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도(江原道) 평창군(平昌郡) 가리왕산(加里旺山) 및 중왕산(中王山) 지역(地域) 층층나무의 입지(立地) 및 성장(成長) 특성(特性)

        엄태원,이돈구,Um, Tae Won,Lee, Don Koo 한국산림과학회 200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0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dominating Cornus controversa in the hardwood stands at Mt. Gariwang and Mt. Joongwang area located in Pyungchang-gun, Kangwon-do. The C. controversa was mainly distributed at the rather steep slope and aspect facing from northeast to northwest, and altitudes ranging from 800 to 1,100m. The C. controversa grew at relatively deep A soil layer with high moisture and nutrients. Major competing species in upper stories were Quercus mongolica, Acer mandshuricum, Salix hulteni, Acer pictum, and herb plants such as Polystichum tripteron, Dryopteris crassirhizoma, Meehania urticifolia, Pseudostellaria pahbiniana, Ligularia fischeri, Impatiens noli-tangere, Corydalis speciosa in the floor. The average annual diameter growth of C. controversa according to the altitude was $4.06({\pm}0.90)mm$ below 900m, $2.51({\pm}0.65)mm$ from 900 to 1,000m, $3.28({\pm}0.12)mm$ from 1,000m to 1,100m and $2.81({\pm}0.35)mm$ above 1,100m. Good annual growth was shown at northwest site, but no difference due to micro-topography.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및 중왕산 지역 천연 활엽수림내에 분포하고 있는 층층나무의 입지 및 생장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 지역에 출현하는 층층나무림의 지형적 특성은 해발 고도 800m~1,100m에 경사가 급하며, 북동에서 북서방향인 사면-계곡사면이었다. 층층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 특성은 A층의 토양 깊이가 평균 14.3cm로 깊고, 수분함량은 약 37.2%로 높으며, 토양 양료가 비옥한 지역이었다. 또한 층층나무와 함께 상층 임관을 구성하는 주요 수종은 신갈나무, 복장나무, 난티나무, 고로쇠나무 호랑버들 등 이었으며, 층층나무림내 하층 초본류는 십자고사리, 관중, 벌깨덩굴, 큰개별꽃, 곰취, 물봉선, 산괴불주머니, 참나물 등이 출현하였다. 해발고에 따른 층층나무의 생장은 해발고 900m 이하 지역에서 연평균직경생장량이 $4.06({\pm}0.90)mm$, 900m~1,000m 지역에서는 $2.51({\pm}0.65)mm$로 나타났다. 또한 해발고 1,000~1,100m 지역에서는 $3.28({\pm}0.12)mm$, 1,100m 이상 지역에서는 $2.81({\pm}0.35)mm$로 생장이 둔화되었다. 주로 북서사면에서 생장이 좋았으나 지형에 따른 생장량의 차이는 없었다.

      • KCI등재

        버스트 부분 재전송 메커니즘을 적용한 OBS 네트워크 성능 분석

        엄태원,최성곤,최준균,정태수,강성수,Um Tai-Won,Choi Seong Gon,Choi Jun Kyun,Jeong Tae Soo,Kang Sungs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2 No.6

        본 논문은 Optical Burst Switching(OBS) 네트워크상에서 버스트 부분 재전송 시그널링을 적용하여 버스트 층돌이 발생하였을 때 입구 노드에서 손실된 버스트 부분을 재전송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버스트 부분 재전송 메커니즘을 확장한 광 자원 예약 방식을 기술하였다. 제안된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버스트 층돌로 인한 데이터손실을 OBS 계층에서 복원할 수 있고, 광 채널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OBS 기능들을 NS2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구현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재전송을 위해 OBS 시그널링 기간동안 입구 노드에서 버스트를 저장함으로 인해서 필요로 되는 입구 노드 버퍼크기가 증가하는 대신 OBS 네트워크의 채널 이용률이 획기적으로 향상됨을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We investigate the effects on performance of using a partial retransmission mechanism in Optical Burst Switched(OBS) networks. In our scheme, the lost segments of a burst are retransmitted in the OBS layer. We also propose an optical resource reservation using the partial retransmission mechanism. Our scheme attempts to improve the burst contention resolution and optical channel utilization.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chanism is analyzed by NS2 simulations.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link utilization of the OBS network is improved makedly at the expense of signaling and ingress buffers.

      • 제1분과 : 보호지역 관리 ; 낙엽송 인공조림의 벌채밀도에 따른 변화

        엄태원 ( Tae Won Um ),홍종민 ( Jong Min H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1970년대 전국적인 조림정책으로 식재된 낙엽송인공조림지가 국립공원 내 위치하고 있어 이를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종다양성이 풍부한 활엽수림으로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에 오대산국립공원내 월정사지역의 낙엽송림을 대상으로 2009년 밀도별(30%, 50%, 70%) 솎아베기(간벌) 후 2010년부터 2013년까지 활엽수의 천연갱신 양상을 조사하였다.각 벌채지별 3년간 치수발생량의 변화를 표 3에 보였다. 30%벌채구에서는 고추나무(131본) 등의 관목과 복자기나무(22본), 층층나무(25본), 물푸레나무(31본), 귀룽나무(66본) 등 교목성 치수들이 상당수 유입되고 있다. 그러나 유입된 목본류중 교목성 수종 대부분이 초본과의 경쟁에서 도태되어 고사하고 있으나 고추나무, 지렁쿠나무 등은 지속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교목성 수종 중 귀룽나무와 물푸레나무의 경우 치수발생량 및 생존율이 높아 일정 시간 경과후 하층 식생을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50% 벌채구는 30% 벌채지에 비해 치수의 발생량과 초본류의 발생량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층부에 활엽수가 군상으로 존치되어 이들의 종자가 임상으로 유입되고 있지만 임상에 생육하는 조릿대의 영향으로 발생량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낙엽송림의 활엽수림으로의 유도뿐만 아니라 활엽수의 천연갱신 유도시 임상에 생육하는 조릿대의 제거는 필수적이라 판단된다. 발생된 치수 중 가장 큰 비율을 나타낸 것이 고추나무(151본)와 관목류인 국수나무(39본)이며 교목성 수종 중에는 귀룽나무가 22본, 층층나무 14본, 물푸레나무가 13본이 발생되었다. 특이할 만한 것은 침엽수인 젓나무 치수가 5본이 발생되어 생육하고 있다. 70% 벌채구는 벌채 후 거의 전광에 가까운 광의 유입으로 조릿대가 번성하여 교목성수종의 발아량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귀룽나무, 층층나무 등 교목성 수종의 치수 발생량은 3년 동안 10개체 이하로 매우 저조하였다. 그러나 관목성수종인 국수나무의 경우 벌채 후 3년 경과 후인 2013년 308개체가 발생되었다. 또한 강한 광을 선호하여 산림벌채후발생된 공간이나 임도의 절.성토면에 주로 발생되는 두릅나무의 개체수가 2012년에 103개체, 2013년에 75개체로 나타났다. 두릅나무의 경우 초기 생장이 우수하여 하층의 대부분이 두릅나무로 잠식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강도의 벌채로 임상으로 유입되는 전광에 가까운 광으로 인해 조릿대의 번성과 두릅나무의 번성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 인해 원래 목적으로 하였던 활엽수 치수의 발생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할 것으로 보여진다. 벌채구별 평균 고사율은 30% 벌채구에서 9.43%, 50%벌채구에서 12.72%, 70% 벌채구에서 8.33%로 나타났다. 각 벌채구별 고사율은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별도의 표시는 하지 않았지만 약 10%내외의 고사율을보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양양군 국유림 지역의 음이온 농도와 임상, 숲 관련인자와의 상관

        엄태원 ( Tae Won Um ),김갑태 ( Gab Ta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5

        본 숲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의 농도가 임상과 숲 관련인자에 따른 변이를 파악하고자, 강원도 고성군, 양양군에 위치한 국유림지역에서 52개의 방형구에서 산림조사와 음이온의 농도를 측정하고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측정된 음이온의 평균값 2,405개/㎤는 일반적인 숲에서 보고된 2,000개/㎤보다는 조금 높은 값이었다. 음이온 농도와 지형에서는 5% 유의수준에서, 음이온 농도와 토양수분, 해발고에서는 1% 유의수준에서 각각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음이온 농도는 토양수분 수준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다습한 지역에서 평균 음이온 농도가 4,524.4개/㎤로 가장 높았다. 지형에서는 계곡부 조사지의 평균 음이온 농도가 3,372.4개/㎤로 가장 높았으며, 사면, 능선 순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측정시간대에서는 오전(12시 이전)에 측정된 평균 음이온 농도가 3,133.4개/㎤로 가장 높았으며, 낮(12:00~15:00), 저녁(15시 이후) 순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임상에서는 활엽수 혼효림에서 측정된 평균 음이온 농도가 3,503.9개/㎤로 가장 높았으며, 참나무림, 소나무림, 소나무-참나무 혼효림 순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치유의 숲 입지선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anion concentrations in relation to forest type, forest-related factors, forest survey and anion concentrations measurement were carried out on the 52 quadrats located at the national forest areas in Yangyang-gun, Kangwon-do. The relationship between anion concentrations and forest-related factors were correlated. Total mean of anion concentration was 2,405 ea/㎤,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general figures 2,000e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anion concentrations and soil moisture contents, and also between anion concentrations and altitud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anion concentrations and topography. Anio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oil moisture levels. Mean anion concentration were highest at 4,524.4ea/㎤ in on wet sites, and followed slightly wet sites and moderate sites. Mean anion concentrations was highest on valley sites at 3,372.4ea/㎤, followed by slope and ridge areas. Mean anion concentrations measured before noon was highest at 3,133.4ea/㎤, and measurements during 12:00~15:00 and after 15:00, showed relatively low anion concentrations. Mean anion concentrations was highest at mixed deciduous forests at 3,503.9ea/㎤, followed by oak forests, pine forests, and pine-oak forests.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in planning therapeutic forests.

      • KCI등재

        낙엽송인공림의 간벌강도에 따른 수종 및 임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오대산국립공원 지역-

        엄태원 ( Tae Won U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4

        The artificially grown forests of larch, planted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wide afforestation policy in the 1970s, are located inside national parks. This study intended to induce a forestation system by which the forests develop into an ecologically healthy and broadleaved ecosystem with broad species diversity. For this, the aspects of natural regeneration of broadleaves from 2010 to 2013 after thinning by density (30%, 50%, and 70%) in 2009 were surveyed using the larch forest in the Woljeong Temple region inside Odaesan National Park. There were no trees that were larger than 2 ㎝in in diameter at breast height among the trees recently introduced between 2012 and 2013. A significant number of herbs have been introduced to the subsurface alongside young arboreal trees species such as Bumalda bladdernut, Acer triflorum, Cornus controversa etc and shrubs. However, many woody species did not survive the competition with herbs and repeated withering and regeneration. The number of woody species generated within the 30% cutting area was 440 species in 2013 and this figure has been increasing twofold each year. The number of woody plants within the 50% cutting area also showed an upward tendency and most plants did not survive in the competition with herbs and Sasa borealis and withered in only 1 ~ 2 years after generation. Unlike other thinning areas, the 70% cutting area showed 608 broadleaved trees, reflecting a decrease from 748 trees in 2012. This appeared to be attributed to the luxuriance of S. borealis and the sharp increase of fatsia following the inflow of total sunlight to the forest floor. Herbs were hardly generated due to the influence of S. borealis. Regarding the density for thinning at 50% or upper height, the forest treatment division shall maintain a proper density in the course of inducing artificial forestation of larch into natural broadleaved forests considering the luxuriance of sasa borealis and herbs due to the inflow of total sunlight to the forest floo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및 중왕산 지역 층층나무의 입지 및 성장특성

        엄태원(Tae Won Um),이돈구(Don Koo Lee) 한국산림과학회 200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0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dominating Cornus controversa in the hardwood stands at Mt. Gariwang and Mt. Joongwang area located in Pyungchang-gun, Kangwon-do. The C. controversa was mainly distributed at the rather steep slope and aspect facing from northeast to northwest, and altitudes ranging from 800 to 1,100m. The C. controversa grew at relatively deep A soil layer with high moisture and nutrients. Major competing species in upper stories were Quercus mongolica, Acer mandshuricum, Salix hulteni, Acer pictum, and herb plants such as Polystichum tripteron, Dryopteris crassirhizoma, Meehania urticifolia, Pseudostellaria pahbiniana, Ligularia fischeri, Impatiens noli-tangere, Corydalis speciosa in the floor. The average annual diameter growth of C. controversa according to the altitude was 4.06(±0.90)㎜ below 900m, 2.51(±0.65)㎜ from 900 to 1,000m, 3.28(±0.12)㎜ from 1,000m to 1,100m and 2.81(±0.35)㎜ above 1,100m. Good annual growth was shown at northwest site, but no difference due to micro-topog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