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부모 이주여성의 삶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자녀양육 경험을 중심으로

        오혜정 ( Oh Hye Jeo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가족복지학 Vol.57 No.-

        본 연구는 한부모 이주여성의 삶의 의미와 본질을 자녀양육 경험을 중심으로 깊이 있게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부모 이주여성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5년 12월부터 약 2개월간 일대일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 참여자의 고유하고 독특한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했다. 분석 결과, 201개의 의미단위, 29개의 하위 구성요소 및 13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했으며 이는 `기대와 달리 힘들고 어려운 결혼 생활`, `내면의 상처 때문에 자녀와 갈등`, `이주여성이자 한부모로서 겪어 내야 하는 이중고`, `견디고 이겨내며 가장이 되어감`, `어머니의 능동적 사랑과 그 원동력인 자녀`의 5개 본질적 주제로 구조화되었다. 연구를 통해 파악한 한부모 이주여성의 삶과 경험의 본질을 바탕으로 관련 정책의 개선 및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immigrant single mothers` parenting experiences. Seven immigrant single mothers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for each participant and analyzed by using a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o delineate about participants` individual and unique experiences. Participants` statements were divided into 201 meaning units, which were analyzed into 29 sub-elements, 13 elements, and then structuralized with 5 intrinsic themes of `marriage with unexpected hardships`, `troubled relationship with children due to emotional trauma`, `double whammy of being an immigrant woman and a single mother`, `struggles in becoming a head of household` and `power of mothers` love for childre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ies and social work practices.

      • KCI등재

        Job Search Stress and Depression of Christian Youth in Korea: Spiritual Well-Being as a Mediator and Religiosity as a Moderator

        Hye Jeong Oh(오혜정),Byoungduk Sohn(손병덕),Eun Ryoung Paik(백은령)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1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 청년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이 갖는 매개효과 그리고 신앙생활, 곧 기도, 성경읽기, 소그룹 참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미취업 상태의 기독교인 대학생 및 대학원생 3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SPSS 21.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변인 간 관계와 경로를 검토, 부트스트랩 방법과 소벨 테스트를 통해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신앙생활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독 대학(원)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영적 안녕감, 우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기독대학(원)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영적 안녕감이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이 검증되었다. 셋째, 취업 스트레스와 영적 안녕감, 우울 각각에 대하여 기도 여부, 성경읽기 여부, 소그룹 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하여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못 한 반면 영적 안녕감에 대하여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신앙생활의 조절효과를 기도, 성경읽기, 소그룹 참여 여부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기도 및 성경읽기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지 못 한 반면 소그룹 참여는 영적 안녕감에서 우울로의 경로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 문제로 많은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대학(원)생 및 청년들을 위한 교회사회복지 실천방안을 제안하였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and the moderated effect of religiosity on job search stress and depression of Christian young people.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the survey to 314 Christian unemployed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bootstrapping/sobel test. In order to verify the moderated effect of religiosity, the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of job search stress,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on Christian young people. Additionally, it was verified that spiritual well-being had a mediating effect on job search stress and depression of Christian young people. The verified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moderated effects of prayer and Bible reading were not proven, but in the path from spiritual well-being to depression, the moderated effect of small group participation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n church social work practices for young people suffering from unemployment and job-seeking activities were discussed, and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dditionally discussed.

      • KCI등재

        한국의 기독 청소년에 관한 연구 동향: 2001년부터 2020년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오혜정 ( Hye Jeong Oh ) 기독교학문연구회 2021 신앙과 학문 Vol.26 No.1

        본 연구는 기독 청소년을 연구한 선행논문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기독 청소년 관련 연구과제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 지에 게재된 학술논문으로 기독 청소년에 관한 논문 총 138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 청소년에 관한 논문의 연도별 출현빈도는 2001년 2편에서 2020년 7편으로 대체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독 청소년 관련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는 총 22종이었는데 주로 기독교신학과 기독교교육, 기독교상담 분야에 집중되었다. 셋째, 연구자 동향을 살펴본 결과 1인 단독연구가 상당수였고, 연구자 대부분은 교수, 강사, 대학원생 등 대학에 소속되어 있었다. 2인 이상의 연구 중 대학 소속 연구자와 그 외 소속 연구자 간의 협업 논문은 6편에 불과하였다. 넷째, 연구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비경험적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경험적 연구 중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실험 연구의 순이었고 다섯째, 경험적 연구 61편을 중심으로 연구대상을 분석한 결과 중·고등학생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고등학생, 중학생 등의 순이었다. 여섯째,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정서·행동 차원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영적 차원, 사회적 차원, 취약 청소년 지원, 문화적 차원, 역량 차원의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독 청소년에 관한 향후 연구과제로 연구의 양적 확대 및 연구주제 다각화, 취약 청소년을 위한 사역과 실천에 대한 연구관심 제고, 질적 연구 및 실험 연구의 활성화, 연구자 (연구기관)와 사역 및 실천현장 간의 협업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n Christian adolescents in Korea and explore tasks for future researches related to Christian adolesc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otal of 138 articles from 2001 to 2020 published in KCI accredited and candidated journal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ver the past 20 years, researches on Christian adolescents has increased from 2 articles in 2001 to 7 articles in 2020. Second, articles on Christian adolescents were published totally 22 journals which were converged to the fields of Christian theology, Christian education and Christian counseling. Third, with regard to the researchers, considerable number of researche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most of whom were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e.g. professor, lecturer, graduate students, etc.). Collaborative researches between academic researchers and field researchers were only 6 articles. Fourth,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non-empirical approaches were mainly used. Among empirical approache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the most used and the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Fifth, research subjects of 61 articles of empirical studies were mainly adolescents, who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Sixth, main research topics studied in articles wer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spiritual aspects, social aspects, vulnerable adolescents, cultural aspects and competence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esente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n Christian adolescents, which were research increase and diversification, enhancement of research interests on underprivileged adolescents and related practices, qualitative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activation, and strengthening of research collaboration among researchers, ministry and practice fields.

      • KCI등재후보

        코로나 19 상황 속 이주배경청소년 생활실태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한 교회 지원방안 모색

        오혜정 ( Hye Jeong Oh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2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 속 이주배경청소년의 생활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근거하여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교회의 지원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주배경청소년의 개념과 현황, 그리고 이들의 발달과 삶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2021년 이주배경청소년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주배경청소년의 생활실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먼저 신체적·심리적 건강 차원에서 이주배경청소년은 비(非)이주배경청소년 집단보다 신체적·심리적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낮고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지역사회 환경 관련하여서는 이주배경청소년 하위 집단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부모와의 활동 빈도 및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은 탈북 및 탈북배경 청소년에게서 가장 낮았고, 사회적 지지인식은 국외 출생 청소년 집단에게서 가장 낮았으며, 지역사회 내 차별 경험 역시 국외 출생 청소년 집단이 상대적으로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 및 학교생활 관련하여서는 이주배경청소년은 대체로 비(非) 이주배경청소년 집단보다 높은 학교생활 만족도를 보였고, 학교 수업이나 학원, 과외 수업 외에 혼자서 공부하는 시간이 많고 사교육 경험 및 사교육 시간은 적었다. 한편, 학업 및 학교생활에 있어 코로나 19로 인한 영향과 변화는 비(非) 이주배경청소년에 비해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원 경험과 욕구에 대하여는, 이주배경청소년은 하위집단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교과목 학습지도, 견학 및 체험 활동, 물적 지원, 멘토링 프로그램, 한국어 교육 등의 지원 경험이 많았고, 필요한 지원에 대하여는 취미여가 지원, 현금 지원, 학습 지원, 진로 지원 등의 욕구가 많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이주배경청소년에 대한 교회 지원방안을 유형별 특성과 욕구를 고려하는 맞춤형 지원, 중도입국 청소년에 대한 적극적 대응과 지원, 신체적·정신적 건강 지원, 기독교 세계관에 기반한 취미·여가 및 진로 지원의 네 가지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in the COVID-19 context and to explore the support plans of church for these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viewed preliminary studies on development as well as definition and status of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The study also examined the investigation results conducted in 2021, which showed th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As a result, first,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showed lower subjective perception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higher stress than adolescents without such a background. Secondly, different subgroups showed different patterns related to family and community variables, which appeared that both frequency of activity with parents and time spent with parents were the lowest in adolescents with a defector background from North Korea while social support perception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community were the lowest in adolescents born abroad. Thirdly, regarding study and school life,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showed higher school satisfaction. They spent more time in studying alone and less experience and time in private tutoring than non-migrant background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impacts of COVID-19 on study and school life were not significant compared to adolescents without migrant background. Finally,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 had a lot of experience in study guidance, field trip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material support, mentoring program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 the necessary support, there were many needs such as hobbies and leisure support, cash aid, learning support, and career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d following suport plans of church - customized sup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ach subgroup, active response and support for migrant adolescents born abroad, supports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supports for hobbies, leisures and career development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 KCI등재

        중국의 문화산업화 정책과 소프트 파워 전략

        서창배(Seo, Chang-bae),오혜정(Oh, Hye Jeong)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4 문화와 정치 Vol.1 No.2

        최근 세계경제의 패러다임은 기존의 제조업 중심에서 벗어나 문화를 중심으로 하여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문화가치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문화의 산업화’가 확산되고 문화산업을 주력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도 1990년대 말부터 국가 이미지 제고를 위해 문화산업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첫째, 문화산업의 집중적인 발전을 위해 각 지역마다 클러스터를 집중 육성하여 금융지원을 강화하고자 한다. 둘째, 문화상품과 생산요소의 합리적인 유통을 촉진시키기 위한 현대적 시스템 구축을 통해 문화상품 유통 기업을 활성화하여 각 지역별로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문화소비 확대를 위해 국민의 새로운 요구에 부흥하는 문화상품과 서비스 창작을 유도하여 문화시장의 내수활성화를 위한 방안도 계획 중에 있다. 특히 중국은 정치ㆍ경제적 측면에서의 강대국으로 자리매김하면서 군사력이나 경제력 등 물리적인 힘을 통한 국제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보다는 문화, 가치, 정책 등을 통해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을 높여가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문화시장의 활성화로 국민들의 정신적 측면의 문화적인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으며, 문화의 ‘해외진출’ 전략을 통한 대외문화무역의 발전배경 및 증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대외문화무역 및 문화의 ‘해외진출’은 경제발전 및 문화산업의 발전추진력, 문화상품의 생산력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국의 대외문화무역은 중국이라는 나라를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될 것이고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된다. Recently, as industrial paradigm is changed from industrial production to cultural production, every countries in the world are extensively fostering cultural industry by recognizing it as a major growth engine of creating high added value based on its big riffle effect on economic and cultural aspect.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 which an effect of cultural industry of China on local economy was explored summarize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based on policies relevant to cultural industry that was announced by Chinese government since 2000s by each times. As its concrete contents, development policy and goal of cultural industry by Chinese government were observed based on major contents of national program being announced by each times. First, in order to ensure full-scaled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financial support is intended to be strengthened by extensively fostering industrial cluster in each region. Second, in order to promote reasonable distribution of cultural commodity and production elements, an environment of being able to experience diversified cultures by each region is intended to be provided by establishing modern system and activating distribution enterprise of cultural commodity. Third, in order to expand cultural consumption, a plan of activating domestic consumption of cultural market is also intended to be provided by inducing cultural commodity and service creation appropriate for a new demand of the peopl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Chinese government would continuously develop cultural industry based on their rich cultural resources in a diversified way in order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as cultural power while pursuing development of cultural aspect that relatively lagged behind compared with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change of consumption structure backed by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진로결정성, 진로장벽 인식의 관계: 이주여성 어머니의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자경 ( Ja Kyung Kim ),오혜정 ( Hye Jeong Oh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장벽 인식의 매개효과 및 이들 관계에 대한 이주여성 어머니의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연구 7차년도 자료 중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 출신 어머니를 둔 청소년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743명의 자료이다. SPSS와 PROCESS macro 프로그램으로 변인 간 영향 분석 및 매개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진로결정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로장벽 인식의 매개효과(완전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이주여성 어머니의 진로 관련 행동은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진로결정성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 진로결정성, 진로장벽 인식의 매개모형에서 이주여성 어머니의 진로 관련 행동은 유의미한 조절효과, 곧 조절된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있어 주요한 문화적, 맥락적 요소라 할 수 있는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이주여성 어머니의 진로 관련 행동의 의의를 실증적으로 확인한 것으로,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발달 및 이주여성 어머니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bicultural attitude, career decision-making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nal career-related behavior on these relationships. Data from the 7th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in which 743 adolescents with immigrant mothers participated were analyzed. SPSS and the PROCESS macro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to verify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ed med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icultural attitude did not directly influence career decision-making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on the relation between bicultural attitude and career decision-mak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maternal career-related behavior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bicultural attitude and career decision-making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Fourth, maternal career-related behavior moderated a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on the relation between bicultural attitude and career decision-mak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a supporting strategy for career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 reinforcement of immigrant mother's competency on career guide.

      • KCI등재

        절화장미 품종간 정역교배에 있어서 EST-SSR 마커의 유전

        김진기(Jin Ki Kim),안동춘(Dong Chun Ahn),오혜정(Hye Jeong Oh),김광환(Kwang Hwan Kim),최영미(Young Mi Choi),오승용(Seung Yong Oh),강남준(Nam Jun Kang),정병룡(Byoung Ryong Jeong),김주현(Zhoo Hyeon Kim),박영훈(Young Hoon Park)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4

        장미속 종간교잡 후대에서 발견되는 경모유전(matroclinal inheritance) 현상은 세포질 유전, 단위결과, 그리고 비대합적 배우자생식(asynaptic heterogamy)의 결과로 설명될 수 있다. 비대합적 배우자생식은 Caninae 아절(Rosa hybrida L. sect. Caninae DC.)의 종간교잡에서 독특하게 관찰되며, 5배체의 경우, 화분세포를 통해서는 2가염색체(2x=14)를 이루는 상동게놈 중 한 게놈(x=7)만이, 난세포에서는 이러한게놈(x=7)과 더불어 1가 염색체를 이루는 나머지 게놈들(3x=21)이 동시에 유전되어 후대에서 종자친의 배수성(5x=35)이 회복된다. 본 연구에서는 절화장미 품종간 정역교배시대립유전자의 후대유전 빈도를 관찰함으로써, 4배체 품종교배에서 관찰되는 경모유전의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절화장미 6품종을 이용한 6개 정역교배조합 당 8개의 후대개체를 총 30개의 EST-SSR 마커로 검정해 본 결과, 뚜렷한 세포질 유전의 경우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단위결과의 경우도 ‘Redtem’ x ‘Red Sandra’ 조합의 후대개체 하나에서만 발견되어, Caninae 아절의 종간교잡에서와 비교하여 상당히 낮은 빈도였다. 비대합적 배우자생식의 예도 Caninae 아절의 경우처럼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하지만, 6개공시품종 중, 4개의 품종에서 화분친 보다 종자친으로 교배시 품종 특이적 마커의 후대유전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품종에 따라 대립유전자의 모계유전적 성향이 존재함을 증명하였다. 특히 ‘Yellow King’의 경우, 11개의 대립유전자 중 10개가 종자친일 경우에 후대집단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 공시품종 중 가장 강한 모계유전성을 보였다. Matroclinal inheritance of morphological characters in interspecific crosses of Rosa spp. can be influenced by cytoplasmic inheritance, apomixis, and asynaptic heterogamy. In asynaptic heterogamy, which is often observed from interspecific crosses of Rosa sect. Caninae, the polyploidy of the seed parent (especially for 5x=35) is recovered in the progeny through the pollens that include only a set of bivalents (x=7) and egg cells that contain a set of bivalents (x=7) and other univalents (3x=21).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auses of matroclinal offsprings observed from reciprocal crosses of tetraploid cut rose cultivars (Rosa hybrida L.) by analyzing EST-SSR marker distribution in the progeny populations. From EST-SSR marker analysis of eight offsprings per six reciprocal crosses among six cultivars, cases of cytoplasmic inheritance were not observed. Apomixis was also very rare as compared to the reports on interspecific crosses of sect. Caninae; only one apomitic plant was identified from the cross ‘Redtem’ x ‘Red Sandra’. Although a clear-cut pattern of asynaptic heterogamy was not found, cultivar-specific marker transmission skewed to seed parent in four cultivars implied that genetic inheritance can be highly influenced by the seed parent depending on crosses among cut rose cultivars; especially, 10 out of 11 alleles specific to ‘Yellow King’ distributed in progenies at higher ratios when the cultivars were crossed as the seed parent.

      • KCI등재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간 비교

        오혜정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1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특수학교 초등부에 재직 중인 교사 161명, 일반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교사 202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척도, 직무환경 위험요소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모두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 요인이 직무스트레스를 부분매개하여 심리적 소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간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상대적 설명량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는데, 이는 두 직무환경의 질적, 인적 차이 및 이로 인해 제공받을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차이가 특수교사 개인의 교수효능감이나 소명의식 등 개인 내적 요인으로 완화되기 때문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낮추기 위하여 개인적 요인과 외부 요인을 통합한 다차원적 시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diating effects of risk factors of job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both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The subjects were 363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161 from special schools and 202 from special classes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risk 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both had a great influence on burnout by mediating job stress in both special and special classes. However, no marked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mediating effects of risk 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uggests that intrinsic factors such as teacher efficacy and vocation reduce the qualitative and social differences in job environments betwee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Therefore, attempts should be made to integrate the intrinsic and extraneous factors that relieve psychological burnou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