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수 경막하 출혈로 인한 하지마비 환자의 한방치료를 통한 근력 및 감각 호전 1례

        오세정,임성철,이윤규,김재수,이현종,Oh, Se Jung,Lim, Seong Chul,Lee, Yun Kyu,Kim, Jae Soo,Lee, Hyun Jong 대한침구의학회 2014 대한침구의학회지 Vol.31 No.3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effects of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spinal subdural hematoma associated with anticoagulant drug. Methods : The patients were treated using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herbal medication, moxibustion and physical treatment. And we checked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scale,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Version III. Results : Motor score on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scale is increased 50 to 72. Sensory score on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scale is increased 124 to 170.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Version III is increased 18 to 26.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 that Korean medical treatments are effective to spinal subdural hematoma patient.

      • KCI등재

        한국 창세신화 <창세가>에 나타난 신, 자연, 인간의 관계

        오세정(Oh, Sejeo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3

        일반적으로 신화론에서는 신과 지상의 존재들의 관계는 일원론적·유기체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세상이 처음 만들어질 때의 이야기인 창세신화에서는 더욱 이 세계관이 강하게 드러난다. 히브리의 <창세기>에서는 절대적 창조신이 세계와 존재들을 직접 창조하며, 중국의 창세신화에서는 신이 생겨나고 그 신을 모태로 삼아 나머지 존재들이 탄생한다. 그런데 한국의 <창세가>에서는 인간은 창조신인 미륵이나 석가가 직접 창조하지만 다른 자연물들은 그렇지 않다. 자연물들의 출처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미륵에 의해서 천지가 분리되고 세상이 만들어지자 그때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신과 인간은 창조자와 피조물, 지배자와 통치자의 관계를 형성하는 반면, 신과 자연, 인간과 자연은 그만큼 밀착된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 않다. <창세가>에 따르면 태초의 창조 이후 세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신은 인간을 창조하였지만, 인간이 피조물로서의 부채의식 가져야할 대상 신은 사라지고 악신이 등장하여 인간세계를 타락시킨다. 인간의 타락과 말세의 도래에 대한 책임은 인간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신들에게 있다. 태초의 인간의 탄생이 천상에 기반을 두었다면, 이후 타락한 세계의 인간은 지상의 자연물들처럼 탄생한다. 동시에 이들은 속임수와 화식과 같은 반자연적 속성과 행태를 보인다. 결국 인간의 타락은 태초의 신과 자연과 이중 분리를 의미하며, 신, 자연, 인간이라는 세존재의 관계 체계에서 이탈과 고립을 의미한다. 미륵의 도래는 인간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영역의 일이지만, 최소한 남은 인간은 자연과의 소통, 관계맺음이 필요한 것이다.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s among God, nature, and humans in Changsega, the Korean myth of creation. In general, the relationship of all beings in myths,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creation, are characterized by a monistic and organic worldview. However, their relationships in Korea’s creation myth is quite heterogeneous with the Hebrew’s Genesis and the Chinese creation myths. In many myths, including those of the Hebrews and Chinese, God creates beings or they are born from the corpse of the God who created the world. Only human beings are created by God; other beings seem to be borne separately after the world has been opened. Thus, God and man form close relationships representing “creator-creature” or “ruler-subject”; other relationships do not seem to represent such connections. Changsega describes the beginning of the world well. The first God, who created the world and humans, disappeared and a second God appeared and corrupted the human world. According to this myth, the cause of the corruption and the end of the human world is not man but God. The next human beings born on the earth are close to nature, but they have a culture that seems contrary to it, such as cheating and eating cooked food. At this point, human beings are separated from God and nature. Human beings cannot recall the first God, Maitreya by their own power, but at the very least, they need to communicate and make connections with nature.

      • KCI등재
      • KCI등재

        충북지역 전설 연구

        오세정(Oh, Se-jeong)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1 No.-

        지역의 설화, 즉 전설은 다른 구비문학의 설화 갈래에 비해 뚜렷한 차별점을 가지는데, 그것은 바로 지역성이다. 광포전설이 아닌, 일반적인 전설은 제한적인 지역 범위 내에서 생성되고 전승된다. 다시 말해 지역의 전설은 전승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이야기의 형태에 담고 있는 지역문화의 요체이다. 이러한 전설의 의의와 기능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전설 연구가 지역과 밀착된 경우는 흔하지 않다. 특히 한국의 전통적인 지역 경계인 ‘도’ 단위의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지역성, 지역문화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오늘날 지역의 설화인 전설에 대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의에서는 충청북도라는 지역 단위를 대상으로 세 방향에서 지역전설을 고찰하였다. 충북지역 전설의 자료 현황, 다수의 전설 자료에 대한 분류체계, 분류체계에 따른 지역별 분포현황을 살펴보았다. 자료의 경우, 『한국구비문학대계』와 같이 널리 알려진 구비문학 자료집에는 실제 지역과 밀착된 전설은 많지 않다. 오히려 지역전설들은 해당 지자체나 관련 문화원에서 간행된 자료집에 많이 전하는데 이러한 자료집은 현지를 벗어나면 구하기가 쉽지 않다. 현재까지 파악된 충북의 지역전설은 총 1,467편이다. 본 논의에서는 이 전설들을 대상으로 지역별로 청주, 청원, 충주, 제천, 괴산, 단양, 보은, 영동, 옥천, 음성, 증평, 진천 12개의 시군별로 분류하였다. 전설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증거물을 대상으로 대 · 중 · 소항목으로 나누어 분류체계를 수립하였다. 기존의 분류법을 검토 · 보완하여 규범을 세우고, 이를 실제 1,467편의 전설에 적용하여 다시 규범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증거물을 대상으로 분류한 지역별 전설의 분포현황은 충북지역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한다. 충북 전체를 대상으로 어떠한 전설이 분포하는지에 대한 거시적 정보에서, 소항목의 구체적 증거물을 대상으로 한 지역적 특성과 변별점을 찾을 수 있다. 충북을 구성하는 하위 단위 지역의 고유성과, 이들이 모여 이루고 있는 큰 체계에서의 특성을 살필 수 있는 것이다. The folktales, namely legends have two main features. That stories are transmitted in the limited local area and have real evidences. In other words, the legends convey the culture and history of the local area. Despite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the legends, until recently, researchers have not studied that stories’ locality very much. Few studies have studied legends in the local unit ‘Do’ that is major and typical regional boundary in Korea. Today the importance of locality and local culture are emphasized, there is a need for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search on the legends. In this study, the research object is legends of Chungbuk province, a total of 1,467 legends of Cheongju, Cheongwon, Chungju, Jecheon, Goesan, Danyang, Boeun, Yeongdog, Okcheon, Eeumseong, Jeungpyeong and Jincheon. This study compiles all the legneds that were scattered in the Chungbuk province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 The main criteria for classification systems is the evidence of that tales. This distribution of legends provides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Chungbuk province. We can learn macroscopic information about what kinds of legends are distributed in Chungbuk and find definite and distinct local characteristics centered on concrete evidence.

      • KCI등재

        IPO 시장에서 공모가 결정 등에 관한 공시규제 효과 연구

        오세정(Se-jeong Oh),박영규(Young-kyu Park) 한국증권학회 2016 한국증권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IPO를 대상으로 공모가격 결정과정에 대한 공시규제를 시행한 기간과 시행하지 않은 기간 동안의 주관회사의 공모가 조정 및 공모가 저평가를 분석함으로써 IPO 시장에 대한 공시규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공시규제와 주관회사의 공모가격 조정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시규제가 공모가 조정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장일 누적초과수익률에 의하여 공시규제가 공모가 저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결과, 연구대상 기간 중 공시규제 정책기간과 나머지 정책기간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에서 공시규제가 공모가 저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긴 하지만, 공시규제 이전 정책기간과 공시규제가 시행된 정책기간 만을 구분하여 비교분석한 결과에서는 회귀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상장 후 20, 30일간의 누적초과수익률에 의한 추가적인 검증 결과에서도 IPO 시장에 대한 공시규제와 공모가 저평가와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공모가격 결정 등에 대한 공시규제는 주관회사의 공모가 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수요예측제도의 정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공모가 저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대부분의 분석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할 수 없어, 시장효율성 제고 측면에서는 그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disclosure regulations around pricing processes in the IPO market comparing periods with and without such requirements, analyzing the bookrunners’ varying degrees of offering price adjustment considerations and the extent of underpricing.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PO pricing disclosure requirements and offering price adjustments implemented by bookrunners in KOSDAQ listed companies showed that presence of disclosure requirements magnified the degree of the adjustments reflected in offering price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 (CAR) on listing day to verify the impact of disclosure regulation on underpricing. Although disclosure requirements’ influence on underpricing was evident in the regression analysis comparing disclosure regulatory periods with the remaining other periods,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20, 30 post listing day CAR could not verify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underpricing and disclosure requirement regulation. We conclude based on our analysis that although disclosure requirements of IPO price determining process and decision affect the offering price adjustments, disclosure requirement regulation does not result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underpricing. Our findings indicate that disclosure requirements policy did not achieve their objectives of preventing mispricing, protecting investors and demonstrating market efficiency.

      • KCI등재

        앙드레 말로의 소설에 나타난 영화적 글쓰기

        오세정 ( Oh Se-jung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8 프랑스어문교육 Vol.61 No.-

        말로는 자신의 소설 『정복자 Les Conquérants』와 『왕도의 길 La Voie Royale』, 『인간조건 La Condition Humaine』을 각색영화로의 제작을 계획한 적이 있으며, 영상예술의 특성을 제기한 논문 『영화심리학개론 Esquisse d'Une Psychologie du Cinéma』을 발표한다. 또한 그는 자신의 소설 『희망 L'Espoir』을 각색 연출하여 영화감독으로서 루이 델릭상을 수상한다. 작가는 영화로 인해 수천만의 사람들이 셰익스피어와 같은 위대한 작가의 작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백번도 더 늘었다고 말한다. 즉 문예비평서 『상상의 박물관 Le Musée imaginaire』과 『덧없는 인간과 문학 L'Homme précaire et la littérature』에서 말로는 오늘날 문학작품의 창작과 향유가 영상시대에 부응해야한고 강조한다. 말로에게 있어 이러한 문학과 영화의 친화력은 소설의 집필과정에서 영화적 글쓰기의 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말로는 소설의 서술에서 ‘장면제시’를 영화의 미장센처럼 나타내며 조명, 촬영기법, 음향 등을 이야기의 묘사 속에 포함시킨다. 영화의 미장센은 연출의 개념을 아우르는 극적 이야기의 시각화 기법이다. 말로의 소설에서 장면제시는 따라서 영화의 세팅장치와 동질적인 의미를 보유한다. 또한 소설의 서술에서 서로 다른 장소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의 평행전개 혹은 교차전개가 영화의 몽타주처럼 나타나며 이러한 병치는 마치 영화에서처럼 수용자에게 호기심과 흥미, 스릴을 유발하고 있다. 게다가 말로는 소설의 이야기가 사실성과 구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각적 글쓰기를 시도한다. 즉 말로는 소설의 서술에 촬영대본이 포함된 영화적 표현기법을 도입하는 극적 이야기를 구축한다. 따라서 말로의 영화적 글쓰기는 소설에 영상연출 미학을 도입한 장르간의 통섭이된다. Malraux a fait une fois le projet de mettre en film adapté de ses romans Les Conquérants, La Voie Royale et La Condition Humaine et il publie l'article Esquisse d'Une Psychologie du Cinéma sur la caractéristique de l'art cinématographique. Aussi il a fait enfin son roman L'Espoir un film en tant que réalisateur, et il a honneur d'obtenir le prix Louis Delluc. L'auteur exprime que notre époque en amenant au film des dizaines de millons d'hommes, nous donne cent fois plus de chances de trouver des Shakespeare. C'est-à-dire, Malraux souligne que la création et l'acceptation de la littérature doit répondre aujourd'hui aux temps changeants de l'image visuel dans ses oeuvres de critique d'art Le Musée imaginaire et L'Homme précaire et la littérature. Pour lui cette l'affinité entre la littérature et le film apparît comme le style de l'écriture cinématographique dans le processus créatif du roman. Alors, Malraux montre ‘mettre en scène’ dans l'écriture du roman comme la mise en scène du film et il inclut dans la description du récit les techniques de tir, l'effets sonores, d'éclairage etc. La mise en scène du film est une technique de visualisation d'un récit dramatique qui concentré le concept de réalisation. Dans les romans de Malraux, l'écriture de mettre en scène signifie donc relativement homogène avec l'appareil de réglage d'un film. Et aussi, dans l'écriture ses romans le développement parallèle ou contrasté des évènements qui se présente dans différents endroits apparît comme le montage d'un film, et cette juxtaposition des récits provoque comme un film la curiosité, l'intérêt, le frisson aux lecteurs. D'alleurs Malraux tente de faire de l'écriture visuelle pour augmenter la réalité et le concret du récit romantique. C'est-à-dire, il construit des récits dramatiques en introduisant de la représentation cinématographique qui compose le script de prise de vue dans l'écriture du roman. Donc l'écriture cinématographique de Malraux devient le consensus des genres qui introduit l'esthétique de l'image dans le roman.

      • KCI등재

        <전우치전>의 현대적 다시쓰기와 그 의미 -아동용 출판물을 중심으로-

        오세정 ( Se Jung Oh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39 No.1

        본고에서는 현재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전우치전>의 다시쓰기 텍스트들을 확인하고 12종의 텍스트를 확보하였다. 이들을 분석하여 고전 <전우치전>의 가치와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우선 12종의 <전우치전> 다시쓰기 텍스트들은 신문관본 <전우치전>을 기본으로 하여 출판되었고, 그를 기초로 4가지 유형분류가 가능했다. 12종의 텍스트들은 기본형, 축소형, 발단변화형, 다변형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본형과 축소형은 신문관본 <전우치전>에 충실한 텍스트였다. 또한 발단변화형과 다변형의 텍스트들은 현재 어린 독자들을 고려한 새로운 텍스트로 전우치라는 주인공의 인생관과 고민, 그의 행동들을 일관성 있게 서술하려 노력하였다. 그러나 12종의 <전우치전> 텍스트 중 7종은 다시쓰기 작가를 전면에 부각시켜, 작자가 미상으로 알려진 원작에 대한 이해를 흐리고 있었다. 또한 어떤 <전우치전>의 이본을 기본으로 하였는지 밝힌 텍스트는 창작과 비평사의 <전우치전> 1종에 불과했다. 이는 반드시 시정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고전의 다시쓰기 작가들은 원작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먼저 임을 주지해야 한다. 앞으로 출간될 다시쓰기 <전우치전>에서는 작품이 갖는 환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에피소드들이 본 작품의 가장 큰 특징임을 이해하고, 보다 정확한 원작 및 작가에 대한 설명, 이본 등에 대해 표기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Modern Rewritings in Jeonwoochi - Focusing on Publications for Children - Oh, Se-jung This study verified current revised versions of Jeonwoochi for children and adolescence and secured twelve types of tex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pieces of work, the study examines if these texts accurately transmit the values and the significances of this classic novel. First of all, the revised versions of the twelve types of Jeonwoochi were published based on the version by the publisher Shinmungwan, and from these, the study could distinguish them into four categories. The twelve types of texts could be classified into basic, abstract, early stage of change, and various transformative categories, and the basic and abstract versions showed similar representation with the initial version from Shinmungwan. Moreover, the early stage of change and various transformative texts tried to express coherently the life values and struggles of the protagonist Jeon Woo Chin in a new form,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urrent young readers. However, seven texts out of the twelve emphasized the writer who completed the revision that doubted the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narrative, where the author is unknown. In addition, only one text, published by Creation and Criticism, revealed the source of its revision, in other words, from which original version of the novel they based their revision upon. This is a practice that needs to be corrected, and the revising writers of classic tales should be aware that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text proceeds the revising act. In future publications of the revised versions of Jeonwoochi need to understand that the fantasy and unrealistic episodes of the tale are its biggest characteristic and should mark the explanations of the orignal text, the author, and the editions.

      • KCI등재

        현대 문화콘텐츠의 서사 세계 연구 - 가능 세계 분석을 통한 세계관 규명과 설화의 세계관 이해

        오세정 ( Oh Se-jeong ) 한국기호학회 2021 기호학연구 Vol.67 No.-

        현대의 많은 문화콘텐츠는 구술 매체에 의해 생성·소통되었던 설화, 즉 신화·전설·민담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또한 문화콘텐츠가 추구하는 상호작용성의 성격이 구술 문학인 설화의 연행 맥락과도 유사한 점이 많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현대 문화콘텐츠의 다양한 서사를 연구하는 새로운 방법론이 기획되어야 한다. 프레임은 놀이나 의례의 상황에서 현실 세계와 분리되는 새로운 세계와 그 질서가 어떻게 구축되는지를 잘 설명한다. 현대의 문화콘텐츠가 추구하는 상호작용성과 다양한 세계 구성을 이해하는 데에도 프레임의 관점이 잘 맞아떨어진다. 이러한 프레임의 개념을 서사 분석에 도입하면, 현실 세계와의 단순한 모방 관계가 아닌 다양한 세계들과 그 관계들로 허구 텍스트를 이해하는 가능 세계 이론과 접목할 수 있다. 본 논의에서는 문화콘텐츠의 다양한 서사를 일관된 관점에서 논의하기 위해 콘텐츠의 세계관을 중심으로 가능 세계 이론을 적용하였다. 텍스트와 관련된 가능 세계는 텍스트의 실제 세계, 그것이 참조한 텍스트의 지시 세계, 현실의 실제 세계가 있다. 이들 세계의 특성과 세계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면 세계관은 텍스트의 지시 세계임을 알 수 있다. 이 세계들의 관계 양상을 신화·전설·민담에 적용하면 각 갈래별 세계관을 도출하고 유형화할 수 있다. 논의의 결과는 문화콘텐츠의 세계관 설정이나 분석에 있어서 참조 사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 lot of contemporary cultural contents are common in that they actively utilize the oral narratives; myths, legends, and folktales that have been created and communicated by oral media. In addition, the interactivity pursued by cultural contents has many similarities with the performance context of oral narratives. Therefore, based on these points, a new methodology to study various narratives of contemporary cultural contents should be planned. Frame well explains the construction of new worlds and orders that are separated from the real world in the context of a play or rite. The perspective of the frame fits well in understanding the interactivity and diverse world composition pursued by contemporary cultural content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frame into narrative analysis, it can be combined with the theory of the possible world to understand the worlds of text distinct from the real world. In order to discuss various narratives of cultural contents from a consistent point of view, the possible world theory was applied centered on the world view of contents. The possible worlds related to the text are the textual actual world(TAW), the textual referential world(TRW) and the actual world(AW). If we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world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we can see that the world view is the textual reference world. By applying the relational aspects of these worlds to myths, legends, and folktales, a world view for each genre can be derived. The result of this discussion can be a reference for setting or analyzing the world view of cultural content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