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시각이 큰 마비사시 환자에게 시행한 안구의 안와골막고정술

        엄희동,권영기,손병재,전보영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3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periosteal fixation in patients with large-angle paralytic strabismus that was not corrected through conventional strabismus surgery. Methods: Four eyes of three patients with large-angle paralytic strabismus who underwent periosteal fixation from June 2014 to August 2014 were examined. All patients presented with exotropia > 50 prism diopters (PD). Two of them showed exotropia caused by chronic complete oculomotor nerve palsy; the other two showed exotropia caused by medial rectus muscle injury during endoscopic sinus surgery.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exodeviation using the Krimsky test was 58 ± 29 PD. The postoperative values were 6.5 ± 9.4 PD at 1 week, and 11.25 ± 2.5 PD at 6 months. The mean surgical effect of exodeviation was 43.75 ± 21.36 PD. Conclusions: Periosteal fixation is an effective surgery for the management of paralytic strabismus that was not corrected through conventional strabismus surgery. 목적: 고식적인 사시수술을 통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었던 사시각이 큰 마비사시 환자에서 안구의 안와골막고정술을 시행하여 수술 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4년 6월부터 2014년 8월까지 본원에서 사시각이 큰 마비사시로 진단받고 내안각 눈물언덕 결막을 통해 안구의 안와골막고정술을 시행한 3명, 4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 모두 수술 전 50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s, PD) 이상의 외편위를 보였으며, 외편위의 원인은 만성 완전 동안신경마비가 2안, 내시경적 부비동수술 중 발생한 내직근 손상이 2안이었다. 결과: 크림스키법(Krimsky test)으로 측정한 수술 전 평균 사시각은 58 ± 29PD였다. 수술 1주일 후 6.5 ± 9.4PD였으며, 수술 6개월 후 11.25 ± 2.5PD로 감소하였다. 경과관찰 동안 안구의 안와골막고정술에 의해 교정된 평균 사시각은 43.75 ± 21.36PD였다. 결론: 특발성 및 외상으로 인한 완전 동안신경마비, 내시경적 부비동수술에 의한 내직근 손상 등과 같이 고식적인 수술방법으로 사시 교정이 어려운 마비사시 환자들에게 안구의 안와골막고정술은 효과적인 수술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전염단핵구증에서 발생한 로트반점 및 전체포도막염 1예

        엄희동(Hee Dong Eom),윤정현(Jung Hyun Yoon),김종진(Jong Jin Kim),엄선정(Sun Jung Eum),박동호(Dong Ho Park),신재필(Jae Pil Shin)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6

        Purpose: To report a case of Roth spots, panuveitis, and infectious mononucleosis in a healthy adult. Case summary: An immunocompetent 30‐year‐old male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reduced visual acuity and a floating sense in both eyes of 2 days. He had experienced flu‐like symptoms including fever, sore throat, myalgia, and malaise for 10 days before visual acuity decreased. Hi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20/25 in both eyes and inflammatory cells were found in both the anterior chambers and the vitreous. Funduscopy revealed multiple retinal hemorrhages and Roth spots in both eyes. We prescribed topical steroid eye drops. A peripheral blood test revealed mild leukocytosis with lymphocytosis (60%) consisted of atypical lymphocyte (7%). Serologic examinations were positive for cytomegalovirus (CMV) immunoglobulin M (IgM) Ab and Epstein‐Barr virus IgM Ab. A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blood CMV was positive. The presumptive clinical diagnosis was Roth spots and panuveitis associated with infectious mononucleosis. Three weeks later, no inflammatory cells were apparent in the anterior chamber or vitreou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had recovered to 20/20 in both eyes, and the retinal hemorrhage had completely disappeared. Conclusions: Roth spots and panuveitis can be present in patients with infectious mononucleosis, which should thus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Roth spots. 목적: 건강한 성인에서 발생한 전염단핵구증에 동반된 로트반점과 전체포도막염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면역기능이 정상인 30세 남자가 2일 동안의 시력저하와 비문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시력저하가 있기 전 10일간의 발열, 인후통, 근육통, 무력감과 같은 감기 증상이 있었다. 양안 최대교정시력은 20/25였고 앞방과 유리체에 모두 염증세포가 보였다. 안저검사에서 양안 다수의 망막출혈과 로트반점이 관찰되었고 국소 스테로이드 점안 치료를 시작하였다. 말초혈액검사에서 림프구증가(60%) 및 비정형 림프구 증가(7%) 소견을 보였고 혈청학적 검사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면역글로불린 M (immunoglobulin M, IgM) 항체와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IgM 항체 양성 소견을 보였다. 거대세포바이러스에 대한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다. 추정 임상 진단은 전염단핵구증으로 인한 로트반점을 동반한 전체포도막염이었다. 3주 후 앞방 및 유리체에 염증세포는 보이지 않았고 양안 최대교정시력은 20/20으로 회복되었으며, 망막출혈은 완전히 사라졌다. 결론: 전염단핵구증에서 로트반점과 전체포도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로트반점의 감별 진단에 전염단핵구증을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반복각막진무름에서 전안부빛간섭단층촬영으로 관찰되는 비정상 소견에 대한 임상분석

        김유민,엄희동,윤동희,김홍균 대한안과학회 2019 대한안과학회지 Vol.60 No.12

        Purpose: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abnormal findings seen in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t tomography and the recurrence rate in patients with recurrent corneal erosion syndrome. Methods: Between January 2015 and August 2018, 53 eyes of 52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recurrent corneal erosion syndrome were included in the study. Follow-up was performed for 12 months. To confirm the recurrence, we questioned the subjects on their symptoms and performed slit lamp examinations. At the first visit, the second week, and the first month, we performed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t tomography to identify pathologic findings for recurrent corneal erosion syndrome. Results: In 12 months, 29 eyes (54.7%) had a recurrence of corneal erosion and 24 eyes (45.3%) had no recur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sex, trauma, diabetes mellitus, or meibomian gland dysfunction between the recurrent and non-recurrent groups. Among the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t tomography findings, anterior stromal hyper-reflectivity, undetected epithelial basement membrane, intraepithelial basement membrane, intraepithelial inclus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irst month, corneal epithelial edema was 82.8% in the recurrent group, but 33.3% in the non-recurrent group.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00). Corneal epithelial thickness lowered significantly in the non-recurrent group, but not in the recurrent group in the first month. In other words, epithelial edema improved in the non-recurrent group, whereas epithelial edema did not improve in the recurrent group. Conclusions: If corneal epithelial edema is not treated in patients with recurrent corneal erosion syndrome, high possibility of a recurrence should be considered. 목적: 반복각막진무름환자들에서 전안부빛간섭단층촬영으로 확인되는 비정상 소견에 대한 분석과 재발률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8년 8월 사이에 본원 안과에서 반복각막진무름을 진단받은 52명, 53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과 관찰은 12개월 동안 이루어졌으며 재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문진 및 세극등현미경검사를 시행하였다. 첫 방문, 2주째, 1개월째 전안부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여 반복각막진무름의 비정상 소견을 확인하였다. 결과: 12개월의 경과 관찰기간 동안 각막진무름이 재발한 경우는 29안(54.7%), 재발하지 않은 경우는 24안(45.3%)이었다. 재발한 군과 재발하지 않은 군 간의 나이, 성별, 외상력, 당뇨, 마이봄샘기능부전 유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안부빛간섭단층촬영 시 나타나는 반복각막진무름의 비정상 소견 중 전측실질의 고반사성, 각막상피바닥막의 소실, 상피내 바닥막, 상피내 내포물은 재발한 군과 재발하지 않은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피부종은 1개월째 재발한 군에서는 82.8%, 재발하지 않은 군에서는 33.3%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경과 관찰 1개월 동안 재발하지 않은 군에서는 각막상피두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재발한 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다시 말해 재발하지 않은 군에서는 각막상피부종이 호전되었으나, 재발한 군에서는 각막상피부종이 지속되었다. 결론: 반복각막진무름환자에서 각막상피부종이 지속되는 경우 높은 재발 가능성을 고려하여 주의 깊은 관찰과 치료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