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전문적 삶의 질과의 관계

        오지연 한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암환자의 발생 증가 및 병원 내에서 임종하는 환자의 증가로 인해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빈도가 높아 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있다.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업무에 대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평가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전문적 삶의 질이란 개념으로 병원 간호사들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그들의 전문적 삶의 질의 수준을 평가하고 상관성을 찾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간호사들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방법을 확인하고, 전문적 삶의 질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등 3곳에 소재한 대학부속 병원에서 근무하는 병원 간호사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4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였으며,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회수율은 94.7%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는 이연옥(2004)이 개발한 도구(Cronbach’s =.95)를 사용하였으며,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Lazarus & Folkman(1984)의 척도를 김정희, 이장호(1985)가 요인분석하고 개발한 도구를 이연옥(2004)이 수정, 보완한 도구(Cronbach’s  = .83)를 사용하였다. 전문적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는 Stamm(2002)의 전문적 삶의 질(공감 만족과 공감 피로)의 버전 5[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ProQOL ; Compassion Satisfaction/Compassion Fatigue Subscale - Version 5)]도구를 ProQOL.org에서 한국어 번역(2009)된 도구(Cronbach’s = .8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에 따라 SPSS 20.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에 대한 평균점수는 전체 40문항에 대해 3.89±0.49점으로 측정되었으며, 영역별로 업무량 과중이 4.06±0.63점이 가장 높았다.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대한 대상자의 평균점수는 전체 41문항에 대해 2.89±0.33점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문제중심 대처방법이 2.96±0.44점으로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적 삶의 질 수준은 전체 30문항에 대해 공감만족의 평균이 30.90±33.11점, 소진은 30.22±24.30점, 2차성 외상 스트레스는 26.82±22.90점으로 나타났다. 공감만족의 상위집단은 전체의 24.9%였으며, 중-하위집단은 75.1%를 차지하였다. 소진의 상위집단은 전체의 26.1%였으며, 중-하위집단은 73.9%를 차지하였다. 2차성 외상 스트레스의 상위집단은 전체의 20.5%를 차지하였으며, 중-하위집단은 전체의 79.5%를 차지하였다. (2) 일반적 특성 및 관련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와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감만족에서는 연령, 결혼상태, 최종학력, 직책, 여가 활동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소진은 결혼상태, 여가 활동 유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2차성 외상 스트레스는 임상경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상관관계에서는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소진, 2차성 외상 스트레스 간에는 각각 약한 정(+)의 상관관계(=0.22, =0.01), 강한 정(+)의 상관관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0.33, =0.00).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은 공감만족과 2차성 외상 스트레스에 약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공감만족과 소진 간에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0.63, =0.00)를 보였고, 소진과 2차성 외상 스트레스 간에는 강한 정(+)의 상관관계(=0.49, =0.00)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병원 간호사는 임종간호 시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으로 문제중심 대처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스트레스 대처방법, 전문적 삶의 질 간에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효과적인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모색하고, 전문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개인 뿐 아니라, 집단적으로 공감만족을 높이고, 소진, 2차성 외상 스트레스를 낮추는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이와 관련된 추후 연구와 전문적인 지원이 시도되어야 할 것 이다.

      • 중남미 3국의 십대 성교육 전략수립을 위한 성태도와 성행동 비교분석

        오지연 충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남미 지역 십대들의 성태도 및 성행동에 대한 분석하여 한국의 현황과 비교 분석을 통하여 대상자들 눈높이에 맞는 모자보건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에콰도르 Quiroga지역, 엘살바도르 Quezalapa지역, 과테말라 Jilotepeque지역의 중학교에 재학중인 십대 청소년 600명(남자 100명, 여자 100명, 지역당 200명)의 성태도, 성행동, 성교육 실태 및 성교육 요구도를 묻는 39문항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4년 10월 중 조사하였다. 한국에서는 2010년 9월에서 11월까지 보건복지부와 인구보건복지협회에서 전국 중학생 1,290명(여학생 48.5%, 남학생 51.5%)을 대상으로 성태도, 성행동, 성교육 실태 및 성교육 요구도를 묻는 설문 결과를 중남미 3국과 비교 분석하였다. 중남미의 3개국과 대한민국의 성태도, 성행동, 성교육 실태 및 성교육 요구도를 비교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에 대한 고민이 있다면 누구와 의논하겠습니까?’, ‘성에 대한 정보는 주로 어디에서 얻습니까?’ 그리고 ‘성폭력을 당했을 때 어떻게 대응하겠습니까?’ 의 문항에 부모님에 대한 응답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성교육에 부모를 참여시키고, 부모에게 성에 대한 정확한 지식 및 태도를 갖게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성에 대한 고민이 있다면 누구와 의논하겠습니까?’와 ‘성에 대한 정보는 주로 어디서 얻습니까?’에 보건선생님, 학교에 대한 응답을 하였다. 이 결과를 볼 때 학교 교사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청소년에게 적합한 조언자 역할 수행과 정확한 지식 전달을 위해 학교 교사에게 양질의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성교육에는 성적 자기결정권, 피임 방법, 건강한 결혼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성적자기 결정권에 기초하여 성에 대한 행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하며, 청소년의 피임방법과 결혼에 대한 건강한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넷째, 성교육 방법으로 대상자의 지식수준을 사정 후 눈높이에 맞는 ‘재미있고, 충분하며 정확한 지식’을 시청각 교육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교육에 양성평등 및 피임 방법 등을 포함시키고 청소년 뿐 아니라 부모와 학교 교사와 함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customized maternal and child health promotion strategy through analysis on adolescents’ sexual attitude and behavior in Latin America an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case in Korea. With a questionnaire containing 39 questions which ask teenagers from a middle school in Quiroga (Ecuador), Quezalapa (El Salvador) and Jilotepeque (Guatemala) about sexual attitude & behavior, sex education and demand for the education, a survey was carried out in October 2014. Then, the results from the three Latin countries were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performed against 1,290 middle school students (girls: 48.5%, boys: 51.5%) in Korea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10. In other words, the comparison of sexual attitude & behavior, sex education and demand for the educ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ree Latin countries found the followings: First, when asked ‘who do you want to discuss your sexual concerns with?’, ‘where do you usually get the information about sex?’ and ‘if sexually assaulted, how are you going to handle it?’, most respondents answered ‘parents’, ‘from my parents’ and ‘with my parents’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parents participate in the sex education and help them have correct knowledge and attitude on sex. Second, when asked ‘who do you want to discuss your sexual concerns with?’ and ‘where do you usually get the information about sex?’, they responded ‘school health teacher’ and ‘school’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sex education on school teachers was confirmed.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rovide high-quality sex education to school teachers to help them guide young students to a right direction with correct knowledge. Third, sex education should include sexual self-determination, birth control method and healthy view on marriage to help students select take an action based on their sexual self-determination, learn birth control and have a healthy standpoint on marriage. Fourth, it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customized sex education through diverse media such as video to provide correct and informative knowledge in a fun and interesting manner after measuring the students’ level of intelligence. In sum,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sex education include useful information such as gender equality and birth control method in sex education and develop a decent sex education program for school teachers and parents as well as for adolescents.

      •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오지연 公州敎育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does self-esteem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students in grades 5th and 6th of M elementary school in Chungcheongnam-do, an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test, the self-esteem test, and school life adjustment test. 160 of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nalytical data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actual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full mediating model and the partial mediating model analysis using SPSS 22.0 and Amos 18.0 program, then the mediating model was confirm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early adolescents in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th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was the largest. Through this, high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is highly related to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And the higher self-esteem, the more satisfied school life. Second, full mediating model and the partial mediating model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relations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early adolescents in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full mediating model was more appropriate as a result. According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ath coefficients among the potential parameters of full mediating model, the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the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significance test for mediating effect using bootstrapping method, the magnitude of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on school life adjustment by mediating self-esteem was 0.718, which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was affecting school life adjustment by completely mediating self-esteem. So fa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examined in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view of the results of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in which school life maladjustment of early adolescent, who are in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s more likely to lead to later social maladjustment and more serious problem behaviors, multilateral studies on ways to increase school life adjustment are necessary. In this study conducted to suggest one alternative,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ffects self-esteem,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is high, and it was found that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ffects school life adjustment by completely mediating self-este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students'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self-esteem at school site in order to improve school life adjustment. For that, it needs to develope an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self-esteem cultivation program to enhance elementary students'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self-esteem. If the systematic and appropriate program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is developed, that will be able to help to enhance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students. And tha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higher quality of education ultimately.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horizontal and longitudinal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in a large number of groups and that studies will help teachers practically, and in the process it will provide higher quality of education to students, ultimately it will improve the quality of nationa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소재 M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서조절능력 검사지, 자아존중감 검사지, 학교생활적응 검사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에서 160부를 실제 연구의 통계처리를 위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완전매개모델과 부분매개모델 분석을 통해 매개모델을 확정하고 붓스트래핑으로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5, 6학년 초기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은 모두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그 중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간 상관관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높은 정서조절능력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과 큰 관련이 있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만족스러운 학교생활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5, 6학년 초기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완전매개모델과 부분매개모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완전매개모델이 더 적합하였다. 이에 따라 완전매개모델 잠재변수 간 경로계수를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능력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붓스트래핑 방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정서조절능력이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매개효과 크기는 0.718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로 판명되었다. 즉, 정서조절능력은 자아존중감을 완전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고학년인 초기 청소년기 아동의 학교부적응은 이후의 사회 부적응 및 보다 심각한 문제행동으로 이어지기 쉽다는 다수의 선행연구 결과를 볼 때, 학교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 하나의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에서 정서조절능력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의 상관이 높게 나타나며, 정서조절능력이 자아존중감을 완전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학교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정서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돕기 위해 초등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정서조절능력 및 자아존중감 함양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초등학생들이 정서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함양하고 궁극적으로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학생 특성에 적합한 정서조절능력 및 자아존중감 함양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 이는 학교생활적응력을 제고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집단에서 다수를 대상으로 횡적․종적인 후속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이러한 노력이 모여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며, 교육 수혜자들에게 더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국가 교육의 질이 높아지길 기대한다.

      • Soft sculpture의 유기적인 형태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오지연 성신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work of the author focusing on an exhibition entitled 'Emotional Cells.’ The work is about the forms of emotional cells made of soft material gloves. Cotton work gloves for coating has lost practical functions and meanings in our daily lives, going beyond the meaning as an object as matiere. In this paper, I emphasized the nature of the material only with the texture and color sense of the material and the unique feature of the material itself. This paper saw cells as organism with emotion and to express this, disassembled cotton work gloves for coating similar with cells in the color sense and reassemble by needlework to make emotional cells. Cells change by being divided (multiplied) into the smallest units of our body, and all the emotions change, not stay. Using materials which can fluidly express cells and changes of emotions like this, I made forms, referring to a variety of forms of cells, and these changes, mov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variation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oft Sculpture theory. The use of soft materials and various installation methods for the exhibition are believed to allow the audience to accept the work flexibly, and the aim of using soft texture lied in eliciting active participation and helping communicate with the work. The expression of emotional cells of the body means the expansion of cells in terms of form and furthermore, the desire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outside cells (body). As a theoretic background, I conducted literature review in regards to flexible changes in forms of cells and emotions as characteristics of Soft Sculpture. I also defined the meaning of emotional cells and analyzed formative expression of emotional cells. In methodology of expression, I examined matiere, needlework and tactile features, and various installation methods. Eight works were analyzed in terms of expression methods and contents. From the findings from the study, we discussed what the exhibition ‘Emotional cells' meant, summarized the theory of the author about what kind of emotional message soft work delivers to the audience and the results of various expression methods, and explored the directions for the author. 본 연구는 전시 '감정세포Emotional cells'를 중심으로 한 본인의 작품연구논문이다. 부드러운 재료인 코팅 목장갑을 이용하여 감정을 가지고 있는 세포의 형태를 연구하였다. 코팅 목장갑이라는 오브제로써의 의미를 넘어 마티에르 자체로써 실제 생활에서의 실용적 기능과 의미를 상실하고, 재료의 질감과 색감만으로 재료의 사용에 있어 재료의 본질을 부각시키며 재료 자체의 고유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세포가 감정을 가지고 있는 유기체로 보았으며, 이를 표현하기 위해 세포의 색감과 비슷한 코팅용 목장갑을 해체시킨 후 손바느질을 통해 재조합하여 세포의 형태를 제작하였다. 세포는 우리 몸의 가장 작은 단위로 분열(증식)을 하여 변화하며, 모든 감정도 그대로 머물러 있지 않고 변화한다. 이러한 세포와 감정의 변화를 유동적인 표현이 가능한 코팅 목장갑으로 다양한 세포의 형태를 참고하여 형태를 표현하였으며 이러한 변화, 움직임, 변형의 특성으로 Soft Sculpture 이론이 바탕이 되었다. 부드러운 재료의 사용과 전시 공간에서의 다양한 설치방식을 통해 관객이 작품을 유연하게 받아들이고 부드러운 질감으로 인한 촉각성으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작품과 소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감정을 갖고 있는 몸의 세포 표현은 형태적으로 세포의 확장을 의미하며 나아가 세포(몸) 밖의 세상과 소통하고자 함을 의미한다. 이론적 배경에서 선행연구로는 감정과 세포의 유동적 형태 변화를 Soft Sculpture의 특성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감정 세포의 개념을 정의하고 감정세포로서의 형태표현을 분석하였다. 표현 방법에서는 마티에르, 바느질과 촉각성 그리고 다양한 설치방식을 분석하였다. 작품분석에서는 8점의 작품에 대한 표현 방법과 표현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감정세포Emotional cells' 전시가 갖는 의미를 찾고, 부드러운 작품이 관람객에게 줄 수 있는 감정적 메시지에 대한 본인의 이론과 다양한 표현 방법의 결과를 정리하고, 앞으로 본인의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나한과 농축액을 첨가한 약과의 품질특성

        오지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gwa to which Luo Han Guo (Momordica grosvenori swingle) concentrate was added through sensory evaluation and qualit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content by adding Luo Han Guo in the form of a concentrate. As a result of testing the general components of Luo Han Guo concentrate, th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mponents were low, but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 As a result of testing the sugar content, reducing sugar content, and pH of Luo Han Guo concentrate, the sugar content was 67 °Brix, and the reducing sugar content was 59.92±0.15%. The pH showed a weakly acidic property. As a result of test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Luo Han Guo concentrat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41.45±5.21 GAE mg /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28.74±1.11%. The chromaticity of Yakgwa added Luo Han Guo concentrate showed a tendency to gradually decrease as the amount of Luo Han Guo concentrate was added in the case of L value. The value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ition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b value, there was no constant trend. The sugar content of Yakgwa added Luo Han Guo concentrate was in the range of 23.67-27.67. The pH indicated a range of 5.1-5.31. The expansion rate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ition increased. The oil absorption rate was the lowest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xture measurement except for cohesiveness. As a Sensory characteristics by providing Yakgwa added Luo Han Guo concentrate, the control group was the highest in color, aroma,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sweet taste of Yakgwa was highest in YL50, and the nutty taste was highest in YL25. The value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ition increased.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yakgwa was confirmed due to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Luo Han Guo concentrate, and a high content of reducing sugar was found in the Luo Han Guo concentrate, which is considered to have detected Mogroside V, a component of Luo Han Guo concentrate. During the antioxidant experi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depending on the amount added to Yakgwa. 본 연구는 약과에 나한과를 농축액의 형태로 첨가하여 함량의 차이에 따른 감각 평가 및 품질 평가를 통해 나한과 농축액을 첨가한 약과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고자 진행되었다. 나한과 농축액의 일반 성분을 실험한 결과, 조단백과 조지방 성분은 낮게 나타났으나, 수분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나한과 농축액의 당도와 환원당 함량, pH를 실험한 결과, 당도는 67 °Brix 로 나타났고, 환원당 함량은 59.92±0.15%로 나타났다. pH는 약산성의 성질을 나타냈다. 나한과 농축액의 항산화 활성을 실험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41.45±5.21 GAE mg /g으로 나타났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8.74±1.11%으로 나타났다. 나한과 농축액을 첨가한 약과의 색도는 L값의 경우 나한과 농축액의 첨가량이 늘어나면서 점점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a값의 경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b값의 경우,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나한과 농축액을 첨가한 약과의 당도는 23.67-27.67의 범위를 나타냈다. pH는 5.1-5.31의 범위를 나타냈다. 팽화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은 감소하였다. 흡유율은 대조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직감 측정에서 응집성 외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나한과 농축액을 첨가한 약과를 제공하여 소비자 기호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에서 색, 향,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약과의 단맛은 YL5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소한 맛은 YL2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약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 또한 증가하였다. 나한과 농축액 첨가의 영향으로 약과의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나한과 농축액에서 높은 환원당 함량이 나타났고, 이는 나한과의 성분인 모그로사이드 V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항산화성 실험 중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약과에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서의 분권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

        오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의 의미와 교사를 참여시키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교사가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서 어느 정도의 권력, 지식, 정보, 보상을 부여받고 있다고 인식하는지를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의 의미를 교육과정 재구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교사의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 참여의 당위성과 참여수준들을 다루었다. 그리고 교사들을 교육과정 재구성에 참여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4요소 즉 권력, 지식, 정보, 보상을 분권화해야 한다는 '높은참여모형(High-Involvement Model)'의 내용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서의 4요소의 분권화 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교사는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서 권력, 지식, 정보, 보상이 어느 정도 충족되고 있다고 인식하는가? 교사의 학교설립, 직위, 최종학력, 교직경력에 따라 분권화에 대한 인식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 참여하는 다양한 형태의 집단에 따라 분권화에 대한 인식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서울시내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서 4요소 분권화에 대한 인식정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서 교사들은 4요소 분권화 모두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분권화 요소 중에서 정보가 가장 많이 분권화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권력, 지식, 그리고 보상의 순서로 분권화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권력을 부여받고 있고,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의 큰 변화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이 동학년회의를 제외한 다른 교육과정개발과 관련된 위원회에 참여가 저조하였다. 교육과정개발과 관련된 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지 않았으며, 외부와의 협력도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교사들은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연수로서 내용연수와 내용체계표에 관한 연수를 받고 있으나 교육과정개발 절차에 관한 연수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수를 받는 형태에 있어서도 정기적으로 받고 있지 않고 자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교내 연수의 경우 교사들이 연수를 계획할 수 있는 권한이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동료교사가 가장 도움이 되고 있지만,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물질적인 지원이나 학생의 성취 향상을 위한 촉구들은 미비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해서 받은 연수들이 학교 전체를 변화하는데 도움이 안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교육과정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동료교사와 가장 많이 의사소통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목적과 철학, 개혁내용과 교육과정개발에서의 어려움을 동료교사와 의사 소통하였다.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와 논문을 접할 기회가 있는 것으로 보아 새로운 교육과정개발에 관한 정보가 하향식으로 전파되고 있지만, 개발사례를 다른 학교 교사에게 공개하지 않는 것에 비추어 보면 교사들이 만든 새로운 정보가 널리 전파되는 데에는 아직 미흡하였다. 정보 전달 방법에 있어서는 동료 교사나 학교 행정가로부터 직접 전달받지 않고, 주로 문서를 통해 정보를 전달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보상의 분권화는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에서 가장 잘 이루어지지 않은 요소로 나타났다.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공식적, 비공식적 보상은 거의 없고, 교육과정개발에서 맡은 권한과 책임에 따른 급여 지급도 미비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교육과정개발 수행에 근거한 평가도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교육과정개발에서 부족하긴 하지만 다른 내용들에 비해서 교사들이 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립학교 교사가 공립학교 교사에 비해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권력, 지식, 정보, 보상을 충분히 분권화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부장교사가 권력, 지식, 정보의 요소를 부장교사가 평교사에 비해 더 많이 부여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원졸업 교사가 대학졸업 교사에 비해 권력, 정보, 보상을 더 많이 받고 있었다. 교직경력 6년 이상인 교사가 2년 이하인 교사에 비해 정보와 지식이 더 많이 분권화되었다고 인식하였다. 일곱째, 교육과정의 핵심개념을 재구성하는 교사가 핵심개념을 재구성하지 않는 교사에 비해 권력, 지식, 정보가 더 많이 분권되었다고 인식하였다. 교육과정의 소재를 재구성을 하는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간에는 정보를 인식하는 데에만 집단간 차이가 있었고, 다른 요소들을 인식하는 데에는 차이가 없었다. 교육과정의 교수방법을 재구성을 하는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간에는 4요소 모두를 인식하는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인 계획에 의해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교사가 일회적으로 개발하는 교사들에 비해 보다 충분한 권력, 지식, 정보, 보상을 부여받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school-based-curriculum development program and effective ways to encourage teachers to utilize the program while teaching in schools. In addition, this study expanded its focus on how much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our resources school-based-curriculum development contains: power to make or influence decision; information upon which good decisions can be made; knowledge and skills to perform effectively; and rewards for performance. As a background knowledge, a stream of researches were done to identify a new meaning of school-based-curriculum development when applied to reconstructing curriculum and to show the legitimacy and degree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o suggest how to involve teachers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curriculum, this study dealt in-depth with High-Involvement Model, which supports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knowledge and skills, information and rewards. And it also addressed ways to decentralize four resources mentioned above in school-based-curriculum development. Main questions dealt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how much are teachers satisfied with a degree of the decentralization of four resources? ; how differently do teachers recognize a degree of the decentralization as they differ according to types of school they serve, official positions in schools, ultimate levels of education and career records respectively?; how differently do teachers recognize a degree of the decentralization according to various groups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program? To answer the questions raised above, a research was conducted on how much teachers, serving in schools within Seoul, recognize a degree of the decentralization.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teachers, in general, were found to be skeptical about a degree of the decentralization in school-based-curriculum development.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answered that information was the most decentralized among four resources and power, knowledge and skills and rewards was in order. Second, teachers felt empowered in all the processes of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nsidered the development program taking place within great changes in education system as a whole. However, teachers' participation in other committees dealing with curriculum development programs, except meetings with teachers taking charge of the same grade, was relatively low. Besides that, teachers' cooperation with outside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program was hardly found. Third, they have less channels to train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school-based-curriculum development program than in contents and structure. Even though teachers were in training programs, they were not trained on a regular and voluntary basis. Even in case of within-school-training programs, they felt powerless in planning training programs. And they mostly found support from colleagues in reconstructing existing curriculum but recognized that schools have not fully provided physical supports and incentives to enhance students' performance. They also considered the training programs for school-based-curriculum development did not contribute to positive changes within schools. Fourth, teachers found the most comfortable in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curriculum development with colleagues. They shared their opinions about the school's objectives and philosophy and difficulties in reconstructing existing curriculum. Information about the curriculum development tends to be spread from top to bottom within schools, as teachers have an access to researches and studies previously conducted by senior teachers. However, as schools refuse to share case-by-case studies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with others, it still takes time to spread newly found information around schools. And teachers receive information not directly from colleagues or administrative officials but mostly in written form. Fifth, the decentralization of rewards turned out to be the worst in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here were no formal and informal rewards for reconstructing existing curriculum so that teachers were not properly rewarded for involving and taking charge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But teachers satisfied internal rewards about the curriculum development compared to other types of rewards. Sixth, it was found that more private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four resources are fairly decentralized than public school teachers. Head instructors were found to have more power, knowledge and skills, and information than rank-and-file teachers. Teachers with a masters degree had more access to power, information, and rewards than college-educated teachers. And, those with better career more believed the decentraliza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skills . Seventh, teachers who readjust the basic concept of curriculum than those who don't better perceived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knowledge and skills, and information. There was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h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curriculum and those who don't, only in terms of informa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realign teaching methods and those who don't in four resources. Finally, teachers who have a long-term vision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believed that they are more accessible than myopic-vision holders to four resources.

      • 國際身體活動說問 國文版 信賴度 妥當度 調査

        오지연 仁濟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This i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PAQ. (Methods)Sixty-nine volunteered adul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wice with 1 week interval, and the second ones were compared to the results of Actical in order to test validity. (Results)The Korean version of IPAQ was accepted as a proper one by the IPAQ developers. Spearman Rho coefficients and Kappa values of test-retest reliability for the short form IPAQ were 0.427~0.646(median 0.542) and 0.365~0.620(median 0.471), respectively. The Kappa values were above 0.4 in 5 out of 7 questionnaires. Spearman Rho coefficients and Kappa values of test-retest reliability for the long form IPAQ were 0.324~0.886(median 0.535), 0.251~0.683(median 0.461), respectively. Spearman Rho coefficients were above 0.4 in 23 out of 27 questionnaires and Kappa values were above 0.4 in 16 out of 27 questionnaires. The more physically active by the short form questionnaire, the higher the measured value of the Actical(p=0.039).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long form questionnaire and measured value was 0.241~0.397. The correlation was higher in moderate activities than vigorous activities. The sum of total activities was related to the energy expenditure measured by Actical for 6 days per body weight with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302(p < 0.05). (Conclusions)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PAQ short and long form were proved.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판 국제신체활동설문(IPA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방법) 성인(15~69세) 지원자 중 완료된 69명을 대상으로 신뢰도는 조사-재조사 방법으로, 타당도는 Actical과 설문지와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국문판 국제신체활동설문(IPAQ)이 원문 개발자로부터 인증 받았으며 홈페이지에 공개되었다. 신뢰도는 단문형의 경우 Spearman Rho 0.427~0.646(중앙값 0.542), Kappa 값 0.365~0.620(중앙값 0.471), 장문형의 경우 Spearman Rho 0.324~0.886(중앙값 0.535), kappa 값 0.251~0.683(중앙값 0.461)이었다. 단문형 Kappa 값은 7개중 5개 항목이 0.4 이상이었다. 장문형 Spearman Rho는 설문 27개 항목 중 23개 항목이 0.4 이상이었고, Kappa는 16개 항목이 0.4 이상이었다. 타당도는 단문형인 경우 설문 응답에 의해 나뉜 3개군 사이에 유의한 신체활동 차이가 있었다(p=0.039). 장문형의 경우 설문들의 상관관계는 0.241~0.397로 관찰되는데, 중등도 활동은 상관도가 높은 반면 격렬한 활동은 상관성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설문 전체 활동량과 측정 체중 당 소모 칼로리 정도에 대한 Spearman Rho는 0.302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국제신체활동설문(IPAQ) 단문형과 장문형 한국판 설문지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 COVID-19 팬데믹 시기의 우울감이 도시공원 이용행태에 미친 영향

        오지연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social distancing guidelines are implemented due to the pandemic of COVID-19, people complaining of depression have increased, and the importance of urban parks, which are green spaces in cities, is increasing. Due to the nature of the virus, which is transmitted through face-to-face contact, people tried to avoid enclosed indoor spaces and spaces where large numbers of people gather. Instead, the number of people visiting the park, which is an open outdoor space and a space where people can come into contact with nature, has increased. Interpretation of parks is also being interpreted from a new perspective, such as the role that parks should play in the post-corona era. A park is a space where users' desires are reflected,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park can change depending on the user's behavior, and conversely,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park also changes the behavior. In other words,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value of the park,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use behavior in the park. However, a number of behavioral analysis studies have analyzed the behavior of all users of a specific park,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people complaining of psychological depression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has increased, research on usage behavior that reflects the psychological state of user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nalyze urban park usage behavior according to the mention of depression before and after COVID-19 using text mining technique, and use a survey to analyze changes in depression symptoms due to COVID-19 and determine if depression symptoms due to COVID-19 are related to urban park usage behavior It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usage behavior by analyzing the impact. For this purpose, text mining and survey were used. In text mining analysis, text data was collected from Naver blog by dividing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mention of depression before and after COVID-19, By deriving key usage behavior keywords and comparing major usage behaviors by group, factors affecting usage behaviors were identified. In the survey analysis, depressive symptoms were measured for urban park users and data such as usage behavior, satisfaction, and post-use effects were collected. Changes in depressive symptom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the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due to COVID-19 on urban park usage behavior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ext mining analysis,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the behavior was centered on play, experience, and family outings in the park,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ctivities that can be done alone, such as exercising, riding a bicycle, and walking with a pet, have increased. Users who mentioned depression mainly showed static behavior such as sitting or eating, In particular, the behavior of sitting and crying was high, confirming the use of parks to relieve negative psychology. On the other hand, users who did not mention depression mainly showed communication behaviors by viewing the scenery in the city park and taking pictures.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pression symptoms of urban park users were higher after the COVID-19 outbreak than before. Users with depressive symptoms tended to visit city parks alone and to perform mostly static behaviors. In addition, the usage time was short and the frequency of use was high. On the other hand, users without depressive symptoms tended to perform various behaviors such as dynamic, communication, and energy sources for a long time although the number of visits was low. It was confirmed that they visited with their families and enjoyed various activities while staying for a long time. In addition, both the effect and satisfaction obtained after activities in the park were found to be higher among users without depressive symptom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e severe the depressive symptom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more static behaviors were performed, and the less dynamic, communication, and energy source behaviors were performed.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analyzed the central usage behaviors in parks and factors affecting the usage behaviors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phenomenon in which COVID-19 is prevalent.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limitations of the small sample of the existing survey method were supplemented by using big data, and the possibility of subjective intervention of a researcher of big data was supplemented through the survey method. COVID-19의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이 시행되면서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였고 도시 내 녹지공간인 도시공원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사람과의 대면접촉으로 전염되는 바이러스 특성상 밀폐된 실내 공간, 다수가 모이는 공간을 피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개방된 야외 공간이자 자연과의 접촉이 가능한 공원을 찾는 사람들은 증가하였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공원이 해야 할 역할과 같은 새로운 관점의 공원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원은 이용자의 욕구가 반영된 행태를 수행하는 공간으로 이용자의 행태에 따라 공원의 물리적 환경이 변화할 수 있고, 반대로 공원의 물리적 환경이 행태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즉, 공원의 이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원에서의 이용행태를 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다수의 행태 분석 연구가 특정 공원의 이용자 전체를 대상으로 행태를 분석하였으며, COVID-19의 대유행으로 심리적 우울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한 상황에서 이용자의 심리상태를 반영한 이용행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COVID-19 대유행 전후, 우울 언급 유무에 따른 도시공원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COVID-19으로 인한 우울 증상의 변화 및 COVID-19 대유행 이후, 우울 증상이 도시공원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행태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텍스트 마이닝과 설문조사를 활용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에서는 COVID-19 전후, 우울 언급 유무에 따라 4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네이버 블로그 및 카페에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주요 이용행태 키워드를 도출하여 집단별 주요 이용행태를 비교하였고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였다. 설문조사 분석에서는 도시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시공원 이용자의 우울 증상을 측정하고 이용행태, 만족도, 이용 후 효과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COVID-19 대유행 전후 우울 증상의 변화 및 COVID-19 대유행 후의 우울 증상이 도시공원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 COVID-19의 대유행 전에는 공원에서의 놀이, 체험, 가족과 함께하는 나들이 중심의 행태가 나타났으며, 대유행 후에는 운동하기, 자전거 타기, 반려동물 산책 등 혼자서 할 수 있는 행태가 증가하였다. 우울을 언급한 이용자는 앉아있거나, 먹는 등 정적인 행태가 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앉아서 우는 행태가 높게 나타나 부정적 심리를 해소하기 위한 공원 이용이 확인되었다. 반면, 우울을 언급하지 않은 이용자는 도시공원 내 경관을 감상하고 사진을 찍는 소통행태가 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COVID-19 대유행 전보다 대유행 후, 도시공원 이용자의 우울 증상이 더욱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우울 증상이 있는 이용자는 주로 혼자 도시공원을 방문하며 정적 행태를 주로 수행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이용시간이 짧고 이용횟수는 많았다. 반면, 우울 증상이 없는 이용자는 방문횟수는 적으나 이용시간이 길고 동적, 소통, 에너지원 등 다양한 행태를 수행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가족들과 함께 방문해 오래 머무르며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공원에서의 활동 후 얻은 효과와 만족도 모두 우울 증상이 없는 이용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COVID-19 대유행 후 우울 증상이 있는 이용자의 우울 증상이 도시공원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우울 증상이 심할수록 정적 행태를 많이 수행하며, 동적, 소통, 에너지원 행태는 적게 수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COVID-19이 유행하고 있는 사회적 현상을 고려하여 공원에서의 중추적인 이용행태와 그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시의성을 가진다. 또한, 기존의 설문조사 기법이 지닌 적은 표본의 한계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보완하였고, 빅데이터가 지닌 연구자의 주관 개입 가능성을 설문조사 기법을 통해 보완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