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상과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인지처리능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승하(Seung Ha Lee),민가혜(Ga-Hye Min),연규승(Gyu-Seung Yeo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9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표상과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인지처리능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총 36명이었으며 평균 월령은 76.92개월이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무선 배정하고 실험집단에는 표상과 연계한 수학활동을 처치하였고 비교집단에는 교사-유아 이야기나누기에 기반한 수학활동을 제공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유아그림수학검사’, "K-ABCⅡ", "수용·표현 어휘 검사(REVT)" 검사 도구를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상과 연계한 수학활동이 교사-유아 이야기나누기에 기반한 수학활동보다 유아의 수학능력, 인지처리능력, 언어능력을 유의미하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에 적합하고 효과적인 유아수학교육을 위한 방안 모색에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athematical activity that is linked to the representation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abilities. Thirty-eight young children in A kindergarten in a suburban city participated(Mean age=76.92months, SD=2.46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athematical activity based on two-dimensional representations, while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mathematical activity based on teacher-child discussion for 5 week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al activities linked to two-dimensional representations, a "Picture test of mathematics ability for children", "K-ABCⅡ" and "REVT" tests were used to examine children’s mathematical,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abilities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The results revealed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children"s mathematical,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ison group.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thematical activity linked to two-dimensional representations effectively promotes young children"s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abilities as well as mathematical abilities. It also provided implications about teaching-strategies for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의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과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 운동능력 간의 관계성 분석

        이승하(Seung Ha Lee),민가혜(Ga-Hye Min),연규승(Gyu-Seung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내재화ㆍ외현화 문제행동과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 운동능력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K시에 위치한 유치원 7곳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218명으로 평균 월령은 64.95개월이었다. 교사보고형 유아 문제행동검사(K-BASC-Ⅲ)와 인지능력검사(K-WiPPSI-Ⅳ), 갈등해결능력검사 그리고 운동능력검사(MPTYC)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 운동능력 간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은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 모두 인지능력이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고, 갈등해결능력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하위요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내재화 문제행동은 갈등해결능력의 하위요인인 갈등인식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능력의 언어이해가 추가적인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외현화 문제행동은 갈등해결능력의 하위요인인 갈등인식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능력의 유동추론이 추가적인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s behavior problem, cognitive ability,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motor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8 whose mean age was 64.96 month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K-BASC-3 , K-WIPPSI-Ⅳ , Children s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MPTYC .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mong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cognitive ability,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motor ability. Also the resul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mong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cognitive ability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y. Secondly, cognitive ability was revealed to be most predictive factor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y was an additional nega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lso cognitive ability was revealed to be most predictive factor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y was an additional nega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nflict recognition ,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conflict resolution ability, h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In additionally, verbal comprehension ,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cognitive ability.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nflict recognition ,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conflict resolution ability, h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In additionally, fluid reasoning ,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cognitive ability were found to be an additional predictive factor.

      • KCI등재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 간의 관계 분석

        김낙흥 ( Kim Nak Heung ),연규승 ( Yeon Gyu Seung ),오연택 ( Oh Yeon Tae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 210명이었으며, 유아 정서지능 검사, 유아 자아존중감 검사, K-BASC-Ⅱ, KABC-Ⅱ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인지능력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행동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정서지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문제행동이 정서지능을 예측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문제행동 하위요인인 적응기술이 정서지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인 정서적 자아, 인지적 자아 그리고 문제행동 하위요인인 행동증상 순으로 정서지능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유아 정서지능에 미치는 유아의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정서지능을 함양시킬 수 있는 유아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10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located at G City and H city in K province.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The Kaufman Assesment Battery for Children Second Edition, and The Self-Esteem Inventory for Young Children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lf-esteem of children is a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emotional intelligence. Furthermore problem behavior is a nega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daptive skills’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h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In addition, ‘emotional self-esteem,’ and ‘cognitive self-esteem,’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self-esteem and 'behavior symptoms.' a subordinate factor of problem behavior were additional predi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se results implied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emotionail intelligence for young children with self-esteem, problem behavior, and congnitive ability.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간의 관계분석

        오연택 ( Oh Yeontaek ),연규승 ( Yeon Gyu Se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195명과 이들의 어머니 195명 이었다.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유아 자아존중감 검사, K-BASC-2 그리고 K-ABC-II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연구 자료는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유의미한 정적 및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지적능력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외현화 문제행동, 지적능력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자아존중감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공격성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유아의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인지적 자아존중감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stress of mothers, self-esteem of childre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95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located at K province and 195 mothers. Korean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The Kaufman Assesment Battery for Children Second Edition, and The Self-Esteem Inventory for Young Children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self-esteem of children,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However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intellectual capacity of children.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is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hereas self-esteem of child is nega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ggressive behavior’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h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cognitive self-esteem,’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self-esteem of children was additional predictor of parenting stress of mothers.

      • KCI등재

        유아의 다문화감수성과 인지능력, 언어능력, 정서능력,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지성애(Chi, Sung-Ae),이동은(Lee, Dong-Eun),연규승(Yeon, Gyu-Seung)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의 다문화감수성과 인지능력, 언어능력, 정서능력,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총 200명이었으며, 평균 월령은 63.55 개월이었다. ‘다문화감수성’, ‘K-ABC-Ⅱ’, ‘REVT’, ‘BPI’, ‘자아존중감’ 검사도구들을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다문화감수성과 인지능력, 언어능력, 정서능력, 자아존중감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유아의 인지능력은 유아의 다문화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언어능력, 자아존중감은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ulticultural sensitivity, cognitive ability, language ability, emotional ability, and self-esteem of children. The subjec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200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located at Y and H city.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scale for Young Children, the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Second Editio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the Berkley Puppet Interview, and the Self-esteem Inventory for Young Children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cognitive ability, language ability, emotional ability, and self-esteem. Second, the cognitive ability of children is a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multicultural sensitivity. Furthermore, language ability and self-esteem are also positive variables that predict multicultural sensitivity.

      • KCI등재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 분석

        지성애 ( Chi Sung-ae ),조유진 ( Cho Yu-jin ),연규승 ( Yeon Gyu-se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 210명이었으며, 유아지적능력검사(K-WISC-IV), 유아공감능력검사, 적응기술검사(K-BASC-Ⅱ), 유아낙관성검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지적능력과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공감능력, 적응기술, 낙관성이 유아의 지적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적응기술이 유아의 지적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공감능력이 지적능력을 예측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적응기술의 하위요인인 ‘기능적 언어소통’이 지적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행복’이 지적능력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y, empathy ability, adaptive skills and optimism. Moreover, in this research try to explore indicate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adaptive skills and optimism influence their intellectual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10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located at S city.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WISC-IV), the Affective Situation Test for empathy ability, the 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K-BASC-II), and the Optimism Inventory for Young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0.0 program.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ellectual ability, empathy ability, adaptive skills and optimism. Secon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aptive skills of children is a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intellectual ability; furthermore, empathy ability is a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intellectual ability of children. Also, the results indicate that ‘functional communication’,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adaptive skills of children, had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intellectual ability of children. In addition, ‘happiness,’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empathy, was additional a predictor of intellectual ability of children.

      • KCI등재

        유아의 운동능력과 갈등해결능력, 정서실행기능 및 그리기표상능력 간의 관계성 분석

        민가혜(Ga-Hye Min),김지은(Ji-Eun Kim),연규승(Gyu-Seung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운동능력과 갈등해결능력, 정서실행기능, 그리기 표상능력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유아의 운동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밝히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K도에 소재한 유치원 7곳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210명으로 평균 월령은 64.85개월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운동능력 검사(MPTYC)’, ‘갈등해결능력 검사’, ‘정서실행기능 검사’ ‘그리기표상능력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운동능력과 갈등해결능력, 정서실행기능, 그리기표상능력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실행기능이 유아의 운동능력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갈등해결능력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하위요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정서실행능력의 하위요인인 스티커 찾기가 유아의 운동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그리기표상능력의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이 추가적인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갈등해결능력의 갈등인식이 유아의 운동능력을 설명하는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그리기표상능력의 하위요인인 그림의 완성도 추가적인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s motor ability, conflict resolution ability, hot executive function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0 whose mean age was 64.85 month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MPTYC , ’Children s conflict resolution ability , ‘Hot executive function tasks(less is more task, sticker search task) and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inventory .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tor ability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y, hot executive function tasks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Second, hot executive function tasks was revealed to be most predictive factor of motor ability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y was an additional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motor ability. In sub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ticker search task ,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hot executive function tasks, h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motor ability. In additionally, verbal representing drawings ,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as an additional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motor ability.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nflict recognition ,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completion of drawing ,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have the additional variables that predictor of motor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