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정필연(Pil Yeon Jeong),연석정(Seok Jeong Yeon),홍기형(Ki-Hyung H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지, 프로그램 전달 방식(대면 대 원격)에 따른 효과는 어떠한지, 부모교육 프로그램 중재모델에 따른 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문헌검색을 위해 국내외 7개의 데이터베이스(RISS, DBpia, Academic Search Complete, CINAHL Plus with Full Text, ERIC, PsyINFO, PudMed)를 검색하였고, 2012년-2022년 7월까지 출간된 두 집단 비교연구를 대상으로 포함 및 제외 준거에 따라 총 21편의논문이 선정되었다. 메타분석을 위해 CMA3 (Comprehensive Meta-Analysis 3)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평균 효과크기의 산출을 위해 무선효과모형을 적용하였으며 Hedge’s g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에서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둘째, 대면에 비해 원격치료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중재모델 가운데 PRT와 ABA 프로그램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교육이 ASD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원격 방식을 통한 부모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위해 필요한 근거기반의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extant literature on parent training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on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s between tele-therapy and in person therapy. Methods: Seven electronic databases, RISS, DBpia, Academic Search Complete, CINAHL Plus with Full Text, ERIC, PsyINFO, and PudMed were searched through to July 2022 for analysis. Using Meta-Analysis (CMA3: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3, 2022),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pproach was taken to analyze 21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of our research. Effect sizes for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ve skills were analyzed via the random effect model. Results: There were three main findings. First, parent training programs had a small effect size on language ability in children with ASD. Second, tele-therapy had higher effect size than in-person therapy. Lastly, two intervention models, Pivotal Response Treatment and ABA, showed large treatment effects.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arent training programs are helpful for children with ASD in increasing language ability. Tele-therapy showed more efficacy than the in-person therapy. These findings support the efficacy of tele-therapy compared with in-person therapy.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evidence for the use of a digital therapeutics.

      • KCI등재

        Effect of Robot-Assisted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on Invented Spelling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문은정(Eun Jeong Mun),김영태(Young Tae Kim),강민경(Min Kyung Kang),연석정(Seok Jeong Ye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1

        배경 및 목적: 읽기장애 아동에게 철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교수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이 단어의 음운적 구조를 분석하고 음운체계를 파악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음운인식훈련은 다양한 방법과 매체를 이용하여 이뤄지고 있으며,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지능형 로봇의 활용 가능성과 효과에 대한 연구가 점차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 중재에 있어서 로봇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로봇을 이용한 음운인식훈련이 읽기장애 아동의 철자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만 6-8세 읽기장애 아동으로 전통적 음운인식훈련집단, 로봇을 이용한 음운인식훈련집단, 통제집단으로 나뉘었다. 연구과제로는 사전, 사후검사로 음운인식검사와 단어쓰기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훈련집단은 추가적으로 중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음운인식훈련은 최대 23회기로 주2회 진행되었으며 한 회기당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결과: 단어쓰기 점수는 세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음운인식훈련을 받은 읽기장애 아동들은 음운변동이 있는 단어에 대한 창안적 글자쓰기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로봇을 활용한 음운인식훈련이 읽기장애 아동의 철자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로봇을 활용한 중재가 읽기장애 아동들에게도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읽기장애 아동들이 음운인식훈련을 받을수록 음운변동이 있는 단어에 대한 창안적 글자쓰기도 향상됨을 시사한다. Objectives: In order to teach spelling effectively to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y need to be taught to understand the phonological system.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has been conducted using various methods and media; following current technological trends, robots have been introduced to aid this training. This research looks at the effectiveness of using robots to tra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in order to identify the robots potential for improving spelling. Methods: Fourteen 6- to 8-year-old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raditional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robot-assisted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and control groups. Phonological awareness tests and spelling tests were used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through pre- and post-tests for the three groups with an additional test in the middle of training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maximum of 23 sessions for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were conducted biweekly and each session took about 30 minutes. Results: Firs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number of correct responses for spelling among the three groups. Second,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ho were taught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test periods for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for words with phonological rules of invented spelling.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intervention using a robot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received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the more invented spelling skills on words with phonological rules are improv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토픽모델링과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습장애 연구동향 분석

        이아름 ( Lee Ah Reum ),연석정 ( Yeon Seok J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학습장애는 최근 교육 현장에서 학습부진, 난독증 등의 용어와 함께 많이 등장하는 키워드이다. 시·도 교육청과 단위학교별로 학습부진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학습장애에 대한 증거기반의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교사와 치료사는 체계적인 지도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학생과 학부모들이 실감하는 교육효과는 크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토픽모델링과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습장애에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2000~2019년 동안 나타난 주요 키워드는 ‘아동’, ‘학습’, ‘학생’, ‘능력’, ‘전략’ 등 이었다.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중심성은 ‘학습’, ‘교육’, ‘검사’, ‘학년’ 등의 순서로 높았으며, 매개중심성은 ‘향상’, ‘학습’, ‘학년’, ‘검사’의 순서로 나타났다. 근접중심성은 ‘향상’, ‘학년’, ‘학습’, ‘검사’ 등의 순서로 높은 중심성을 보였다. 둘째, 시기별 중심성 분석 결과, 주요 키워드가 ‘아동’에서 ‘학생’으로 변화하였으며, 시기별로 높은 중심성을 보인 키워드는 ‘학습’, ‘초등학교’, ‘능력’이었다. 2015년 이후에 ‘중재’가 상위 키워드로 등장하여 최근 학습장애 ‘중재’에 대한 키워드 중심성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LDA를 활용하여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총 21개의 토픽을 추출하였고, 7개의 대주제와 하위 소주제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각 시기별 토픽의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시기에서 ‘중재전략’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조기선별 및 판별’, ‘학습장애 정의’에 대한 토픽의 비중이 시기에 따라 점차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토픽모델링과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학습장애 연구동향을 살펴보았으며 시기별 토픽 추이에 따라 향후 학습장애의 조기 선별 및 판별과 중재 연구의 방향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Learning disability is a keyword that appears a lot in the recent education field along with terms such as poor learning and dyslexia. Although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poor learning by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 units, there is a lack of evidence-based research for learning disabilities, so teachers and therapists have difficulty in systematic guidance, and educational effects that students and parents realiz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main keywords that appeared during 2000~2019 were 'children', 'learning', 'students', 'capabilities', and 'strategy'. As a result of the centrality analysis, the degree centrality was high in the order of 'learning', 'education', 'test', 'grade', and the betweenness centrality was shown in the order of 'improvement', 'learning', 'grade', and 'test'. The closeness centrality showed high centrality in the order of 'improvement', 'grade', 'learning', and 'test'.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entrality by period, the main keywords changed from 'children' to 'students', and the keywords showing high centrality by period were 'learning', 'elementary school', and 'capability'. Since 2015, ‘intervention’ appeared as the top keywor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keyword focus on ‘intervention’ with learning disabilities has recently increased. Third,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analysis using LDA, a total of 21 topic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by classifying into 7 major topics and sub-theme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 of changes in topics for each period, the 'intervention strategy'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in all period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gradually increasing. This study exlpored the research trends of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found the direction of early screening and discrimin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intervention studies in the future according to topic trends by period.

      • KCI등재

        집단 화용의사소통 중재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대화참조능력과 대화조율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수정(Choi Soo Jeong),연석정(Yeon Seok Jeo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 화용의사소통 중재가 대화참조능력과 대화조율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지적장애 또는 자폐성장애로 진단받은 발달장애 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집단 화용의사소통 중재를 실시한 후 대화참조능력과 대화조율능력의 사전-사후검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발달장애 청소년의 대화참조능력과 대화조율능력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동일연령의 장애 또래와 함께한 대화상대자에 따른 조율 경험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메타화용언어 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roup pragmatic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ir referential and coordinating skills. Method: Eight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autistic disorders, were participated in group pragmatic communication intervention, and we then measured and compared the pre- and post-tests of referential and coordinating skills. Results: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ferential and coordinating skills in post-test results, compared to pre-test results. Conclusion: The experience of referential and coordination interventions centered around role activities and assigning conversation partners to disabled peers of the same a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meta-pragmatic ability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SCOPUS

        과제 유형(읽기, 쓰기)에 따른 난독아동의 음운변동 오류 특성

        전예지(Ye Ji Jeon),강민경(Minkyung Kang),연석정(Seok Jeong Ye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3, 4학년 난독아동과 해독 능력이 일치하는 일반아동을 비교하여 읽기, 쓰기 과제에 따른 난독아동의 음운변동 특성을 확인하고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다. 방법: KOLRA 해독 표준점수 70점 초과 90점 이하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3, 4학년 난독아동 12명, 해독 원점수가 난독아동의 ±5점에 해당하는 일반아동 12명에게 연음화, 경음화, ㅎ변화(ㅎ탈락, 기식음화), 비음화, 구개음화, 유음화가 일어나는 문장의 읽기, 쓰기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두 집단의 읽기, 쓰기 정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두 집단은 읽기보다 쓰기의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과제 유형과 음운변동 간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난독아동은 ㅎ변화, 비음화, 구개음화, 유음화에서 읽기보다 쓰기의 어려움이 컸고, 일반아동은 경음화, 비음화, 구개음화에서 읽기보다 쓰기의 어려움이 컸다. 셋째, 읽기 과제에서 두 집단은 음운변동적용 오류①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난독아동은 일반아동보다 의미처리 오류가 높게 나타났다. 쓰기 과제에서 난독아동은 일반아동보다 음운변동적용 오류①이 높게 나타났으며, 난독아동의 오류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오류 유형이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해독 능력이 유사한 일반아동과 난독아동은 비슷한 발달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난독아동의 오류 유형 및 오류 유형 출현율을 분석함으로써 난독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음운변동 규칙에 대한 중재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3rd and 4th grade students with dyslexia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 were matched according to decoding ability,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yslexia according to reading and writing tasks the phonological change, and analyzed the types of errors. Methods: 12 students with dyslexia in the 3rd and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o scored between 70 and 90 points in the KOLRA decoding standard score, and 1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se decoding raw score was ± 5 points of the students with dyslexia were asked to read and write sentences in which phonological changes occured.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and writing accuracy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two groups had significantly lower writing accuracy compared with reading.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ask type and phonological change was confirmed. Third, in the reading task, the two groups both showed the most errors in the phonological change error type ①, and students with dyslexia had a higher rate of semantical errors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writing task, students with dyslexia showed a higher number of phonological change errors ①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ose being the most common type of errors in students with dyslexia.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students with dyslexia with similar decoding abilities show similar developmental patterns; and by analyzing the types of errors in students with dyslexia, an intervention plan for students with dyslexia that focuses on phonological change rules can be established.

      • KCI등재

        한국 대학생과 미국 대학생의 AAC 사회어 그림 상징 인식에 대한 문화적 차이

        강로원(Rowon Kang),김영태(Young Tae Kim),연석정(Seok Jeong Ye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1

        배경 및 목적: AAC 상징 인식에서 도상성은 필수적이다. 다수의 사람들이 핵심 단어로 사용하고 있는 사회어의 성격과 AAC 상징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과 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AAC 사회어 그림 상징 인식에 도상성과 문화적 배경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48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으며, 10개의 사회어를 나타내는 그림 상징들은 Picture Communication Symbols와 이화-AAC 상징에서 각각 10개씩 선정하였다. 참가자들에게 투명성 과제(transparency task)와 반투명성 과제(translucency task)를 실시하였다. 결과: 투명성 과제와 반투명성 과제 모두에서 집단과 상징 유형에 대한 이원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투명성 과제에서 정반응 수의 합과 반투명성 과제에서 평정 점수의 합에 따른 개별 상징의 서열에 대한 상관관계가 전체 참가자 모두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동일한 단어를 표현하는 AAC 상징이라 하더라도 단어, 상징, 문화적 특성이 AAC 사회어 그림 상징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두 종류의 도상성 수행 결과에 따른 개별 상징 서열에 대한 정적 상관관계는 그림 상징의 투명성과 반투명성이 AAC 상징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AAC 상징 선정 시 그림 상징의 투명성과 반투명성 정도에 대한 고려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conicity and cultural background on the recognition of social word AAC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graphic symbols between two cultural group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8 undergraduate students (24 Koreans and 24 Americans), and 20 graphic symbols of 10 social words were selected for the stimuli from PCS and Ewha-AAC symbols developed in Korea. The transparency task asked the participants to guess and write down the meanings in 30 seconds for each symbol. For the translucency task, the participants marked their degree of agreement with the meaning of the symbol on the 5-point rating scale, given 20 seconds for each slide. Results: First, the Korean students guessed the meanings of social word AAC symbols more correctly than the American students in Ewha-AAC symbols. Second, the Korean students gave higher scores to Ewha-AAC symbols, while the American students gave higher points to PCS. Third, there were moderate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formances of the iconicity task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ultural background of words, symbols can b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recognition of graphic symbols. In addition,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formances of the iconicity tasks suggest that transparency and translucency of graphic symbols may affect the symbol recognition. Moreover,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the degree of transparency and translucency of graphic symbols when selecting symbols for AAC.

      • KCI등재

        Effects of Robot and Computer-based Intervention on Learning Action Word Symbols of AAC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Eun Jung Choi(최은정),Young Tae Kim(김영태),Seok Jeong Yeon(연석정),John Kim,Ki-Hyung Hong(홍기형)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AAC 동작어 상징 학습에 대한 교육용 로봇과 컴퓨터의 중재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3명이며, 교대중재설계를 사용하여 AAC 동작어 상징 학습에 미치는 교육용 로봇과 컴퓨터 중재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동작어 상징은 총 20개로 각 10개씩 두 세트로 나뉘어 기초선, 중재 그리고 일반화 단계에서 교육용 로봇과 컴퓨터를 통해 노출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교육용 로봇 중재에서는 대상 아동 3명 모두, 컴퓨터 중재에서는 대상 아동 3명 중 2명에게서 동작어 상징 이해도 향상이 나타났다. 일반화 단계에서는 모든 대상 아동이 두 가지 중재에서 동작어 상징 이해도 향상을 보였다. 대상 아동들이 보인 향상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는 교육용 로봇 중재에서 컴퓨터 중재보다 전반적으로 더 높은 향상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교육용 로봇과 컴퓨터 중재 모두가 동작어 상징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그리고 두 가지 중재 효과를 비교했을 때는 교육용 로봇 중재가 컴퓨터 중재보다 더 높은 수준의 향상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bot and computer-based intervention on learning action word symbol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for three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Methods: This study used an adapted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to compare the effects of robots and computers on learning action word symbols of AAC. Twenty symbols of action words in the ‘Ewha-AAC symbols set (Park et al., 2014; Yeon et al., 2016)’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Set A and Set B. Symbols of Set A and Set B were exposed through a robot and computer during three phases, which were the baseline, experimental, and generalization phases. Results: All three subjects who were trained using the educational robot showed improvements in comprehending action word symbols. However, only two out of the three subjects showed improvements in learning with the computer. In the case of generalization phase, all three subjects who were trained using the educational robot and the computer showed improvements. Comparing the improvement levels between the two interventions in both phase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robot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uter. Conclusion: Both methods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action word symbols of AAC, while the robot-based intervention showed higher improvement levels than the computer-based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