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비장애인의 취업확률 및 임금 격차 분석

        오욱찬 ( Uk Chan Oh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1 사회보장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3차년도(2008년) 자료를 이용하여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취업확률 및 임금에서의 실질격차를 추정하고 격차 분해를 통해 원인을 분석하였다. 실질격차 추정에서 취업모형은 로지스틱 회귀분석, 임금모형은 Heckman의 2단계 추정법을 사용하였으며, 격차 분해에는 Oaxaca-Blinder(1973)의 방법을 응용한 Fairlie(2005)와 Reimers(1983)의 모형을 사용하였다. 먼저 실질격차에 대한 추정 결과,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표면적인 취업확률 격차는 24.8%p였으나 실질격차는 16.1%p로 나타나 장애인의 취업확률은 비장애인의 72.4% 수준이었다. 또한 장애인의 월평균 임금은 비장애인의 69.5% 수준이나 시간당임금을 사용하고 개인 특성과 표본선택편의까지 통제하면 88.2%로 나타난다. 즉, 비장애인과 장애인 임금의 실질격차는 11.8%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생산성 격차와 차별 격차로 분해한 결과, 취업확률에서는 총격차의 35.3%가 생산성 격차, 64.7%가 차별 격차로 나타났으며 임금에서는 총격차의 57.3%가 생산성 격차, 42.7%가 차별 격차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장애인은 노동시장 내부(임금)에서보다 진입 단계(취업)에서 더 낮은 성과를 보이고 차별의 영향도 더 크게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장애인 노동시장 성과지표로서 실질격차 추정의 중요성을 시사함과 동시에 장애인의 노동시장 참여를 위한 정책, 특히 노동시장 공급 측면에서의 정책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함을 의미한다. This article estimates the actual extent of differentials in employment probability and wage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Korean labor market. The paper also decomposes the differentials into productivity and discrimination components utilizing data from Korean Welfare Panel Study(KoWePS), 2008. The employment probability differentials were 24.8%p. However, when controll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ffecting employment, the actual differentials turned out to be 16.1p%. This implies that the actual employment probability level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72.4% of those without disabilities. As for monthly wage level, people with disabilities turned out to be only 69.5% of those without disabilities. When hourly wage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controlling variables affecting wages, the wage level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urned out to be 88.2% of those without disabilities. Decomposition of the differentials shows that discrimination differentials were 64.7% of the total employment differentials and 42.7% of the total wage differentials. This implies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achieve poorer outcomes in labor market entry stage (employment) compared to when they are employed (wage). Thus, in order to reduce labor market differentials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 reinforcement of labor supply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firsthand.

      • KCI등재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박정민 ( Jung Min Park ),오욱찬 ( Uk Chan Oh ),이건민 ( Gun Min Yi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최저주거기준 미달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주거환경 부적절, 주거비 과부담, 중층적 주거취약, 그리고 비주거취약 집단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이행확률과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3~8차 자료(2008~2013년 수집)를 활용하여 중위소득 50% 미만의 상대빈곤층에 속하는 총 12,564 사례를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상대빈곤층의 약 3분의 1이 최저주거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주거환경에 거주하며, 주거비 과부담까지 고려할 경우 절반 가까이 주거취약층으로 분류됨을 보여주었다. 주거취약 집단의 다수는 비수급자인 빈곤층이었고, 주거환경부적절 집단에 속하는 가구는 그 상황을 벗어날 확률이 현저히 낮았다. 점유형태와 주거위치는 최저주거기준 미달과 주거비 과부담의 주거취약 여부를 보여줄 수 있는 대리지표로, 임대아파트 거주는 주거취약의 가능성을 낮추는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저주거기준의 포괄적 적용과 주거취약에 대한 다면적 접근을 통해 빈곤층의 주거취약 실태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최근의 주거지원정책 변화에 주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using vulnerability of low-income households in Korea based on housing quality and affordability and investigates what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their housing vulnerability. Housing quality is focused on the physical adequacy and safety of the dwelling unit. Housing affordability is defined as spending less than 30% of household income to housing. The sample is consisted of 12,564 heads of household drawn from six wave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collected from 2008 to 2013. Low-income households are grouped into the indecent housing group (~25%), the unaffordable housing group (~15%), the dually disadvantaged group (~8%), and the invulnerable group (~52%). Overall, nearly half of the sample has experienced either poor housing conditions or excessive housing cost burden or both. The indecent housing group at any point of time is more likely to stay in the same status at the next point of observation (64%), compared to the unaffordable housing group (28%) and the dually disadvantaged group (30%). Living in public/assisted housing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odds of reporting housing vulnerability in terms of both housing quality and affordability. Factors associated with increased odds of housing vulnerability include single households, receipt of welfare benefits, and living in a rental unit. The findings suggest that many low-income households are at risk of housing vulnerability and have an unmet need for housing assistance and that an evaluation of housing assistance benefits needs to look at its contribution to improving housing quality and affordability of its recipients.

      • KCI등재

        사회복지 영역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근로자성 비교 연구

        서정희(Jeong-hee Seo),오욱찬(Uk-chan Oh),박경하(Kyung-ha Park) 한국노동연구원 2013 노동정책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 영역의 일자리사업 참여자들에 대한 근로자성 인정 여부를 사법부의 사용종속관계 틀을 근거로 사업영역별로 차이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공근로사업, 자활근로사업, 장애인 일자리사업, 노인일자리사업 각 사업별로 참여자들이 지휘명령성 요소, 임금성 요소, 자영업자적 요소, 기타 요소로 구성된 사용종속관계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대법원 판례에 제시된 사용종속관계를 분석틀로 하여 각 사업별 지침을 분석한 결과, 분석 대상인 모든 사회복지 영역 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의 근로자성이 인정되고 있었다. 행정부는 실제 적용에 있어 공공근로사업은 근로자성을 인정하고 있었지만, 자활근로사업은 인정하지 않았으며, 장애인일자리사업과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해서는 판단을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는 모범사용자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한 기본조건으로 사업 참여자들의 근로자성을 확실히 인정해야 할 것이며, 이후 괜찮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단계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Compared with four job supporting programs, this article analyzed whether the participants are employees, based on the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s and whether the differences exist on the aspect of employee. We examined whether the participants in Public Work, Self-sufficiency Program, Job Supporting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lderly Job Supporting Program are in accordance with dependency on the employer which consists in the criteria, the job monitoring, the wage, the self-employed, and the others. The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in accordance with the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about employment relationship show that the participants of job supporting program in social welfare are definitely employees since they are satisfied by all the criteria. Government generally accepts the employment status of participants in Public Work, but doesn"t recognize as employee in Self-sufficiency Program. And government reserves its the judgement concerning Job Supporting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lderly Job Supporting Program. However the judiciary concludes that the participants of Sheltered Workshop in social work are definitely employees. The government as model employer should take action to protect the status of the participants and develop decent jobs for them.

      • KCI우수등재

        지역사회에 정착한 시설장애인의 탈시설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에 따른 구조화와 검증 -

        박광옥(Park, Kwang Ok),오욱찬(Oh, Uk Chan),김성희(Kim, Seong Hee),오다은(Oh, Da E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사회복지학 Vol.73 No.1

        이 연구는 Robert K. Yin(2011)의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에 따라 총 11개의 탈시설 영향 요인의 이론적 가설을 제시하고, 지역사회에 정착한 탈시설 장애인 총 25명의 사례를 기반으로 탈시설 영향 요인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미시, 중시, 거시, 시간체계에서 총 24개의 촉진 요인, 총 15개의 지연 요인이 검증되었으며, 미시체계에서 ‘가족 형성 및 재구성’, ‘시설 입소 상황’ 등 2개의 촉진 요인이 새롭게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시설 장애인의 탈시설에는 개인과 시설 단위의 미시 체계 요인이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탈시설을 촉진할 수 있는 중간, 거시 체계 차원의 긍정적 지원과 개입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시설 장애인의 탈시설을 촉진하기 위해 미시 체계의 수준을 넘어선 다양한 환경 체계의 지원과 교류의 필요성을 포함하여 장애인 탈시설 지원을 위해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pplied the case study method of Robert K. Yin(2011) to present the theoretical hypothesis of 11 deinstitutionalization impact factors in accordance with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and verified the deinstitutionalization impact factor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25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have left residential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4 facilitators and 15 inhibitors were verified in micro, intermediate, macro, and temporal systems, and two new facilitators were derived in micro-systems: ‘family formation and reconstruction’ and ‘facility entry situation.’ This showed that micro-system factors at the individual and facility level were most influential in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at there was a lack of positive support and intervention at the intermediate and macro-system levels to promote the deinstitutionalization. In order to help people with disabilities to move out of the residential facility in the future, several policy measures and practical suggestions, including the need for support for various environmental systems beyond the micro-system level,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