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옹몽유록(謾翁夢遊錄)」의 형상화 양상과 특징

        양혜승 ( Yang Hye-Se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1 No.-

        본 논문은 단순한 서술구조때문에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지만, 조선후기 문화적 경향과 문학 양식의 변모를 차용하여 작품화한 「만옹몽유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작품은 자유로운 서사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몽유를 전개하고 있다. 즉자적 자아 및 관심을 드러내는 형상화 방식은 ‘자기서사’라 할 수 있는데, 사변성이 글감의 소재로 확장된 것이다. 이 시기 한문산문에서도 변화가 감지되는데, 小品文은 단형화와 사변화를 통해 전성기를 맞았다. 夢記는 사실적인 꿈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몽유록과는 변별되었지만, 새로운 형태로 반경을 확장시킨다. 山水遊記는 산수유람의 유행으로 출현했는데 몽기의 소재로도 한 유형을 이루었다. 이런 臥遊型 몽기는 18세기부터 시도된 양식적 실험 중의 하나이다. 「만옹몽유록」은 이런 문학의 양식적 변화와 교섭을 통해 탄생한 작품이다. 「만옹몽유록」의 특징은 비판과 토론의 부재와 유람을 하는 여행 서사인데, 이는 仙緣과 유람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한 장치로 보인다. 작품에는 두 가지 형태의 공간이 나타난다. 몽유자를 꿈 속으로 이끄는 선계와 ‘중국명승지’라는 현실의 공간이다. 내용면에서는 遇人 모티프와 유람(臥遊) 모티프가 혼효된 특징을 보여준다. 선인은 몽유자의 가치를 알아주는 知我者와 유람의 안내자 역할을 동시에 한다. 조선후기는 자신을 비하하는 명명법을 쓰는가 하면 개성적인 글쓰기와 사변적 경향이 형성되는 시기였다. 이런 특징은 작자의 명명을 통해서도 드러나고 독특한 서술구조 및 내용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만옹몽유록」은 주제를 구현하는 방식이나 서술구조에 있어 몽유록의 양식적 역동을 보여주었다. 비슷한 양상을 겪었던 타장르와의 교섭을 통해 19세기 서사장르의 특징과 문예적 현상을 잘 드러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개인 주체의 사유를 표현하는 자기서사로 형상화된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19th-century Mongyurok, “Manong Mongyurok”. Although it was not recognized for its unique monolithic Mongyurok, it was focused on the fact that it was a Mongyurok that was made into a work by borr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cultural trends and literary styl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nong Mongyurok” is developing the contents of Mongyurok by securing the author’s own free narrative, away from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previous Mong Yurok. He is turning the narrative to his own interests and stories. The formative style of self-explanatory and self-exposing areas of interest can be called ‘self-description’. Personal inner and personal stories have expanded to the subject of writing. Mongyurok was cre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formative changes and negotiations of literature, such as the monolithic and historical changes of props, the trend of the landscape tour, and the emergence of Wa Tangible Mong. There are two forms of space in the “Manong Mongyurok” . The first is the second space called “China’s Scenic Site”, which is the ideal world that leads sleepwalkers into dreams during the process of dreaming. The space of travel, which is a famous place in China, is a space that exists in reality and a fantasy space that the author could not actually go. The “Manong Mongyurok”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mixed with the motif of meeting people in the ideal world and the motif of space travel. There are two roles of xian. It confirms that ‘Bulonjae’ has an Taoist connection and also serves as a guide to natural travel and recognizes his valu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 new trend was formed, with unique writing and different tastes and personalities. This trend is also shown in “The Manmongmong Yurok”, which is not clearly evident in the work itself, but is also revealed through the names of the author and the dreamer, and can be seen through narrative structure and individual contents. It is shaped into a self-description that expresses the inside and the reason of the individual subject through the dream.

      • KCI등재후보

        드라마의 호화로운 삶 묘사가 프로그램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양혜승(Hye-Seung Yang)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1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1

        기존 연구들은 드라마 속의 화려한 삶의 이미지가 시청자들에게 상대적 박탈감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유발할 수 있음에 주목해 왔다. 하지만 화려한 삶을 그려내는 드라마가 시청자들에게 간접경험이나 대리만족과 같은 즐거움을 제공할 가능성 또한 부정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우리 드라마가 어떤 수준으로 화려한 삶의 묘사에 치중하고 있는지, 그리고 화려한 삶을 묘사하는 드라마가 과연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는지를 고찰했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 두 해 동안에 지상파 종합편성 채널에 편성된 드라마 130편을 대상으로, 주요 등장인물들의 직업과 주거 수준을 내용분석했다. 아울러 각 드라마의 시청률 자료를 획득하여, 직업과 주거 수준이 프로그램의 시청률과는 어떤 관계를 맺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우리 드라마 주요 등장인물 중 재벌과 고위 경영자의 비율은 13.3%에 이르렀으며, 이들은 다른 직업을 가진 등장인물에 비해 높은 시청률을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위 5% 계층이 거주할 만한 주택이 전체 주택 이미지 중 40% 수준에서 묘사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화려한 주택 이미지가 등장하는 프로그램이 그렇지 않은 프로그램에 비해 높은 시청률을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이론적인 함의 그리고 우리 방송문화에 대한 고민을 제기했다. Research has criticized the luxurious life images portrayed on TV drama programming for their possible negative psychological effects on viewers, such as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However, it is also conceivable that such portrayals may provide viewers with positive feelings derived from vicarious gratifica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d how Korean TV drama programming is weighted toward luxurious life and subsequently examined if the drama programs containing luxurious life images score higher program ratings. This study content analyzed 130 TV drama programs from Korean broadcast networks to examine various occupations and dwelling levels of leading characters. Subsequently, the data from the content analysis were checked with the ratings of the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3.3% of the leading characters were chabols or higher management people, with this occupational category scoring the highest program rating.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40% of the dwelling houses were luxurious ones that are presumably owned by top 5% people in Korea, with this dwelling level scoring the highest program rating. Consequently, theore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these findings.

      • KCI등재

        <절화기담>과 <포의교집>에 나타난 애정 세태의 양상

        양혜승(Yang, Hye-Seung) 동남어문학회 2017 동남어문논집 Vol.1 No.44

        본고는 19세기의 소설인 <절화기담>과 <포의교집>을 대상으로 19세기 한양이라는 도시에서 일어난 사랑이야기며 인간의 보편적 욕망을 솔직하게 인정한 소설이라는 점에서 논의를 전개해 보았다. 우선 19세기 한양의 모습에 대해 고찰하여 상업이 발달하고 외국과의 문물 교류가 활발했던 한양의 유흥적 분위기, 그런 분위기를 타고 소설 외의 문학 갈래에서도 현세 향락 적인 경향의 작품이 다수 출현했으며 위의 두 소설도 그런 연장선상에서 나온 소설이라고 논의했다. 소설의 내용에서는 두 작품 모두 유부남과 유부녀의 일탈적인 사랑과 욕망의 긍정이라는 공통점이 있다고 했으며 이들의 일회적으로 보이는 사랑에 진정성과 절실함이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는 점을 피력했다. 그런 면에서 애정전기 소설의 범주로 묶으려는 논의는 시정되어야 한다. 위 두 소설은 19세기 한양의 세태를 잘 보여주었으나 일상성을 담보한 전반적인 사회의 분위기를 보여준 것이 아니라 향락적이었던 사회의 단면을 보여 준 소설로서 세태 소설의 범주에 넣을 수 있으며 좀 더 자세히 분류하자면 애정 세태소설의 범주에 들어갈 수 있다는 점을 논의했다. 이 소설의 파격성은 당시 조선의 전반적인 세태의 반영은 아니며 한양의 여러 사회 층위 중 낮은 시선의 욕망의 세태를 보여준 것이다. 여자 주인공이 하층 여성으로 설정된 것은 남자 주인공에게 있어 자신의 처지를 버릴 만큼 절실한 대상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인간 욕망의 보편성을 인정한 솔직함과 세태를 현장감 있게 드러낸 것은 의의가 인정되지만 인정받을 수 있는 사랑의 형태라고 보기는 힘들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한편, 두 소설은 여타 고소설 작품과는 다르게 서울을 주 무대로 하여 시간, 공간 배경 및 풍속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제시하여 생생한 현장감을 드러냈으며 시간적 배경도 실제 역사와 일치하여 소설에서 전개되는 사건에 사실성과 구체성을 담보한 것은 두 소설의 큰 가치라는 점을 인정하 였다. In this paper, I have discussed the novels of the 19th century, ‘Jeolhwagidam and ‘Pouigyojib , which is a novel about the love story that happened in the city of 19th century Hanyang and the honest recognition of the universal desire of man. In the 19th century, Hanyang s artistic atmosphere, in which commercial development and exchange of foreign cultures were vigorous, was inspired by the study of the 19th century Hanyang. The novel was also discussed as a novel on the extension line. In the novel s contents, both of them said that married men and married women have a common affection of love and desire, and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y have a sincere and desperate love. In this respect, the argument to tie it to the category of an affectionate novel should be corrected. The two novels showed a good picture of the 19th century Hanyang, but they did not show the general atmosphere of society that guaranteed daily life. Instead, they showed a section of a society that was fascinating and could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novels. And that it could fall into the category of novels. The novelty of this novel is not a reflection of the general situation of Joseon at the time, but it shows the desire of low gaze among the various social strata of Hanyang. It is because the male hero is not desperate enough to throw away her position because the female hero is set as the lower female.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view the honesty and the sadness that acknowledged the universality of human desire as a form of love that can be acknowledged but appreciated. On the other hand, the two novels, unlike the works of other high-quality novels, showed a vivid sense of reality by presenting concrete and realistic images of time, space background and customs with Seoul as the main stage. The temporal background also coincided with the actual history, I acknowledged that it is a great value of the two novels to guarantee the reality and concretenes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