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리드를 이용한 타입페이스

        양지은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그래픽 디자인에서 시각적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내용의 형태, 위치, 길이, 넓이 등을 결정하기 위해 우리는 사전에 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규칙과 그에 따른 결과에서 암시되는 규칙의 속성을 검토하기 위해 그리드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디자인을 비롯한 미술, 건축에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그리드의 맥락과 위상을 살펴본 후 조형적 판단을 위한 규칙과 장치로서 활자체 디자인을 위한 그리드 시스템 활용에 대해 실험한다. There are many ways to make a visual results in graphic design. In order to determine the type, position, length, width, etc. of content, we set the criteria for judging it in advance.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grid have been studied to examine the attribute of the rules implied in the process and the consequent resul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ntext and phase of the grid focusing on examples of art and architecture, including design, and then tests grid systems for typeface design as rules and devices for formative judgment.

      •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발달을 중심으로

        양지은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Media itself is the method of communication by nature. The communication is indispensable for mankind because it has been a primitive nature of mankind. In the earlier times, mankind communicated with mere gestures. Spoken language was used ever after, followed by writing and printing media. Then man began to communicate each other with the electronic media such as radios and televisions. The evolution of media could be interpreted as the changes of communication phases. After digital media has appeared, mankind faced a new communication era that they have never been able to experience before. Therefore, communication was born right after the appearance of mankind and has been going through human history. It, also, is widely known that it achieved great changes and developments ever since. The terminology, ‘digital’ has become a socio-cultural phenomenon that characterizes human lifestyle in the 21st century. No individual can live without the social environment where many components are being digitalized. Digital technology has produced fundamental changes to human life than anything else in history. Thus, digital media that stem from digital technology followed naturally. Internet has, in fact, the leading role of the new communication phases. Internet has made it possible to overcome the communication barriers of the existing media and has given mankind the unlimited world of communication. Mankind has become able to make a virtual communication that was thought to be impossible in the real world due to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Internet also improves the importance of the bi-way communication. In addition, internet enables users to be in a fantastic stage which has no border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respectively. Writing and printing media appeals only to the visual organ, and acoustic media needs only the hearing organ. However, internet makes use of the multiple senses of human being by utilizing the multimedia, and it works for restoring the human sense. Moreover, internet is making the environment where the face-to-face communication is, more likely, to be possible than any other present communication media. The various aspect of internet communications newly broadens and widens the human thought, life and behavior, and makes people find a new world. 미디어는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을 말하는 것으로, 인간은 본성인 사회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간에게 커뮤니케이션은 필수적이었다. 최초의 인류는 손짓, 몸짓으로 의사소통을 했으며, 음성언어가 형성되자 음성을 통해서, 뒤이어 문자, 인쇄미디어를 거쳐 라디오나 텔레비전 같은 전자미디어를 통해서 커뮤니케이션 해왔다. 미디어의 진화는 곧 커뮤니케이션 양상의 변화를 의미한다.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가 등장하자 인류는 기존 미디어로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커뮤니케이션은 인류의 출현과 동시에 태어나서 인류의 역사와 함께하였고, 미디어의 발전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해 왔다. 그리고 21세기에 들어서 ‘디지털(digital)’이라는 용어는 인간 삶의 양식을 특징짓는 하나의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자리를 잡아감으로써 어느 누구도 개개인의 사회적 환경을 구성하는 많은 부분들이 ‘디지털화’되는 현상을 결코 피해 갈 수는 없게 되었다. 디지털 기술은 인류 역사상 존재한 어떤 테크놀로지보다도 가장 빠른 속도로 그리고 광범위하게 우리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디지털 미디어를 탄생시켰다. 인터넷은 디지털 미디어의 대표적인 주자로서 기존 미디어들의 커뮤니케이션의 범위를 초월해 인간에게 커뮤니케이션의 무한한 확장을 가져다 주었다. 시간과 공간의 한계로 인해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던 상상 속의 의사소통행위가 가능해졌고, 양방향성이 강조되고, 생산자와 수용자의 구분이 사라질 정도로 이용자의 능동성이 보장된다. 인간의 감각 가운데 시각만을 이용하였던 문자 또는 인쇄미디어나 청각만을 이용한 음성미디어가 감각의 분리와 이성의 강조를 요구했던 것에 반해, 인터넷은 멀티미디어를 구현함으로써 인간의 복합감각의 사용으로 감성의 회복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은 기존의 매스미디어들보다 면 대 면 상황의 대인커뮤니케이션에 가장 가까운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의 이러한 측면들은 인간의 일상행위와 생각에 변화를 가져와 인간의 존재를 새롭게 인식하도록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다.

      •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사후관리 및 활성화방안 : - 태안군 별주부마을을 중심으로 -

        양지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eneral Agricultural,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the agricultural, mountain, and fishing villages to achiev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by the government. However, the project has not been properly managed after completion due to the lack of follow-up operation and management guidelines. Under the circumstance, this study aimed to select the target villages for follow-up management by analyzing their status after the development based on diagnostic indicator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on regions and villages where the project has been completed. This study also aimed to suggest a customized follow-up management promotion plan.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dition of the target villages, and on-site survey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current use and appearance of the facilities built through the project and their operation and management. In addition,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he village representatives to obtain personal opinions on the conflicts in the village, difficulties, a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and management desired by the villagers. A revitalization plan was developed by discus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issues that the village faces through resident workshops targeting the selected villages. The literature review examined the follow-up management evaluation index for the project and found that the focus was mainly on the result of the project, which led to the need for post-evaluation indicators focused on residents' use and management ability. A theoretical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diagnostic items regarding community and re-startup support.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from the key leader and organizational composition, facility utilization and management degree, profit structure and distribution, economic revitalization (income), conformity with initial purpose, resident participation and will, and community capacity. As a result of on-site investigations using evaluation indicators, it was found that village’s income projects were suspended or insufficient in most villages, and it was determined that it was not to be appropriate to perform the evaluation using items such as ‘facility utilization’, ‘profit structure and distribution’, and ‘economic revitalization.’ For this, the current conditions of ten sites were re-evaluated by reinterpreting the items in terms of 'development potential' while maintaining the framework of research and analysis. Factors deteriorating the development of villages were the low economic feasibility of the experience project, no experience in implementing related projects, the little will to participate, conflicts between residents, and aging.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sults, the target villages were divided into a type that does not have the will for additional projects due to conflicts related to the village project, a type that is well operated without significant problems, a type that had trials and errors due to lack of experience in promoting the project, a type that had conflicts between residents but has potentials according to experience and resources, and a type that lacks profitable business, or with the problem of an aging population or lacks active population. A target village to present a follow-up management revitalization plan was selected based on the potential for regeneration (development) of the village. Problems found during a resident workshop were the experiential programs designed for a large number of visitors and insufficient accommodation facilities, which were not suitable for the current demand of the visitors, the decrease in the use rate of the landmark, the lack of experience in making the best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need to reorganize the experiential programs through the change of use following the expiration of the follow-up management period of the Byeoljubu Center (*based on the Korean folk tale, Hare's Liver, Byeoljubu is a tortoise, one of the lead characters), the absence of a corporation as the main body of the village business, and the absence of operating rules and articles of association. The customized follow-up management promotion plans included the development of the Byeoljubu Story Road centered on storytelling, the remodeling of the Byeoljubu Center and development of a campgrou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grams related to Byeoljubu, the development of small and individual interactive tools, the introduction of a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and the organization of a corporation.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villages where the General Agricultural, Mountain, and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was carried out from the project completion up to today and performed interviews with residents and identified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tatus and the reason for insu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from residents’ view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primary data for preparing sustainable operation and management plans for village projects after follow-up consulting based on a diagnosis from a community’s perspective centered on a resident-directed operation.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은 정부의 국가균형발전이라는 목표하여 농산어촌 지역을 대상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이 완료된 이후, 사후 운영 및 관리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부재하여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이 완료된 권역 및 마을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진단지표를 통해 사후 현황을 분석하여 사후관리를 진행할 대상마을을 선정하고, 맞춤형 사후관리 활성화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지와 관련된 전반적인 현황 파악을 위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고, 현장 조사를 통해 사업으로 지어진 시설물의 현재 이용용도 및 현재 모습, 운영관리 상태 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마을에서 발생하고 있는 갈등 상황, 애로사항, 마을주민들이 원하는 운영관리 방향 등에 대한 직접적인 의견을 얻고자 주민대표들을 대상으로 주민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선정된 마을을 대상으로 주민 워크숍을 통해 마을이 현재 직면하고 있는 내·외부적인 문제에 대해 함께 논의하면서 활성화방안을 구상하였다. 문헌연구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사후관리 평가지표에 대해 고찰하였고, 주로 사업의 성과적인 부분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에 주민의 이용 및 관리능력에 초점을 둔 사후평가 지표가 필요하여 커뮤니티 및 재창업지원 측면에서의 진단항목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평가지표는 핵심 리더 및 조직구성, 시설물 활용도 및 관리도, 수익구조 및 분배 적절성, 경제 활성화(소득), 초기목적과의 부합성, 주민참여도 및 의지, 공동체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평가지표를 통한 현장 조사 결과, 대부분의 마을에서 마을소득사업이 중단되거나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고, ‘시설물의 활용도’, ‘수익구조 및 분배 적절성’, ‘경제 활성화’ 등의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게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연구분석 틀은 유지하되, ‘발전 가능성’의 측면에서 항목들을 재해석하여 10개소의 현황을 재평가하였고, 마을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은 체험사업의 경제성 저조, 관련 사업추진 경험 없음, 참여 의지 적음, 주민 간 갈등, 고령화 문제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연구대상지는 마을사업에 있어 갈등으로 추가사업 의지가 없는 유형, 뚜렷한 문제없이 잘 운영되고 있는 유형, 추진 경험이 부족하여 시행착오가 있었던 유형, 주민 간 갈등이 있지만 경험과 자원을 바탕으로 가능성이 있는 유형, 수익사업이 부재하거나 고령화 및 활동 가능 인구가 부족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마을의 재생(발전) 가능성을 기준으로 사후관리 활성화방안을 제시할 대상지가 선정되었으며, 주민 워크숍을 통해 문제점은 현 체험객의 수요에 적절하지 않은 대규모 체험객을 대상으로 한 체험프로그램과 부족한 숙박시설, 랜드마크의 이용률 저하 및 지역 특색을 살린 체험 부족, 별주부센터의 사후관리 기간 만료로 용도변경을 통한 체험프로그램 개편 필요, 마을사업의 운영 주체인 법인 부재 및 운영규약과 정관 부재로 나타났다. 이에 맞춤형 사후관리 활성화방안은 스토리텔링을 통한 별주부 이야기길 조성, 별주부센터 리모델링 및 마당 캠핑장 조성, 별주부 연계 문화프로그램 개발, 소규모 및 개별 체험 도구 개발, 책임운영 방식의 도입, 법인구성 등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이 완료된 이후 지금까지의 운영실태를 현장 조사, 주민인터뷰를 통해 조사함으로써 주민 중심의 관점에서 운영관리실태, 미흡한 원인을 파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주민주도적 운영 중심의 커뮤니티 관점에서의 진단을 통한 사후 컨설팅 이후 마을사업의 지속가능한 운영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칼 오르프(Carl Orff)의 교수법을 적용한 국악가창 수업 지도 방안 연구

        양지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오르프의 음악 교수법에 기초하여 국악가창수업에 효율적인 지도안을 오르프의 교육요소와 학습이론, 학습매체를 적용해 재구성하였다. 학습자에게 올바른 예술적 경험과 창의적이고, 자연스러운 표현감각을 체험할 수 있도록 음악 활동영역이 균형을 이룬 수업을 고안하였다. 현재 교육부에서 우리 음악문화의 계승을 통한 새로운 문화 패러다임의 창출을 강조하고 있지만 국악가창을 포함한 국악교육은 많은 학교들에서 여전히 주입식교육의 형태를 띠고 있다.‘국악가창수업’이 교수자들의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활동으로 보다 흥미롭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음악수업은 교사 중심이 아닌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되어야 하며, 학생 개개인의 음악적 능력에 관계없이 모두가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오르프 교수법에서 모둠별 수업 진행으로 다른 사람과의 상호협력을 통해 재미있고 다양한 음악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본 연구자는 오르프 교수법에 관한 여러 문헌 연구의 방법을 통하여 국악가창 수업의 실제적인 적용 원리를 추출하고 창의성 함양을 위한 오르프 교수법의 적용 의의에 대하여 고찰한 후 학습모형을 체계화하였다. 그리하여 국악가창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는 데 있어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고 실제적으로 학생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자진사랑가>를 제재곡으로 선정하였다.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국악가창 수업 지도안의 기대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가창 수업활동에 있어서 말하기와 신체표현을 활용하는 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국악의 어려운 장단(리듬)의 개념을 보다 쉽게 학습 할 수 있 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스스로 다양한 표현법을 배우게 된다. 둘째, 말하기와 신체표현,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합적으로 체험하여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한다. 셋째, 통합적인 음악 활동을 발전시켜 즉흥연주를 함으로써 응용력을 기르고 창의성을 배양한다. 넷째, 모둠별 활동을 통해 모두가 참여하여 구성원들 간에 음악적 생각을 교류하고 협동심을 비롯한 사회성을 개발한다. 오르프 교수법이 국악가창 수업지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은 이미 연구된 사실이다. 오르프 교수법을 응용하여 한국 음악교육 현실에 맞는 지도 방안을 고안하면서, 이 연구를 더 심화하고 계승하는 수업 지도안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음악교육의 실제 현장에서 이 연구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음악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길 바란다. The present paper proposes an efficient instructional plan for a Korean traditional singing class that encompasses the instructional components, learning theory and learning media based on the Orff instructional method. To enhance learners’creative and natural sense of expression as well as desirable artistic experiences, the developed instructional plan involves a range of well-balanced musical activities. Alth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s the creation of a new cultural paradigm inheri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culture,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including singing still depend on learning by rote. Instructors play pivotal roles in leading active and creative Korean traditional singing classes. Music classes should be oriented toward students, not teachers, so that the former can voluntarily engage in learning activities regardless of individual students’ musical skills. In the same vein, the Orff method involves group-based activities designed to facilitate students’ cooperation while they engage in diverse interesting musical experiences. The present study reviews the literature on the Orff method to derive practical principles applicable to Korean traditional singing classes and considers the significance of applying the Orff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to build a systematic learning model. ‘Jindo Arirang’and‘Jajin Sarangga’are selected as the materials that convey educational meanings underpinning the developed instructional plan for a Korean traditional singing class. The developed plan based on the Orff method is expected to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First, speaking and body expression used as part of the activities in the Korean traditional singing class enable students to easily learn the concepts of difficult rhythms of Korean traditional songs, and thus to learn diverse ways of expression. Second, diverse integrated experiences including speaking, body expression, sing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enable students to go through an array of musical experiences. Third, integrated musical activities leading to an impromptu performance enable students to develop practical abilities and creativity. Fourth, all students engage in group activities to exchange musical ideas and develop sociability including a sense of cooperation. The positive instructional effects of the Orff method on Korean traditional singing classes have been well documented.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Orff method in devising an instructional approach suitable for the reality of Korean music education and to develop instructional plans building on the present findings, which will hopefully prove conduciv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as well as to guiding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a right path in practice.

      • 발달 장애아 어머니의 부부 의사소통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양지은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부부 의사소통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12세 미만의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 161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Baron과 Kenny(1896)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부부 의사소통과 장애수용 및 삶의 만족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 또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부부 의사소통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부 의사소통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부부 의사소통이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장애수용을 통해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장애아를 위한 부모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건강하고 긍정적 삶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담 전략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얼굴정서판단과제를 이용한 정신병질 성향군의 정서처리 연구

        양지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properties of psychopathic tendency's emotion processing using a Web-based facial emotion decision task and a Change Blindness-facial emotion task. A psychopathic tendency and control group were selected out of both men and women students in the university by Levenson's Self-Report Psychopathy and Welsh Anxiety Scale. The result of study 1, which is a particular emotion processing deficit of a psychopathic tendency, a response accuracy of psychopathic tendency to happiness and surprise was lower than control group,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on the other han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ear and sadness. The study 2 on a deficit of particular emotion processing as regards attention was tested through a Change Blindness-facial emotion task. A response time of psychopathic tendency was slower than control group of attention and notice about change of emotion such as happiness, fear, anger, disgust, sadness, surprise.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mmary, psychopathic tendency has difficulty in processing happiness and surprise. It also has attention defect in notice of emotion change not only fear and sadness emotion, but also disgust, anger, surprise and happiness emotion. This study is illuminating about the properties of psychopathic tendency's emotion processing. If a evaluation tool which is related with emotion processing deficit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n the future, it can be made good use to discriminate a psychopathy. 본 연구는 두 가지 웹-기반 얼굴정서판단과제와 변화맹시-얼굴정서과제를 이용하여 정신병질 성향군의 정서처리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Levenson 자기보고식 정신병질 질문지(LSRP)와 Welsh 불안 척도(WAS)를 이용하여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신병질 성향군과 통제군을 선정하였다. 연구 1에서, 정신병질 성향군이 통제군에 비해 특정 정서를 처리하는데 결함을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얼굴정서판단과제를 실시하여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신병질 성향군이 통제군에 비해 행복과 놀람 정서를 판단하는데 유의하게 더 낮은 정반응률을 보였다. 이 결과로,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 중 놀람 정서를 정확하게 지각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공포, 슬픔 정서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 2에서, 특정 정서를 지각하여 변화를 탐지하는데 지속적인 주의 결함이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변화맹시-얼굴정서과제를 고안하여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신병질 성향군은 통제군에 비해 행복, 공포, 분노, 혐오, 슬픔, 놀람 정서의 변화를 주의하여 지각하는데 유의하게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다. 결과를 요약해보면, 정신병질 성향군은 통제군에 비하여 행복과 같은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 중 놀람 정서를 정확하게 지각하고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신병질 성향군은 공포, 슬픔 정서뿐만 아니라 혐오, 분노, 놀람 정서와 행복 정서에 주의를 기울여 지각하고 변화를 탐지하는 데 필요한 주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 정신병질 성향군의 정서처리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이 대학생이라는 점에서 흔히 알려져 있는 정신병질의 특성을 반영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과제들을 응용하여 성향군이 아닌 실제 정신병질의 특성을 지닌 범죄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연구를 일반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정서처리와 관련된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정신병질자를 변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부모를 중심으로

        양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애아동의 부모, 특히 주양육자가 되는 어머니는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자녀의 장애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은 자녀 양육에 대한 현실적, 심리적 부담감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많으며 이로 인해 점차적으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뢰가 감소되어 무력감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부모들에게 적용함으로써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의 실시가 참여자들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아울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경험이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부천시내에 위치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어머니 20명이며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의 어머니는 약 8주에 걸쳐 15회기로 진행된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그룹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소개 및 도입, 자기인식 및 감정의 경험, 자기노출, 지지적 그룹의 경험, 인식의 전환 및 종결의 순서로 크게 5단계로 나뉘어 실시되었다. 1단계에서는 프로그램과 그룹 구성원을 소개하면서 치료사와 구성원들간의 신뢰감을 형성하였고, 2단계에서는 구성원들이 양육과 자기효능감에 관련된 심리적인 주제를 탐색하고 감정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구성원들이 경험하고 확인한 감정 및 심리적인 주제들을 언어로 표현하거나 노래 속에 반영하여 심리상태에 대한 진정한 통찰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4단계에서는 치료사와 구성원들 사이에서 형성된 신뢰감을 바탕으로 지지적 그룹의 힘을 경험하고 구성원의 잘못된 인식이나 내부의 취약성에 대한 적절한 대응 방법을 습득해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마지막 단계에서는 구성원들 서로가 심리상태, 감정, 부정적인 양상의 변화에 대한 경험을 나누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Abidin, 1990)와 ’자기효능감 척도(The Generalized Self-Efficacy Scale: GSE)’(Tipton & Worthington, 1984)를 사용하였다.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와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한편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 참여자(실험집단)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구체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 평가 질문지를 참여자들이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마지막 세션에서 실시한 그룹 토론을 통해 얻게 된 내용을 녹음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전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어머니(실험집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의 변화정도는 통제집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의 변화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룹 음악심리치료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질문지와 녹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양육 스트레스의 감소에 영향을 준 구체적인 경험의 변화는 ‘자녀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 ‘스트레스의 해소’, ‘삶의 여유 공간 인식’, ‘감정의 공유’의 4개의 하위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증진에 영향을 준 구체적인 경험의 변화는 ‘나의 발견’, ‘새로운 자극’, ‘심리적 지지’의 3개의 하위영역으로 나타났다. 평가 질문지와 녹취 전사본에서 도출된 내용들의 의미를 고찰해 볼 때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어머니들은 자녀 양육에 있어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자신감이 증진됨을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장애아동의 양육으로 심리적인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이 부족한 어머니들에게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이들의 정서적인 안정과 자신감 획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장애아동 어머니들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라 할 수 있으나, 앞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폭넓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many difficulties in parenting because of their children's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Group music psychotherapy programs on parenting stress and self efficacy, an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wenty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twenty mothers were divided into 10 mothers for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music psychotherapy program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 Group music psycho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for 8 weeks. To prove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rist, a significant differences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parenting stress level.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s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self-efficacy level. From the qualitative analyses, four themes emerged from the decrement of parenting stress; Positive change of recognition about their children, Getting rid of stress, Keeping their composure, and Sharing of their emotions. And three themes emerged from the increment of self-efficacy; Discovery of oneself, New stimulus, and Mental Support. All the results described above shows that group music psychotherapy program gives positive effect to decrease in parenting stress and also to increase in self-efficacy. And new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can be proposed in the music therapeutic approach to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초등학교 교과서 속 분수 영역 분석 및 분수 의미에 대한 교사의 사고 분석 : SMK와 PCK 중심으로

        양지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The five meanings of fraction within textbooks and the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the five meanings of fraction. In my research, I analyzed the teachers’ Subject Matter Content Knowledge (SMK) and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his study focuses mainly on understanding if the teachers taught fractions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textbook. I was able to do this by getting an understanding of how they interpreted the meaning of fractions, and their understanding of fraction in fraction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fraction in the teachers guidebook of curriculum and the teachers’ education progra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① How are the meanings of fraction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dealt with? ② What is the teachers’ Content Knowledge (specifically, SMK and PCK) in elementary schools regarding the meaning of fraction? In order to reach a conclusion to these questions, I have analyzed all fraction parts in textbooks used from grades third through sixth. I also created a fractions questionnaire, that was taken by one hundred teachers working in Jeju’s elementary schools. I reviewed reference books about the meanings of fraction and analyzed the text books based on the reference books for the first question. I used the problems about the meanings of fraction’s (PCK) for the second questi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the textbook analysis, it shows that it covers all five meanings of the fraction in the curriculum, but it focuses on Part-Whole fractions and Rational Numbers as Measures for explaining the meaning of fraction. A Fraction is introduced by Part-Whole fractions. Since the third grade, it has been using more and more of the unit fraction, and mainly uses the Rational Numbers as Measures. Whereas, Rational Numbers as Operators, Quotients, and rate are referred as a relatively small proportion. There is not any specific explanation about other concrete meanings of fraction except the meaning of Part-Whole fraction in the teachers guidebook of curriculum. The meaning of the Part-Whole fraction is essential, but is not sufficient to understand remaining fractions. If students do not understand the five meanings of fractions accurately, students would have a difficulty of operating fractions and subsequent learning about fr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other fractions as well as Part-Whole fraction. Secondly, while looking at the teachers’ SMK pertaining to the various meanings of fraction, all of the teachers that participated in the fractions represent the meaning of fraction as Part-Whole fraction among the various meanings of fraction. Teachers understand and show meaning of fractions in the order of Part-Whole fraction, Rational Numbers as Quotients, Rational Numbers as Measures. Rational Numbers as rate, and Rational Numbers as Operators. This is because there is not much of an in-depth understanding pertaining to Quotients, Measures, Rate, and Operators as compar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fraction as the most fundamental core Part-Whole fraction in the curriculum. It means that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fraction can be viewed in a limited way to the meaning of fraction as Part-Whole fraction. It can be assumed that such a phenomenon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re is not a concrete explanation regarding the meaning of fraction in teachers’ guide books. Therefore, some changes in the teachers books regarding with meaning of fractions are necessary, in my own humble opinion. Thirdly, when expressing a visual model of the fraction as a Part-Whole fraction, most teachers did not use a discrete quantity model that represents discrete quantities. However, they used a continuous model, such as, a region model and length model that represents continuous quantities. Fourthly, teachers who have mentioned the meaning of fractions as quotient expressed rational number as quotient only in the division into equal parts. This is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fraction as quotient to be learned from the Rational number as quotient in the first semester in grade six. As a quotient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sixth grade, five classes of six classes in the concept of fraction as quotient are the situation about division into equal parts, and only one class is the situation about division by equal part. In textbooks and teachers’ books, it should provide a broad experience with division problems by equal parts in real life associated with rational number as quotient from the situation. Fifthly, few teachers described the meaning of fractions as operators, and only four teachers accurately expressed fractions as operators through visual models or pictures. This means that the meaning of fraction as an Operator is unfamiliar to many teachers. However, there is no portion in the teacher’s guidebook that explains the meaning of Rational number as Operators. In other words, short explanations of Rational numbers as Operators in the teachers’ guidebook that teachers refer to the most rarel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helping teachers understand the Rational number as Operators. I believe that these books should put more focus on specific explanations that aim to help teachers understand the meaning of Rational number as operators. Sixthly, most teachers were not able to incorporate the whole unit while implementing the Part-Whole fraction; there was not much room for flexibility. Moreover, many teachers were only able to target one unit, and only two teachers were able to represent all fractions by using the units as a whole. Seventhly, as I observed these teachers’ solution by finding a new length of the rod through the given length of the rod, I also took the time to get an understanding of their knowledge regarding the mathematical content. I was able to conclude that the problem is solved through the unifying method rather than the partitioning and iterating. The teachers that used the method of the unification and formula could use the formal algorithm. In contrast, teachers who obtained the length of the rod through the partitioning-iterating operation rather than the method of the unification and formula accepted fraction flexibly not formally. Eighthly, most teachers proposed the appropriate method about setting the unit which is the important notion in Rational numbers as Measures. They have taught the fraction in the number line by setting the unit of one meter. Most teachers know inherently the method about setting the unit which is the important notion in Rational numbers as Measures. It means that teachers have effective PCK about Rational numbers as Measures. Ninethly, teachers’ PCK about Rational numbers as Operator is not accurate. In the problem related to the meaning of Rational numbers as Operators, it proceeds to a Part-Whole fraction or Rational number as operator, and then returns to a Part-Whole fraction. You can use the fractional explanation method as a Part-Whole fraction for students’ understanding, but interpreting all problems to be considered as Rational numbers as Operators only as Part-Whole fraction does not expand the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 of fraction. Tenthly, looking at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progress of fractions in textbooks and the progress of the concept or meaning of fractions that teachers think, most teachers think that fractions should be introduced through Part-Whole fraction. However,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order of textbooks, and the theory of the teachers when it pertains to measures, operators, quotients, and rates, they are significantly low. Eleventhly, most teachers insist they should teach the various meanings of fraction because of usefulness in real life, mathematical thinking, correcting misconceptions, follow-up learning, the sense of fraction, teachers’ lack of knowledge, and leaning interest. The interesting point is the teachers who describe the five meanings of fraction asserted that teaching various meanings of fraction is necessary. It is a meaningful result in the teachings of various meanings of fraction. Twelfthly,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teaching the meaning of fractions because there are many categories that teachers often times overlook. Such as, ambiguity of semantics, teachers’ lack of knowledge,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fractions, mathematical thinking and etc. The explanations of fractions required by teachers include examples of various fractions in real life and how to teach the meaning of various fractions in teachers’ books. Difficulties in teaching the meaning of fractions felt by the teachers directly affect the teachers’ PCK, which also affects students learning the meaning of fraction. Therefore, we need a method of teaching the meaning of fractions systematically, and we have to prepar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fractions by looking at various situations of fractions in real life. Understanding the five meanings of fractions is the basis of the concept of fractions, so i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 relational understanding of the four arithmetic operations of fractions, the fraction scheme, and the flexible sense of fractions. This must be described explicitly in textbooks and teachers’ books, as it does not naturally form and learn with students and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속 분수 영역을 5가지 의미로 분석하고, 교사가 가지고 있는 분수의 의미 및 분수 문제 속 분수의 의미를 찾음으로써 교사가 교과서의 과정에 따라 분수를 지도한다면 교사들은 어떠한 분수의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수학 내용 지식(Subject Matter Content Knowledge)과 교수 내용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분석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수학 교과서와 지도서 속 분수 영역 및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① 초등학교 교과서 속 분수의 의미는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가? ② 분수의 의미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지식(SMK와 PCK)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6학년 교과서 속 분수 영역 분석과 분수의 의미에 관한 설문지를 도구로 하는 질적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절차는 먼저 분수의 의미에 관하여 문헌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 분석 후 분수의 의미에 관한 PCK에 대한 문항을 만들었다. 연구 대상은 현 제주도 초등학교 교사 100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교과서 분석 결과 현 교육과정에서 분수의 5가지 의미를 모두 다루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분수의 의미를 설명함에 있어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와 측정으로서의 분수 중심으로 설명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로 분수를 도입하지만 3학년 이후로 갈수록 단위분수를 많이 이용하며 측정으로서의 분수를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연산자로서의 분수, 몫으로서의 분수, 비율로서의 분수는 상대적으로 적게 다뤄지고 있었다. 그러나, 지도서에는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 외에 다른 의미의 분수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었다.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의 의미는 필수적이나 나머지 분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으며, 다섯 개의 분수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할 경우 분수의 연산 및 후속 학습에 있어서 어려움을 느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뿐만 아니라 다른 분수의 의미에 관해 깊은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분수의 다양한 의미에 관한 교사들의 SMK를 살펴보면 교사 모두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를 통해 분수의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 몫으로서의 분수, 측정으로서의 분수, 비율로서의 분수, 연산자로서의 분수 순으로 교사들이 분수의 의미를 이해하고 나타내고 있다. 이는 교육과정 속 분수개념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의 의미 이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몫, 측정, 비, 연산자로서의 의미에 대한 깊은 이해가 적고 교사들의 분수의 의미에 대한 이해는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의 의미에 한정적인 것으로 바라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지도서의 분수의 의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음과 연관지어 생각해볼 수 있다. 따라서, 분수의 의미에 관한 지도서의 변화가 요구된다. 셋째,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의 시각적인 모델에 관한 교사의 SMK는 이산량을 표현하는 이산량 모델보다는 연속량을 표현하는 영역모델, 길이모델과 같은 연속모델을 주로 이용하여 표현하는 모습이 보였다. 넷째, 몫으로서의 분수의 의미에 관한 교사의 SMK는 등분제 상황에 국한되어 있었다. 이는 3학년 1학기 똑같이 나누어주는 등분할의 상황에서 분수를 도입하고 6학년 1학기에 배우는 몫으로서의 분수의 의미와 관련이 있다. 6학년 1학기의 몫으로서의 분수 개념 중 6차시 중 5차시는 등분제 상황이고 1차시만이 포함제 상황으로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와 지도서에서 포함제 상황에서 몫으로서의 분수와 관련한 실생활 속 문장제에 대한 폭넓은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연산자로서의 분수의 의미에 관한 교사의 SMK는 분수의 5가지 의미 중 가장 적었다. 소수의 교사들만이 연산자로서의 분수의 의미를 기술했으며 그 중에 4명의 교사가 모델 또는 그림을 통해 을 연산자로서의 분수로 표현하였다. 이는 연산자로서의 분수의 의미가 교사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교사들이 수학수업에 있어 가장 많이 참고하는 지도서에 연산자로서의 분수를 짧게 설명하여 교사의 이해를 돕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지도서에 교사들의 분수의 연산자적 의미를 이해를 돕는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에서 중요한 전체의 단위를 어떻게 설정하는지 교사의 분수감각을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의 교사들이 전체의 단위를 다양하고 유연하게 이용하고 있지 않다고 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1개의 단위로 표현하였으며 가능한 단위의 개수가 최대인 4개 모두 기술한 교사는 단 2명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교사들이 주어진 막대의 길이를 통해 새로운 길이의 막대를 구할 때의 해결방법을 분석하며 교사들의 SMK를 살펴보니, 분할-반복 조작보다 통분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함을 볼 수 있었다. 통분과 식의 방법을 사용한 교사들은 형식적인 알고리즘을 이용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비해 통분과 식의 방법이 아닌 분할-반복 조작을 통해 막대의 길이를 구한 교사들은 분수를 형식적으로 바라보지 않고 유연하게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덟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측정으로서의 분수의 중요한 개념인 기본 단위 설정에 있어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은 1m의 기준 단위를 설정하여 학생들에게 수직선상의 분수를 지도하고 있었다. 많은 교사들이 내재적으로 측정으로서의 분수의 중요한 개념인 기본 단위 설정을 인지하고 있고 이를 통해 측정으로서의 분수에 관한 효과적인 PCK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홉째, 연산자로서의 분수에 관한 교사들의 PCK는 정확하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연산자로서의 분수의 의미와 관련된 문제에서 정확한 연산자로서의 분수로 설명하는 교사는 적었으며, 정확하지 않지만 연산자로서의 분수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학생들의 이해를 위해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 방법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연산자로서의 분수로 살펴봐야 할 문제조차 모두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로만 해석하는 것은 학생과 교사의 분수에 대한 사고를 확장시키지 못할 수 있다. 열 번째, 교과서 속 분수의 진도와 교사들이 생각하는 분수의 개념 또는 의미의 진도 사이의 일치도를 살펴보니 대부분의 교사들은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를 통해 분수를 도입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전체-부분의 관계로서의 분수 외에 교사들이 생각하는 측정, 연산자, 몫, 비율로서의 분수의 순서와 교과서 순서와의 일치도는 현저히 낮았다. 열한 번째, 대부분의 교사들이 분수의 다양한 의미를 지도해야 한다고 말하며 그 이유는 실생활에서의 유용성, 수학적 사고, 오개념 수정, 후속 학습을 위함, 분수감각, 교사의 지식 부족, 학습의 흥미도와 관련해서 설명하였다. 흥미로웠던 점은 5가지의 의미를 모두 기술한 교사들 모두 분수의 다양한 의미 지도가 필요하다고 말하였다. 이는 분수의 다양한 의미 지도의 필요성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로 살펴볼 수 있다. 열두 번째, 교사들이 생각하는 분수의 의미지도 시 어려움에는 의미 구분의 어려움, 분수의 추상적인 개념, 분수 설명 자료 부족. 다양한 문제 상황 어려워함, 학생의 도구적 이해, 전시학습의 영향, 시간 부족, 교사의 지식 부족, 분수의 언어감각, 학생들의 수준 차이, 수학적 사고가 있었다. 흥미로웠던 점은 많은 교사들이 분수 설명 자료가 부족하여 분수의 의미 지도가 어렵다고 하였다. 교사들이 요구하는 분수 설명 자료에는 실생활에서의 다양한 분수 예시, 지도서 속 다양한 분수의 의미 지도방법 등이 있다. 교사가 느끼는 분수의 의미 지도 시 어려움은 교사의 PCK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이는 학생들이 분수 의미를 학습하는 데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분수 의미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 방안이 필요하고, 실생활 속 분수의 여러 가지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분수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분수의 5가지 의미에 대한 이해는 분수 개념의 기본으로서 분수의 사칙 연산의 관계적 이해, 분수 스킴 및 유연한 분수 감각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초등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은 분수의 다양한 상황 속 분수의 의미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학생과 교사들이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형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과서와 지도서 안에서 보다 명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과목의 용어와 기호의 정의에 대한 연구

        양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Probability makes it easy to simply quantify the likelihood of an event, and statistics help rational decision making by reasoning about phenomena and drawing conclusions (Ministry of Education, 2015). Reflecting the emphasis on communication skills in modern society, probability and statistics are very important subjects in that they help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most students have difficulty in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unit (Kim Won-kyung, Kim Hyejin, 1992), and teachers also have difficulty in teaching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subjects (Lee Young-ha, 1992; Kim Won-kyung, Moon So-young, Byun Ji-young, 2006; Lim Ji-eun, 2011). According to the preceding study, the difficulties with the terms in probability and statistical units had the most negative effects on learning (Lee Hye-jin, 1992), and students understood mathematical terms differently depending on how definitions were stated in textbooks (Shin Eun-joo, 2002). Meanwhile,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al knowledge of secondary math teachers were highly dependent on textbooks (Byun Ji-young, 2005). Therefore, teachers and students tend to recognize knowledge based on what is presented in textbooks, a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ether the definitions of terms and symbols are clearly and consistently presented in each textbook. According to Cho Young-mi (2002), the definition of terms in school mathematics corresponds to a pedagogical transformation, and the definition appears in various forms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term definitions learned by students may differ depending on what term definitions the teacher presents to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definitions of terms in textbooks and the definitions of terms that teachers present to students. Meanwhile, the mathematical knowledge possessed by prospective teachers may affect students' understanding when they become teachers in the future (Lee Jean, 2015).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look at the knowledge of the prospective teacher. Looking at the previous studies on term definition, most of the textbook analysis studies were conducted, and the analysis contents were limited to the geometric domain, the functional domain, and the algebra domain (Woo Jung-ho, Cho Young-mi, 2001; Kang Hong-kyu, Cho Young-mi, 2002; Cho Young-mi, 2002). In addition, there was no study analyzing the definition and definition method of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al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study of recognition of term definitions was focused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spective teachers was very insufficient. Particularly, in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the prospective teacher recognition study was partially addressed for a particular term and there was no study that examined the prospective teacher recognition in an integrated mann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finition and definition method of terms and symbols used in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s, an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prospective teachers in this regard. To this end, we first selected 55 terms and symbols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by combining the learning factor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erms and symbol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s. Then, through textbook analysis, the definitions of terms and symbols were identified used in each of the nine textbooks, and the definition methods were divided into connotative definitions, denotative definitions, and synonymous definitions. At this time, in order to analyze the definition method, the sub-type classification for each definition method for terms in the previous study (Cho Young-mi, 2001) was used as an analysis framework.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10 probability and statistical terms and symbols were selected, and each term and symbol was described for 3 definition methods and composed of questionnaire questions for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 survey. The questionnaire developed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five prospective teachers to identify if they could correctly describe the definitions of terms and symbols, what types of definitions they were most aware of each term and symbol, and what types of definitions they would choose when guiding students to terms and symbols. This method of study is expected to confirm the understanding of the prospectiv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of the definitions of terms and symbols of high school probabilities and statistics and the prospective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extbooks, 12 out of 55 terms and symbols (approximately 22%) showed different definitions. These terms and symbols are 'fundamental event', 'mathematical probability', 'P(A)', 'independence', 'random variable', 'P(X=x)', 'probability distribution', 'discrete random variable', 'continuous probability variable', 'σ(X)', 'a large number of laws' and 'normal distribu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finition method by analysis frame, the connotative method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47%), and the denotative method accounted for the lowest proportion (20%). It seems that the reason why the connotative method is used more than the denotative method and the synonymous method is that the strictness is emphasized i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rather tha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In particular, there were a total of 12 terms and symbols showing various definition method, including 'trial', 'complementary event', 'mutually exclusive event', 'independent trial', 'sample survey' and 'sample' with the same definitions presented in each textbook, but various definitions were applied, and 'event', 'independence', 'discrete random variables', 'continuous probability variables', 'normal distribution' and 'estimation' were using different definitions for each textbook.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egree of definition of the prospective teacher through questionnaire and interview, all five prospectiv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as lack of understanding the definition and could not correctly define the definition. Prospective teachers often failed to describe the definition of a "fundamental event" at all or wrote down the meaning by analogy. Regarding the "law of a large number", prospective teachers did not answer the definition correctly, such as writing completely irrelevant descriptions of the definition of 'a large number of laws', describing it in confusion with the central extreme theorem, or having a narrative error. And most of the prospective teachers defined 'normal distribution' in confusion with standard regular distribution. In addition, 'sample space' is defined as a set in high school textbooks, but prospective teachers often described it as a space extracted from the population. The definition of 'event' was defined by most prospective teachers as a usual meaning or rather vague expression, not the definition of the high school textbooks. In the case of 'independence', 'subordinate', 'expectation' and 'V(X)',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prospective teacher answered with routine definitions or described using definitions in middle school courses rather than high school cours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ponses of each questionnaire,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es of definitions that the prospective teachers are familiar with and the types of definitions that they think are appropriate to present to students do not match. When most prep teachers chose the definition to present to students, they recalled their previous easy-to-understand experience and chose the external definition that they thought would be acceptable to students, apparently because the prep teacher was heavily influenced by previous learning experiences. After summing up the responses of the prospective teachers, the distribution showed that each prospective teacher felt familiar with different types of definitions, and that the choice of types of definitions to be presented to students through the presented problem situation was also different for each prospective teacher. However, there were many prospective teachers who chose the definition that they thought would be easy for students to understand, unlike the definition in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s, despite the problem situations given when choosing the definition to present to student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spective teachers lacked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and introduction method in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al textbooks.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same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discuss about matching the definitions of each term and symbol in probability and statistical textbooks. According to this study, 12 out of 55 terms and symbols showed different definitions in different textbooks. Han Dae-hee (1998) referred that the mathematical term should be defined with consistency because the math curriculum is composed of a hierarchy and continues to affect subsequent learning. Thus, the mathematical terms of textbooks should be defined with consistency, given that teachers plan classes through textbooks and students understand terms through textbooks.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analyzing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math and curriculum, two out of nine textbooks did not have a definition of 'fundamental event', so unlike other textbooks, the definition of 'mathematical probabilities' was defined without using 'fundamental event'. Shin Eun-joo (2002) said that students understand mathematical terms as definitions presented primarily in textbooks, an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term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finition stipulated in the textbook. Therefore, terms defined differently in different textbooks can cause confusion to students, and this needs consideration. Second, in-depth discussions are needed on the problems that various methods of definition presented in textbooks will caus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12 terms that matched the definition of each textbook, but were defined in several ways of definition or using different definitions of each textbook. Vinner (1991) said that if conceptual definitions are not formed by appropriate conceptual images by the presentation method of textbooks or by the teacher's explanation method, they may have misconceptions. Therefore, different definitions presented in textbooks can give different images of the definition method to teachers who plan and proceed with classes based on textbooks, which may also lead to different aspects of students learning the definition of terms. Therefore, discussions on this need to be made.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to ensure that prospective teachers correctly define the terms and symbol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present appropriate definitions to students. In this study, the survey confirmed that the prospective teachers lacked the ability to describe the definitions of terms and symbols and that there were some errors. Since the mathematical knowledge of a prospective teacher can have a lot of influence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when they become a teacher in the future (Lee jean, 2015), it will be difficult for students to learn the definition of a textbook correctly if a prospective teacher who is not accurately aware of the mathematical definition does not educated enough in the training course and goes out to the field to guide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teacher training cours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prospective teachers to explore various methods of definition in order to form a foundation for providing students with a correct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terms. Fourth, prospective teachers need to faithfully make efforts to study teaching materials and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spective teachers understood the students based on their existing learning experience and they chose the definitions that students could understand easily without understanding the intent of the questions presented in the questionnaire. This means that prospective teachers lack an understanding of how to introduce the definition of terms presented in textbooks in the current curriculum and an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abilities of their abilities. Regardless of the student's difficulties, it is not desirable to teach using the knowledge or methods the teacher normally had, which may not be the best method (Ma, 1999). Therefore, prospective teachers should actively study textbooks in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and strive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follow-up study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 of all terms and symbols in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subjects. In this study, since only 10 terms and symbols were examined for recognition,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remaining terms and symbols to confirm the overall perception of probability and statistical terms and symbols. Second, we propose students' perception research on the definition of terms and symbols. By identifying which definition method students prefer and how familiar they are to probabilistic and statistical terms and symbols, it would help textbook authors produce textbooks to suit their level and interests, and it w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what teachers should be careful about when presenting definitions in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s. Third, we suggest quantitative research on a number of prospective teachers. In this study, we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the few number of prospective teachers,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subsequent studies to broadly identify the perception of prospective teachers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수학에서 확률은 어떤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간단하게 수치로 나타낼 수 있게 해주며, 통계는 현상에 대해 추론하여 결론을 이끌어내게 함으로써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준다(교육부, 2015). 현대 사회에서 의사소통 능력이 강조되고 있는 점을 반영할 때, 확률과 통계는 의사소통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과목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학생들은 확률과 통계 단원에 특히 어려움을 가지며(김원경, 이혜진, 1992), 교사들도 확률과 통계 과목을 지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이영하, 1992; 김원경, 문소영, 변지영, 2006; 임지은, 2011). 선행연구에 따르면, 확률과 통계 단원의 용어에 대한 어려움이 학습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이혜진, 1992), 학생들은 교과서에 정의가 어떻게 진술되어 있는지에 따라 수학적 용어를 다르게 이해하였다(신은주, 2002). 한편, 중등 수학교사가 알고 있는 확률과 통계 지식은 교과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변지영, 2005). 따라서 교사와 학생은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에 의해 지식을 인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교과서별로 용어와 기호의 정의가 명확하고 일관성 있게 제시되어있는지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조영미(2002)에 따르면 학교수학에서의 용어 정의는 교수학적 변환에 해당되며, 변환 과정에서 정의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교사가 어떤 용어 정의를 학생들에게 제시하느냐에 따라 학생들이 알게 되는 용어 정의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에서의 용어의 정의 방식과 교사가 학생에게 제시하는 용어의 정의방식에 대해 비교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한편, 예비교사들이 지니고 있는 수학적 지식은 향후 교사가 되었을 때 학생의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다(이제안, 2015). 따라서 예비교사의 지식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용어 정의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교과서 분석 연구가 많았고 분석 내용이 기하 영역, 함수 영역, 대수 영역에 한정되어 있었다(우정호, 조영미, 2001; 강홍규, 조영미, 2002; 조영미, 2002). 또한,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교과서의 용어 정의와 정의방법을 분석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며, 용어 정의에 대한 인식 연구는 대상이 초, 중학교 학생에 치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예비교사에 대한 인식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특히, 확률과 통계에서 예비교사 인식 연구는 특정 용어에 대해 부분적으로 다루어졌으며 통합적으로 예비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교과서에서 쓰이는 용어와 기호에 대한 정의와 정의방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요소와 확률과 통계 교과서의 용어와 기호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분석할 용어 및 기호 55개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교과서 분석을 통해 총 9종의 교과서별로 용어 및 기호의 정의를 확인하고 정의 방법을 내포적 정의, 외연적 정의, 동의적 정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때, 정의방법을 분석하기 위해서 선행연구(조영미, 2001)의 용어에 대한 정의방법별 하위유형 분류를 분석틀로 사용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확률과 통계 용어 및 기호 10개를 선정하여 3가지 정의방법에 대해 나타내고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지 문항의 선택지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설문지를 통해 예비교사가 용어 및 기호의 정의를 올바르게 서술할 수 있는지, 각 용어 및 기호에 대해 가장 잘 인지하고 있는 정의방법은 어떤 유형인지, 그리고 학생에게 용어 및 기호를 지도할 때 어떤 유형의 정의방법을 선택하는지를 확인하고자 5명의 예비교사에게 설문 및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의 용어와 기호의 정의에 대한 예비교사의 수학적 지식에 대한 이해와 학생에 대한 이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교과서 분석 결과, 교과서별로 정의가 상이하게 나타난 용어와 기호의 개수가 55개 중 12개(약 22%)로 적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해당되는 용어와 기호는 ‘근원사건’, ‘수학적 확률’, ‘P(A)’, ‘독립’, ‘확률변수’, ‘P(X=x)’, ‘확률분포’, ‘이산확률변수’, ‘연속확률변수’, ‘σ(X)’, ‘큰수의 법칙’, ‘정규분포’이다. 또한, 분석틀에 의해 정의방법을 분석한 결과 내포적 방법이 가장 높은 비율(47%)을 차지했고, 외연적 방법이 가장 낮은 비율(20%)을 차지하였다. 외연적 방법과 동의적 방법보다는 내포적 방법이 많이 쓰이는 이유에 대해서는 고등학교 수학에서는 초, 중학교 수학보다는 비교적 엄밀성이 강조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의 방법이 다양하게 나타난 용어와 기호는 총 12개였으며 그 중 ‘시행’, ‘여사건’, ‘배반사건’, ‘독립시행’, ‘표본조사’, ‘표본’은 교과서마다 제시된 정의는 동일하지만 다양한 정의 방법이 적용되고 있었고, ‘사건’, ‘독립’, ‘이산확률변수’, ‘연속확률변수’, ‘정규분포’, ‘추정’은 교과서마다 다른 정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설문과 면담을 통해 예비교사의 정의 서술 정도를 확인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5인의 예비교사 모두 정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정의를 올바르게 서술하지 못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근원사건’의 정의를 전혀 서술하지 못하거나 뜻을 유추해서 적는 경우가 많았고, ‘큰수의 법칙’에 대해서는 전혀 관련 없는 서술을 하거나 중심극한정리와 혼동하여 서술하거나 서술상의 오류가 있는 등 정의를 정확하게 답하지 못했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은 대부분 ‘정규분포’를 표준정규분포와 혼동하여 정의하였다. 또한, ‘표본공간’은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집합으로서 정의하고 있는데 예비교사들은 이와 달리 모집단으로부터 추출한 공간으로서 서술한 경우가 많았다. ‘사건’의 정의는 대부분의 예비교사가 고등학교 교과서의 정의가 아닌 일상적인 의미나 다소 모호한 표현으로 정의하였다. ‘독립’, ‘종속’, ‘기댓값’과 ‘V(X)’의 경우에는 예비교사가 일상적인 정의로 답하거나 고등학교가 아닌 중학교 과정에서의 정의를 사용하여 서술한 사례가 있었다. 예비교사의 각 설문지 응답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정의 유형과 학생에게 제시하기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정의 유형이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학생에게 제시할 정의를 선택할 때 자신이 이전에 이해하기 쉬웠던 경험을 회상하여 학생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외연적 정의를 선택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예비교사가 이전 학습 경험으로부터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예비교사들의 응답을 종합하여 분포를 살펴본 결과 각 예비교사마다 익숙하다고 느끼는 정의 유형이 달랐고, 제시된 문제 상황을 통해 학생에게 제시할 정의 유형도 다르게 나타났다. 그런데, 학생에게 제시할 정의를 선택할 때 설문지에 주어진 문제 상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교과서의 정의와는 달리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울 것이라 생각한 정의를 선택한 예비교사들이 많았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들이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교과서 상의 정의와 도입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확률과 통계 각 교과서에서 용어 및 기호의 정의를 일치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교과서마다 정의가 상이하게 나타난 용어 및 기호가 55개 중 12개였다. 한대희(1998)는 수학 교과는 위계를 바탕으로 구성되어 후속 학습에 계속해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학 용어는 일관성을 가지고 정의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과서를 통해 교사가 수업을 구상하고 학생이 교과서를 통해 용어를 이해한다는 점에서 교과서의 수학 용어는 일관성을 가지고 정의되어야 한다. 특히, 교과서 분석 결과 9종 중 2종의 교과서에서는 ‘근원사건’에 대한 정의 서술이 되어있지 않아 후에 수학적 확률을 정의할 때 다른 교과서들과는 달리‘근원사건’을 사용하지 않고 정의하였다. 신은주(2002)는 학생들이 수학적 용어를 주로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정의로서 이해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정의에 따라 학생들의 용어에 대한 이해가 다르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과서마다 정의된 용어가 다른 것은 학생들에게 혼란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교과서에 제시된 정의 방법이 다양한 것이 초래할 문제점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교과서별 정의는 일치하지만 그 정의가 여러 정의 방법으로 정의되거나 교과서마다 다른 정의 방법을 사용하여 정의된 용어가 12개였다. Vinner(1991)는 교과서의 제시 방법이나 교사의 설명방식에 의해 개념정의가 적절한 개념이미지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 오개념을 가질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과서에 제시된 정의방법이 다르다는 것은 교과서를 기준으로 수업을 구상하고 진행하는 교사들에게 각기 다른 정의 방법의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으며 학생들이 용어의 정의를 익히는 데에도 혼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확률과 통계의 용어와 기호에 대해 올바르게 정의하고 학생들에게 적절한 정의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양성과정의 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용어와 기호의 정의에 대한 서술 능력이 부족하고 오류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예비교사의 수학적 지식은 향후 교사가 되었을 때 학생의 이해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이제안, 2015), 수학적 정의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있지 않은 예비교사가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하고 현장에 나가 학생들을 지도한다면 학생들 또한 교과서의 정의를 정확하게 배우기 힘들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수학적 용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바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의 방법에 대해 탐구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교사양성과정에서 제공해야 한다. 넷째, 예비교사들은 교재 연구 및 학생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노력을 충실하게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 결과에서 예비교사들은 기존 학습 경험에 의해 학생들을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문지 문항에 제시되어 있는 문제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채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것으로 생각되는 정의를 선택하였다. 이는 예비교사들이 현 교육과정 상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용어 정의의 도입방법에 대한 이해와 학습자의 다양한 능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생의 어려움과 관계없이 교사가 평소에 가지고 있던 지식이나 방법을 이용하여 교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이는 최선의 방법일 수 없다(Ma, 1999). 따라서 예비교사들은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사양성과정에서 적극적으로 교재 연구를 하고, 학생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과목에 등장하는 모든 용어와 기호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용어와 기호에 대해서만 인식을 살펴보았기 때문에 나머지 용어와 기호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확률과 통계 용어와 기호에 대한 예비교사의 종합적인 인식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용어와 기호의 정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연구를 제안한다. 확률과 통계 용어와 기호에 대해 학생들은 어떤 정의 방법을 선호하고 친숙하게 느끼는지를 확인한다면 교과서 저자가 학생의 수준과 흥미에 맞게 교과서를 제작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고, 교사가 교수학습 과정에서 정의를 제시할 때 어떤 점을 주의해야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인식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다수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양적 연구를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일반화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의 인식을 폭넓게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양지은 광주여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성 명 : 양 지 은 학과명 : 실버복지경영학과 학교명 :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의 특성에 따라 정신건강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재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중 본 연구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노인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을 자연적 원조관계망, 전문적 원조관계망, 상호 원조관계망으로 1차 분류하여 그에 따른 관계망의 크기, 친밀도, 빈도로 나누어 조사함으로써 구조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 사회활동적지지, 도구적지지의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기능적 특성을 파악하여 사회적 관계망의 특성에 따른 우울, 스트레스, 자살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관계망은 집단에 따라 부분적으로 정신건강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구조적 특성의 유형과 크기, 빈도, 기능적 특성의 지지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도출 해 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관계망의 특성이 우울, 자살사고, 스트레스에 미치는 차이는 단적으로 나타내기 어려우며 특성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보다 신뢰도 높은 연구를 위하여 연구대상을 확대 할 필요가 있다. 시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본 연구는 한정된 대상 안에서 진행하였으나 향후 연구는 다양한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는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명확한 차이를 검증하고 나아가 사회적 관계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여줄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정신건강의 특성 상 영향을 받는 요인이 다양하고 개인의 성향에 따라 같은 문제에도 우울, 자살생각, 스트레스의 정도가 달리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 관계망 강화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결과에 나타났듯이 구조적 특성 중 자연적 원조관계망에 따른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비공식적 자원이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그에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와 정책마련이 요청된다. 지역사회 내의 비공식적 관계망을 강화하기 위하여 노인의 참여를 위주로 동아리를 결성하거나 소규모 자원봉사 모임을 결성하도록 하고 활동을 지원하여 상호 만남을 통해 관계망 형성 및 공동의 목적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가족여행을 프로그램을 실시하거나 할인제도를 마련하여 노인과 자녀들의 교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전문적 원조관계망의 강화가 필요하다. 설문대상 자체가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으로서 전문적 원조관계망의 접근성이 용이한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크기나 접촉빈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공적인 원조관계망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단순 프로그램 운영이 아닌 정서적인 지원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복지시설 관계자와 접촉하고는 있지만 연령대의 차이가 있어 노인들과의 공감대 형성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노인자체가 상담자가 될 수 있도록 상담자를 양성하는 등 효과적인 개입방법에 대한 연구와 정책마련이 요청된다. 셋째, 노인 자살에 대한 예방이 필요하다. 자살의 경우 독립변수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경우도 있었으나 자살사고를 보인 대상자가 분명히 존재하였으며 자살의 특성상 그 위험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각 행정구역마다 자살예방센터가 설치되어 있기는 하나 대부분 자살시도를 한 사례에 대하여 주로 개입을 하고 있으며 예방적 개입은 미비한 실정이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의 사회적인 안전망 마련이 필요하다. 주제어 : 사회적 관계망 , 우울 , 자살사고 , 스트레스 , 노인복지관 ABSTRACT A study on the social network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attending the Seniors Welfare Centers Yang, Ji Eun Silver Welfare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inquire about the differences of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presented by the elderly who attend the Seniors Welfare Centers. This study was targeted at 103 elderly who showed positive response to this research among those who attend the Seniors Welfare Centers located in Gwangsan-gu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intended to figure ou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attending the Seniors Welfare Centers, based on the primary sorting of their social network in terms of natural support network, professional support network and mutual support network, this study inquired into each divided section of the consequent dimension of network, affinity and frequency. Moreover, this study classified the support concept in four domains, such as informative support, emotional support, social activity support and instrumental support and graspe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nquire about the differences shown in the areas of depression, stress and suicid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 social network showed partial difference of mental health according to each group, and there showed diverse results according to the type of support in term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type of support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size, frequency and function. The result showed that, as for the differences which the social network influence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stress, they are not clearly present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an approach from multiple perspectives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roposals can be presented regarding further follow-up studies: First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bject of research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tudy. Due to the lack of time, this study proceeded within the limited target group, however, the further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to focus on those who live in diverse forms of environments. It is estimated that more studies will be needed which not only verify clear differences regard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but also demonstrate the influences of social network on mental health. Secondly, since this study proceeded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 further follow-up studies must carry out qualitative stud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It is because mental health, by nature, is exposed to a variety of factors of influences and in front of the same problem, even the degree of depression, suicide impulse and stress can vary according to the disposition of each person. So as to strengthen the social network, the following proposals can be presented: Firstly, 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e biggest difference was observed in natural support network among other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order for unofficial supports to play effective role, it is required to carry out related steady studies and prepare corresponding policies. Simultaneously, so as to enhance unofficial relation network within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form clubs and small-scale volunteer gatherings stimulating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This way, it is required to support their activities for mutual exchanges in order to create relation network and accomplish their common goal. Furthermore, with a view to activate exchange activities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children, some family trip programs and discount system can be implemented, this way, multilateral planning search will be requir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rofessional support network. Actuall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oriented to the elderly of the Seniors Welfare Centers whose access to professional support network is eas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rms of the size and contact frequency. For this reason, in order for official support network to give significant influences on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the steady inspections will be required to check if emotional supports efficiently proceed, and not as a mere superficial program operation. In addition to this, even though the elderly are in contact with Social Welfare Center staff, the age difference inevitably distances in forming sympathy between the two parts and it creates restriction.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o make research on efficient intervention method and prepare proper policies in order for the elderly themselves to be fostered as counselors. Thirdly, the prevention measures against suicide of the elderly are required. Actually, when it comes to a suicide incident, there were also cases without differences according to independent variables. However, some definite suicidal ideations registered, so they are exposed to high risk considering the nature of suicide. Even though there are suicide prevention centers allocated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most of them are focused on the intervention of the cases with suicide attempts and the preventive intervention is almost absent. For this reason, it is definitely necessary to prepare prevention-oriented social safety net. Key words: Social network,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stress, Seniors Welfare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