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초임원장의 내러티브: 리더십 형성하기

        오채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6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 principal can successfully compose herself of leadership during 18 months in a childcare center. For this purpose, the ways in which the principal can gain leadership skills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the faculties in a childcare center, its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ts nearby regional institutions. The periods of data collection were from August 2010 to August 1, 2012.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from principals and faculties in a childcare center, as well as documents, pictures, and researcher journ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the process of leadership preparation of the principal was based on her ‘separation: organizing the environment inside a childcare center’ and ‘respect: forming constructive relationships with faculties.’ The principal of a childcare center displayed the most leadership in situations that required change and were interacting with business outside. In these situations, the formation process of principal leadership was displayed through her individual sacrifice, undiplomatic decisions accepting the demands solely from outside, and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Over time, the leadership of the principal was transformed into her encouragement and support towards other faculties, displaying her responsibility as a leader, and caring.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원장이 리더십을 형성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리더십 형성과정에서 초임 원장이 갖게 된 리더십이 무엇인지 그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임 원장의 리더십 형성과정을 원장, 교사, 어린이집, 다른 기관과의 통합적인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들꽃 어린이집 엄 원장과 푸른나무 교사교육 연구소에 있는 세 명의 구성원들이다. 자료 수집은 2010. 8 – 2012. 1까지 18개월 동안 이루어졌으며, 면담, 문서, 사진 자료 및 연구자 저널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임 원장으로서 리더십을 형성하기 위한 준비과정이 나타났다. 초임 원장의 리더십 준비과정은 ‘분리하기: 내부 환경 정비하기’, ‘예우하기: 내부 관계 다지기’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초임 원장의 리더십 형성과정은 ‘변화에 대한 요구’, ‘외부와의 업무’, ‘교사의 이직’ 상황에서, ‘개인적 희생과 독단적 결정 방식’, ‘외부의 요구를 수용하는 방식’, ‘부정적 정서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임 원장이 형성한 리더십은 ‘격려와 지원 방식’, ‘책임과 한계를 명시하는 방식’, ‘인간적 배려의 방식’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미적 경험으로서 유아교육과정 돌아보기: 표현생활영역을 중심으로

        오채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8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aesthetic experience in 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With this in mind,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experience were researched and interpreted in the aesthetic perspective, and the alternatives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s the aesthetic experience were discussed. In Chapter 2, the meaning of aesthetic experience was investigated in the aesthetic perspective. In Chapter3,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were extracted in the domain of expressive life curriculum, and were categorized in 3 topics-expression, aesthetic sensibility, and sensibility. And 3 topics were interpreted in the aesthetic perspective. First, 'expression' was defined as the art subjects and expressive ability. In the aesthetic perspective, it needs to be discussed including the concept of mental representation to the knowing. Second, the concept of aesthetic sensibility involved the ability of expression and feeling about beauty. In the aesthetic perspective, it needs to be discussed in the aspects of cognition and the aesthetic literacy. Third, the sensibility and emotion were used confusedly. In aesthetic perspective, the emotion was the mental ability of cognition and was related with the aesthetic attitude. In Chapter 4, the alternatives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s the aesthetic experience were discussed in 3 topics- the reconceptualization to the aesthetic experience of young children, the reconceptualization to experiential curriculum, and the reconceptualization to the division of domain i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본 연구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표현생활영역에서 미적 경험을 하도록 제시된 개념적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그 의미를 미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며, 유아교육과정이 미적 경험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가능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미적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고, 유아교육과정에서 나타난 미적 경험의 개념적 특성을 미학적 관점과 관련지어 세 가지 주제-표현, 심미감, 감성-로 논의하였다. 또한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이 미적 경험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한 가능성과 대안들을 세 가지 주제-유아들의 미적 경험에 대한 재 개념화, 체험하는 교육과정으로 재 개념화, 국가수준 교육과정 영역구분에 대한 재 개념화-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누리과정, 놀이와 교육의 변증법적 이해

        오채선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변증법적 인식론의 방법을 통해 놀이와 관련된 다양한 관점들을 검토함으로써 놀이의 특성을 이해하고, 놀이와 교육의 관계를 교육 상황 내에서 총체적으로 파악하며, 이러한 이해를 기초로 놀이를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재구성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안들을 숙고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놀이의 공통된 특성은 즐거움, 자유로운 행위, 일상에서 벗어난 행위, 놀이자체가 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와 교육의 관계에서, 교육 및 교수 방법으로 놀이를 활용하는 관점과 놀이 자체가 교육의 내용이자 목적인 관점이 대립되는데, 놀이와 교육은 이분법적 관계가 아니라, 놀이 안에서 서로 배우고 가르치는 일들이 상호적으로 일어나는 ‘변증법적 관계’를 맺는다. 셋째, 누리과정 속에서 놀이를 연계하여 재구성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안들을 누리과정 놀이계획, 놀이 환경, 교사역할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y through the dialectical epistemology method and to perceive the play and education in an integrated way. Based on this approach,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ertinent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by linking the Nuri curriculum with pl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play were spontaneous process consisting of the purpose of play itself, freedom, pleasure, pretense, and immersion. Play could be understood as subjective experiences rather than specific external actions of young childre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education, there existed a conflict between the viewpoint of utilizing play as an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and that of regarding the play itself as contents and purpose of education. Play and education were not to be considered as dichotomous, but as pertaining to a mutual ‘dialectical relationship’. Third, this study examined various issues to be considered for reconstructing the Nuri curriculum and play in terms of the process plan, play environment, and teacher role.

      • 영아놀이에서 본 ‘바람직한 영아 놀잇감’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오채선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 놀잇감 관련 문헌을 통해서 영아 놀이에서 놀잇감이 갖는 ‘바람직한 영아 놀잇감’의 교육적 의미를 영아 놀잇감의 특성인 다양성과 개방성의 측면에서 탐색하는 것이다. 그 결과 첫째, 바람직한 영아 놀잇감의 다양성 특성은 내용 상 놀잇감의 ‘종류와 양’, ‘외현적 질적 특징(형태나 재료 등)’의 의미로 사용되면서 의미상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인간학적 관점에서 몸으로 체험되는 다양성으로 해석하였다. 둘째, 바람직한 영아 놀잇감 개방성 특성은 놀잇감이 ‘탐색을 유도하고 놀이로 전환될 수 있는 매개물’의 속성을 갖는 것으로 ‘연령 및 발달별 놀잇감 기준 내용’과 ‘놀이영역별 놀잇감의 분리’로 설명되면서 의미상 차이를 나타내었고, 교육인간학적 관점에서 놀잇감을 통한 ‘관계적 체험’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논의에서는 바람직한 영아 놀잇감이 갖는 다양성과 개방성의 특성을 지원하기 위한 대안을 영아 놀잇감 가치에 대한 재조명, 관계 맺는 매개체로서의 놀잇감, 감각적 탐색을 허용하는 교육적 분위기 형성의 측면에서 다루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상상놀이 활동 지도경험 탐색

        오채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6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teaching experience in imaginative activ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ree teachers each of whom was responsible for a class of 3-year-ol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15 to September 2015 which included interviews from the teachers, class observations, teaching journals and evaluations, and research journals, photos, and official and unofficial let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imaginative activities in this order: “I can’t see the imagination”: the education of abstractive imagination; “Let’s express”: the ambiguous expression of language; and “increase of ad lib”: the joint initiative of class. The meaning of teaching experience in imaginative activities is described in terms of three topics: ‘the fill-up of the interval between the language and the reality’; ‘the discovery of imagination’; and ‘the experience of sympathy; Pete seems to be having fun’. This study also describes the three topics as follows: the experience of imaginative education, imagination as a sense of value, and sensibility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연극놀이에서 활용하는 상상력 지도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상상놀이 활동(동화, 동극, 게임, 신체표현)을 지도하는 동안,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상상놀이 활동 지도과정의 특성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유아교사의 상상놀이 경험이 교수 방법적 측면에서 교사 자신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만 3세반 담임을 맡고 있는 3명의 교사들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4월부터 9월까지이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상상놀이 지도과정의 특성은 “상상이 안 보여요”: 상상의 추상성 교육, “표현해 보자”: 언어의 모호함, “애드립이 늘었어요”: 공동의 수업주도권이라는 세 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가 경험한 상상놀이 지도 경험의 의미는 ‘사이를 채우는 일’: 글과 현실의 사이 채우기, ‘서로의 상상력 발견’, 공감의 체험: “피트가 즐거웠을 것 같아요”라는 세 가지 주제로 해석되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유아 상상력 교육에 대한 논의를 체험으로서의 상상력 교육, 가치관으로서의 상상력, 상상력을 통한 감성적 교육의 병행 측면에서 시도하였다.

      • KCI등재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바람직한 영아 놀잇감’에 관한 교육적 의미 탐색

        오채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esirable infant playthings in child-care centers, to understand how infant playthings in child-care centers differ from the theory, and to explore the alternatives to the desirable infant playthings in child-care centers.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a study related to infant play and plaything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desirable infant playthings were characterized by the diversity and the openness of playthings.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ity in desirable infant playthings have different meanings in terms of the type and the quantity of playthings and the appearance and the meaning of playthings. The characteristic openness in desirable infant playthings were described as ‘the medium of exploration and play’ and had different meanings in terms of the function of age of playthings and the separation of play area. Secondly,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sirable infant playthings was interpreted as the playthings that helped exploration, those experienced with body thereby, creating the different meanings, and those reflecting the diverse culture and values. Further,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sirable playthings was interpreted as the playthings that had the characteristic of relationship and those opened in play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 놀잇감 관련 문헌을 통해서 어린이집에서 영아에게 제공되는 바람직한 놀잇감의 기준은 무엇인지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어린이집 현장에서 이해하고 있는 바람직한 영아 놀잇감 실제와 이론 간의 차이를 드러내고, 어린이집이라는 영아보육 환경에서고려해야할 바람직한 영아 놀잇감에 대한 대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그 결과 첫째,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바람직한 영아 놀잇감은 다양성과 개방성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영아 놀잇감의 다양성 특성은 내용상 놀잇감 ‘종류’의 다양성과 ‘양’의 충분성의 측면, 놀잇감의 외현적 다양성과 의미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의미상 모순된 차이가있었다. 바람직한 영아 놀잇감 개방성 특성은 놀잇감이 ‘탐색을 유도하고 놀이로 전환될 수있는 매개물’의 속성을 갖는 것으로, 놀잇감 기능의 개방성과 연령별 놀잇감 적합성의 측면, 놀이영역별 분리에 따른 탐색의 개방성과 놀잇감 분리로 인한 탐색 행동 제한이라는 측면에서 의미상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바람직한 영아 놀잇감의 교육적의미를 1) 다양성의 측면에서, 영아의 탐색행동을 돕는 놀잇감, 몸으로 체험되어 다양한 의미를 만들어내는 놀잇감, 문화와 가치에 대한 다양성을 고려한 놀잇감으로 해석하였고, 2) 개방성의 측면에서, 관계적 체험에 개방적인 놀잇감, 놀이영역에 개방적인 놀잇감으로 해석하였다.

      • KCI등재

        유아 다문화 교육의 현실과 교육적 대안

        오채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rough literatures and research reviews. Also this paper presents the educational alterna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with considering the social changes and policy issues. To do so, firstly, it is reviewed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3 aspects, which are conceptions and practi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ubj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s a result, the conceptions and practi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changed from ‘tourist curriculum' and 'anti-biased curriculum' to the 'multiethnic' education.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changed from general children to minority children.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changed from the understanding of diversity and overcome of anti-bias to the offer of educational equity and improvement of children's ability. Secondly, The educational alterna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was discussed by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 in early childhood, the approach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identity education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hirdly, the multicultural teacher was discussed by the important factor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다문화 교육 연구와 문헌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유아 다문화 교육 현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현재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회적 변화와 정책적 변화 등을 인식하면서 우리 실정에 맞는 유아기 다문화 교육에 관한 교육적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유아 다문화 교육의 현실을 유아 다문화 교육의 개념 인식 및 실천, 유아 다문화 교육의 대상, 유아 다문화 교육의 방향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때 유아 다문화 교육의 개념 인식 및 실천은 관광 식 교육과정, 반 편견 교육, ‘다인종’ 교육과 ‘소수민족’ 교육으로 변화하였으며, 유아 다문화 교육의 대상은 일반 유아에서 소수 민족 유아로 변화하였고, 유아 다문화 교육의 방향은 다양성 이해와 편견 극복에서 균등한 교육기회 제공과 능력 향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유아기 다문화 교육에 관한 현실을 토대로 교육적 견지에서 바람직한 다문화 교육의 실천 대안을 유아 다문화 교육의 실천 관점, 유아 다문화 교육의 접근, 정체성 교육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셋째, 유아 다문화 교육에서 중요한 요인으로서 다문화적 교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육에서 본 상상력에 대한 교육적 탐색: 발달적 관점을 넘어서

        오채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iterature related to philosophy, the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search for the educational meaning of imagination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master and doctoral theses, articles, and books. As for the results, the discussion topics of imagination in early childhood area consisted of the meaning of imagination from early childhood, the possibility of imagination education and the practice of imagination education, and the teacher’s imagin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irst topic, I examined the concept of imagination in the early childhood and other academic areas and investigated the new concept of imagin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second topic, I examined the possibility and the practice of imagination education. In the third topic, I examined the concept and role of imagination and investigated the relevance of educational direc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ourth topic, I discussed the contents considering the curriculum when teachers practice the imagina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상상력과 관련된 철학 및 교육학, 유아교육 분야의 문헌을 고찰함으로써, 유아교육 분야에서 상상력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상력을 연구 주제로 삼은 철학, 교육학, 유아교육 분야의 석․박사 학위논문, 학회지, 저서 등의 문헌을 중점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 분야에서 상상력에 관해 논의가 필요한 내용을 상상력 개념의 유아교육적 의미, 상상력의 교육가능성과 유아교육 실천, 유아교사의 상상력이라는 3가지 주제로 설정하고 논의하였다. 첫째, 상상력 개념의 유아교육적 의미 주제와 관련해서, 상상력의 개념이 타 학문 영역과 유아교육 분야에서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지를 검토하고, 유아교육 분야에서 새롭게 조명해볼 수 있는 상상력의 개념을 탐색하였다. 둘째, 상상력의 교육가능성과 유아교육 실천과 관련해서, 상상력의 교육 가능성 논제를 검토하고, 유아교육 분야의 상상력 교육 실천과 대안을 탐색하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상상력과 관련해서, 유아교사 상상력의 개념과 역할 등을 검토하고, 유아교육의 방향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초로, 유아교육에서 상상력 가치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하고자 할 때, 교육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측면이 무엇인지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