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종교교육에 대한 인식이 신앙발달에 미치는 영향

        옥장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 기독교교육논총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 that the effect of the faith development is influenced by the recognition of adolescences in the religious education. Objective of collected questionnaire materials from 622 students being in the Christian high schools. Cluster analysis is operated by classifying the high recognition group and the low recognition group of the religious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we know that the effect which the recognition of adolescences the religious education has on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rea shows that the high recognition group of the religious education has higher values than the low recognition group in the existence recognition of God, ego recognition, the negative recognition of God, and the recognition of church. This different marks the verification result showing the existence of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Secondly, the effect that the recognition of religious education has on the development of affective area shows that the high recognition group of religious education has higher answer than the low recognition group in the spiritual attitude and the negative attitude of religion. It is in the guilty consciousness that the low recognition group of religion has higher answer than the high recognition group.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ppears in both groups. Thirdly, the effect that the recognition of adolescences religious education has on the development of behavioral area shows that the high recognition group of religious education marks the existence of the statistically more meaningful difference than the low recognition group in the spiritual behavioral and service behavioral, but the negative behavioral has no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The high recognition group of adolescences religious education shows higher values than the low recognition group in the area of the spiritual life and the negative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학교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종교교육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관점의 신앙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함으로서 기독교학교의 종교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교육에 대한 인식이 신앙발달의 인지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는 종교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신 존재 인식, 자아인식, 신의 부정적 인식, 교회에 대한 인식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종교교육에 대한 인식이 정서적 영역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종교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영적인 태도와 종교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죄에 대한 태도는 종교에 대한 의식이 낮은 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종교교육에 대한 인식이 행동적 영역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종교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영적행동, 죄에 대한 행동과 부정적 행동의 측면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부정적 행동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이제 우리는 21세기 사회의 다원주의·상대주의 사회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기독교교육은 종교교육을 통해서 정신적으로, 올바른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기독교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배우고 익혀서 국가와 인류사회를 섬기며, 나눔과 봉사를 실천하는 삶을 살도록 격려와 지도에 힘써야 한다.

      • 學校長의 指導性 類型과 職務스트레스의 關係에 관한 硏究

        玉壯欽 인간교육자원경영학회 2002 人間敎育硏究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styles, teacher orientation, task orientation, and bureaucratic orientation, and the teachers' job-related stress. Also, it is hoped that essential data, which can be helpful on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 for achieving educational goals at school settings will be obtained. Participants were 500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in Jeolabukdo. After excluding the 150 teachers who did not respond or responded incompletely, there were a total of 350 final participants. Two scale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first scale used was the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PLBDQ) developed by Jong-Hee Noh. The other scale was the Job-Related Stress Scale developed by Yeong-Gil Lee, which considers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organization based on the Ivanevich and Matteson'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program. A factor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validity and the Cronbach α was computed for the reliability. Pe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produced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factors of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style and sub-factors of job-related stress. First, on the correlations among sub-factors of leadership style and sub-factors of job-related stress, human-orientation sub-factor of leadership style showed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s with individual level factor, then with group level factor, and next with organization level factor in sequence. Task-orientation sub facto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dividual level factor, group level factor, outer organization level factor, and organization level factor, with individual level factor showing the highest correlation and group level factor the next and so forth.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eachers feel less stress when more task-orientation is related. Bureaucratic orientation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dividual level factor, group level factor, outer organization factor, and organization factor, with individual level factor having the highest correlation and so forth. In other words, the teachers feel more stress in bureaucratic oriented environments. Second, on the effect of leadership styles on job-related stress, the variance, which explains the individual level of job-related stress on sub factors of leadership styles, was 44.5% and i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at the level of 0.1%. The variance that explains the group level of job-related stress on sub factors of leadership styles was 11.1% and it was also statistically meaningful at the level of 0.1%. The variance that explains outer organization level of job-related stress on sub factors of leadership styles was 6.1% and it was also statistically meaningful at the level of 0.5%.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achers feel less stress under human-oriented leadership, task-oriented leadership, and then bureaucratic oriented environments in order. Therefore, the principals should try to lessen the teachers stress by showing they care and also working according to schedules, which are time-efficient. The principals should try to show their humanity and gain respect and trust from the teacher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individual level is the highest relating factor with human-orientation, task-orientation, and then bureaucratic orientation in order. Therefore, the principal should seek an efficient school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the individual level factors such as, confrontation with ones supervisor, guarantee of autonomy, irrational attitude, self-righteous attitude, insufficiency of proper compensation, and others in consideration.

      • KCI등재

        통전적 기독교교육 모형에 관한 연구

        옥장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32 No.-

        This article shall discuss about a model of the wholistic christian education in the context of korean protestant church, related the term ‘the wholistic/integrity’ that used widely in academic studies recently. Above of all, I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term in its developmental history, ‘the wholistic/integrity’ in academic studies fields, humane studies, natur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Dualism due to Cartesian epistemology and Newtonian classical scientism in the 18th century have evoked dualistic thought and life style in modern times. This dualistic views based on the linear thinking and mechanical scientism make modern man to think and do separatel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human being and things, reason and intuition, and body and mind. Furthermore, it also make christians’life style in belief world to think and do separately between God and man, belief and science, the divine and the secular, too. These separated thinking make our life promote the divided and the fragmented life in our modern times. Meanwhile, New thinking showed up in the 20th century, which idea called the wholistic view(in other name the organismic world view) that contains a meaning of combining one reality as a whole system from the separated and divided realities in the world. In the 20th century, Fritjof Capra, the new science movement american physician, suggested the organismic world view based on the Einstein’s theory and Planck’s quantum theory. It has been spread widely across not only the secular academic studies but also theology. When theological studies accepts this organismic world view, it means that a kind of paradigm shift in their thinking structure. Actually, such views and concerns on the organismic world view in theology are reflected to try to find something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divided and fragmented life style in the modern times, caused from Cartesian epistemology and Newtonian classical scientism. The emerging term ‘the wholistic/integrity’ in the 20th century contains some implications in christian education as practical theology, which the wholistic idea means the alternatives against to the divided and dualistic life style in christian view. And also it means a kind of theological reflection and try to find a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science. In conclusion, I insisted that the wholistic christian education model need to understand four factors, ‘God-men-the socio-cultural-nature’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s to the created world by God. And also it is needed to personal, communal approach in educational activities for change and growth for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in the wholistic view.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에 신학은 물론 일반 학문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통전성’에 관한 개념과 의미에 대한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본 후에, 오늘날 기독교교육학의 바람직한 통전적 기독교교육 모형에 관하여 연구하려는 것이다. 이제까지 일반 학문은 물론 신학의 탐구대상으로서 인간과 세계 내의 실재에 대한 과학적 인식과 세계관은 18세기 데카르트-뉴튼의 인식론에 기초한 선형적, 기계론적 과학주의로서 인간 현상과 세계 실재에 대하여 주체와 객체의 분리, 곧 인간과 사물, 이성과직관, 몸과 마음을 분리하게 하는 사고와 태도를 갖게 하였고, 더 나아가 신앙의 세계에서도 하나님과 인간, 신앙과 과학, 성과 속, 신앙과 삶을 이원론적으로 분리하여 인식하는분열된 삶의 양식을 조장해 왔다. 그러나 20세기의 아인슈타인, 막스 플랑크,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등에 의하여 형성된 상대성 이론과 양자물리학에 기초하여 등장한 신과학운동의 유기체적 인식과 세계관은 세계 내의 모든 실재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유기론적, 공동체적, 그리고 인격적인 세계관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이러한 유기체적 세계관은 20세기 미국의 물리학자 프리초프 카프라에 의하여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었는데, 물리학, 생물학, 심리학, 교육학은 물론 과학과는 적대적으로 거리를 두었던 신학분야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쳤다. 특히, 신학에서 신과학운동에 기초한 유기체적 세계관에 대한 관심은 20세기 현대성의 위기의 한 현상으로서 나타나는 세계 내의 실재 인식과 인간의 삶에 나타난 분열성과 파편화의 현상, 곧 이원론적 인식과 삶의 형태들에 대한 극복 대안으로서 ‘통전성’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었으며, 신학과 과학의 대화 모색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자가 제시하는 통전적 기독교교육 모형은 18세기의 고전적 과학주의의 영향에 기인하는 현대인들의 분열되고, 파편화된 신앙과 삶의 현상들을 극복하려는 차원에서 20세기에 등장한 신과학운동의 유기체론적 세계관에 기초한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접근 가능성을 탐구한 것이다. 연구자가 제시한 바람직한 통전적 기독교교육의 모형은 기독교적 관점에서 모든 만물의 창조자이신 하나님을 중심으로 하나님-인간-사회문화-자연이라는 제 차원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아래 인간의 변화와 성장을 추구하는 인격적, 공동체적 접근이 그 특징이라고 하겠다.

      • KCI등재

        통전적 영성교육을 위한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옥장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3 기독교교육논총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teaching method forholistic spiritual education. Today, the trends of isolation and fragmentationwhich are caused by the crisis of modernity have brought many serioustroubles such as antagonism, conflict, disruption, injustice, hostility,violence, and war in the various contexts of human life. Holisticspiritual education is a kind of new Christian education approach, whichguides to overcome the distorted worldly situation that is imputed byisolation and fragmentation, and which promotes to recover the essenceof Christian faith and the nature of humanity in the world of God’sorderly creation. Holistic spiritual education is based on the ideas ofnew science movement, life philosophy, and evolutionary developmentalbiology since the 20th century which involve in both the idea ofconsilience/wholeness and the epistemology of an organic body. Thisholistic spiritual education enables God’s children to facilitate thereformation of the whole life. While respecting the Christian viewpointof God’s creative world, the holistic spiritual educator is able to helphis/her learners in order to establish the whole life through theintegration between knowing and experiencing/living, and betweenreason and faith in light of the teachings of the Bible. Holistic spiritualeducation leads us to recover newly the order of God’s creative world inwhich God, world, human being, and nature are mutually correlatedwith one another. Especially within the contexts of actual education, this holistic spiritual education guides us to realize that every kinds ofeducational factors such as teacher, learner, and subject matter are notseparated from and conflicted among themselves, but are closely relatedto an organic whole body under the order of God’s creative world. 오늘날 현대성(modernity)의 위기로 말미암아 표출되는 분절화와 파편화는 극단적으로인간의 삶에 대립과 위기, 갈등과 분열, 폭력과 전쟁 등을 야기하고 있다. 통전적 영성교육은 분절화와 파편화에 기인한 왜곡된 세계적 상황에서 하나님의 창조된 세계질서 안에서 신앙의 본질과 인간성 회복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접근 형태이다. 통전적 영성교육은 20세기 이후에 등장한 신과학주의운동, 생명철학, 진화발생생물학 등과 같은 새로운 통섭(consilience, 統攝)적 사고와 유기체론적 인식론에 기초하여, 하나님의 창조된 세계질서 안에서 모든 실재들이 온전한 삶을 이루어 가도록 돕는데 주요 초점이 있다. 통전적영성교육을 위한 교수방법은 하나님의 창조된 세계 하나님-세계-인간-자연이 창조의 질서를 회복하며, 교육현장에서는 교사-학습자-교육주제가 분리와 단절을 극복하고 상호 유기적으로 진리에 순종하고 실천하는 삶, 곧 앎과 삶이 일치되는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교육모델이자 교육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대교의 탈무드를 통한 통전적 교육

        옥장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1 기독교교육논총 Vol.26 No.-

        The objective of study lies in the analysis of contents of whole education through the scripture of study as follows:First, the Talmud is symbolized by six volumes, Zrim(seed), Moed(feast), Nashim(woman), Nezikim(damage), Kodashim(holy) and Toholot(clearness). Second, the Talmud is considered to have maintained the purity of Jewish nation through the education of the law(torah), although Israel was in the break reality that Jerusalem temple was destructed and religious activities was prohibited. Third, the Jews raised in faith their children by means of the whole symbol education as observing their feasts through the holidays of the Talmud. Fourth, Jewish people conducted th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life through the Talmud and the form of education was comprised by various was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their education. Fifth, the Jewish people educated the Talmud through the institution called synagogue, and by this institution, tried to keep their community of nation, despite difficult circumstances in accomplishing their survival from desperate conditions of their nation. Therefore, in the future the christian education must deviate from hostile education against Judaism, and with Judaism, join together the history of accomplishing new heaven and new earth. In addition, when it understand, interpret and look at Judaism in the view of Jews, the christian education should perceive the fact that it can become the foundation of comprising the true peace of the Kingdom of God. 본 연구의 목적은 유대교 탈무드 경전을 분석하여 유대교 탈무드의 통전적 교육을 탐구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첫째, 탈무드 교육의 목적은 유대인들의 전 공동체적인 삶이나 유대인 개인적인 삶 가운데 하나님의 선택받은 민족인 유대인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처신해야 할 행동 규범을 가르쳐 주는 것이다. 둘째, 탈무드의 미쉬나는 이사야 33장 6절에 근거하고 있으며, 여섯 책인 즈라임(씨앗), 모에드(절기), 나쉼(여성), 네지킨(피해), 코다쉼(거룩), 토호롯트(정결) 등을 상징하고 있으며, 이것은 오늘날의 기독교 교육의 통전적 교육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셋째, 탈무드는 이스라엘이 B.C.E. 586년에 예루살렘 성전은 파괴되고, 종교적 행위가 금지되는 암담한 현실 속에서도 율법(토라)교육을 통해서 이스라엘 민족의 순수성을 유지했다고 본다. 넷째, 탈무드의 절기를 통해서 유대인들은 절기를 지킴으로써 통전적인 상징 교육으로 생활 속에서 상징의 의미를 깨닫게 하여 자녀들을 신앙으로 양육하였다. 다섯째, 탈무드를 통해서 이처럼 유대인들은 생활과 일치된 교육을 하였다. 교육형식은 그 목적에 맞게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지적인 방법, 정서적인 방법, 의지를 촉구하는 방법이 적절하게 배분되어 그들의 신앙은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도록 지ㆍ정ㆍ의의 균형을 이루는 통전적 교육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이스라엘 민족이 처했던 절박한 상황 속에서 민족의 생존을 지켜내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회당이라는 기관을 통해서 탈무드를 교육하였으며, 이것을 통해서 그들의 민족 공동체성을 지켜내려 했던 것이다. 일곱째, 탈무드의 교육은 미쉬나 본문을 텍스트로 해서, 미쉬나 본문을 랍비들의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고, 설명하고, 어떻게 교육시키고,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 텍스트를 기초로 해서, 다른 주제로 끊임없이 확장, 재확장을 거듭하면서 그 폭과 깊이를 더해 나가는 교육을 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기독교교육은 유대교에 대해 적대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유대교와 더불어 새 하늘과 새 땅을 실현시키는 역사에 동참해야 하며, 더불어서 유대교를 유대인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하고, 바라봄으로서 하나님나라의 진정한 평화를 이루어 나가는 데 초석이 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 KCI등재

        유대교 미쉬나 토호로트(Tohoroth)의 기독교교육을 위한 적용방안

        옥장흠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3 신학과 사회 Vol.37 No.4

        코로나19로 인하여 추락한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도를 회복하기 위하여 교회의 본질을 새롭게 정착시키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올바로 전파되고, 선한 영향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기독교교육은 성서의 가르침에 기초하여, 하나님의 정의, 평화와 사랑을 되새기고,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에 동참하면서,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 이 땅에서 고난을 당하는 사회적 약자들을 돌보는 삶을 살도록 하는 신앙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대교 경전 미쉬나 토호로트를 분석하여 기독교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리스도인들의 일상적인 삶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미쉬나 토호로트의 본질을 분석하고, 미쉬나의 편집 과정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미쉬나 토호로트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둘째, 연구자의 관점에서 미쉬나 토호로트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먼저, 정결과 관련한 규정은 캘림(Kelim), 오홀롯(Ohalot), 네가임(Negaim), 파라(Parah), 토호로트(Teharoth), 미크바웃(Miqvaot) 등이다. 반면에 부정한 것과 관련한 규정은 닛다(Niddah), 마크쉬린(Makhshirin), 자빔(Zabim), 테블-욤(Tebul-Yom), 야다임(Yadayim), 우크찜(Uqsin) 등으로,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유대교 미쉬나 토호로트를 기독교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네 가지, 곧 정결한 식생활교육, 정결한 신앙 생활교육, 보건 위생교육, 전염병 예방교육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결한 식생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결한 식생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정결한 그릇을 사용하고, 정결한 음식과 음료를 먹어야 한다. 둘째, 정결한 신앙생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결한 신앙 생활교육은 유대인들처럼 부정한 물건을 가까이 하거나 접촉하지 않는 것이다. 셋째, 보건 위생을 위한 생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보건 위생을 위한 생활교육은 동물의 피를 먹는 것을 금하고, 항상 손의 정결을 유지하며, 바이러스에 감염이 된 경우에는 격리해야 한다. 넷째, 전염병 예방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염병 예방을 위한 교육은 성서를 통한 참된 신앙과 경건생활을 해야하고, 전염병이 치유되기 위해서 우리의 삶을 하나님께 맡기고, 항상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고,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In order to restore the social credibility of the Korean church, which has fallen due to COVID-19, the Korean church should strive to establish a renew identity as a church, exert a positive influence, and spread the gospel of Jesus Christ properly. In particular, Christian education is needed to be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Bible, reflecting on God's justice, peace and love, participating in Jesus Christ's salvation ministry, and living a life of caring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o are suffering on this land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ewish scripture, Mishnah Teharoth, to find ways to apply them to Christian education, and the daily lives of Christians. The content of the study are; First, to analyze the essence of Mishna Teharoth, introduce the editing process of Mishna,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ishna Teharoth. Second, by analyzing the Mishna Tohorot text, Kelim, Ohalot, Negaim, Parah, Tohorot, Miqvaot, etc. are regarded as the regulations related to be pure, and then Niddah, Makshirin, Zabim, Tebul-Yom, Yadayim, and Uqsin are regarded as the regulations related to be impure. Third, The measures to apply the Jewish Mishnah Teharoth to Christian education were presented by dividing it into clean eating lifestyle education, clean religious life education, health and hygiene education, and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education on clean eating habits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achieve a clean diet, using clean bowl and eating clean food and drinks are needed. Second, education for a pure religious life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provide education for a pure religious life, one must not come into contact with unclean objects, and education that restores holistic spirituality is necessary, just as Jews live a life of restoring their relationship with God through a pure religious life. Third, lifestyle education on health and hygiene must be provided. Lifestyle education for health and hygiene requires refraining from using disposable products, refraining from eating animal blood, always maintaining clean hands, and isolating ourselves from areas of our lives when infected with a virus. Fourth, education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must be provided. Education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requires true faith and a pious life through the Bible, and in order to be cured of infectious diseases, it is important to entrust our lives to God, always be thankful for God's grace, and live while experiencing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 KCI등재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옥장흠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2

        연구는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느끼는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경유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교사와 중․고등학교 교사 총 202명으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둘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매우 유의적인 긍정적인 영향력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따라서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에게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교사들의 직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this study, study of Model and six study hypothesis is established for looking into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s influenced by teachers' job stress. For the testing of study hypothesis established this study gathered question materials from 202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used Cronbach's α value testing method for conforming the confidence of measurement item, identified the validity of measurement conception through factor analysis.For testing the study hypotheses established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by using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e suitability of model and the method of simultaneously inferring the variables in model.The meaning of this studying follow:First, this studying could identified the result that teachers' job stress has the negative influence in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particularly the stress of administration system and approval position has the negative influence in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ress of human relation and job environment has the negative influence into job satisfaction. By this it is significant that the job stress influencing in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job stress influencing into job satisfaction was classified.Second, it becomes the identifying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lies in the very meaning positive influencing relation.Third,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less job satisfaction the more turnover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