessed quantitatively as the ratio of the CT number at late-phase axial and coronal scanning to that at early-phase scanning. Results: Visual assessment of two-phase helical CT images revealed decreased attenuation in all 17 meningiomas, no change in all six pituitary macroadenomas and increased attenuation in 5 all five neurogenic tumors on late-phase axial scans as compared with early phase scans. Coronal images showed decreased attenuation in all 17 meningiomas, increased attenuation in all five neurogenic tumors and no change in four pituitary macroadenomas (66.7%). The ratio of CT numb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eningiomas, neurogenic tumors and pituitary macroadenomas(p<0.05). Conclusion: According to their histopathology, sellar and parasellar tumors showed characteristic enhancement patterns at two-phase helical CT. An analysis of the observed enhancement patterns can be useful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juxtasellar tumors.

      • KCI등재
      • KCI등재

        금시습(金時習) “잡저(雜著)”의 형식적 특징과 서술방식에 대한 고찰

        우지영 ( Jee Young Woo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6

        본 논문에서는 김시습 ``잡저’의 형식적 특징과 서술방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김시습의 ``잡저’는 문집의 두 권의 분량을 차지할 정도로 장편이며, 유·불·도를 아우르는 작자의 방대하고 심원한 사상이 종합적으로 표출된 산문 작품이다. 우선 ``잡저’의 형식적 특징으로 편의 구분과 그 命名의 임의성에 대하여 거론하였다. 전제적인 내용의 상관성과 편과 편 사이의 질문자와 답변자의 문답이 밀접하게 관련되었다는 사실을 통하여 ``잡저’가 각각 10편으로 구분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는 편의적인 구분에 불과함을 밝혔다. 또한 제목과 내용이 불일치하는 편이 존재하는 것을 통하여 각 편의 제목 역시 앞부분의 두 글자를 취해서 임의로 명명한 것일 뿐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잡저’의 서술방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잡저’는 전편이 가설적 문답기법으로 작성된 문답식 산문인데, 그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해 봄으로써 이 글에서 문답의 서술방식을 취하면서 획득하는 효과를 가늠해 보았다. ‘잡저’는 도입부의 상황 설정과 결말부의 질문자의 설복이 생략되고, 작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면서 주지 전달의 역할을 맡고 있는 청한자의 답변만이 매우 확대되어 의론성이 극도로 강조된 형태를 지닌다. 하지만 질문자인 객과 혹자는 청한자의 의견에 반론을 제기하기도 하고 여러 가지 궁금한 사안에 대해 질문을 하여 화제를 전환하고 여러 가지 화두를 제시하기도 하는 등, 조력자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이 글이 문답의 서술방식으로 작성되었기에 김시습은 방대한 주제를 효과적으로 아우르면서 잡다한 소재의 지식을 요연하게 설명해 낼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considers the feature of form and narrative style of Kim Siseup`s miscellaneous writings. ``Kim Siseup`s Miscellaneous writings`` is as long work as it comprisestwo-installments length in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nd also is the prose works that the writer`s extensive and profound thoughts embrac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re synthetically expressed. As the feature of ``Miscellaneous writings`` form, firstly, it mentions the separation of volumes and randomness of its appellation. Through a fact that a correlationship of autocratic content and Q & A of questioner and answerer between chapter and chapter are closely connected, it determines that although each miscellaneous writings of volume.16 and 17 in a collection of works are separated as ten chapters, this is a separation just for a convenience. In addition to this, through a fact that there exist several chapters that the title and content do not correspond, it verifies the title of each chapter is also discretionally denominated just by taking two letters from the forepart. Then, this study considers the narrative style of ``Miscellaneous writings``. ``Miscellaneous writings`is a catechetical prose that all chapters are written in a hypothetical catechetical-technique, and it estimates the acquirable effect from this catechetical narrative style, by analyzing the works on the basis of its narrative style. Specially, ``Miscellaneous writings`` has a form that the situation set-up in the introduction and questioner`s persuasion in the final part are omitted, and an extremely emphasized discussability on a form, by magnifyingthe answer of Cheonghanja who takes a role to remind, speaking for the writer. But the answerers, a guest and someone, carry out their role as the assistor faithfully, by raising a counterargument against Cheonghanja`s opinion, changing a topic by throwing a question or suggesting various subjects. Because this works were written in a catechetical narrative way, it is considered that Kim Siseup could clearly explain the knowledge of sundry materials, effectively encompassing vast subjects.

      • KCI등재

        심성(心性)의 문학적 형상화와 그 기록에 대한 연구

        우지영 ( Woo Jee-young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6

        ‘신령스럽고 밝은 집’이라는 뜻의 ‘神明舍’는 인간의 심성을 건축물에 비유한 명칭으로, 마음이 머무는 집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신명사를 가상적인 공간으로 설정하여 이 공간의 유래와 구조, 마음을 잃는 과정과 되찾는 과정에 대한 경위 등을 기록한 記文인 「神明舍記」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해 보았다. 신명사를 소재로 하는 기문은 주로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중반까지 활동한 문인들에 의해서 주로 지어졌는데,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하는 작품은 바로 尹光啓, 張維, 姜大遂, 鄭弘溟, 河溍에 의해 지어진 「神明舍記」이다. 「신명사기」에서는 인간의 마음이 머무는 곳을 공간적으로 형상화하여 추상적인 개념을 가시적인 것으로 치환하고, 인간의 심성을 여러 가지로 의인화하여 표현하였다. 또한 올바른 마음을 잃어버렸다가 되찾는 과정을 서사적으로 기술함으로써 상실된 마음을 회복하고 심성 수양으로 나아가려는 목표에 도달하는 방도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마음을 성찰하고 수양하여 신령스럽고 밝은 마음을 상실하지 않는 방법에 대한 교훈적 가르침을 여러 가지 문학적 수사로 참신하고 생동감 있게 전달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 대상으로 한 작품들은 곧 마음의 근원을 궁구하고 올바른 본성의 이상적 실현을 위한 방안에 대해 고심한 흔적의 소산물임과 동시에 심성론과 관련된 경서의 전고를 적절히 수용하여 교훈적 메시지를 담으면서도 다소 희작적인 창작 기법이 교차하는 문예지향적 작품이라고 그 의미를 평가해 볼 수 있겠다. The ‘Sinmyeongsa(神明舍)’, meaning ‘A spiritual and bright house’, is a name that likens the mind of human to a building and it means the house where the heart is. In this paper, I proceeded with the study by paying attention to the 「Sinmyeongsagi(神明舍記)」 that recorded the origin and the structure of this space, the process of losing the mind and regaining it, by setting the Sinmyeongsa as a imaginary space. The works based on the Sinmyeongsa were mainly written by literati who were active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mid 17th century. The works in this paper are 「Sinmyeongsagi」 that were written by Yoon Gwang-gye(尹光啓), Jang-Yu(張維), Kang Dae-su(姜大遂), Jeong Hong-myeong(鄭弘溟) and Ha-Jin(河溍). In 「Sinmyeongsagi」, the place where the human mind stays was spatially shaped, the abstract concept was replaced by visible, and the human mind was expressed in various personification. Also, by epically describing the process of losing the right mind and regaining it, it effectively embodied the way to reach the goal of recovering the lost mind and leading to the mind cultivation mind. And finally, this works refreshingly and animatedly conveyed the instructive teachings on how to introspect and cultivate the mind and not lose the spiritual and bright mind through of various literary rhetoric. The works which were studied in this paper could be evaluated as not only the product of a trail that investigated thoroughly the origin of the mind and about the ideal realization of the right nature, but also the literature-oriented works somewhat burlesque creative techniques were crossed while appropriately accepting authentic precedents of the Confucian classics associated with the theory of mind and containing instructional messages.

      • 온라인 게임 결제 데이터 분석 기반의 이상거래 탐지 모델

        우지영(Jiyoung Woo),김하나(Hana Kim),곽병일(Byung Il Kwak),김휘강(Huy Kang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6 情報保護學會誌 Vol.26 No.3

        소액결제에 대한 규제 완화로 이와 관련한 사기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소액결제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온라인게임 산업은 관련 사기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게임의 소액결제 사기는 단순히 금액에 대한 피해뿐만이 아니라 회사 브랜드에도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고객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 소액결제 사기를 방지하기 위해 게임 산업에서도 이상거래탐지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게임 사용자의 결제 패턴을 분석하여 이상거래를 탐지할 수 있는 머신러닝 기반의 이상거래 탐지 모델을 제시하며, 제안하는 모델을 글로벌 온라인 게임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 KCI등재

        의료 웹포럼에서의 텍스트 분석을 통한 정보적 지지 및 감성적 지지 유형의 글 분류 모델

        우지영(Jiyoung Woo),이민정(Min-Jung Lee),Yungchang Ku 한국IT서비스학회 2012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1 No.S

        In the medical web forum, people share medical experience and information as patients and patents’ families. Some people search medical information written in non-expert language and some people offer words of comport to who are suffering from diseases. Medical web forums play a role of the informative support and the emotional support. We propose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model of articles in the medical web forum into the information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We extract text features of articles in web forum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from the perspective of linguistics and then perform supervised learning to classify texts into the information support and the emotional support types. We adopt the Support Vector Machine (SVM), Naive-Bayesian, decision tree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We apply the proposed mode to the HealthBoards forum, which is also one of the largest and most dynamic medical web forum.

      • KCI등재

        『학어(學語)』의 편찬 의식과 구성에 대한 연구

        禹芝英 ( Woo Jee-young )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2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재야학자 朴載哲에 의해 편찬된 인성교육 및 문장 학습용 초학교재 『학어』의 편찬 의식과 구성적 특징 및 편찬 방식 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학어』는 1868년(고종 5)에 충북 음성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된 초학교재이다. 이 책의 편찬 목적은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아동 교육을 위해 경전의 요체를 추출하여 학문에 입문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있었다. 박재철은 이 교육서를 통하여 성리학의 기본 원리를 익히고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반드시 연마해야 할 도덕적 소양을 쌓게 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성리학적 가치에 의문이 제기되고 서학이 유입되는 등 가치관의 혼란이 일어나던 당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유학의 근본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보수적 교육관을 천명하는 것이었다. 『학어』는 勸學篇·天道章·人道章·率性章·修道章·原道章의 총 여섯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유가의 기본 원리와 학문의 중요성 및 바람직한 인성과 인륜, 전반적인 인생의 교훈 등을 광범위하면서도 세부적으로 다루면서 성리설의 전체적인 개념과 구조를 효과적으로 파악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 책의 편찬 방식은 아동 학습에 도움이 될 만한 전인의 행동이나 명구를 經史子集의 문헌 중에서 가려 뽑되, 간결하고도 평이하게 기술하여 초학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선현의 언행을 주제별로 轉載하고 분류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저자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표명함으로써 관련 주제를 일목요연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올바른 가치관의 정립과 인성 교육이 중시되는 현대 사회의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이 책이 지성과 인격을 두루 갖춘 전인적 인간의 양성에 교육적 목표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그 현재적 가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적 삶에 대한 강조 및 자연 훼손이나 생명 경시에 대한 경계 등은 물질문명에 경도된 현대사회에 경각심을 주기에 충분하다. 이 밖에 사적 중심의 간단명료한 문장으로 기술되어 주제별로 분류된 다양한 시대의 다양한 인물의 고사는 그 내용의 체화를 통한 인성 수양의 효과뿐만 아니라 각종 고사 학습서로서도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는 측면에서 한문 기초 학습서로서의 활용 가능성 역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nsidered the compilation consciousness, the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and the compilation method of 『Hak Eo(學語)』 which was an elementary teaching material for virtue education and sentence learning compiled by 19th century scholar Park Jae-cheol(朴載哲). 『Hak Eo(學語)』 was an elementary teaching material published in 1868(Gojong 5) in Eumseong, Chungbuk. The compilation purpose of this book, for effective and reasonable education of children, wa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learning by extracting the important point of scriptures and entering the learning. Through this teaching material, Park Jae-cheol wanted to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and to build up the moral discipline that must be cultivated in life. It was to declare a conservative educational viewpoints that wanted to return to the basics of Confucianism in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when there was confusion in values, such as the question of the Neo-Confucian values an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Learning. 『Hak Eo(學語)』 consists of six sections: ‘the encouragement of learning(勸學篇)’·‘a disposition of Providence(天道章)’·‘the human obligation(人道章)’·‘to follow one’s nature(率性章)’·‘to cultivate oneself spiritually(修道章)’·‘the source of morality(原道章)’. While extensively and concretely dealing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Confucian scholar, the importance of learning, the virtues and morality, and the lessons of life in general, it let students effectively identify the overall concept and structure of Neo-Confucianism. In addition, the compilation method of this book was that it selected the behaviors and memorable phrases of former people which were helpful for children’s learning from the Confucian scriptures, History, the books of all philosophers, and Anthology. But it was simple and plainly described so that beginners could easily access it. Also, he did not stop in reproducing and classifying the words and behaviors of ancient sages thematically, he could manifestly revealed the related subject by actively expressing the author’s opinion. In the atmosphere of modern society where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values and the virtue education are emphasized, the present value can be found in that the book aims to educate a well-rounded human beings with both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In addition, the emphasis on communal life living with others and the vigilance against destruction of nature or disregard of life are sufficient to alert the modern society, which come to concentrate on material civilization. Besides, in the aspect that the ancient occurrences of various figures from various ages described and thematically classified in the simple and clear sentence centered on the history can function not only as the effect of humanity training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contents, but also as the various ancient occurrences learning book, we will find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 basic learning book for Chinese classics.

      • KCI등재

        사서(四書)의 『시경(詩經)』 인용 양상에 대한 일고찰

        우지영 ( Woo Jee-young ) 동방한문학회 2019 東方漢文學 Vol.0 No.78

        본 논문은 유학의 필독서로서 장구한 영향력을 행사해 온 四書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시경』 인용의 유형과 그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선 사서의 『시경』 인용 현황을 개괄적으로 살펴본 후, 사서의 『시경』 인용 현황을 ‘『시경』의 原義를 수용하는 경우’와 ‘『시경』의 원의를 변용하는 경우’로 나누어서 고찰해 보았다. 『논어』에서는 『시경』을 인용하면서 대다수의 경우 별도의 인용 표시 없이 곧바로 『시경』 구절을 노출하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춘추 시대에 『시경』을 통하여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賦詩言志’의 관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맹자』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詩曰’이나 ‘詩云’이라는 말로 『시경』에서 인용하였음을 명시하였고, 또 역시 대부분 문맥이 일치하는 『시경』 구절을 인용하였는데, 이를 통해 맹자가 논리를 개진하는 과정에서 『시경』의 권위에 의지하여 자신의 논지를 강화하는 효과를 노렸음을 알 수 있었다. 『대학』에서의 『시경』 인용에서 주목할 부분은 _시경_에서 한 글자씩 摘取하여 논의를 전개하는 유형으로, 三綱領 중의 新民과 止於至善을 설명하기 위하여 각각 ‘新’자와 ‘止’자가 들어간 『시경』 구절을 인용하는 ‘斷字取義’의 유형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대학』과 『중용』에서는 모두 한 장에서 연속적으로 『시경』을 인용하여 논지를 전개하고 심화시켜 나가는 특징을 보였으며, 그 출전이 『시경』임을 명확하게 표시함으로써 『시경』의 권위에 의탁하여 논리의 강화를 추구하였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study of the whole Four Books(四書) which has exerted a long-standing influence as a must-read book of Confucianism. After classifying and presenting the formal types in the quotation of the 『Book of Odes(詩經)』, this paper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each typical feature.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after inspect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quotation of the 『Book of Odes』 in the Four Books generally, and it was divided into two cases: accepting the original meaning of the 『Book of Odes』 and transforming the original meaning of the 『Book of Od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quotation of the 『Book of Odes』 each Four books, the following points were found: In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the majority of the cases directly exposed the 『Book of Odes』 phrases without a separate quotation mark, which allowed us to observe the custom of ‘Writing a poem to express one’s meaning(賦詩言志)’ which delivered one’s own thoughts through the 『Book of Odes』 in the Chunqiu(春秋, Spring and Autumn) Period. In the 『Discourse of Mencius(孟子)』, in most cases, it specified that the phrases were cited from the 『Book of Odes』 with the word ‘the poem said(詩曰)’ or ‘the poem said(詩云)’, and also cited the phrases of the 『Book of Odes』 corresponding with the context.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Mencius aimed at effect of strengthening his point of argument by relying on the authority of the 『Book of Odes』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logic. The noteworthy part of the quotation in the 『Great Learning(大學)』 was the type of developing a discussion by picking up one letter from the 『Book of Odes』. In order to explain the Sinmin(新民, renewing the people with one’s own bright virtue) and Jieojiseon(止於至善, reaching the highest good and maintaining the condition) among the three Principles(綱領), I considered that the type of ‘Cutting off a sentence and taking one’s meaning(斷章取義)’ which quoted the phrases of the 『Book of Odes』 containing ‘Sin(新)’ and ‘Ji(止)’. In both the 『Great Learning(大學)』 and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it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developing and deepening the argument by quoting the 『Book of Odes』 continuously in one chapter. And by clearly indicating that the source was the 『Book of Odes』, then it pursued the strengthening of the logic with depending on the authority of the 『Book of O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