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高句麗 後期 榮留王代 정국변동과 淵蓋蘇文의 정변

        오진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vision and confrontation among the aristocrats of Koguryo,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one of major causes of the fall of Koguryo,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Previous studies tend to describe the King Yongnyu’s enthronement and the processes leading to Yon Kaesomun’s ruling in rather simply. It is also the author’s opinion that the historical milestones have been set in wrong manner. Thus this paper will reconsider the enthronement of King Yongnyu, the Lanscape Destruction of 630’s, and the failure of Shilla Chiljungseong Attack, which have been set as the milestones in previous studies, and suggest a set of new milestones which are the enthronement of King Yongnyu, the death of Yeon Taejo, and the establishment of Dongi Gyowi (Eastern Bavarian Duke). Additionally, the regional basis of King Yongnyu and Yon Kaesomun shall be reconsidered also as the framework of explanation for such series of events. Keonmu was a step brother of King Yongyang and succeeded to the throne. This case was highly unusual according to the trends shown in "Samguksagi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which specifically said that there would be no heir unless the eldest son succeeded to the throne since primogeniture had been firmly established after the King Gogukcheon. Therefore, there must have been other reason for Keonmu to succeed to the throne. One reason could be Keonmu’s access to military force. During the Koguryo-Sui War, Keonmu defeated General Lai Huni of Sui Dynasty and his navy, who invaded Peyongyangseong, only with his royal army of 500 soldiers. The existence of this royal army represented military support for Keonmu and must becom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his enthronement as King Yongnyu. Additionally, “the Koguryo Sui War Expert”, an honorary nickname of Keomu acclaimed during the entire progress gave him a strong foundation for the people’s support. King Yongnyu, upon his enthronement, visited the progenitor’s tomb in Jolbon to survey the moods of Yon Kaesomun’s family. During the survey, he learned that Yeon Taejo, the head of Yon Kaesomun’s family, had passed away, and repatriated the prisoners of Koguryo Sui War to the Tang Dynasty. Thi repatriation of the prisoners of war was detrimental to the Yon Kaesomun’s family, who had possessed a large number of prisoners of war. As a result, King Yongnyu and the Yon Kaesoumun’s family displayed a different political attitude and their position on foreign policies with the Tang Dynasty also grew differently. Therefore, the death of Yeon Taejo ought to be set as an important milestone Notwithstanding King Yongnyu’s Pro-Tang Policy, however, the relationship of Koguryo and the Tang Dynasty eventually faces a huge turmoil. The turmoil was caused by the enthronement of Emperor Taizong, who pursued an unitary order with China in the central position, after the death of Emperor Gaozu of Tang, who pursued a hold-the-line policy with the relationship with Koguryo. Emperor Taizong of Tang reinstated Dongi Gyowi (Eastern Bavarian Duke) almost immediately after his enthronement, which was his way of publically denouncing the Koguryo’s autonomy in the region. Therefore, the reinstatement of Dongi Gyowi (Eastern Bavarian Duke) should also be set as an important milestone. The Koguryo-Tang Dynasty diplomatic relationship cooled rapidly after the reinstatement of Dongi Gyowi (Eastern Bavarian Duke) by Emperor Taizong. It was obvious that the clash between the moderate faction, who supported King Yongnyu’s radical Pro-Tang Policy, and the hard-line faction, who supported Yon Kaesomun, was unavoidable. The clash between two factions eventually resulted an extreme ending of a political upheaval. The progress and backgrounds of this political upheaval, however, needs to be examined further. As for the backgrounds, the directions of policies presented by the two factions and their Regional basis needs to be inquired into. Here, the moderate faction, including King yongnyu, is set as a group of people who sought utilitarian diplomacy through paying tributes, and the hard-line faction is set as a group of people who sought to regain the honor and power of Koguryo in the 5thcentury. In addition, the regional basis of King Yongnyu and Yon Kaesomun, distinctive leaders of the two factions, have been set as Pyeongyangseong and Gungnaesoeong, different than the previous studies. As for the progresses, instead of the possibility of alliance between Yon Kaesomun and King Taeyang, which had been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e authors of this paper go a step further and suggest that there could have been a secret treaty between the two. The fact that the Crown Prince Hwankwon made a visit to the Tang Dynasty shows that there had been some sort of understanding made between the Tang Dynasty and the Koguryo’s moderate faction. Especially, the delayed construction of Cheollijangseong despite a hard efforts made by Koguryo can be understood as a factor which makes the political intent of King Yongnyu’s de facto power to eliminate Yon Kaesomun more obvious. In the end, the supporters of King Yougnyu and Yon Kaesomun were in antagonistic relationship not only on foreign policies. Rather, their conflicts were results of an underlying confrontation on the direction of Koguryo’s future as well as interests and stakes in the power struggle between the two groups. The confrontation of the two groups of political factions resulted in an extreme result of Yon Kawomun’s Coup and the assassination of King Yongnyu, and ultimately led to a dictatorship of Yon Kaesomun, which in turn became an important cause of the collapse of Koguryo. 이 연구의 목적은 고구려의 멸망의 주요 內因으로 지적되어 온 고구려 귀족세력의 분화와 대립을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살펴보는 데 있다. 기존에 연구된 바로는 고구려 귀족세력의 분화와 대립이 부각되는 시점인 영류왕의 즉위와 연개소문의 집권에 이르는 과정이 지나치게 단순하게 설명되거나 주요 분기점의 설정이 잘못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의 영류왕의 즉위, 630년대 경관파괴, 신라 칠중성 공략 실패라는 분기점 설정을 재고하고 영류왕의 즉위, 연태조의 죽음, 東夷校尉 復設이라는 새로운 분기점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주요 설명 틀인 영류왕과 연개소문의 지역적 기반 역시 재고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건무는 ?陽王의 이복동생으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는 故國川王 이후 장자상속제가 확립되어 장자가 상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후사가 없음을 밝히고 있는 "三國史記"의 경향에 따르면 이례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건무가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던 이유로는 다른 배경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러한 배경으로는 먼저 건무가 가지고 있었던 무력적 기반을 들 수 있다. 건무는 대수전쟁 당시 평양성에 침입한 내호아의 수군을 5백 여 명의 결사대를 이끌고 격파하였다. 이러한 결사대의 존재는 건무의 무력적 기반을 상징하며 후일 그가 영류왕으로 즉위하는데 주요한 기반이 되었을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얻어진 對隋戰爭戰功者라는 명예는 그가 고구려의 臣民들의 지지를 받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영류왕은 즉위한 후 졸본의 시조묘에 행차하여 연개소문 집안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개소문 집안의 우두머리인 연태조가 사망한 것을 알고 대수전쟁 포로들을 당에 송환하였다. 이러한 대수전쟁 포로송환은 많은 전쟁 포로들을 보유하고 있던 연개소문 집안에게는 치명적인 일이었다. 그 결과 영류왕과 연개소문 집안은 서로 다른 정치적 태도를 보였고 당에 대한 대외관계에 있어서도 생각이 달라지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태조의 죽음은 주요한 분기점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영류왕의 親唐정책에도 불구하고 이후 고구려와 당의 관계는 커다란 변화를 맞게 된다. 고구려와의 관계에 있어서 현상유지 정책을 추구하던 당 고조가 죽고 중국 중심의 일원적인 질서를 추구하는 당 태종이 즉위했기 때문이었다. 당 태종이 즉위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동이교위를 복설하였는데 이는 해당 지역에 대한 고구려의 지배력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을 천명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동이교위 복설 역시도 주요한 분기점으로 설정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당 태종이 동이교위를 복설한 후 고구려와 당의 관계는 급속히 냉각되게 된다. 이를 두고 급진적인 親唐정책을 추구하던 영류왕을 비롯한 대외온건파들과 대외강경책을 추구하는 연개소문을 위시한 대외강경파들이 충돌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결국 그들의 대립은 정변이라는 극단적인 결말로 끝을 맺게 된다. 다만 이러한 배경과 전개에 대해서는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배경으로는 양 세력의 새로운 정책방향과 지역적 기반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여기서 영류왕을 비롯한 대외온건파는 조공을 통한 실리외교추구세력으로, 연개소문을 위시한 대외강경파는 5세기 대의 고구려의 영광을 되찾으려는 세력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대외온건파와 대외강경파의 대표적 인물인 영류왕과 연개소문의 지역적 기반 역시도 기존과 다르게 평양성과 국내성으로 다르게 설정하였다. 전개과정으로는 기존에 제시된 연개소문과 대양왕계열의 연합가능성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영류왕과 당과의 밀약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당시 왕위계승권자인 태자 환권이 당에 갔다는 것은 고구려의 대외온건파 세력과 당과의 교감이 이루어졌음을 상정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고구려가 전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천리장성 축조속도가 눈에 띄게 부진한 것은 영류왕 세력이 연개소문을 제거하려는 정치적 의도를 더욱 부각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영류왕과 연개소문 세력은 단순히 대외정책을 두고 대립한 것이 아니었다. 그러한 기저에는 고구려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한 근원적인 대립과 양측 간의 권력투쟁에 대한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얽혀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고구려의 정치세력간의 대립은 연개소문의 정변과 영류왕의 시해라는 극단적인 결말을 낳았으며, 이는 결국 연개소문의 독재정권 구축으로 이어져 고구려 멸망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개선된 이벤트 우선 순위 기반의 혼잡 제어 프로토콜

        오진석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보통 센서 노드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 내에서 어떤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그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여 싱크 노드로 전송하는 모델을 가진다. 이러한 모델은 동시에 여러 개의 이벤트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한 이벤트를 여러 센서 노드들이 동시에 인지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동시에 여러 개의 센서 노드들이 데이터를 싱크 노드로 보내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네트워크에 패킷이 많아지게 되고, 결국 혼잡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혼잡 상황은 패킷 손실, 큐잉 지연의 증가, 그리고 링크의 처리량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며, 패킷 손실은 패킷의 재전송으로 이어져 센서 노드들의 추가적인 에너지 소비를 불러 일으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벤트 기반의 트래픽 모델을 가지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혼잡 상황에 의해 발생하는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혼잡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혼잡 제어 기법은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하며, 이 우선 순위는 네트워크의 특성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정의되어 질 수 있다. 만약 한 노드에서 혼잡 상황이 발생한다면 그 노드로 패킷을 전달하는 부모 노드에서의 전송률을 낮추어 혼잡 제어를 수행하게 되며, 이벤트의 우선순위가 높은 패킷에 대한 전송률을 우선순위가 낮은 패킷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낮추어서 우선순위가 높은 패킷을 좀 더 신속하게 싱크 노드로 전송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하여 혼잡 상황을 제어함과 동시에 우선순위가 높은 이벤트의 전송률을 높임으로서 좀 더 효율적인 이벤트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혼잡 상황을 탐색하고, 각 노드의 패킷 전송률을 조절할 때, 패킷을 보내는 노드와 받는 노드의 현재 버퍼 점유율(buffer occupancy)을 사용하도록 하여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에 의한 패킷 손실을 최소화 한다. In the sensor nodes installed area, when an event occurs, the Wireless Sensor Network (WSN) has a model that perceives the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ink nodes. The model is able to handle an event or several events happening at the same time with many sensor nodes. In case several sense nodes transmit data to the sink nodes simultaneously, the network will handle more packets and the possibility for the network congestion will increase. The network congestion causes packet loss, queuing delay, and throughput decrease in the links. The packet loss leads to packet retransmission and additional energy consumption of the sensor nodes. Therefore, in this paper I describe a congestion control protocol in order to reduce the packet loss caused by the network congestion in the WSN with the event-based traffic models. The congestion control protocol proposed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event priority. This priority can be defined by the feature of a network or an application. This protocol performs the congestion control by pushing down the transmission rate at a parent node if the network congestion occurs at a child node and by lowering the transmission rate for the high priority packets relatively less than the low priority packets so that the high priority packets are transmitted to the sink nodes more quickly. Through this, it enables us to build up the more efficient event based WSN by controlling the network congestion and raising the transmission rate of high priority events. Besides the protocol proposed in this paper suggests using the current buffer occupancy of the nodes, which send and receive packets when detecting the network congestion, and adjusting the packet transmission rate at each node to minimize the packet loss from the buffer overflow.

      • 노인의 동적평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오진석 서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ed the dynamic balance of elderly people of sixty and over in a bid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motor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not to get hurt from a fal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2 elderly people who were 60 years old and up and used a senior club in the city of C. They included41 men and 81 women. They were at the mean age of 69.46±5.03. Their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56±0.08cm and 59.55±9.26kg. Sensorimotor tests were conducted since the sensorimotor organ seemed to have an impact on dynamic balance. Their motor-related basic physical fitness was tested by implementing a chair-stand test, two-minute step test, chair sit-and-reach test, 8-foot-up-and-go test and MDRT(multidirectional reach test). Their range of ankle motion was evaluated as well. In terms of sense, M-CTSIB(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in balance) was employed, and age and BMI were selected as additional factors that might affect dynamic balance. For data handling,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used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men and women in dynamic balance, and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identify which factors affected dynamic bal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e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employed to look for any differences in dynamic balance by gender,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men and women in left/right dynamic balance, but a significant gap was found in front/rear dynamic balance(p<0.05). 2. The elderly men were older than the elderly women, and the former excelled the latter in muscular strength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aerobic endurance, front stability, rear stability, right stability and left stability. The former got better scores in M-CTSIB2 and 3 than the latter. The latter surpassed the former in BMI, agility, flexibility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range of ankle motion and M-CTSIB4.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collective averages of the two, but the gaps were not significant.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flexibility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range of ankle motion and rear stability(p<0.05). 3. W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factors on left/right dynamic balance, the elderly people who had a better sensory information literacy, who had a better muscular strength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who were less older were better at left/right balance(p<0.05). 4. As a result of mak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check into which factors affected the front/rear dynamic balance of the elderly people, the elderly people who had a better sensory information literacy, who were less older and whose BMI was lower were better at front/rear dynamic balance(p<0.05). 5. W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grasp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on the elderly men's left/right dynamic balance, those who were better agile and whose range of ankle motion was broader were better at left/right dynamic balance(p<0.05). 6. W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mpact of the factors on the elderly men's front/rear dynamic balance, those whose sensory information literacy was better, whose front stability was better and who were less older were better at front/rear dynamic balance(p<0.05). 7. As a result of implemen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factors on the front/rear dynamic balance of the elderly women, those who had a better sensory information literacy and whose muscular strength was better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were better at front/rear dynamic balance(p<0.05). 8. W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see how the factors affected the front/rear dynamic balance of the elderly women, those who had a more excellent sensory information literacy and whose BMI was lower were better at front/rear dynamic balance(p<0.05).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elderly people who were less older, who had a more excellent sensory information literacy, who had a stronger muscular strength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whose BMI was lower were more excellent in terms of dynamic balance. The elderly people were deteriorated in every regard with age, and the sensory organ had a huge impact on dynamic balance. To produce the best results, programs that provides motor intervention for elderly people not to be injured from a fall should cater to less older people, and a wide variety of sustained exercise programs that consist of sensory exercise, muscular workout and flexibility workout should be provided. Elderly people should be encouraged to keep moving their bodies to lower their BMI, and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offered to change their dietary habits(p<0.05).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낙상예방을 위한 운동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동적평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C시 시니어클럽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122명(남성:41명, 여성:81명)으로 연령은 69.46±5.03세이며, 평균 신장은 1.56±0.08cm이었으며, 평균 체중은 59.55±9.26이었다. 측정은 동적평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운동계, 감각계 검사를 실시하였다. 운동계와 관련된 기초체력검사는 하체근력(Chair Stand Test), 2분 걷기(2-Minute Step Test), 하체유연성(Chair Sit - And Reach Test), 민첩성(8-Foot Up And - Go Test), 발목가동범위, MDRT(Multidirectional Reach Test)를 측정하였고, 감각계 검사로는 M-CTSIB(Modified version of the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Balance)를 측정하였다. 또한 연령 및 BMI를 예상요인으로 부가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남, 여 동적평형성의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 t-검정을 사용하였으며, 동적평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stepwise)을 사용하였다. 1. 노인의 남, 여 성별에 따라 좌/우 동적평형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후 동적평형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남성이 여성에 비해 전/후 동적평형성 이 낮다. 2. 노인의 남, 여 성별에 따른 동적평형성 예측 요인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남성노인은 연령, 하체근력, 유산소지구력, 전면, 후면, 우측, 좌측 안정성, M-CTSIB 2,3의 평균이 여성노인에 비해 높았으며, 여성노인은 BMI, 민첩성, 하체유연성, 발목가동범위, M-CTSIB 4의 평균이 남성노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평균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연령, 하체 유연성, 발목가동범위, 후면안정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3. 노인의 좌/우 동적평형성에는 M-CTSTB4, 연령, 하체근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정보사용능력, 하체근력이 좋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좌/우 동적평형성의 수준이 높았다(p<.05). 4. 노인의 전/후 동적평형성에는 연령, M-CTSIB4, BMI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정보사용능력이 좋을수록, 연령과 BMI는 낮을수록 좌/우 동적평형성의 수준이 높았다(p<.05). 5. 남성 노인의 좌/우 동적평형성에는 민첩성, 발목가동범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첩성과 발목가동범위가 좋을수록 남성 노인의 좌/우 동적 평형성의 수준이 높았다(p<.05). 6. 남성 노인의 전/후 동적평형성에는 연령, 전면안정성, M-CTSIB4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감각정보사용능력과 전면안전성이 좋을수록, 남성 노인의 전/후 동적평형성의 수준이 높았다(P<.05). 7. 여성 노인의 좌/우 동적평형성에는 M-CTSIB3, 하체근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정보사용능력과 하체근력이 좋을수록, 여성 노인의 좌/우 동적평형성의 수준이 높았다(p<.05). 8. 여성 노인의 전/후 동적평형성에는 BMI, M-CTSIB3, M-CTSIB4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질량지수가 낮을수록, 감각정보사용능력이 좋을수록, 여성 노인의 좌/우 동적평형성의 수준이 높았다(p<.05).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노인의 좌/우, 전/후 동적평형성은 연령이 낮을수록, 감각계정보사용능력과 하체근력이 좋을수록, BMI가 낮을수록 동적평형성의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 할수록 모든 기능이 감소함을 볼 수 있었으며 감각계가 동적평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낙상예방프로그램 운동 중재에 있어서 연령의 기준을 낮춰서 실시하여야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감각향상운동, 근력운동, 유연성 운동을 포함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운동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하고, 신체질량지수를 낮추기 위한 신체활동량의 증가 및 식습관 변화를 위한 영양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 무선 네트워크에서 연결인증 및 보안 위협의 성능 개선

        오진석 한밭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파를 통신 매개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활용 및 발전이 지속되고 있다. 다양한 편의성을 가지고 있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은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전파를 통신매개로 하므로 늘 다양한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위협 요소들에 대해 정보를 보호할 목적으로 무선 랜에서는 MAC주소 인증, SSID 서비스 중지, WEP, WPA 등 무선 신호를 보호할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 방법들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통신에 대한 보안은 향상 되었으나, 상호간의 단계를 거쳐 인증을 해야 하므로 시간 지연의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키 암호 인증 방식인 MTI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암/복호화를 수행하였는데 기존 방식대비 암호화 인증은 19%로, 복호화 인증은 15%로, 빠른 속도로 수행됨을 알수 있었다.

      • 세라믹 막여과 정수처리공정의 여과특성에 미치는 운전조건의 평가

        오진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Ceramic membranes are able to operate at higher filtration flux than polymer organic membranes and can withstand high pressure and temperature. Ceramic membranes are characterized by long operational lifetime and low fouling tendency. However, pre-treatment has a great effect on membrane filtration performance due to the operating condition of high permeate flux. Also, coagulation is the process of making a large corporate body through neutralizing the electrostatically charged particles on the surface and its efficiency will be affected by changes in raw water, coagulant types and the water’s ph. Therefore, optimum coagulation conditions can be determined by batch experiment and jar test. In a sedimentation process, coagulated particles would settle out in a given sedimentation time and inflow of the supernatant would take place in the follow-up filtration process. For mixture-coagulation-ceramic membrane process and mixture-coagulation- sedimentation-ceramic membrane process in which this research focus on, flux changes of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are made based on changes in turbidity of raw water. Thus, this research evaluates appropriacy of pre-treatment process through raw water component in critical flux of each process and the effects of operating condition on 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A single process of polymer organic membrane and ceramic membrane are also compared under worst stress condition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membranes. In addition, precipitated experiment of polymer organic membrane and ceramic membrane is performed.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find a solution to the current issue related to drain water treatment of membrane filtration process in water treatment. In the research, few changes were made for the raw water components to evaluate pre-treatment process and each process of mixture-coagulation-ceramic membrane process and mixture-coagulation-sedimentation-ceramic membrane process was compared and analyzed considering the main water quality items such as the level of turbidity, TOC, DOC, UV254, and inorganic matter. In responding properly to extreme conditions like rainfall, a mixture of raw water from A water treatment plant and organic membrane drain water is used to determine applicability of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according to changes in raw water component. The amount of coagulant dose was 1.0% diluting A-PAC from optimum coagulation condition generating experiment. The time of mixing, coagulation, sedimentation, and mixing speed was carried out for each level such as mixing for 15 seconds at 120rpm, coagulation for 20 minutes at 20 rpm, and sedimentation for 20 minutes. As the components such as coagulation, sedimentation, and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are added, the value of turbidity, UV254, TOC, and DOC in the raw water used in the research tends to be decreased. Compared to initial raw water, the level of turbidity of mixing-coagulation, mixing-coagulation-sedimentation, and mixing-coagulation-sedimentation-ceramic membrane filtration shows removal rate over 99.0% in every process, and in the case of UV254, the removal rate was turned out exceeding 93.0% in every case. In addition to this, TOC represents the removal rate of 52.4% with mixing-coagulation process, of 56.4% for mixing-coagulation-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and of 59.8% for mixing-coagulation-sedimentation-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In other words, the each removal rates was slightly increased as process is added, otherwise, DOC is figured out as 18.5%, 22.2%, and 30.7% showing that as process is added, the removal rate is increased considerately. Comparing the removal rates from water quality items, when mixing-coagulation is done on the raw water, the measured vales were enormously decreased. However, in the case of applying the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without Sedimentation process, TMP will be expected to be soared when operating the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with high flux. If we operate the back washing period of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more frequently, it can be possible to drive stable condition for ceramic membrane filtration process only with pre-treatment of mixing-coagulation process. When the high level of turbidity and organic component for the raw water is flowed, ceramic membrane process and PVDF membrane process in the case of ceramic membrane process, the stable operation is possible under the flux level of 2m/d, however, TMP is increased greatly on the flux level of 1.5m/d and it’s impossible to operate on the flux level of 2m/d in the case of PVDF membrane process. It seemed that when the raw water with high level of turbidity and organic components is flowed i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olymer organic membrane, it is difficult to process through organic membrane process only. Regarding this research, it was simple to process using ceramic membrane filtration only because it was driven by low flux about 2.0m/d in ceramic membrane filtration, though, in order to apply higher flux on our current level, it is essentially required to use mixing-coagulation process. To compare and evaluate drain water from organic membrane and ceramic membrane, precipitated are measured by value of SVI. For organic membrane drainwater, it is hard to measure settleability due to low concentration of solid matter. On the other hand, average value of SVI30 for ceramic membrane drainwater is measured as 55.06ml which falls into a good settleability range of 50-150ml. This result is due to specific characteristics which ceramic membrane has. Since ceramic membrane has longer filtration time than organic membrane, ceramic membrane has high solids contents. Also, the inflow of solid matter into module operated by dead-end filtration causes solid matter to form the shape of pellet and then to be discharged. 세라믹막은 고분자 유기막에 비해 높은 유속으로 여과가 가능하고, 고압과 고농도 약품에서도 잘 견디며, 막의 수명이 길고, 막 파울링에 강한 특징을 갖고 있다. 다만, 높은 투과유속에서 운전하는 특성상 막여과 성능에 미치는 전처리의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응집 공정은 입자들의 표면에 정전기 전하를 중성화함으로써 큰 결합체를 만드는 공정이며, 응집 효율은 적용되는 원수, 응집제 종류 및 pH에 따라 달라지므로 회분식 응집실험(Jar tset)을 통하여 최적 응집 조건을 도출하게 된다. 침전 공정의 경우에는 응집 공정에서 발생한 결합체들을 침전 시간을 주어 가라앉히게 되며 상등수를 후속 공정인 막여과 공정에 유입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평가하고자 한, 혼화-응집-세라믹 막여과 공정과 혼화-응집-침전-세라믹 막여과 공정의 경우에는 원수의 탁도 변화에 따른 세라믹 막여과 공정의 투과유속 변화를 주어 각 공정의 임계 투과유속을 통한 원수 성상에 따른 전처리 공정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세라믹 막여과 정수처리공정의 여과특성에 미치는 운전조건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가혹 조건에서의 고분자 유기막과 세라믹 무기막 단일공정의 비교 및 평가를 하였으며, 고분자 유기막과 세라믹 무기막 배출수의 침강성 실험을 통해, 현재 대두되고 있는 정수처리 막여과 공정의 배출수 처리 문제에 대한 대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전처리 공정을 평가하고자, 원수 성상의 변화를 주어 혼화-응집-세라믹 막여과 공정과 혼화-응집-침전-세라믹 막여과 공정의 각 공정별 탁도, TOC, DOC, UV254, 무기물등을 주요 수질 항목으로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강우시와 같은 극단적인 상황에 적절한 대응을 하며, 원수성상 변화에 따른 세라믹 막여과 공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A정수장의 원수(한강원수)와 유기막 배출수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응집제 주입량은 최적응집조건 도출 실험에서 알아낸 10.6 %의 A-PAC를 1.0 %로 희석하여 주입하였고, 혼화-응집-침전 시간 및 교반속도는 혼화는 120 rpm에서 15초, 응집의 경우 20 rpm에서 20분, 침전의 경우 20분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원수에 응집, 침전, 세라믹 막여과 공정을 추가할수록 탁도, UV254, TOC, DOC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초기 원수와 비교해볼 때, 탁도는 혼화-응집, 혼화-응집-침전, 혼화-응집-침전-세라믹 막여과 모든 공정에서 99.0 %가 넘는 제거율을 나타냈고, UV254의 경우에는 모두 93.0 %가 넘는 제거율을 나타냈다. 또한, TOC의 경우는 혼화-응집 공정이 52.4 %제거율을 보였고, 혼화-응집-세라믹 막여과 공정은 56.4 %, 혼화-응집-침전-세라믹 막여과 공정이 59.8 %의 제거율로 공정이 첨가될수록 제거율이 미세하게 증가하는 반면, DOC의 경우는 각 공정이 18.5 %, 22.2 %, 30.7 %로 공정이 첨가될수록 제거율이 상당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각 수질 항목들의 제거율로 비교해볼 떄 원수에 혼화-응집 처리만 했을 경우에도 측정치들이 현저히 감소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침전공정을 거치지 않고 세라믹 막여과 공정을 거칠 경우, 높은 투과유속으로 세라믹 막여과 공정을 운영시에는 차압이 급격히 증가 할 것이라 예상된다. 다만, 세라믹 막여과 공정의 수역세 및 공기역세와 같은 물리세정 주기를 조금 짧게 운영한다면, 혼화-응집 공정의 전처리만으로도 충분히 세라믹 막여과 공정의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고탁도․고유기물의 원수 유입시에 세라믹 무기막 공정과 PVDF 유기막 단일공정의 투과유속에 따른 막간차압(TMP) 변화를 관찰 한 결과, 세라믹 무기막 공정의 경우 2m/d의 투과유속까지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한 반면, PVDF 유기막 공정의 경우에는 1.5m/d의 투과유속에서 차압의 증가가 급격해지며, 2m/d의 투과유속에서는 운전이 불가능하였다. 이는 고분자 유기막의 특성 상, 고탁도․고유기물의 원수가 유입할 경우에 유기막 공정 단독으로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보인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세라믹 막여과 공정에서 2.0m/d의 낮은 투과유속으로 운전을 하였기 떄문에 세라믹 막여과 공정 단독으로도 처리가 용이했지만, 높은 투과유속 적용을 위해서는 혼화/응집 공정이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만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유기막과 세라믹 무기막 배출수를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SVI값을 통해 침강성을 판단하였다. 유기막 배출수의 경우에는 고형물 농도가 낮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육안으로 판단할 수 없었으며, 세라믹 무기막 배출수의 경우에는 평균 SVI30값이 55.06ml/g으로서, 보편적으로 침전성이 양호하다는 50-150의 범위 안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세라믹 무기막의 경우 유기막에 비해 여과시간이 길어 고형물 함량이 높아, 내압식 전량여과 방식으로 운영되어 모듈로 유입된 고형물이 모듈의 끝부분에 모여서 펠렛형태로 뭉쳐져서 배출되는 특징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디자인 수업에서 PBL적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 포스터 디자인을 중심으로

        오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몇 년간, 전 세계적으로 사회의 빠른 변화에 따라 교육의 방법도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특히 우리나라는 시대에 따라 교육과정에 적용되는 이론도 각기 달랐고, 그에 따라 교육의 목적과 중점도 변화했다. 첨단기기들이 발달하며 ‘IT 강국 코리아’라는 슬로건을 내세울 정도로 우리나라는 빠르게 발전했고, 그로 인해 사람들의 삶도 많이 달라졌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맞게 교육의 방식도 다양하게 변화해야 한다. 지식기반 사회, 정보화 사회로 불리는 21세기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이 끊임없이 창출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보급과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지식과 기술의 팽창이 놀라운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지식과 정보를 기존의 방식대로 소유하려 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무모한일이 되었다. 이제는 이러한 지식과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여러 가지 해결책을 제시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해졌다. 미술교육의 목표도 훌륭한 기능인으로서의 미술가를 양성하는 것보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를 살아가며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그것의 가치를 이해하며, 더 나아가 그것을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생활에서 가능한 여러 가지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통해 학생들의 능력을 표현함으로써 창의적 표현력과 미적 감수성을 지닌 사람으로 성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육은 새로운 방향으로의 전환을 필요로 하며, 그 방법 중 하나로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 PBL)을 들 수 있다. PBL은 학습자 스스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고, 가공하며,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자중심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PBL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PBL은 수업시작 시 실생활 문제를 학생들에게 제시해줌으로써 흥미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스스로 탐구해 가는 과정 속에서 비판적 사고력, 협동심,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도록 하는 학습형태이다.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PBL은 전통적인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대안으로 교육적 잠재력이 매우 큰 학습방법이다. ‘디자인의 시대’라고 불리는 현대사회에서는 기술력이 평준화되면서 소비자들은 디자인을 선택의 기준으로 최우선시 하고 있어, 디자인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이러한 디자인은 생활환경 전반에 적용되어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 적응해서 살아갈 수 있도록 디자인적인 사고를 가진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 필요해졌다. 이를 위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어렸을 때부터 디자인적 사고에 중점을 둔 디자인 교육을 실시하는 추세이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디자인 교육은 실생활과 관련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방법으로 PBL 모형과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디자인 수업에 PBL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PBL 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단원을 연구하고, 초등학교 6학년의 발달단계와 흥미를 고려하여 창의적 표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내용을 구성하여 계획하였다. 조연순(2006)이 제시한 PBL 모형에 따라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개발하고, 강인애(2007)의 문제개발 과정에 따라 문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PBL 모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과 전통적인 방법의 디자인 수업을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D초등학교 6학년 2학급 총 56명을 대상으로 2010년 2월 2주간 진행하였다. 수업 후,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는 양윤정(2001)의 초등 미술과 예시평가도구를 참고하여 제작한 것으로, 이것으로 수업 결과물을 분석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일원다변량교차분석(One wa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 모형을 적용한 ‘신종인플루엔자 예방 포스터 꾸미기’ 수업을 통해 나온 결과물이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를 구성하는 모든 창의성 요소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PBL 모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BL 모형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초등미술교육 현장에서 PBL의 활용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For the last few years, as the world went through fast changes in society, educational method also has been changed in a dramatic way. Korea also had different values in education in different era in its history. The country earned its fame of being a leading nation in IT Industry, changing lives of many, after a fast development of high-tech devices and the country's economy. And now the need for a change in educational system has been recognized. 21st century, so called a knowledge-base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s constantly creating new ideas and technologies and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communicational technology, they are expanding in immense velocity. Therefore, storing up vast amount of information in an old way became impossible and somewhat useless. Now the emphasis is on being able to solve various problems and create new ways using such information.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has been shifted from fostering artists to become outstanding performers to nurturing their capacity to seek beauty from this speedy life and cont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its values and share them with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 on people who are full of creative expression and artistic sentiment by providing education with diverse experiences in life. To fulfill its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we can look into ‘Problem Based Learning(PBL)’. The structure of PBL is aimed to provide students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ir needs so that they can choose, work and use the information themselves. It has attracted lots of countries to apply this method of learning. Not only the PBL motivates students by suggesting real life problems but also it extends critical thinking,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midst of studying given information. This explains how much potential it has as an alternative method to the traditional way of teaching as it promotes realistic problem solving. As we enter into an era of Design, rather than the technology, customers started to put design as their first priority in choosing products. These designs are applied to the whole daily environment. It is now necessary to foster creative people who possess the design mind-set to adapt to this circumstance. Lots of countries over the world are providing design education as a trend which the students can develop their way of thinking since young. Especially elementary schools are best suited for PBL Model to teach problem solving in real life situ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has its purpose to find out from 6th grade design lessons how the PBL Model will effect on students' creative expression. To reach the goal of this research,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to research PBL-applicable chapters and 6th grade students' development process and their interes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ganizing the contents to improve their creative expression. Questionaries were taken by Jo Yeon Soon, from her procedure of question development of PBL Model in 2006. A lesson that adopted the PBL Model and the one with control group were both carried out for two weeks in 2010 February at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ang-nam area with 56 students in two 6th grade classes.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research, creative expression evaluation tool was referred to Yang Yoon Jung's 'the Elementary Art and Adumbration evaluation tool' that she established in 2001. Result of the lessons was analyzed by these methods and 'One Wa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for data managemen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rom the Lesson 'Swine flu prevention Poster', outcomes from PBL Model surpassed than those of traditional group in terms of creativity within such factors as subject expression, expressional methods, formative element and principle, materials and tool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PBL Model has given a positive effect on 6th grade students' creative expression. Therefore, it has a meaning of being the first step to address the need to expand the use of this model in elementary arts education.

      • 그룹홈 청소년들의 가출 경험에 관한

        오진석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그룹홈에 입소한 청소년들의 가출 경험에 관한 심층면담을 통해 가출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청소년들의 가출을 유발한 요인은 무엇인지, 그룹홈 입소 후 어떤 반응을 하는지, 또한 그룹홈 입소 후 나타난 삶의 변화는 어떤 의미가 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가출 경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중시하기 위해 클랜디닌과 코넬리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그룹홈에 입소한지 3년 이상이며 고등학교 재학중인 자로서 입소 전 2년 이상의 반복적인 가출을 경험한 남자 청소년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부터 2017년 9월까지 9개월에 걸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룹홈에 입소한 청소년들의 가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의 가출은 가정적 요인의 구조적·기능적인 결함이 나타났다. 사회적으로 가출청소년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가족력에 의한 심리적요인으로 작용되어 그들의 가출은 장기화 되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그룹홈 입소 후 새로운 가정적 경험을 통해 원가족에 대한 새로운 반응과 성공적 삶의 기대가 학교생활에서도 회복적인 반응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들은 그룹홈에 들어오게 되어 잃어버린 교육의 기회를 다시 찾았고 가족구성의 갈등관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구조적 가정의 틀에서 개인의 미래성장을 위한 가치기준과 목표를 새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은 피할 수 없었던 가출 경험이 자기발견의 출발로서 새로운 자기 삶의 시작점이 되었다. 이들은 그룹홈 입소를 통해 일차적으로 학대와 방임으로 부터 자유를 얻었으며 새로운 가정적 경험을 통해 과거의 아픔에서 치유되고 새로운 출발점을 맞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가출은 억압으로부터 벗어난 하나의 용기이며 새로운 삶의 시작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그룹홈 입소와 상담적 기능을 통해 이들은 회복되어 나갔으며 종교적 체험을 통해 병리적인 요소에서 벗어날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전세시장의 구조와 변동에 관한 연구

        오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Jeonse” refers to a unique Korean-style lease contract whereby a tenant makes a lump sum deposit to occupy a hou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 landlord returns the entire amount of the payment to the tenant at the end of the contract. It provides people who are not able to purchase real estate pㄷroperty with access to affordable rental housing arrangement. The Jeonse system has its historical origin from when the population of Seoul started growing after the Treaty of Ganghwa in 1876. While housing finance market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the Jeonse market has become increasingly widespread by offering advantages to both tenants and landlords. Tenants favored the long-term leases of Jeonse which enables them to occupy houses at lower cost than purchasing home, whereas landlords were able to finance their home purchases by directly borrowing money from tenants, and to earn profits from increased market prices of their property during the lease terms. Such a leverage effect that expanded the Jeonse housing market encouraged real estate speculation, thus resulting in skyrocketing housing prices. Falling house prices since 2009 and the subsequent expectation on continuous crash on future prices, however, led to freezing demand for home purchases and increasing demand for Jeonse, which has resulted in creating a very unusual trend of surging rents and dropping sale prices. This thesis seeks to examine the changing structure of the Jeonse market empirically by investigating why and how the demand in the housing market has been transferred from home purchase to Jeonse. First, a survey method is used to qualitatively analyze how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n homeownership affect the demand transfer to Jeonse. Second,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is used to quantitatively examine how the survey result differs depending on the regional, gender, ag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realtors. Total 105 surveys are conducted by realtors in 5 zones that are divided by the 2020 Seoul Metropolitan City urban planning.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falling housing prices result in the subsequent expectation on continuous crash on future prices and decreased demand for homeownership, whereas rising Jeonse prices result in the rapid demand transfer from homeownership to Jeonse. The combined lease type of Jeonse and monthly rent has been in the most rapid increasing trend, which shows that the demand for Jeonse has started to transfer to monthly rent, so-called “Wolse”. Moreover, empirical findings show the need for the supply of the public housing and the real estate government policies including proper lease contracts and the least upper bound for Jeonse and Wolse in order to stabilize the Jeonse housing market. Given that the thirties and forties consists of the future Jeonse housing market as a majority and they tend to have lower aspiration for homeownership, it is likely for the demand transfer from home purchase to Jeonse to accelerate. This resulted in the government housing policy centered on the quantity of housing supply, which demonstrates the strong necessity of tenant-tailored housing supply policy rather than quantity-oriented one in order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Jeonse market. 전세제도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독특한 서민 주거형태이다. 주택가격의 일부를 보증금으로 맡기고 일정기간 주택을 임대하는 전세형태는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제도이다. 주택금융시장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기에는 임차인은 주택을 구매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금을 보유하지 않더라도 보유 자금 이상의 수준의 주택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반대로 임대인은 주택구매에 충분한 자금 없이도 주택을 구입하고 집값 상승 시 그에 따른 시세차익도 기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전세시장은 점차 확대되어 왔다. 이러한 레버리지 효과를 통해 생성된 투자수요 중 상당수가 투기로 이어져 아파트가격 폭등이라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러나 2009년 이후 아파트 가격하락으로 인해 주택 매수수요가 급감하고 추가하락에 대한 불안 심리로 아파트에 대한 전세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세가격은 폭등하고 매매가격은 하락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이로 인한 전세시장의 불안에 대한 근본적 해결을 위해 전세시장의 구조와 주택시장에서 매매와 전세 간의 수요전환의 원인과 추세를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세시장의 구조와 주택시장의 수요전환에 대한 질적 및 양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 질적 분석에서는 서울시 2020 도시계획에 따른 5개 권역인 도심권, 서남권, 서북권, 동북권, 동남권에서 시장 전문가인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주택소유의 인식(필요성)에 따른 주택시장에서의 수요전환을 설문조사 방식을 통한 알아볼 것이다. 양적 분석에서는 조사된 설문을 토대로 권역, 성별, 연령, 학력, 공인중개사경력의 특성별로 교차분석을 통한 실증분석을 할 것이다. 분석결과, 주택가격하락의 원인은 추가하락에 대한 불안감과 주택소유의 필요성저하이기 때문이고 전세가격상승의 원인은 매매수요가 전세수요로 급전환 되었기 때문이다. 임대유형으로는 반전세가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있어 전세수요가 월세수요로 전환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2012년 9월 시행된 취득세 인하로 매매수요가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남 3구가 포함된 동남권에서만 매매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금융규제의 완화와 교육, 교통 그리고 소득의 증대가 더 이상 매매수요의 증가를 가져오지 않을 것이라 분석되어 주택 매매수요가 전세수요로 전환되고 있는 현상이 일시적 현상이 아닐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교육열이 높은 목동과 여의도가 속한 서남권과 강남 3구가 속한 동남권에서는 수요의 전환이 발생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의 소유욕에 대한 열망이 더 이상 높지 않아 주택구입을 희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세시장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공공의 전세주택 공급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으며 정부의 제도적 장치로는 적정(공정)임대료제와 전월세상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결과에 따르면 향후 우리나라의 전세시장은 30~40대가 주를 이루며 이들은 주택 소유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욕망(필요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주택 매매시장의 수요가 전세시장으로의 전환 속도는 가속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우리나라 주택정책은 물량위주의 공급정책을 펼쳐온대서 기인하며 따라서 주택시장의 안정화를 위해서 물량우선이 아닌 거주자 맞춤형 공급정책이 필요함을 반증한다. 이러한 장기적 노력만이 주택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가 전세가격을 안정시키고 주택임대시장의 선진화를 위해 전세의 완전월세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있어서 작은 초석이 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