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체험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엄태경 ( Tae-kyung Um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본 연구는 체험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의 과정을 통해 대학 체험 교육 프로그램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밝히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탐색적 연구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체험의 정의와 범위, 체험 교육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역량을 검토하였으며 다양한 형태의 체험 활동이 지니는 의미를 재평가하였다. 대학 교육 현장에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우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 교수의 스캐폴딩과 융합적 접근을 위한 지도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체험 실행의 계획 단계부터 최종 결과물 제시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글쓰기 교육을 실시하여 체험 교육의 형태를 체계화하고 교육적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 체험 교육은 놀이와 여가를 통해 지식을 구성하고 학습자의 성장을 이루어 낸다고 보는 탈근대적 관점의 교육관을 반영하고 있으며, 미래 사회에 더욱 강조되어야 하는 교육 철학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exploratory study to identify problems in the university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experiential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he academic definition and scope of experience, core competencies that can be improved through experiential education were reviewed, and the meaning of various types of experiential activities was reevaluated. In case of running the experience program in the university education field, the professors’ scaffolding and guidance for integrated academic approaches are very important for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o be carried out successfully. Especially, I suggested that at all stages of the experience program writing should be educated to systemize the process of experiential education and increase educational effect. The experiential education reflects a postmodern viewpoint of education that a learner’s knowledge is constructed through play and leisure, and has value as the educational philosophy that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future society.

      • KCI등재

        동양 고전 코퍼스를 활용한 대학 인성 한문 교재 개발

        엄태경 ( Um Tae Kyung ),정다솜 ( Jeong Da So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학 교양 한문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한문 교재의 목차 구성과 문장 선정의 방법을 모색하여 새로운 내용과 체제를 갖춘 교재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제언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양 한문 교육의 목표를 `인성 함양`으로 설정하였으며, 인성의 구성 요소 규명에 관한 교육학과 심리학 분야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교재의 목차를 구성하였다. 사서오경(四書五經)을 중심으로 한 동양 고전 코퍼스를 구축하고, 목차 구성에 반영된 인성 구인에 대한 키워드 검색 및 전문가 집단의 문장 선정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인생관과 생활 윤리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인성 한문 교재의 문장을 최종 선정하였다. 동양의 고전은 인성 교육의 역사가 반영되어 있는 훌륭한 학습 자료로서 이를 활용하여 교재의 내용을 구성함과 동시에, 최신 교수·학습 이론이 반영된 과제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학습 활동이 더해진다면 한문 학습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한문 교재의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t the direction of the Chinese classics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and to make educational propos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materials by preparing specific methods of making the syllabus and selecting example sentences. Firstly, the goal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was set up as `character cultivation`, and then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materials were organized, which reflect the effort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human character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education and psychology. Through the keyword search and the sentence selection process of the expert group, the sentences were selected under the categorization of the established constructs of human characters. Oriental classics are unmatched learning materials containing the history of character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effort to make the table of contents and select sentences, subsequent research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tasks and electronic materials to trigger learners` motivation and attitudes.

      • KCI등재

        영문법 학습 교재의 5문형 분류 체계

        엄태경(Tae-Kyung U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는 한국의 많은 영문법 학습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5형식 문형 분류에 대한 설명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외국어 학습자를 위해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문법을 ‘학습 문법’으로 명명하고, 교재 집필자가 학습 문법을 설정하고 교재를 구성하기 위해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 문법을 ‘참조 문법’으로 규정한 후, 이 두 문법에서의 문형 설명을 비교하여 국내 영문법 학습 교재에서 나타나는 설명의 단순화 및 오류를 검토하였다. 5문형 체계는 일본식 문법이라는 인식이 있으나, 이 분류 방식은 C. T. Onions에 의해 1929년 처음 소개된 이론으로서, 오히려 영어학적 이론 문법이 영문법 학습 교재에 반영된 예로 볼 수 있었다. 특히 ‘필수적 부사구’와 ‘유표적 구문’ 등에 관해 참조 문법의 내용이 반영된 새로운 설명의 시도들도 영문법 학습 교재 내에서 확인되었다. 정확성과 타당성에 기초한 학습 문법을 마련하기 위해 교재 집필자와 교사들이 해외의 권위있는 참조 문법서 및 이론 문법의 연구 성과를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영문법 학습 교재에서 발견되는 문법 설명의 오류를 피하고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도 더욱 정확한 문법 체계를 교수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of 5 sentence patterns which have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he English education in Korea. The ‘learning grammar’, which is defined as the grammar in learning materials, was compared with ‘reference grammar’ derived from linguistic grammar with theoretical accuracy and validity. Although the notion of 5 sentence patterns has been assumed to be vestiges of old Japan textbooks,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originally established in 1929 by C. T. Onions. Particularly, new explanations regarding ‘obligatory adjuncts’ and ‘marked construction’ were provided in the learning materials, which could be seen as examples of the reflection of linguistic grammar theories on sentence patterns. If reference grammarbooks and the fruits of linguistic grammar research are used actively, material writers can avoid the errors of grammar description and more correct learning grammar can be taught to advanced learners.

      • KCI등재

        아동 문학 코퍼스를 활용한 전치사 번역 개선에 관한 연구: The wonderful wizard of Oz의 ‘from’ 번역을 중심으로

        엄태경(Tae-Kyung Um),정다솜(Da-som Jeo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문학 작품에서 나타나는 전치사 ‘from’의 번역 양상을 분석하여, 영어 학습 을 위해 사용되는 한국어 번역의 개선에 대한 교육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기존의 영어 교육에서 일 반적으로 교수되었던 ‘from’의 의미와 용법을 통사론 분야의 선행 연구 및 영한사전을 기초로 분류한 다음, 􋺷The wonderful wizard of Oz􋺸의 전문가 번역문 코퍼스에서 ‘from’의 실전적 번역 사례를 추 출․검토하여 기존의 한국어 번역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번역의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영어 교육의 현 장에서는 전치사와 같은 기능어에 대한 번역이 한두 개의 고정된 어휘로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 데, 이러한 경우 사용 맥락이 고려된 진정성 있는 번역이 불가능해지고 어휘의 1:1 대응을 넘어서는 유연한 번역의 가능성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문학 작품에 대한 전문가의 번역을 활용하여 어휘와 문 법 범주에 대한 다양하고 세련된 번역 전략을 체계화하고 지속적으로 축적해 간다면, 영어 학습 교재 의 한국어 해설 등에 사용되는 번역 품질의 향상과 새로운 형태의 영작문 과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 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from in the professional translations of children s literary works, and to make educational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translation used in the English learning field. After classifying the meaning and usage of fro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syntactic and comparative linguistics, we extracted the translation examples of from from the expert translation corpora of “The wonderful wizard of Oz” and suggested translation strategie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used in educational field.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translation of functional words such as prepositions is often made up of a couple of cliche words. 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make authentic translation reflecting the context of language use, and also the possibility of flexible translation will be reduced. If diverse and sophisticated translation strategies for the vocabulary and grammar categories are systemized by using expert translations of literary works,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translations used in English learning materials and to develop a new type of English composition tasks.

      • KCI등재

        대학 독후감 쓰기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엄태경 ( Um Tae Ky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는 대학 독후감 교육이 지닌 문제점을 밝히고 그 개선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글의 장르에 대한 이해는 글쓰기 과정과 그 결과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먼저 독후감에 어떠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독후감 쓰기가 단순히 읽기를 점검하는 과제로서의 성격에서 벗어나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한 가지 방법이 되기 위해서는 독후감 쓰기에도 문학적 서평, 학술적 서평과 같은 학문적 프레임을 적용할 것이 요구된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읽기와 쓰기가 함께 학습될 때 그 효과성이 커질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식성 발달 단계에 놓여 있는 학습자들 각자에게 적합한 독서 후 활동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학생들이 모국어로 글을 쓰는 경우 느끼는 불안감은 외국어 학습 시에 느끼는 불안의 정도에 비해 결코 가볍지 않고, 과제로서의 독후감은 평가와 같은 외적 동기가 더 중요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글쓰기의 본질을 왜곡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개인적 성찰의 결과물을 글쓰기 능력의 측정 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으며, 결과물의 완성도에 집착하도록 하여 오히려 책읽기와 글쓰기의 의미를 퇴색하게 하는 현재의 독후감 교육을 대학에서 계속 유지할 것인가의 문제는 매우 시급히 논의되어야 할 사안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roblems of book report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y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Th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genre is very important for writing education. Therefore, it is crucial to draw an agreement on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book report. In order to become a way to develop learners` academic writing ability, academic frames such as literary book reviews and academic book reviews should be applied to book report writing educ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post-reading activities appropriate for each of the learners who are at various stages of literacy development, away from the vague expectation that educational effectiveness will increase when reading and writing are taught at the same time. The anxiety that college students feel when they write in their native language is never lower than the degree of anxiety they feel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t is very likely that the book report writing as a homework assignment will distort the essence of writing because extrinsic motivation such as evaluation is exerted. It is not reasonable to use personal reflection as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writing ability. The current book report writing system which make students and teachers focus mainly on the results of writing and also take the pleasure out of reading and writing is an urgent issue that needs readdressing and fixing in liberal arts education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