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히브리서 저자는 필론주의자였는가 -히브리서 10:1의 skia/eikon을 중심으로-

        오유석 ( Yu Suk Oh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12 지중해지역연구 Vol.14 No.3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the exact meaning of eikon and skia in Heb. 10:1, as well as the relation of this passage with Heb. 8:5 & 9:23-4. Especially, I will scrutinize modern scholars` contention that the Epistle to the Hebrews was deeply influenced by Platonism of Philo of Alexandria. In this way we will get the following conclusions. 1) Originally not only skia but also eikon had the meaning of imitation, while in the philosophy of Plato these terms were used to denote something contrary to real entity. But the meaning of these words changed dramatically in the Hellenistic age. So skia as before was used with the meaning of something contrary to real entity, while eikon came to denote ideas as the archetype of the universe. Likewise, in the Epistle to the Hebrews skia means a mere imitation of the archetype(something contrary to the archetype), while eikon denotes real entity itself (archetype itself). This similarity shows strongly some influence of Philonian(or Platonic) dichotomy in the Epistle to the Hebrews. Nevertheless, according to Philo the reality that heavenly tabernacle symbolizes is a spiritual principle or virtue that can be found in human beings generally, while that of the Epistle to the Hebrews is the recovery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through Jesus Christ. In this regards, the author of the Epistle to the Hebrews escapes clearly from the influence of Philo. 2) The author of the Epistle to the Hebrews does not seem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Philo`s philosophy. But he might know at least some thoughts of Hellenized Jews that agreed with Philo. And Evidently he kept the Hellenized Jewish faith in mind, while writing the Epistle to the Hebrews. In other words, the readers that were in the mind of the author of the Epistle to the Hebrews were Jewish Christians, in that they knew well the Old Testament with its sacrificial rites and commandments, nevertheless they already had the Hellenistic understanding of archetype vs. imitation and heavenly things vs. earthly things. To these readers, the author of the Epistle to the Hebrews tries to show the real nature of Jesus Christ, advising them not to forsake the Christian faith.

      • 오리게네스의 인간 이해 -타락과 회복을 중심으로-

        오유석 ( Yu Suk Oh ) 백석대학교 기독교인문학연구소(구 기독교철학연구소) 2008 기독교철학연구 Vol.9 No.-

        본 논문은 오리게네스가 피조세계의 타락과 회복에 관해 어떤 주장을 했으며, 오리게네스의 인간 이해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창조와 타락에 관해서 오리게네스는 매우 흥미로운 주장을 했다. 즉 하나님이 최초로 창조하신 것은 비물질적인 지성적 대상들이었다. 처음에 지성적 존재는 모두 선하고 순수했다. 하지만 지성적 존재는 자유의지를 잘못 사용해서 타락했고, 그 결과 하나님과의 연합으로부터 이탈해서 점차 낮은 단계로 강등되었다. 그래서 하나님은 이에 대한 일종의 벌로 물질세계를 창조하셨다. 바로 이것이 두 번째 창조이다. 타락한 지성은 점점 차가와져서 결국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신적인 온기를 잃어버렸고, 이처럼 지성으로부터 타락한 영혼을 하나님은 일종의 교도소인 육체에 가두셨다. 오리게네스에 따르면 우리 영혼의 가장 순수한 부분인 지성마저도 육체의 영향으로 인해 둔해지고 약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되지 않았으며 이것이 "영"(pneuma)이라는 형태로 남아 있다. 하나님의 친절하심은 모든 대상들을 축복받은 결말로 이끄신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자유의지의 힘을 이용해서 선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궁극적으로 하나님은 만물을 타락과 물질세계 창조 이전 상태로 되돌릴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오리게네스의 인간이해에 관해 개혁신학적 관점에서 몇 가지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첫째, 최초로 창조된 것이 지성적 대상인가? 둘째, 인간의 본질적 부분은 영혼뿐인가? 셋째, 타락 이후에도 하나님의 형상이 우리 안에 파괴되지 않고 남아 있는가? 넷째, 구원을 위해 인간에게 요구되는 것은 오로지 자유의지의 선용뿐인가? 이러한 의문에 대한 검토를 통해, 우리는 다음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즉 오리게네스는 지성의 타락과 회복에 관해서 장황하게 논의하고 있으면서도, 정작 인간이 본래 어떤 존재이고 어떻게 구원받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 성경적 답변을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In this article, I will explain what Origen maintained as regards the fall of spirits and the restoration of all things, and what is in Origen`s anthropology for us today. Origen had an interesting opinion about the creation and the fall. According to Origen, what God created in the beginning was spiritual intelligences. Although each intelligence exercised its individual free choice to contemplate God lovingly and in unbroken unity with one another, the spiritual intelligences declined from God because of their abuse of freedom of choice. The resulting hierarchy of positions before God after the fall established diversity among the intelligences, which reflected God`s judgment and punishment of each according to its own degree of rejecting God. They moved from the warmth of the divine love and from being pure Nous became souls(i.e. cooled-off intelligences), which God imprisoned into bodies as punishment. Even the purest part of us became dull and weakened because of the influence of body. But "imago dei"(i.e. pneuma) remained undestroyed and intact in us. Everything has been arranged to provide salvation for the entire creation, for God is ultimately kind and good. Therefore, the souls who make the choice for God and practice the virtues God demands will come to rest in heaven. Ultimately, God will restore all things to himself as they were before the world needed to be created. But I want to raise some questions about Origen`s explanation of creation, fall and restoration. 1) Are the spiritual intelligences created first in the beginning? 2) Is soul the only essential part of human being? 3) Does "imago dei" remain undestroyed and intact in us even after the fall? 4) Is the proper use of freedom of choice the only way to salvation? By way of examination of such questions, we arrive at the following conclusion. In spite of long discussion about the fall and the restoration of spiritual intelligences, Origen cannot provide us a biblical answer about what human being is in nature and how we can be saved from si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세계시민주의의 기원과 의미

        오유석(yu-suk o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1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세계시민주의가 주요한 논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미 세계시민주의는 한국 교육의 주요한 목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세계시민 주의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본 논문은 세계시민주의가 헬레니즘시 대에 어떻게 등장했고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밝힘으로써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세계시민 주의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헬레니즘 세계시민주의는 대체로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오늘날 한국교육이 인류사회 의 세계시민임과 동시에 한국이라는 특정한 국가시민이라는 정체성을 함께 추구한다는 점에 서, 우리 교육이 추구하는 세계시민주의는 로마시대 스토아학파의 세계시민주의와 유사하다. 하지만 스토아 세계시민주의는 우주가 이성적 원리에 의해 생성되었다는 이성주의 형이상학에 기초해 있다는 점에서 신빙성이 의문시되며, 개인과 공동체 그리고 인류 일반의 관계를 하나 의 동심원적 구조로 간주했다는 점에서 오늘날 다양한 공동체의 다중적 동심원 구조를 설명하 지 못한다. 따라서 철저한 합리주의에 기반한 스토아학파의 일원적 세계시민주의는 복수의 공동체에 도덕적 가치를 부여하는 다원적 세계시민주의로 대체되어야 할 듯하다. Recently, cosmopolitanism has become major object of discussion in Korean society. Furthermore, it is already one of main targets of Korean education. Nevertheless, it is unclear what exactly is the cosmopolitanism we pursue. This paper tries to raise a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cosmopolitanism we are after, analyzing the origin and various meanings of cosmopolitanism in the Hellenistic period. The Hellenistic cosmopolitanism can be classified as five categories. The cosmopolitanism in Korean education is similar to cosmopolitanism of Roman Stoics, as far as Korean education pursues not only a cosmopolitan ideal but also the specific identity of Korean society. But Stoic cosmopolitanism fails to persuade us in that it is based on the metaphysical assumption that the universe is created by rational principle. Moreover, Stoic cosmopolitanism cannot explain multi-centric circles of modern world, because it regards the relation among individual human being, nation and humanity as co-centric circles. Finally, we have to replace the monistic cosmopolitanism of Stoics based entirely on rationality with a pluralistic cosmopolitanism that grants moral values to various human communities.

      • KCI등재

        고대희랍의 가정과 여성

        오유석(yu-suk o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3

        이 논문은 고대 희랍사회에서 여성이 어떤 사회적 지위와 역할을 가지고 있었으며, 크세노폰이 Oeconomicus를 통해서 고대 희랍의 여성교육을 어떻게 재해석 및 개선했는지 밝히고자 한다. 고대 희랍사회는 철저하게 남성중심사회였으며, 여성을 남성보다 정신적, 육체적으로 열등 하고 교활하며 자신과 남들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로 여겼다. 따라서 여성들은 제대로 교육받 지 못했고 평생 동안 남성들로부터 격리되어서 가정 내의 여성 구역에서 살아가면서 감시와 보호를 받아야 했다. 그러나 크세노폰은 아내를 “가정의 안녕을 이룩하는 데 있어서 남편의 동반자”라고 규정하고 있다. 더구나 여왕벌의 비유를 통해 크세노폰은 궁극적으로 아내가 가 정의 진정한 지도자이자 주인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치가나 군사지도자와 마찬가지로 훌륭한 아내는 가정의 지도자로서 구성원들에게 적절한 규범을 제시하는 동시에 스스로 도덕 적 본이 되어야 한다. 크세노폰의 Oeconomicus는 남편의 동반자이자 가정의 안주인으로서 새로운 여성상을 제시 했을 뿐 아니라, 가정과 사회의 안녕을 위해 규칙과 질서 준수가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paper tries to show which social status and role women had in ancient Greece and how Xenophon re-interpretated and improved the education of Women in ancient Greece. Ancient Greek society was an entirely male-dominated society, regarding women mentally and physically inferior to men, sly and harmful to oneselves as well as to others. That is why women were rarely schooled, living watched, protected and segregated from the male citizens in an isolated woman's chamber. Nevertheless Xenophon regards a wife as "a good partner in the household who contributes just as much as her husband to its good". Furthermore, through the metaphor of a queen-bee, he contends that a wife should finally be a leader and master of the household. Similar to a politician or a military leader, a good wife should provide the members of the household with proper rules and become herself a moral example. Xenophon's Oeconomicus is significant in that it not only presents a new model of woman, i.e. "a partner of a husband and leader of the household", but also shows the importance of the observance of rules and order for the welfare of a household and a society.

      • KCI등재후보

        기독교철학과 영성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에 있어서 철학과 믿음 그리고 진정한 그노시스 -Stromata의 저술의도를 중심으로-

        오유석 ( Yu Suk Oh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0 기독교철학 Vol.11 No.-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reason why Clement of Alexandria composed the Stromateis and to show how plausible his proposal was, analysing main philosophical terms as philosophy, faith and gnosis. The problems he wanted to solve were three. First, naive believers feared philosophy, thinking philosophy as a work of Satan. But Clement contends that vice can never sustain the part of farmer of a healthy crop and that philosophy too is given by God. According to Clement, the universal truth had been torn into pieces and fragments of it had been dropped like seeds in Greek philosophical systems, while true philosophy(i.e. knowledge of the universal truth) was transmitted through Jesus Christ. Second, the pagan thinkers dismissed the Christians as either fools or knaves. To them Clement replies that no first principles can be proved and that in is an error to demand demonstration of them. Therefore faith in the authority of God is not blind submission. By stress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simple faith into gnosis by means of scientific demonstration(i.e. by means of interpretation of Scripture), Clement provided the simpliciores with the possibility of reaching a better comprehension of their own religious doctrines. Third, the Gnostics disparaged faith as an inferior grade for ordinary church members, while their own initiates are a spiritual aristocracy, rejoicing in their divine election and in the possession of esoteric gnosis. Against the Gnostics Clement points out the necessary link between faith and gnosis, by identifying gnosis with the scientific faith. Nevertheless, Clement agrees with the Gnostics that everybody does not have gnosis. The secret meaning of Scripture can be understood only by the true gnostic who are more elect than others. In short, the Stromateis of Clement is an endeavor to meet the demand of Christians for a more coherent account of their faith with the grounds for holding it, while at the same time steering them clear of heresy. But Clement seems to acknowledge a co-operation of divine providence in our acquisition of gnosis. Then he must define the limit of human freedom of choice. Besides he maintains that the higher gnosis cannot be revealed to anybody but must on the contrary be reserved to very few people who have proved themselves worthy of apprehending them. But it is not clear whether transcendental experiences as well as demonstrations and Bible studies are needed for understanding the divine mysteries. So Clement cannot convince us that his gnosis is better than the gnosis of the Gnostics, until he shows exactly how the mode of symbolic interpretation is possible.

      • KCI등재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의 감정론

        오유석(Oh Yu-Suk)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철학논집 Vol.66 No.-

        본 연구는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의 감정론을 분석함으로써, 필론이 희랍 고전철학의 감정론적 전통을 어떻게 재해석 및 수용했으며 이를 구약성경 해석에 활용해서 유신론적 감정론을 제시했는지 밝히고자 한다. 필론의 감정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감정은 감각표상에 대한 지성의 판단 결과인데, 지성이 올바른 앎을 가지고 대상에 대한 충동을 가질 경우 영혼은 바람직한 정서(eupatheia)를 경험하지만, 지성이 오작동해서 감각표상을 잘못 판단할 경우에는 비합리적이고 자연에 반하는 감정적 충동(pathos)이 생겨나게 된다. ② 감정과 관련해서 인간 영혼에는 세 부류(감정의 노예가 된 ‘어리석은 자’, 감정을 치유 및 통제하는 ‘진보하는 자’, 완전한 무정념에 도달한 ‘현자’)가 존재한다. ③ 인간이 완전함, 덕, 행복에 이를 수 있도록 만드는 진정한 주체는 신이다. 결국 무정념과 덕을 향한 인간 영혼의 진보가 성공할지 여부는 궁극적으로 신의 능력과 연민에 달려 있다. ④ 필론은 스토아학파의 eupatheia 개념을 수용했지만, 스토아학파와는 달리 괴로움의 감정(비합리적 위축)에 대응하는 eupatheia(합리적 위축)의 존재를 받아들였다. 현자도 인간이므로 괴롭고 슬픈 상황에 직면해서 합리적 위축을 느낀다는 것이다. ⑤ 필론은 감정의 원인으로서 감각표상과 이에 대한 판단의 결과로서 감정(혹은 eupatheia) 사이에 일종의 예비적 정서(propatheia)의 존재를 인정한다. propatheia는 모세와 같은 완전함(진정한 eupatheia)에 이르지 못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허용되는 차선의 정서였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Philo of Alexandria’s theistic theory of emotion. Analyzing his accommod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various views of the Greek philosophers, we will get the following conclusions: ① The passion is the result of mind’s judgment on impressions. If the mind has an impulse in agreement with knowledge, the soul experiences eupatheia. In contrast, judging impressions erroneously, the mind gets an irrational and unnatural impulse (i.e. pathos). ② There are three soul-types with respect to passions. - the wretched soul that becomes victim to passions, removing the mind. - the progressing soul that practices metriopatheia, controlling and curing passions. - the sage soul that has reached apatheia. ③ God is the real agent who gives human being virtue and happiness. After all, whether the improvement of the human soul toward apatheia and virtue will succeed, depends on God’s power and sympathy. ④ Although Philo accepts the concept of eupatheia from the Stoics, he acknowledges, in contrast with the Stoics, the existence of eupatheia(i.e. rational contraction) corresponding to the passion of distress(i.e. irrational contraction). Even the sage, being a human being, may feel rational contractions, faced with painful situations. ⑤ According to Philo, there is a preliminary emotion(propatheia) between impression(i.e. the cause of passions) and passion (or eupatheia) as the result of judgment about impressions. Propatheia is the second best emotion that is available to most people who have not yet reached the perfect emotion (eupatheia).

      • KCI등재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에 있어 희랍적 paideia와 유대적 paideia

        오유석 ( Oh Yu-suk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9 철학논집 Vol.58 No.-

        본 논문은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이 당시 디아스포라 유대인의 위기에 대해 어떤 해결방안을 제시했는지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nkyklios paideia, philosophia, nomos 등 주요개념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다음 결론을 얻게 된다. ① 필론은 알렉산드리아의 유대공동체가 이집트 원주민이나 로마의 시민들과 평화롭게 공존할 방안을 모색했다. 이를 위해 그는 자연의 법과 사회 규범, 희랍 철학과 유대 율법 사이의 조화를 추구했다. ② 또한 필론은 핍박에 직면해서 배교하려는 유혹을 받았던 유대인들에게 율법 준수의 필요성을 피력하는 동시에, 유대교를 조롱, 비난, 폄하하는 이방인들에게 율법이 자연의 법과 상응하는 세계시민의 생활지침임(즉 모세율법을 지키는 자야말로 세계시민임)을 증명하고자 했다. ③ 희랍적 paideia와 유대적 paideia를 조화하고자 한 필론의 시도가 성공적이었는지는 의문이지만, 필론의 방법론이 초대 교회 교부들에게 수용되어 기독교를 변증하고 이성과 신앙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how Philo of Alexandria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Jewish Diaspora. Analyzing the meaning of key terms as enkyklios paideia, philosophia, nomos, we will arrive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① Philo wanted Jewish Community of Alexandria to live peacefully with Egyptian natives and Roman citizens. That’s why he sought harmony between natural law and social contract as well as Greek philosophy and Jewish law. ② While Philo persuaded Jewish Community facing the temptation of apostacy into the necessity of the observance of Mosaic Law, he tried also to show that Mosaic Law is the cosmopolitan way of life that corresponds to natural law. ③ It is questionable whether Philo’s attempt to harmonize Greek paideia with Jewish paideia was successful. Nevertheless it is undeniable that his method was accepted and utilized a means for defending Christian doctrines and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reason and faith by Early Church Fa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