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의 효율적인 측정주기(Frequency) 분석

        여승수 ( Seung Soo Yeo ),홍성두 ( Sung Doo Hong ),정평강 ( Pyung Gang J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주된 연구주제는 CBM 구두읽기 검사의 효율적인 측정주기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CBM은 특수교사의 중재전략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된 검사도구로서 다른 전통적인 검사와 비교했을 때, 반복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CBM을 교육현장에서 사용하게 된다면 학생들의 진전도를 민감하게 평가할 수 있으며 새로운 학습장애판별 모형인 중재반응모형에서도 CBM은 대안적인 검사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CBM을 반복측정 해야 한다는 사실은 현장의 교사들에게 추가적인 평가 업무를 과중 시킬 수 있는 단점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 CBM이 활발히 사용되기 위해서는 매주 측정해야하는 횟수보다 감소된 측정횟수를 제안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측정주기를 분석하기 위해서 7주 동안 매주 반복 측정된 CBM 기울기와 다양한 측정주기에서 산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측정주기 중 홀수 번째 측정주기에서 산출된 기울기가 가장 신뢰롭고 타당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ient frequency method of estimating the CBM reading aloud slope. Comparing to other traditional tests in education, CBM holds a unique feature: It is repeatedly sampled across time. However, due to such a feature of CBM, it seems that some teachers hesitate to employ the use of CBM. For this reason, it would be necessary to examine the reduced frequency of CBM data. Results showed that showed that the odd week schedule allowed for calculating the most valid and reliable CBM slopes in reading.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관한 종단 연구: 국어, 수학,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여승수 ( Seung Soo Ye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4

        본 연구는 학습장애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표였다. 이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패널의 1, 2, 3, 4차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6,908명의 학생 중 25명만이 특정학습장애학생으로 판별되었다.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여 학습장애학생들의 국어, 수학, 영어에 대한 자기효능감 발달 특성을 분석하였고, 비장애학생들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세 교과목에서 학습장애학생들의 자기효능감 발달특성은 비장애학생들과 유의한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수학과목의 초기값에서 학습장애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가 갖는 교육적 의미와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self- efficacy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Latent growth modeling (LGM) with unconditional and conditional models was employed to estimate growth rate and initial status on self-efficacy among the two group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lop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Korean, Math, and English, but initial status on math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읽기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 잠재성장계층분석을 중심으로 -

        여승수 ( Seung Soo Yeo ),홍성두 ( Sung Doo H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하여 읽기장애 위험군 학생들을 질적 차이에 기반한하위 유형군으로 분류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최근 사회과학분야에서 새롭게 활용되고 있는 잠재성장계층분석(Latent Growth Class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잠재성장계층분석은 기존의 종단자료 분석 방법이 한 집단의 발달적 특성은 동질적이라는 가정 하에 출발했었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개발된 분석 방법이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한 집단에 소속된 개인들도 그 집단 전체의 특성과 달리 다양한 발달적 특성을 갖고 있을 개연성이 매우 높다. 잠재성장계층모형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 종단적 연구 방법이다. 잠재성장계층모형은 기존의 변수중심의 분석 방법과는 달리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 중심의 분석 방법으로 이해되며, 다양한 발달적 특성을 가진 하위그룹을 추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BM 읽기자료를 바탕으로 읽기위험군 학생들을 잠재성장계층분석을 통해 하위유형으로 재분류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읽기장애의 질적인 차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udents at risk for reading disabilities using latent growth class analysis that is referred to as cutting-edge skill in education. Recently, statistical techniques for longitudinal data have received a great attention in the areas of social science. However, these techniques has one weakness: it assumes that a single growth rate is estimated to capture the pattern of growth rate for an entire population. In reality, it is common case that individuals can be categorized into distinct subgroups. The use of Latent Growth Class Analysis (LGCA) that is the relatively newer technique allows for modeling heterogeneity in distinct patterns of development. In this study, students at risk for reading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subgroups on the basis of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showed that the LGCA was a useful tool to identify subgroups of students who are at risk for reading disabilities.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용 ACCENT 지능검사의 구인타당도 연구

        김동일 ( Dong Il Kim ),여승수 ( Seung Soo Yeo ),홍성두 ( Sung Doo H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이 연구의 주된 목표는 새로 개발된 ACCENT(AChievement-Cognitive ability ENdorsementTests) 지능검사의 구인타당도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특별히 이 검사는 WISC(Wechsler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검사에서 이론적으로 가설된 3요인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3요인 모형이 2요인 모형보다 더 우수한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했다. 본 연구의 참여한 학생 수는 1,596명이며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동등한 비율로 표집 되었다. 두 모형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 확인적 요인 분석이 사용되었다. 2요인 모형과 3요인 모형의 비교에서 3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주의집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 학생들을 추가적으로 판별하는데 있어서 3요인 모형이 더욱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성별에 따른 측정 동등성 측면에서 남녀간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끝으로 교육학적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ACCENT(AChievement-Cognitive ability ENdorsement Tests). In the current study, data (n=1,596) were equally selected from first thorough sixth graders. Based on the intelligence theory on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WISC), it was necessary to invesitgate whether this test is fitted to two or three factors. As a result, the three - factor model provided most acceptable fit for all grade levels. In addition, the three - factor model was superior to the two - factor model in terms of clinical interpretation.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surement invariance (MI) between male and female. Results showed that the measurement structure of ACCENT was invariance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증거기반교수의 개념과 연구적 타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홍성두 ( Sung Doo Hong ),여승수 ( Seung Soo Ye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1

        증거기반교수(Evidence-Based Instruction or Evidence- Based Practice)는 특수교육분야에서 최근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 중 한가지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현장전문가들과 연구자들은 어떤 교수를 증거기반교수로 정의할 수 있는지와 증거기반교수를 결정하기 위한 체계적인 절차는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증거기반교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특수교육뿐만 아니라 의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증거기반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조작화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증거기반과 관련된 핵심주제 중에 한 가지인 연구적 증거 확보에 관한 몇 가지 논쟁점을 cook 등(2009)의 연구를 중심으로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관련된 시사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re has been increased attention in the view of applications of research based practice in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However, surprisingly, teachers and researchers have continued to debate both the defini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s and processes of identifying evidence-based practices. Considering these issues mentioned above, the main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investigate the way of defining evidence-based practices in other areas of medicine, clinical psychology, and general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evidence-based practice.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some issues on verifying research evidence that is one of important topics in evidence-based practice.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잠재성장계층분석을 중심으로-

        홍성두 ( Sung Doo Hong ),여승수 ( Seung Soo Ye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주된 연구목적은 잠재성장계층분석을 활용하여 중재반응모형이 수학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하위 유형 분류에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판별모형인지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1개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36명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수학(BASA-Math; 김동일, 2006)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수학능력을 모니터링 하였다. 또한 수학학습장애위험군 학생들의 하위유형에 따른 발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잠재성장계층모형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Tier 1에서는 4개의 그룹으로 발달적 특성을 구분할 수 있었고, Tier 2에서는 2개의 하위그룹으로 발달적 특성이 구분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잠재성장계층모형을 사용하면 중재반응모형을 통한 수학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가 가능하고, 이들의 발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교육적 함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students who are at risk for math. Participants included 236 students in Grade 3, monitored across 15 weeks using CBM math. Latent growth class analysis(LGCA) was employed to investigate whether distinct classes of participants at risk for math could be identified. As a result, in Tier 1, LGCA produced four classes of participants based on data from 1-5 weeks. In Tier 2, two classes were identified based on CBM math data collected on 10 measurement. This study showed that the LGCA was a useful tool to identify students at risk for math.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수학적 자기효능감 비교 연구

        여승수,손지영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1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유의한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학습장애 선별모형인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하여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선별한 후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A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 44명이었으며, 이들 중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으로 선별된 학생은 6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재반응모형으로 선별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두 집단은 동일한 수학적 자기효능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향후 연구 및 학교 현장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a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ithout math disabilities and students at risk for math in terms of academic self-efficacy. Especially, in this study response to intervention was used to identify students who are at risk for math. Participants were 44 third graders in the A city, 6 students at risk for math identify within an RTI model and 38 students without math disabilities. CBM as a progress monitoring measure was administered to assess students’ math achievements over 5 month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t risk for math and students without math disabilities in terms of math self-efficacy.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