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6세기 조선의 목활자 인쇄와 1577년 조보(朝報) 인쇄의 가치

        옥영정(Ok, Young Jung) 한국출판학회 2020 한국출판학연구 Vol.46 No.3

        2017년에 4월에 처음 공개된 1577년 발행 인쇄 조보는 가장 이른 시기에 발행된 상업적 활판 신문으로 평가받는다. 이 연구는 이러한 민간 인쇄 조보의 가치에 주목하면서, 특별히 “조보 발행의 바탕으로서 목활자 인쇄”라는 측면에서 16세기 출판 방식 중에 목활자를 통한 인쇄방식의 다변화 현상을 고찰하여 그 인쇄사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인쇄방식의 변화는 곧 지식을 습득하고 향유하는데 의미 있는 핵심적인 요소이기에 지식의 생산, 보급, 활용 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필사에서 활자 인쇄로 진행된 조보의 변화는 비록 3~4개월의 짧은 기간이었지만, 서울에서 사용되었고 민간의 서적 생산, 상업적 유통 등에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충분히 예상해 볼 수 있다. 인쇄조보 생산 당시에 이미 확대된 인쇄방식의 다변화가 1577년 조보의 존재로 인해서 보다 명확히 확인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16세기 중반 이후부터 점차 빈번해지는 목활자인쇄에 의한 인쇄사례가 1577년 인쇄 조보의 생성배경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선의 상업출판물 또는 방각본의 개념에 대한 논의에서도 1577년 인쇄조보는 그 제작주체와, 인쇄시기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으로 조선전기 인쇄문화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In April 2017, the existence of Jobo(朝報, Morning News) printed and published in 1577 was first disclosed. Jobo is evaluated as the first commercial newspaper in Korean history. This research, focusing on the value of Jobo, the privately printed newspaper, trie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it in the Korean printing history in the respect that it was printed with wooden movable types in the 16th century, while examining diversification of printing methods in the period. As the change of printing method is the significant and core element in learning and enjoying knowledge, it had great effect o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se of knowledge. In particular, we can assume that the change of hand-writing to movable type printing must have affected the publication of books and commercial distribution of them, even if Jobo was only published in Seoul for as short as 3~4 months. Diversification of printing method which had been going on before Jobo was published in 1577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with the existence of the newspaper. This research identified that the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which had increasingly been used from the mid-16th century was the background on which Jobo was published. In the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commercial publication or banggakbon, the significance of Jobo published in 1577 is very valuable from which we can directly identify the changes of printing culture in early Joseon er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여말선초 문인들의 개인 문집 간행

        옥영정(Ok, Young Jung)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19 No.-

        이 연구는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시기에 간행된 개인문집 중에서 현존하고 있는 서적을 대상으로 서지학적인 측면에서 다룬 것이다. 국내외에 전해지고 있는 한국고서적에 대한 서지학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삼고 그 중에 특히 여말선초에 간행된 문집에 대한 조사와 함께, 해당 서적에 대한 서지적 평가로 판본을 감정하고 간행시기를 확인해본 것이다. 약 21종에 이르는 여말선초의 문집 현존본의 간행은 주관자의 대부분이 혈연관계에 의한 것이 많으며 문집 상호간에도 저작주체간 관련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집의 간행경향과 인쇄문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초기문집의 현전본이 매우 드물고 그 계통 수립에 필요한 원자료 접근이 매우 제한 되기 때문에 그 구체적 정황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제시하기가 쉽지 않지 만 제한된 여건 속에서 조금씩 진전된 학술적 논의를 위해서라도 새로운 간본을 발굴하고 유형화된 흐름을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간(初刊) 문집의 기본적인 문제(범주 설정, 간행시점 고증) 에 관한 기초자료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1차적 접근을 위한 현존본과 서지적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여말 선초에 간행된 문집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과 함께 간행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확인해서 그 근거를 마련하였다. 특히 현존본으로 남아 있는 초기 문집의 전승 상황은 연구 기초자료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bibliographic aspects of existing books among the personal collections publish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of the 14th century. Based on a bibliographic study of Korean books and books published in and out of the country, especially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a bibliographic evaluation of the book was conducted to check the edition and check the publication perio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about 21 kinds of publications of the present Bible were found to be mostly related by blood relations, and there was a very high correlation between authors. Also, the publishing trends of literature and printing culture are closely related. However, it is not easy to summarize the specific context and present it systematically because it is very rare and the access to the original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system is very limited. However, for the academic discussion which progresses gradually in limited circumstances, and to confirm the flow that was typ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isting bibliographic and bibliographic items for the primary approach in terms of securing the basic data on the basic problems (category setting, publishing point confirmation) of the first periodicals. In order to do this, a brief description of the literary works published in the Goryeo shrine was made, and the contents confirming the period of publication were confirmed and grounds were established. Especially, the status of the early literary works remaining in the existing bibliography can be meaningful in terms of securing the basic data of research.

      • KCI등재후보

        『東醫寶鑑』 初刊本과 한글본 『동의보감』의 서지적 연구

        옥영정(Ok Young-j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장서각 Vol.0 No.24

        이 연구는 『동의보감』 초간본의 간행 과정과 그 현전본을 조사하여 서지적 특징과 의미를 알아보고, 장서각 유일본으로 남은 한글본 『동의보감』의 특징과 편찬 목적을 살펴본 것이다. 전근대시기 중앙기구의 편간물은 대부분의 인쇄 공정을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인력이 투입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과정에는 까다로운 인쇄기술이 뒤따르기 마련이어서 그 자체로 기술문명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 척도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동의보감』은 이러한 사실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초간본 『동의보감』이 이러한 인쇄문화적인 측면에서 지니는 의미는 우선 고려 · 조선을 거치면서 이어져 내려온 서적 編刊體系가 전쟁으로 붕괴된 상황에서 일구어낸 거질의 책이라는 점에 있다. 이에 대한 의미 부여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당시에 인쇄를 위해 쓰인 활자, 조판의 방법 등 인쇄기술에 대한 접근과 함께 앞으로 다루어져야 할 간행의 주관 기구에 대한 기초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동의보감』 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구로서 훈련도감, 내의원, 교서관, 서적교인도감과의 관계를 규명해내는 작업이 필요하며, 아울러 『동의보감』과 동일한 활자와 인쇄의 방식으로 간행된 서책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통해 각 자료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초간본 『동의보감』은 기록유산으로 지정된 자료 이외에도 10여 종을 더 확인하였다.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이거나 목록이 작성되지 않은 고문헌이 국내외에 아직까지 많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발굴 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3책만 현전하는 한글본 『동의보감』 역시 낙질의 규모와 필사 부수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한글본 『동의보감』은 이 글에서도 한글본의 특징과 편찬 목적에 한하여 간략하게 서술하였으나 서지학적, 국어학적 측면에서 그 내용과 한문본과의 차이를 규명하는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특히 책을 읽는 주체가 왕실의 여성이고 한문에 대한 한글 표기이므로 왕실 내에서 쓰인 언어 연구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 by looking into its publication process and its remaining edition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publication purposes of the Korean edition of Donguibogam. The publications issued by a central agency in the traditional age required a good amount of cost and manpower in many cases as most of the printing processes depended on manual works. Since those processes were usually accompanied by complicated printing technologies, such publications not only reflect the technological civilization of the times, but also can serve as a cultural barometer. Donguibogam is one good example to demonstrate the fact. The significance of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 in the aspects of printing culture is that it was a book comprised of very many volumes published when the system of book edition and publication collapsed after years of transmission through Goryeo and Joseon due to war. To specify its significance, the study made an approach to the printing technology including the printing types and typesetting methods used for printing those days and attempted a basic approach toward the agencies that were in charge of publication, which subject should be dealt with in future.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ation of Donguibogam were Hulyeondogam, Naeuiwon, Gyoseogwan, and Seojeokgyoindogam, relationships of which should be examined as well.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books published in the same printing types and methods as Donguibogam and to grant each of them new value. The study confirmed the presence of ten more kinds of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 in addition to the ones already appointed as records heritag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identify and investigate the materials possessed by individuals or old literature whose lists have not been made yet since such records are likely to remain in big numbers home and abroad. The study briefl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publication purposes of the Korean edition of Donguibogam, failing to review its production background, process, and scripters. Additional researches on its content and differences from the Chinese edition from the bibliographical and Korean perspective will help to understand the accurate purpose behind its production. They will also be useful for the study of the language used by the royal family since the readers of the book were the female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nd the book provided Hangul for the original Chinese transcription.

      • KCI등재후보

        장서각 소장 보물 『楞嚴經』과 『圓覺經』의 인쇄문화적 가치

        옥영정(Ok Young-j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장서각 Vol.0 No.20

        이 연구는 조선 세조 때 간행된 한글본 『능엄경』과 구결본 『원각경』에 대하여 현존본을 중심으로 인쇄문화적 측면에서 다루어본 것이다. 인쇄문화적 가치를 중점적으로 살펴본 것은 장서각 소장의 보물 『능엄경』과 『원각경』이 모두 한국 인쇄문화의 진면목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이며, 각 책이 한국고인쇄사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간경도감과 금속활자불경 중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료이기 때문이다. 보물로 지정된 이유 중의 하나도 이러한 인쇄문화적 가치를 높이 평가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서지학과 국어사자료로서 이 책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간행기관인 간경도감과 이를 설치한 세조의 불경간행사실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이 글에서는 간행이 이루어지까지의 배경과 각 경전의 인쇄문화적 의미를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점검해보았다. 더불어 현존본으로 전해지는 자료에 대하여 정리하고 판본의 계통과 그 실제 상태를 파악하였다. 『능엄경』은 세조 8년(1462)에 간경도감에서 세조의 명으로 번역하여 간행한 언해본이다. 특히 이 간경도감본은 信眉, 韓繼禧, 金守溫 등 당대의 고승과 학자를 동원하여 국역하고 교열하여 乙亥字 및 한글 활자로 인출하였던 것을 토대로 교정하여 다시 목판본으로 간행한 것으로 校?學적으로도 유용하게 다루어져야할 자료이다. 『원각경』은 宗密이 疏?한 것에 세조가 한글로 구결을 단 것을 세조 11년(1465)에 乙酉字로인출한 것이다. 을유자는 1465년인 을유년에 鄭蘭宗의 글씨를 글자본으로 주조한 것이다. 간경도감 언해본을 저본으로 경문 및 주석의 한글 구결 부분만을 편집하여 을유자판으로 인출되었으므로 구결은 간경도감본 원각경언해와 일치한다. 이 을유자원각경은 주로 불경을 간행할 목적으로 주조된 활자로 인출되어 전래본이 많지 않지만 15세기 국어학 및 서지학 연구에 유용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활자의 쓰임이나 조판 등 인쇄기술사적으로도 의미있는 내용을 살필 수 있다. The author in this study investigated ??ra?gama-s?tra (the Korean version) and the Sutra of Perfect Enlishtenment (kugyolbon), two sutras published in the 15th century (under King Seojo), focusing on the existing versions in the printing-cultural aspect. The reason the printing-cultural aspect was focused is that the both sutras as Treasures owned by Changseo-gak are superior materials showing true characters of Korea's printing culture and that each of them serve as important materials among Gangyeongdogam and metal printing type sutras, which are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Korean ancient printing. Due do their printing-cultural values, the two sutras were designated by Treasures. The importance of the sutras as the materials of bibliography and history of Korean language is closely related to Gangyeongdogam, the publishing agency, and the activity of sutra publishing of King Seojo, who established the agency. In this study, the background of the publishing and the printing-cultural significance of each sutra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researches. Furthermore, the author reviewed the materials as the existing versions and identified the distributions of editions and their actual conditions. ??ra?gama-s?tra is a Korean version that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by Gangyeongdogam under the order of King Seojo (in the 8th year of his reign, or 1462). This version of Gangyeongdogam, in particular, should be usefully treated in the aspect of textual bibliography because it was corrected and published with wood-block prints based on the version that was translated and reviewed to be Korean by high priests and great Confucianists such as Shin Mi, Han Kye Hee, and Kim Su On and printed with Eul-yu-ja type. The Sutra of Perfect Enlishtenment was interpreted by Jong Mil, added of kugyols by King Seojo, and printed with Eul-yu-ja type in the 11th year of his reign, or 1465. Eul-yu-ja type was made on the basis of the handwritings of Chung Nan Jong in 1465 (Lunar year of Eul-yu). Although based on the Korean version of Gangyeongdogam, it contained only the edited parts of the korean kugyols from the sutras and notes, printed with Eul-yu-ja. Therefore its kugyols are identical with those of the Korean version of Sutra of Perfect Enlishtenment published by Gangyeongdogam. This Sutra of Perfect Enlishtenment with Eul-yu-ja is a significant material in the study of the 15th-century national language and bibliography, for it has few transmitted copies because it printed with types that were mainly made in order to publish sutras and it is one of rare versions because it was the first-printed one with clear printi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朝鮮前期 鄕藥集成方의 간행과 서지학적 특징

        옥영정(YoungJung Ok) 한국의사학회 2016 한국의사학회지 Vol.29 No.1

        This study examined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yangyak Jipseongbang that was compiled in the 15th century (1433) and continued to publish throughout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Various existing records and the early Joseon printed edition of Hyangyak Jipseongbang stored in a domestic Sancheong Korean Medicine Museum were reviewed from 3 perspectives as follows. First, it is the bibliographical system approach to Hyangyak Jipseongbang for some circumstances related to it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Second, it is the significance in terms of printing history through the analysis of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the remaining Hyangyak Jipseongbang. Particularly, the period of publi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value of a book. In this respect, most of the extant early-Joseon editions of Hyangyak Jipseongbang seem to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ruling years of King Sung Jong. Those editions are expected to have distinctive meaning from other copied editions of the 17th century. Last, it is bibliographical orignal analysis of Hyangyak Jipseongbang.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Vol. 49 through 51 of Hyangyak Jipseongbang stored in Sancheong Korean Medicine Museum in an attempt to help understand the textual bibliography and composition system of exhibiting e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