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사의 계승과 발전을 위한 정혜결사와 참사람결사 비교연구

        오종만(吳宗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6 No.-

        불교는 삼국시대에 전래된 이래 전통문화의 근간을 이루었다. 전통문화의 상당수가 불교에 근거하고 있으며, 불교는 한국인의 사유와 가치관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불교의 ‘결사’는 이러한 흐름에서 다소 벗어나 있다.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결사는 불교의 잊어진 문화이며, 불교계에서도 결사는 단어만 존재할 뿐이다. 하지만 결사는 대표적인 불교의 공동체 문화로서 불교 내부와 외부를 함께 아우르는 운동의 성격도 지니고 있었다. 삼국시대부터 불교인들은 신행활동이나 불사, 혹은 교단 개혁을 위해 뜻을 모으고 결사를 만들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타락한 고려불교를 정화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정부의 탄압도 극복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 독립과 왜색불교 극복을 위해 경허와 한암이 결사를 주창하였다. 서옹스님은 현대사회의 여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1990년대 중반 참사람결사를 결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현재 불교계에서도 기억되지 않고 있다. 오늘날 한국사회와 불교가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결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오랜 결사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참사람결사가 역사 속의 결사를 계승하고 있음을 밝히고, 그 의미를 연기, 평등, 참여의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Buddhism achieved a foundation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Many of the cultural Heritages are based on Buddhism. Buddhism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worldview of Koreans. But the Association of Buddhism is slightly off from this pact. These days, the Buddhist Association is the Forgotten Buddhist Culture in Korea. In the Korean Buddhism, Buddhist association exists only as a word. But the Association was the typical community culture and had the nature of social movements covering with the outer and inner Buddhism.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Buddhists had made the Association for the purpose of Religious Activities and the Reformation.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Rotten Buddhism in the Koryo Dynasty was purified. And Buddhism was overcame the Oppression of the Government in Joeseon Dynasty. In Japanese occupation, Kyungheo(鏡虛) and Hanam(漢巖) made the Association for the purpose of the Independence and the Purification of Japanese style Buddhism. Seoong(西翁) made the “True-Being” Association for the purpose to resolve the Modern Social Problems in the mid-1990s. But, these Associations are not remembered in Current Korean Buddhism. There has increased the necessity of the Association to overcome the crisis facing the Korean society and Buddhism in today.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s Purpose is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 of the Association. For it, it is proved that the True-Being Association was succeeded the Association of Samadhi and Prajna in Koryo Dynasty. And this paper was summarized its meaning in terms of Compassion, Interdependent Origination, Equality.

      • KCI등재

        불교 수행 프로그램의 참여 현황과 심리적 효과 - 미황사 템플스테이를 중심으로 -

        오종만(吳宗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3 No.-

        본 연구는 지방 사찰에서 이루어지는 템플스테이의 참여 현황과 심리적 안정, 사고와 정서, 그리고 이후의 삶에서의 활용 등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템플스테이 참가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템플스테이 참가 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 템플스테이의 심리적 효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2018년 12월부터 2019년 6월까지 7개월 동안 미황사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 71명에게 조사를 실시하고 인구통계학적 정보는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심리적 효과는 CQR-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미황사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인 정보를 살펴본 결과, 남성에 비해 여성이 더 많으며, 50, 60대가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종교는 불교가 가장 많았고, 참여자의 거주지역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가 가장 많았다. 참여자의 직업은 서비스, 교육 및 연구, 경영관리 및 사무, 주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전의 미황사 프로그램 참가 경험은 없는 경우와 1회 참여해본 경험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얻은 곳으로는 주변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참가 목적은 자기성찰과 수행에 대한 관심 때문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만족도에서는 개별 프로그램 만족도는 법문의 만족도가 가장 높고, 산행, 108염주, 묵언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프로그램 만족도에서는 정신적 스트레스 해소를 경험한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시설 전반에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템플스테이 심리적 효과의 1개 영역에서 감사한 마음을 경험, 심리적인 변화를 경험, 일상에서 변화 실천을 위한 다짐의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방사찰의 템플스테이 활용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심리적 측면에서의 활용방안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articipation status of temple stay in local temples, psychological stability, thoughts and emotions, and aspects of their use in later lif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articipation status of temple stay? Second, what is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of temple stay? Third, what are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emple sta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71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Mihwangsa Temple Stay program for 7 months from December 2018 to June 2019. Demographic information was analyzed using SPSS and psychological effects were analyzed using CQR-M.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mographic information of participants in the Mihwangsa Temple stay, there are more women than men, and the 50s and 60s have a higher proportion. Participants" religion was the highest in Buddhism, and their residences were the most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nts" occupations were in the order of service, education and research, business management and office work, and housewife. Previous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the Mihwangsa Temple stay was found to be the most "no experience" or "never". The most popular source of information about the Temple Stay program was from people around. The purpose of the participation was shown to be the greatest because of interest in self-reflection and practice. The purpose of the participation was shown to be the greatest because of interest in self-reflection and performance. Second, in terms of program satisfaction, individual program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in Dharma Talk, followed by Walking, 108-Bow, and Silence. The satisfaction of mental stress was the highest in overall program satisfaction, and they were also satisfied with living facilities. Third, in one domain of psychological effects in the Temple Stay,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experiencing gratitude", "experiencing psychological change", and "commitment to change in daily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use Temple stay in local temples and to provide guidance on how to use it in psychological aspects.

      • KCI등재후보

        대한불교조계종 통합종단 60주년 포교의 회고:성과와 향후 방향

        오종만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2 불교와 사회 Vol.14 No.1

        In this paper, propagation projects that have been implemented since the launch of the integrated order in 1962 have been summarized, and propagation activities have been predicted. Immediately after the launch of the integrated order, "Propagation" was presented as the three main goals of the order, but due to the political turmoil within the Jogye order, systematic policy establishment and execution were not achieved.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the Dharma Propagation Bureau, boldly introduced by Supreme Patriarch Seo-ong in 1977, also became nominal without any results due to the order's dispute at the time. The work of the Buddhist monks and believers outside a formal order administration filled the absence of the Jogye order. The propagation system and contents that are now familiar, such as urban propagation and Laypeople Education in Buddhist Temples, were possible thanks to their efforts at the time. With the 1994 Reformation Order, as Dharma Propagation Bureau became independent as an organization with personnel and budget rights, propagation policies began to be collected and implemented systematically at the order level. From the 1st to the 7th Dharma Propagation Bureau, that Bureau establishes and implemented various policy measures.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since the Propagation Vision was announced in 2005, propagation strategies and vision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re no longer being review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pagation strategy that reflects social change prospects and develop and implement a policy to promote this strategy. In addition,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cooperated so that propagation programs formulated by Dharma Propagation Bureau can be accepted and implemented in front-line temples. Finally, a propagation program that strengthens the publicness of the temple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Since the COVID-19 pandemic, the demand for the social role of temples has been increasing. However, as all religions are not coping well with this, the influence of religion is decreasing. Therefore, Buddhism's propagation capacity can be increased by strengthening public roles and satisfying social expectations. 본 논문에서는 1962년 통합종단 출범 이후 현재까지 실행된 포교 사업을 정리하고, 이후 포교활동을 전망하였다. 통합종단은 출범한 직후부터 ‘포교’를 종단의 3대 목표로 제시하였지만, 종단의 정치적 혼란으로 체계적인 종책 수립과 집행을 하지 못했다. 1977년 서옹스님이 과감하게 도입하였던 포교원의 별원화도 당시 종단의 분규로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유명무실해졌다. 종단의 공백을 메꾼 것은 종단 밖의 재가불자들과 스님들의 원력이었다. 도심포교, 신도교육 등 현재는 익숙한 포교 체계와 내용은 당시 이들의 노력 덕분에 가능하였다. 1994년 종단개혁으로 포교원이 인사권과 예산권을 갖춘 기구로 독립하면서, 종단차원의 체계적으로 포교정책이 수집되고 집행되기 시작하였다. 1대부터 7대 포교원까지 매 포교원은 다양한 종책을 수립하고 집행하고 있다. 하지만 2005년 포교비전 이 발표된 이후 더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포교전략과 비전이 검토되지 않고 있다는 아쉬움이 있다. 사회변화에 대한 전망을 반영하는 포교 전략을 수립하고, 이 전략 추진을 위한 종책 수립과 집행이 필요하다. 또한 포교원에 수립한 포교 프로그램이 일선 사찰에서 수용되고 실천될 수 있도록 교육기관에서 교육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찰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포교 프로그램이 적극 실천되어야 한다. 코로나19 이후 사찰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요구는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모든 종교가 이에 대한 대처를 잘하지 못하고 있어 종교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다. 공적 역할을 강화하고 사회적 기대를 충족시킴으로써 불교의 포교역량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 KCI등재

        서옹 석호(西翁石虎)의 선사상(禪思想) 연구: 참사람 사상을 중심으로

        오종만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4

        본 논문은 서옹 석호 대종사의 선사상을 ‘참사람’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스님은 선사(禪師)임에도 불교개혁과 사회참여라는 시대적 요청을 외면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이는 스님이 자신이 살던 시대를 ‘위기의 시대’라고 규정한 것과 연관되어 있다. 스님은 현대사회와 인류는 욕망적으로 타락하였고, 사람들은 서로 대립하고 투쟁하고 있어서 이대로는 멸망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였다. ‘참사람 사상’은 이러한 스님의 생각이 집약된 사상이다. 참사람 사상은 문명관⋅인간관⋅수행관 세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님은 현대문명과 서구문명이 물질과 욕망을 긍정하는 문명이며, 사람들은 자신들이 절대모순 속에 있음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이 절대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스님은 ‘선수행’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서옹스님에게 선수행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사회개혁를 위한 ‘수단’으로 이해된다. 선수행을 통해 현대물질문명에 찌든 사람들은 ‘참사람’으로 전환되고, 참사람들이 모여 결사를 이루고, 사회의 모순을 해소하는 불교적 실천으로 사회와 문명의 전환을 추구한다.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Seon master Seo-ong’s Seon thought, focusing on ‘True Person.’ Even though he was a Buddhist monk, he responded to the social demands of the age. This is related that he defined the era he lived in as the ‘age of crisis.’ He thought modern society was corrupted by desires and materialism, and people were fighting each other. So, he asserted that if there is no change, the world could only be perished. To solve this ‘crisis of humankind,’ he practiced social participation and Buddhist reform, and the ideology underlying this practice was the true person thought. He criticized modern civilization as a civilization that affirms material and desire and that people are not aware that they are in absolute contradiction. To overcome this absolute contradiction, he suggested ‘Seon practice.’ For this reason, for him, Seon practice is understood not as an ‘purpose’ in itself but as a ‘means.’ Through Seon practice, people tired of modern material civilization are transformed into ‘true person,’ true people gather to form an association and seek a transition of society and civilization through Buddhist practice that resolves societal contradic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고우스님의 생애와 선사상 연구

        오종만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3 불교와 사회 Vol.15 No.2

        This paper is the first academic study to focus on the biography and Seon [禪] thoughts of Ven. Go-woo, a representative of Seon master of Korean Buddhism. For this study, I collected, organized, and analyzed various materials, including the monk's sermons and interviews. There has been a meditation boom in Korean society since the 2000s, and many people are practicing meditation for various purposes. Along with this trend, interest in Buddhist practices has also increased, but interest is limited. Buddhist practices, most notably Ganhwa Seon, have not been able to overcome the preconceived notion that it is difficult. Against this backdrop, Ven. Go-Woo has devoted his life to practicing and disseminating Ganhwa Seon and establishing Seon's thoughts. Furthermore, he argued that Se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modern industrial civilization. Seon can address issues of the mind on an individual level and, at the same time, explore new directions for humanity on a social and civilizational level. In this regard, this study summarizes his thoughts on (1) directness, (2) practicality, and (3) sociality. First, directness refers to Seon's practice being directed toward its original place. This characteristic is based on the long-standing Korean Buddhist concept of 'originally the Buddha.' He explained that all humans are inherently enlightened; they just do not know it and are mired in illusion. Therefore, he emphasizes faithfulness[信心], initiation of the spirit of enlightenment[發心], and right view[正見] as preparation for Seon’s practice. Second, practicality is that Seon includes practice. He explained that Seon is not a purpose in itself but rather the "practice" of Seon or following the path of wisdom and peace. Third, sociality explains that the role of Seon is to overcome the crises facing humanity; in this sense, Seon is a civilizational alternative. Thus, he argued that the wisdom acquired through the practice of Seon should be directed toward society and humanity, beyond others and oneself. His criticism of Korean Buddhism also centers on this point. Although Korean Buddhism's doctrine is profound and its athletic tradition is outstanding, he lamented that its content and practice are inconsistent. 본 논문은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선사인 고우스님의 생애와 선사상을 주제로 하는 최초의 학술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스님의 법문과 인터뷰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한국사회에 2000년대 이후 명상 붐이 일었고,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목적으로 명상을 실천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불교 수행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지만 그 관심은 제한적이다. 불교 수행법, 대표적으로 간화선은 어려운 수행법이라는 선입견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우스님은 간화선 수행과 보급, 선사상 정립에 일평생을 바쳤다. 나아가 스님은 현대산업문명에서 비롯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 선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하였다. 선은 개인적 차원에서 마음의 문제를 다루며, 동시에 사회와 문명의 차원에서 인류가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고우스님의 선사상을 ① 직접성, ② 실천성, ③ 사회성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직접성은 선수행은 본래자리를 직접 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특성은 한국불교의 오래된 ‘본래부처’에 기초한다. 스님은 모든 인간은 본래 깨달음이 완성되어 있는데, 그것을 알지 못하고 착각에 빠져서 깨닫지 못할 뿐이라고 설명한다. 그래서 스님은 선수행의 준비 요소로서 신심과 발심, 정견을 강조한다. 둘째, 실천성은 선이 실천까지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선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선을 통한 ‘실천’ 즉, 지혜와 평화의 길을 따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셋째, 사회성은 선의 역할이 인류가 처한 위기 극복을 지향하며, 이러한 의미에서 선은 문명사적 대안이라는 의미규정과 통한다. 그래서 스님은 선수행을 통해 획득한 지혜는 남과 나를 넘어 사회와 인류를 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불교에 대한 스님의 비판도 이 부분에 집중되었다. 한국불교의 교리는 깊고 선수행 전통은 뛰어나지만, 그 내용과 실천이 일치하지 않음을 안타까워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