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연방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사적 고찰: 교육재정 지원정책을 둘러싼 정치적 쟁점을 중심으로

        박성수(Park, Seong Soo),엄기형(Eum, Key H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이 연구에서는 미국 주(state)의 교육에 대한 연방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지지하는 민주당과 개입을 반대하는 공화당의 정치적 논쟁과 그 결과로 나타난 주요 연방 정부 교육지원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1965년 민주당 주도로 제정한 초ㆍ 중등교육법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ESEA 1965) 이후 2001년 민주ㆍ공화 양당의 합의에 의해서 탄생한 낙오방지법(No Child Left behind Act 2001 : NCLB)제정 과정을 통하여 교육지원정책을 둘러싼 논쟁과 접점을 찾아가는 과정은 국가단위 교육정책을 추진하는 우리에게 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This study analyzes political debates and results between the Democrat Party with federal intervention and the Republican Party with the decentralization system since the founding of the United States. From the beginning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rough World War II, the federal government half-heartedly made financial supports. However, the government have supported the States in earnest since World War II. The Democratic government opened a turning point in supporting a common education by enacting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of 1965(hereafter, ESEA 1965) in order to support the disadvantaged. ESEA 1965 had been attacked by the Republican Party. In addition, the Democrat Party had been enforced to not only accept School Choice and Standard Assessment Test but also do a policy switch of supporting all students. The No Child Left Behind Act of 2001 as a revision of ESEA was enacted as a result of a compromise between the Parties. The controversies and political compromises regarding the educational policy in the federal government in the United States give the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equivalent policies of education

      • KCI등재

        한국 교원정책연구의 지적구조 탐색 - 저자서지결합 분석을 중심으로 -

        유희균(Riew, Hee Kyun),엄기형(Eum, Key H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5

        이 연구는 한국 교원정책연구와 관련된 주요 저자들 사이의 인용관계로 인해 나타나는 ‘지적구조’를 분석하는 학문적 작업이다. ‘지적구조’의 의미는 학문을 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어떤 학문 분야의 주요 개념, 세부주제영역, 연구방법, 학파 등 계량서지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지적구조로서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등재(후보) 학술지에 2002년~ 2014년 7월까지 게재된 교원정책 관련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저자서지결합 분석을 수행하여 한국 교원정책연구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주요 연구자 48명과 11개 군집, 교원정책연구의 9개 하위주제영역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원정책연구 분야의 신진연구자, 다른 연구자들과 폭넓게 연계된 연구자, 자신의 군집에서 영향력 있는 연구자, 교원정책연구의 핵심 주제영역이면서 교원정책연구 전반에 걸쳐 폭넓게 연계된 하위주제영역을 조사하였다. 이와 관련해 교원정책 전문 연구자 육성과 지속적인 연구활동을 위한 학문적․정책적 지원이 필요하고, 지금까지 연구되지않았던 영역과 주제에 대해서도 연구활동이 수행되어야 하며, 학문적 문제의식을 공유하고함께 연구를 해나가는 결속력 있는 학문공동체가 형성, 구축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It aimed to analyze the 'intellectual structure' which appears due to the citation relation among major authors related to Korea teacher policy researches. As the 'intellectual structure' is the same concept in the bibliometrics, it means the main concept, subordinate subject, research method, and schools of some disciplines formed in the course of the studies. Research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through the Korea Citation Index(KCI) DB as the teacher policy relate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CI registration academic journal from 2002 to 2014. It determined 48 major researchers who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eacher policy research field, 11 groups and 9 subordinate subject areas as a result. Also, it investigated junior researchers in teacher policy research, the researchers who had broad network with others and who took influential network among their own group, and the subordinate subject as the core subject and had broad network with other subject of teacher policy research.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re necessary to train teacher policy professional researcher, support academically and politically for their continuous research, conduct research activities on the area that has not been researched so far, and share academic problem awareness and form a cohesive scientific community that proceed research together in order to ge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eacher policy research.

      • KCI등재

        주요 정당의 공교육정책 경쟁: 18대 국회 교육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김시진(Kim, Shijean),엄기형(Eum, Key-Hyu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2

        교육 정책 연구에서 비교적 주목받지 못했던 정당과 정당의 정책 활동에 대한 관심으로 출발한 본 연구는 18대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회의록을 중심으로 주요정당의 공교육 프레임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대체로 여/야 혹은 진보/보수의 성격과 상관없이 공교육을 사교육과의 대립 프레임 안에서 발언하고 있었고, 공교육 부실 담론을 다양한 비유를 통해 확대, 재생산 시키고 있었다. 한편, 공교육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평등주의와 시장주의 이념이 대립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보수계정당의 경우주로 공교육 질, 경쟁력저하를 문제로 진단하여, 다양성과 자율을 대안으로 제시한 반면, 진보계 정당은 공교육 부실과 사교육비 증가를 문제 자체로 진단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균등한 교육 기회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This paper is geared at analyzing the frame of the public education that major parties had taken, by focusing on proceedings registered during the Education Committee of the 18th National Assembly. Subsequent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regardless of the tendency of the ruling party or the opposition party and progressive or conservative party, the public education was only described within the limited frame of confrontation over private education, and all the identified parties expanded and regenerated the faithless discourse on public education through various analogies. Meanwhile, there appeared a distinct opposition between equalitarianism and market ideology from the point of view on how to tackle the public education problem and what to produce as solutions. The conservative parties diagnosed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and the decline of competitiveness to be the core of the problem whereas progressive parties pointed out the insolvency of public education and the increase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as the problem itself. For alternative moves to take effect, conservative parties suggested securing the diversity and autonomy while progressive parties called for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 KCI등재

        논문(論文) : 학부모의 자녀교육권 헌법판례분석

        최종길 ( Jong Gil Choi ),엄기형 ( Key Hyoung Eum ) 대한교육법학회 2014 敎育 法學 硏究 Vol.26 No.1

        ``학부모의 자녀교육권``은 비록 헌법 에 명시적으로 규정되지는 않았지만 헌법 제36조 제1항 등에 근거한 중요 기본권으로, 헌법재판소의 유권해석이다. 연구목적은 헌법재판 결과의 발전적 대안 모색을 위해 ``학부모의 자녀교육권`` 판례유형 분석과 판례해석을 통한 교육정책적 시사점 모색이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물 등 문헌분석과 헌법재판 판례분석이었다. 분석대상는 1988~2012년 선고된 초·중등교육 관련 판례이다. 연구결과, 1)헌법재판 청구건수 증가추세로 국민 권리의식 높아지므로 교육정책 입안단계에서부터 여론수렴과 헌법해석적 검토가 필요하다. 2)재판청구에서 추가로 평등권·행복추구권 등 기본권 침해 주장 많으므로, 강한 평등의식과 개인중심사고의 강화경향 고려하여 정책형성에서 형평성 제고 등 적극 고려해야 한다. 3)재판청구 유형은 자녀교육의 ``형성권으로서의 선택권``, ``결정권으로서의 참여권``, ``이행권으로서의 요구권``이다. 정책형성자는 이를 적극 반영해야 한다. 4)피청구인 없는 재판 청구가 대부분으로, 법령의 위헌여부 재판이 많음을 뜻하므로, 법령 제·개정시 교육주체들 간 권리관계 심층파악 필요 있다. 5)본안심사 판례 5/6이 국가의 교육 규율권을 더 중시한 결정이므로, 헌재 결정성향이 보수적·소극적인 점 고려하여, 반대의견 등 쟁점을 정부가 발전적 수용하고, 교육수요자 권리 적극 보호 필요성 있다. 6)학부모 자녀교육권행사에 있어서 다른 교육주체에 대한 한계로는 자녀의 교육환경 자기결정권·행복추구권 등, 국가 교육책임과의 한계로는 ``교육제도 법률주의``가 있다. 자녀교육권 강화에는 헌법논쟁 미연방지 필요 있다. 7)교사권리는 헌법권리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즉, 교육에서 교사의 교수권은 자연법적으로는 학부모 자녀교육권 신탁, 실정법상으로는 국가위임 직무상 권리라고 보고 있다. 8)사학 운영 자유의 한계로는 교육참여 학부모권과 함께 국민의 교육권과 학부모 자녀교육권 적절한 보장 위해 국가 개입권 인정하였다. 학부모에게 사학 선택권 보장, 사학 운영 자율성 상향보장 필요성이 있다. Parents` rights to educate their children is not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but it is the important, basic rights which is rul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ek the implication about interpretation of the precedent and law, and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through the analysis on the preced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bout parents` rights to educate their children. The conclusions are as : First, after 2001, the numbers of claims about parents` rights to educate their children to the Constitutional Court is increasing. Second, in the claims about parents` rights to educate their children to Constitutional Court, besides this, there are many who suffer violation of the rights to equality and the 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Third, claims about parents` rights to educate their children to Constitutional Court have these three kinds, the right of choice as the rights of formation, the right to participate as the right to decide, the right to request as the right to perform. Fourth, when making and amending relational statute,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out the rights relation carefully between the people directly involved education. Fifth, in the evaluation of this case, only three claims are decided as the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the decisions of fifteen claims shows the right to rule is more important. Sixth, in the point of using parents` rights to educate their children, there are limitations that children also have the right to choose their educational surroundings and the 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Finally, teacher`s rights to educate is not recognized as the right of the co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