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주름개선 활성에 관한 연구

        염현지,오민정,채정우,이진영 한국생명과학회 2022 생명과학회지 Vol.32 No.8

        본 연구는 많은 만병초의 종류 중 울릉도 만병초와 운금 만병초를 중심으로 주름개선 활성 검증을 통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울릉도와 운금 만병초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1,000 μg/ml의 농도에서 울릉도 만병초 추출물은 32.6%의 저해능을, 운금 만병초 추출물은 39.3%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두 가지 추출물의 elastase 저해활성을 알아본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1,000 μg/ml에서 28.3%, 36.2%의 억제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울릉도 및 운금 만병초 추출물 1,00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77.7%, 80.7%의 우수한 저해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병초 추출물들의 주름개선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섬유아세포인 CCD-986Sk의 세포 생존율을 MTT assay에 의해 확인한 결과 울릉도와 운금 만병초 추출물 모두 모든 농도구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이하의 실험은 100%에 가까운 생존율을 나타낸 25, 50, 100 μg/ ml의 농도구간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Western blot을 통해 주름개선 관련 인자인 MMP-1, MMP-2, MMP-3의 단백질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두 추출물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양이 감소하였으며, 100 μg/ml의 농도에서 울릉도 만병초는 67.2%, 65.5%, 13.6%, 운금 만병초는 89.1%, 85.0%, 62.7%의 발현양을 나타내었다. Reverse transcription-PCR을 통해 동일한 인자의 mRNA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울릉도와 운금 만병초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양이 감소되었으며, 100 μg/ml의 농도에서 울릉도 만병초는 70.1%, 9.1%, 37.9%, 운금 만병초는 38.2%, 8.3%, 57.3%의 발현양을 나타내었고 MMP-3 인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mRNA 발현 억제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울릉도 만병초와 운금 만병초의 주름개선 활성을 검증함으로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이용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베트남 후피향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증에 대한 연구

        정수현,염현지,이진영,오민정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202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8 No.1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value of using Vietnamese Ternstroemia kwangtungensis Merr. (TK) extracts as a functional material.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level of Nrf2 expression of TK, 50% ethanol extract TK leaf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200 µg/mL. In order to confirm the stability of the extract over time at room temperature, UPLC was performed, and stability was maintained because the patterns of the UV spectrum pattern were the same. In order to confirm the antioxidant efficacy of TK, the activity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as a result of measuring electron donatin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At 1,000 µg/mL, they showed effects of 94.6% and 90.8%, respectively.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showed an inhibitory ability of 24.4% at a concentration of 1,000 µg/mL.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hibitory activity was 42.7% at 1,000 µg/mL.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TK extract was valuable as a natural material for cosmetics.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소재로서 베트남 후피향 추출물의 활용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후피향 추출물의Nrf2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 50% 에탄올을 이용하여 후피향 잎을 추출한 추출물 200 μg/mL 농도에서 가장높은 licuferase의 활성도를 보였다. 상온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추출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UPLC를 실시하였으며, 자외선 스펙트럼 패턴의 양상이 동일하여 안정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후피향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전자공여능 및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했고1,000 μg/mL에서 각각 94.6%, 90.8%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 μg/mL 의 농도에서 24.4%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후피향 추출물의 elastase 저해활성을 알아본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능이 증가하였으며 1,000 μg/mL에서 42.7%의 억제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Ternstroemia kwangtungensis Merr. (TK) 추출물이 화장품 천연 소재로서의 이용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추출물의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미백활성 검증

        최송윤,이제백,염현지,오민정,이진영 한국생명과학회 2024 생명과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의 미백 활성 검증을 통하여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차가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도도 증가하였으며 1,000 μg/ml 농도에서 82.1%의 우수한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멜라노마 세포(B16F10)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 μg/ml 이하 농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포 관련 실험은 25, 50, 100 μg/ml 농도에서 진행하였다. B16F10 cell에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하여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성에 따라 모든 인자에서 단백질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100 μg/ml의 농도에서 TRP-1, MITF는 40.1%, 64.2%의 발현량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및 TRP-2는 arbutin 보다 단백질 발현 저해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멜라닌 합성 관련 mRNA 발현 측정을 위해 B16F10 세포에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mRNA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차가버섯 추출물이 미백 활성을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various whitening activities of Inonotus obliquus were assessed for potential use as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When measuring electron donating ability to confirm the antioxidant ability of I. obliquus extract, increased activity was observ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and it was found an outstanding antioxidant capacity of 82.1% at a 1,000 μg/ml concentration. Also,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related to a whitening effect, was found to have inhibitory activity that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viability of melanoma cells (B16F10) using an MTT assay showed cell viability of more than 80% at concentrations below 100 μg/ml. Therefore, cell-related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25, 50, and 100 μg/ml concentrations. By measuring protein expression related to melanin synthesis via treating B16F10 cells with I. obliquus extract, it was confirmed that protein expression was inhibited in all factor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TRP-1 and MITF appeared by 40.1% and 64.2% amount of expression, respectively, at 100 μg/ml concentrations, and tyrosinase and TRP-2 were verified as having better protein expression inhibition than arbutin. In measuring mRNA expression related to melanin synthesis by treating B16F10 cells with I. obliquus extract, it was confirmed that mRNA expression was suppres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I. obliquus extract has excellent whitening activity and could be used as a cosmetic material.

      • SCOPUSKCI등재

        팥 껍질 추출물의 미백 기능성 활성 검증

        이수연,오민정,염현지,이진영,Lee, Soo-Yeon,Oh, Min-Jeong,Yeom, Hyeon-Ji,Lee, Jin-Young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22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50 No.2

        본 연구는 한국, 중국 등 극동아시아의 온대지역에서 재배되고 우리나라에서는 콩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팥 껍질(Phaseolus angularis shell)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팥 껍질의 효능을 screening 하기 위하여 효소 실험인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 ㎍/ml의 농도에서 76.39%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후 멜라노마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여 팥 껍질이 세포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생존율 90%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 실험을 진행하였다. 팥 껍질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 단백질 및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인자에서 발현량이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사용된 kojic acid와 비교하였을 때 발현 정도가 유의하거나 더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 팥 껍질 추출물의 미백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미백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hitening effect of the extract of Phaseolus angularis (PA) shell was investigated for its potential application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cosmetic products.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which is related to whitening, was 76.4% at a concentration of 1,000 ㎍/ml. Cell viability of melanoma cells was measured to test toxicity of the PA shell extract at concentrations showing at least 90% viability. In addition, western blot and RT-PCR assays of the PA shell extract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s of MITF, TRP-1, TRP-2 and tyrosinase protein and inhibitory effect of mRNA ex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extract from PA shell has great potential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with whitening effect.

      • KCI등재

        미백활성을 가진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MAX.)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써 연구

        오민정(Min-Jeong Oh),염현지(Hyeon-Ji Yeom),채정우(Jung-Woo Chae),이진영(Jin-Young Lee) 한국생명과학회 2022 생명과학회지 Vol.32 No.6

        본 연구에서는 분비나무의 생리활성 및 미백 활성을 검증하여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분비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분비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여 각각 1,000 μg/ml 농도에서 89.4%, 90.9%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ABTS<SUP>+</SUP>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두 추출물 모두 1,000 μg/ml에서 약 9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비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은 1,000 μg/ml에서 각각 48.5%, 31.1%의 저해율을 나타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해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TT assay를 통해 세포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멜라노마 세포(B16F10)에서 농도구간이 500 μg/ml 일 때 분비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은 98.3%, 94.4%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세포 관련 실험을 세포의 생존율이 100%에 가까운 25, 50, 100 μg/ml 농도로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에 분비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여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분비나무 줄기 추출물은 TRP-1과 tyrosinase,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MITF의 인자에서 대조군인 kojic acid 보다 단백질 발현 억제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16F10 세포에 분비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여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높아질수록 mRNA 발현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비나무 줄기 추출물은 tyrosinase의 인자에서 모든 농도구간이 대조군인 kojic acid 보다 mRNA 발현 억제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분비나무 추출물의 우수한 미백활성을 확인하였고, 기능성 활성이 우수하여 화장품 천연물 및 기능성 소재로써의 응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 conducted a study on the whitening activity of Abies nephrolepis MAX. extracts.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of 70% ethanol extracts from A. nephrolepis MAX. Stem (AN-S) and A. nephrolepis MAX. Leaf (AN-L) were found to be 89.4% and 90.9% at 1,000 μ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ir ABTS<SUP>+</SUP>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were found to be 88.8% and 96% 500 μ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ir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were found to be 48.5% and 31.1% at 500 μ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Cell survival rates measured in B16F10 were examined with the AN-S and AN-L extracts. Results showed cell viabilities of 98.3% and 94.4% at 500 μ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inhibitory effects of AN-S and AN-L extracts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ting and RT-PCR, respectively, at 25, 50 and 100 μg/ml concentrations. The results of western blotting showed that the AN-S extract at 100 μg/ml concentration decreased the TRP-1 protein expression rate by 46%. The results of Western blotting also showed that the AN-L extract at 100 μg/ml concentration decreased the MITF protein expression rate was by 54.6%. Consequently, in the case of MITF, TRP-1, TRP-2, and tyrosinase, the amount of mRNA expressed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increased. Our results suggested that A. nephrolepis MAX. extracts can be used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by confirming that they can be used as a whitening material.

      • KCI등재

        친환경 소재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 혼합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오민정(Min-Jeong Oh),염현지(Hyeon-Ji Yeom),채정우(Jung-Woo Chae),이진영(Jin-Young Lee)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3

        연구는 친환경 소재인 잣나무 목재 추출물과 케나프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검증하고, 잣나무 목재 추출물과 케나프 줄기 추출물을 동일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유효성분들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ABTS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0 μg/ml에서 추출물 성분들의 상승작용을 통해 혼합 추출물이 93.7%, 94%로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잣나무 목재, 케나프 줄기 및 혼합 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 μg/ml 농도에서 40%, 27.5%, 43%의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성분들의 상승효과로 혼합 추출물의 높은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잣나무 목재, 케나프 줄기 및 혼합 추출물의 melanoma cell에 대한 세포 독성 측정 결과 1,000 μg/ml 농도에서 각각 87.4%, 80.2%, 98%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결과적으로 혼합 추출물은 길항작용을 통해 같은 농도에서도 100%에 가까운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 혼합 추출물의 Western blot에 의한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 효과를 측정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53.9%, 64.8%, 67.3%, 56.1%로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RT-PCR을 통해 혼합 추출물이 미백관련 인자들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각각 54.4%, 64.9%, 66.6%, 63.1%로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를 1:1 비율로 혼합한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를 혼합한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verified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a Pinus koraiensis extract (PK) and a Hibiscus cannabinus L. extract (HC), and further evaluated the interaction of the extract ingredients when mixed at a 1:1 ratio (PKHC). The electron-donating and ABTS<SUP>+</SUP>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PKHC extract at 1,000 μg/ml concentration were 93.7% and 94%, respectively, indicating a higher efficacy than achieved with either extract alone. Measurements of the tyrosinase the activities in response to PK, HC, and PKHC extracts at 1,000 μg/ml concentrations showed inhibitions of 40%, 27.5%, and 43%, respectively, confirming a higher efficacy of the mixture due to the synergistic action of the ingredients. The cell toxicity values in melanoma cells treated with PK, HC, and PKHC at 1,000 μg/ml concentration were 87.4%, 80.2%, and 98%, confirming a higher viability in cells treated with the mixture due to antagonism. The express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related protein-2 (TRP-2), and tyrosinase protein expression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decreased by 53.9%, 64.8%, 67.3%, and 56.1%, respectively, when PKHC was administered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 PCR) results also showed that PKHC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inhibited the mRNA expression of MITF, TRP-1, TRP-2, and tyrosinase mRNA by 54.4%, 64.9%, 66.6%, and 63.1%, respectively. Taken together, the data confirmed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 of the PKHC extract and verified the possibility that this extract mixture has great potential as a cosmetic ingredient.

      • KCI등재

        석류추출물의 항산화와 MMPs 단백질 발현 억제 및 액정 유화물에서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

        노진선(Jin-Sun Roh),염현지(Hyeon-Ji Yeom),오민정(Min-Jeong Oh),이진영(Jin-Young Lee)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석류추출물의 기능성 활성 검증 및 화장품 개발을 위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 ㎍/ml의 농도에서 60.6%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ABTS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0 ㎍/ml의 농도에서 93.9%의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elastase 억제 활성과 collagenase 억제 활성은 1,000 ㎍/ml의 농도에서 각각 30%와 47.2%의 억제 활성을 보였다. 석류추출물이 섬유아세포(CCD-986sk)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MTT법으로 세포 생존성을 측정한 결과, 500 ㎍/ml 이하의 농도에서 130% 이상의 생존율이 확인됐다. 석류추출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MMP-1, MMP-2, MMP-3의 단백질 발현은 100 ㎍/ml의 농도에서 각각 23.2%, 81.9%, 69.2%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석류추출물이 0.1% (w/v)의 농도로 함유된 O/W 액정크림을 제조하여 4, 25, 45, 50℃에서 pH, 시간에 따른 변화, 온도별 안정성 등의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1개월간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석류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nfirmed the potential of Punica granatum L. extract for functional activity verification and cosmetic development.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of Punica granatum L. extract was shown 60.6% at a 1,000 ㎍/ml concentration. Its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shown 93.9% at a 1,000 ㎍/ml concentration. Additionally, the inhibitive effects of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ion effects were measured as 30% and 47.2%, respectively, at a 1,000 ㎍/ml concentration. To determine the effect of Punica granatum L. extract on the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CCD-986sk),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a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MTT) assay. As a result, survival rates of 130% or higher at a 500 ㎍/ml concentration or less were confirm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Western blot with Punica granatum L. extract, the expression inhibition rates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 were decreased by 23.2%, 81.9%, and 69.2%, respectively, at a 100 μg/ml concentrati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O/W liquid crystal cream with 0.1% Punica granatum L. extract was prepared. The stabilities were tested at 4, 25, 45, and 50℃. By checking the pH, change over time, and stability by temperature, it was confirmed that all were stable for one month. Thus, Punica granatum L. extract shows potential as a natural material for cosmetics.

      • KCI등재

        RAW 264.7 세포에서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MAX.) 추출물의 항염 효과에 대한 연구

        오민정(Min-Jeong Oh),염현지(Hyeon-Ji Yeom),이진영(Jin-Young Lee) 한국생명과학회 2024 생명과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MAX.)를 분비나무 줄기(Abies nephrolepis MAX. stem) 추출물과 분비나무 잎(Abies nephrolepis MAX. leaf) 추출물로 나누어 항염 관련 기능성을 연구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대식세포(RAW 264.7)에서 분비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의 50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97.8%, 95.6%의 생존율을 보였다. 이에 따라 세포 관련 실험을 세포의 생존율이 100%에 가까운 25, 50, 100 μg/ml의 농도로 진행하였다. 염증을 유발하는 활성산소인 NO 생성에 대해 분비나무 추출물을 측정한 결과, 분비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구에서 NO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비나무 줄기와 잎은 100 μg/ml의 농도에서 71.1%,42.9%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분비나무 추출물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여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COX-2, iNOS 및 pro-inflammatoty cytokine인 IL-1β, IL-6, TNF-α 인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분비나무 줄기의 iNOS와 분비나무 잎의 COX-2, iNOS, IL-6 및 TNF-α의 인자가 대조군인 Vit. C와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단백질 발현 억제를 보였다. 또한, RAW 264.7 세포에 분비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여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분비나무 줄기의 iNOS, 분비나무 잎의 COX-2와 iNOS의 mRNA 발현양은 대조군인 Vit. C와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억제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ro-inflammatoty cytokine인 IL-1β, IL-6 및 TNF-α인자에서는 분비나무 줄기 추출물의 IL-1β는 대조군과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나머지 인자에서는 대조군인 Vit. C와 비교하였을 때 mRNA 발현 억제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분비나무 추출물이 항염 관련 기능성 활성에 우수함을 나타내어 화장품 소재로써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bies nephrolepis MAX. was divided into A. nephrolepis MAX. stem (AS) extract and A. nephrolepis MAX. leaf (AL) extract. Their anti-inflammatory abilities and applicability as cosmetic materials were determined. Tests of the cell survival rate measured using RAW 264.7 cells and extracts of AS and AL showed 97.8% and 95.6% cell viability at a 500 μg/ml concentration. To determine anti-inflammatory activity,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LPS-induced NO in RAW 264.7 cells by Griess assa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S and AL extracts present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NO production. The protein expression inhibitory effects of AS and AL extracts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t 25, 50, and 100 μg/ml concentrations. β-actin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results of western blot of extracts from AS showed that the expression inhibition rate of the iNOS protein was decreased by 50.1% at the 100 μg/ml concentration. Additionally, the results of western blot of AL extracts showed that the expression inhibition rate of COX-2 and iNOS protein was decreased by 66% and 8.2% at the 100 μg/ml concentration. The mRNA inhibitory effect was measured by RT-PCR at 25, 50, and 100 μg/ml concentrations. GAPD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Consequently, the iNOS mRNA expression effect by RT-PCR of AS extract demonstrated by RT-PCR decreased by 27.9% at the 100 μg/ml concentration, and the iNOS and IL-6 mRNA expression effect of AL extract measured by RT-PCR decreased by 48.6% and 48.7% at the 100 μg/ml concentration.

      • KCI등재

        채취 시기 및 추출 용매에 따른 환삼덩굴의 항산화 및 기능성 화장품 활성

        채정우 ( Jungwoo Chae ),조희선 ( Huiseon Jo ),염현지 ( Hyeonji Yeom ),이진영 ( Jin-young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2

        채취 시기 및 추출 용매에 따른 환삼덩굴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6월에 채취한 환삼덩굴의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41.09 mg/g GAE, 같은 시기에 채취한 70% 에탄올 추출물은 56.64 mg/g GAE를 나타내었으며, 8월에 채취하여 추출한 열수 추출물은 31.56 mg/g GAE, 에탄올 추출물은 31.81 mg/g GAE의 함량을 나타내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모두 6월에 채취하여 추출한 것이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채취 시기가 같은 경우 열수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을 통하여 환삼덩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실험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6월 채취 70%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8월 채취 추출물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은 비슷하였으나 모든 실험에서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나 항산화에 관여하는 물질은 7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활성이 높게 유지된다고 판단되었다. 미백활성 평가를 위한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환삼덩굴 열수 추출물은 6월 채취 추출물은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8월 채취 추출물은 최고농도에서의 활성이 16.18%로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최고농도의 활성이 6월 채취 추출물은 8.07%, 8월 추출물이 14.7%로 나타나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은 6월보다는 8월에 함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부 주름 생성 방지 활성 평가를 위한 elastase 저해활성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은 매우 미미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열수 추출물은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모든 추출물에서 수렴활성이 나타나지 않아 환삼덩굴을 주름 생성 방지를 위한 기능성 원료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6월 채취 환삼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MTT assay) 결과, 저농도인 5~10 μg/mL에서는 세포증식효과를 나타내었으나 50 μg/mL에서 64.13%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NO 생성 억제 능력의 경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Raw 264.7의 NO 생성이 억제되어 1,000 μg/mL에서의 NO 생성량이 40.7%까지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세포 독성에 의한 것인지, 추출물의 효능에 의한 것인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olyphenol content of Humulus japonicus (HJ) extract according to the collection time and extraction solvent, bothhot water extract and 70% ethanol extract were collected and extracted in June, and the polyphenol content was high. When the harvesting time was the same, the polyphenol content of the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ot water extrac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J extract by measuring electron-donating ability, SOD-like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HJ6E, which has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tract collected in August, the polyphenol content was similar. Howev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high, sothe antioxidant activity remained high when extracted with 70% ethanol. As a result of measurin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for evaluating skin whitening activity, HJ6W did not show any activity. The activity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16.18% for HJ8W, 8.07% for HJ6E, and 14.7% for HJ8E. Therefore, the content of ingredients showing skin whitening activity was higher in August than in June. In the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for evaluating the anti-wrinkle activityof the skin, the ethanol extract showed very little activity, and the hot water extract did not. In addition, since all extracts do not show astringent activity, it is judged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use HJ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preventing wrinkle forma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ell viability of HJ6E, which show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t showed a cell proliferation effect at low concentrationsbut strong cytotoxicity at concentrations above 50 μg/mL. In the case of the NO production inhibitory ability,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NO production of Raw 264.7 was suppressed. Theamount of NO production at 1,000 μg/mL decreased to 40.7%. However, whether these results are due to cytotoxicity or the extract’s efficacy is a part that requires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모링가 추출물에 대한 화장품약리활성 검증

        김소라 ( So Ra Kim ),유단희 ( Dan Hee Yoo ),염현지 ( Hyeon Ji Yeom ),오민정 ( Min Jeong Oh ),이진영 ( Jin Young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8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4 No.3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천연소재로서 모링가 에탄올 추출물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와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각각 1,000 μg/mL에서 47%, 39%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모링가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 μg/mL에서 31%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율을 MTT 분석법으로 확인한 결과 대식 세포(Raw264.7)와 멜라노마 세포(B16F10)의 농도 구간이 100 μg/mL 일 때 각각 94.2%, 94.8%의 생존율을 보였다.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griess 분석에 의하여 대식 세포에 lipopolysaccharides (LPS)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모링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O 발현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Western blot을 통한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25, 50, 100 μg/mL 농도의 모링가 에탄올 추출물과 β-ac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iNOS, COX-2,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양이 100 μg/mL에서 85.8%, 57.5%, 80.7%, 30%, 29.9%, 23.6%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백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모링가 에탄올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Moringa oleifera (M. oleifera) extract as a cosmetic additive. The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s showed 47% and 39% at 1,000 μ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Also, the collagenase inhibition effect was 31% at 500 μg/mL concentration. A cell viability test, measured on macrophage cell (RAW 264.7) and melanoma cell (B16F10) by ethanol extract of M. oleifera, showed 94.2% and 94.8% at 100 μ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In order to confirm anti-inflammatory activity,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lipopolysaccharides (LPS)-induced NO in RAW 264.7 cells by Griess assay. As a result, the M. oleifera extract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NO production. The protein expression inhibitory effects of M. oleifera extract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t 25, 50, 100 μg/mL concentration and the β-actin.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ion inhibition rates of the iNOS, COX-2, MITF, TRP-1, TRP-2, tyrosinase protein were decreased by 85.8%, 57.5%, 80.7%, 30%, 29.9%, 23.6% at 100 μ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M. oleifera extracts had the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and thus could be applied for cosmetics as a natural ingred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