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단기거주자 과세제도의 입법정당성과 대안세제의 시론

        양인준(Yang In Jun) 한국국제조세협회 2009 조세학술논집 Vol.25 No.1

        Through 2009 Tax Revision, remittance basis rule is newly adopted in Korean income tax law. However, we cannot easily find out such a rule except legislation of UK and Japan. What made such a rare provision be included in our tax system? In this regard, we suggest that blind optimism for ‘globalization’ mixed up with territorial taxation might suppress basic tax principles and the need for tax revenue. Based on such an unprovable idea, we try to analyse every aspect of remittance basis rule in light of pros and cons including the glimpses of worldwide legislation. In addition, we try to draft an alternative bill in lieu of problematic remittance basis rule in force.

      • KCI등재

        세법상 비상장주식 평가문제와 그 대안

        양인준(In-Jun Yang) 한국조세연구포럼 2017 조세연구 Vol.17 No.1

        비상장주식 평가는 단순히 세법상 쟁점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법체계 전반으로 확대되는 중요 문제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비상장주식 평가문제를 다룬 기존 선행연구들을 본다면, 관련 세법규정에 대한 체계적 규범분석이 거의 없는 채로 대개 실증분석에 치중된 연구들이 대종을 이루고 있다. 이는 단순히 상증세법상 보충적 평가방법의 타당성 분석에 치중된 연구 내지 계량모형의 설득력을 제고하기 위한 실증연구가 이 분야 선행연구의 큰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에 기인한다. 이들 연구가 대부분 계량경제학적 이론을 동원해 한결 정확한 비상장주식 가치를 산정하는 것이기는 하나, 이를 곧장 법률판단으로 볼 것인가는 의문이다. 따라서 법규범적 관점에서 세법규정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입법대안을 논의해 볼 실익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논문의 과제는 법적 관점에서 기업가치평가가 어떻게 문제되는지 살피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 순서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비상장주식 평가에 관한 이론적 · 규범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론적 접근법 혹은 법규범해석론만으로 비상장주식 평가문제를 효과적으로 해명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함이었다. 아울러 실정법 해석에 있어서 대법원 판례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으므로 이 역시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둘째, 세법관점에서 비상장주식 평가문제의 근본적 해결이 곤란한 잠재적 원인을 파악해내는 추론작업을 시도하였다. 셋째, 비상장주식 평가문제를 해명하기 위한 생각의 단초로서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의 입법례를 세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넷째, 비상장주식 평가에 관한 다양한 입법대안의 모색작업 및 그 우열평가를 시도하였다. Valuing unlisted stocks is not only a tax issue but also the issue related to other rules such as corporate law and criminal law. That’s why valuing stocks has often been a central legal issue. Nonetheless, previous studies put an overly excessive amount of importance on the valuation in light of econometrics. In spite of the remarkable achievement of recent financial asset pricing theories, there are many questions about whether we can take the result from financial theories as a legally justified conclusion. It’s mainly because the estimates reported by each litigant shows such a big difference that the court could hardly trust those kind of results in handling legal judgment. To solve this problem more properly, this paper did research in the following order and proposed a new approach. Firstly, this paper analysed valuation issue in terms of both theoretical and legal viewpoint including precedents of supreme court. Secondly, this paper tried to figure out the potentially main reason to make the problem worse. Thirdly, this paper carried out comparative analyses on U.S. and Japan. Fourthly, this paper suggested several legal alternatives and discussed the merits and demerits on each legal alternative.

      • KCI등재

        부동산 거래와 세제지원정책의 당부

        양인준(Yang, In Jun) 한국국제조세협회 2012 조세학술논집 Vol.28 No.1

        This paper is a critical review of the argument that capital gain tax incentive measure for Jeju must soon be adopted in Korea. More specially, not only does this paper cover Korean optimal tax policy for Chinese Investment in Jeju, but also tries to establish a tax bill framework regarding capital gain tax incentive measure. Main argum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capital gain tax incentive clause for Jeju should not be adopted without carefully considering Korea-China Tax Treaty. Secondly, it is hard to say what the optimal tax policy in Korea is without close research for Chinese tax system. Thirdly, it is uncertain whether tax incentive measure will induce FDI in the real world. Fourthly, even if a tax incentive clause of Korean tax law actually induces FDI as we can see in Korean historical background, it is difficult to identify whether that is good thing in the light of efficiency concept. Fifthly, both persuasion and sympathy for other Korean people except Jeju resident are the real task from the viewpoint of equity. Sixthly, we have to always pay keen attention to blind exemption of host taxes which might suppress our rational policy-making.

      • KCI등재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Fruits of Foeniculum vulgare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Macrophages

        In Jun Yang(양인준),Hak Yin Yu(유학인),Dong-Ung Lee(이동웅),Heung Mook Shin(신흥묵)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9

        회향(Foeniculum vulgare) 열매의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acetate, n-butanol)을 cell culture model system을 이용하여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LPS처리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macrophage에서 시료가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는 100 μg/ml의 농도를 처리한 후 염증매개물질인 NO, PGE2,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IL-6 및TNF-α) 생성 및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hexane, methylene chloride 및 ethylacetate 분획물은 대조군에 비해 NO, PGE2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iNOS, COX-2 mRNA 발현 저해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Methylene chloride와 ethylacetate 분획물은 100 μg/ml 의 농도에서 IL-1β, IL-6 생성 및 mRNA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특히 ethyl acetate 분획물은 TNF-α 의 생성과 mRNA발현을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회향 및 회향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염증매개물질인 NO, PGE2 그리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 활성 및 분비 억제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Foeniculum vulgare has long been prescrib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diseases.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fruits of F. vulgare o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 cells under non-cytotoxic (100 μg/ml) conditions. The 80% methanol extract was subsequently partitioned successively with 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and n-butanol, and the fractions so obtained were also examined for their anti-inflammatory effects. Among them, the hexane, methylene chloride, and ethyl acetate fractions inhibited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production in LPS stimulated macrophages. The methylene chloride and ethyl acetate fractions also suppressed the productions of interleukin (IL)-1β and IL-6 by down-regulating their mRNA levels in LPS stimulated RAW 264.7 cells. Furthermore, the ethyl acetate fraction strongly suppresse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t the protein and mRNA levels in LPS stimulated RAW 264.7 cell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ons of F. vulgare are due to inhibitions of the productions of NO, PG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 KCI등재

        농어촌주택 취득자 양도소득세 감면특례의 개선방안

        양인준(Yang, In J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4 土地公法硏究 Vol.64 No.-

        이 글은 일정요건을 갖춘 농어촌주택 취득시 양도소득세를 비과세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조세특례제한법 제99조의4(농어촌주택 등 취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과세특례)를 논의소재로 삼아 비과세감면제도 정비시에 관련논점을 어떻게 유기적으로 고려해야 하는지를 보임을 목표로 한다. 필자의 연구결과를 쟁점조항의 입법개선사항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응의 경제분석 결과, 쟁점조항은 농촌보다는 도시, 그 중에서도 수도권 대도시에 주택이 있는 자에게 더 유리하므로 조세유인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쟁점조항 중 일몰규정이 폐지될 가능성은 낮고 반대로 쟁점조항 자체가 아예 폐지될 가능성도 있다. 결국 이는 사회전체적 공감대문제로 귀결된다. 셋째, 농어촌주택등과 보유하고 있던 일반주택이 연접한 경우의 법적용배제규정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쟁점조항의 비과세혜택 사후배제조항과 관련해 이자환수규정을 보완하고 재이주민에 대한 배려조항을 둘 필요가 있다. 다섯째, 정책실효성 제고를 위해 농어촌주택 취득가액 기준금액 상향조정을 고려해봐야 한다. 여섯째, 현행 비과세방식에서 세액공제방식으로 전환하자는 논의가 있고 세법이론상 타당한 측면이 있으나 이 역시 사회전체적 공감대문제로 귀결될 가능성이 있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show critically how we deal with tax incentive measures and what we need to consider as to tax issues which is relevant to special treatment in taxation. In this point, I used several tax issues on non-taxation provision of capital gain for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hereinafter ‘main issue provision’) as an example. And then I tried to establish a tax bill framework regarding special treatment in taxation for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Main argum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ain issue provision could be effectively functioned as tax incentive measure according to an economic analysis. Secondly, sunset clause of main issue provision will not be repealed at least in a short term. Thirdly, application scope of some specific clauses for main issue provision needs to be reconsidered. Fourthly, both persuasion and sympathy for other Korean people except farmers and fishermen are real task from the view point of equity.

      • KCI등재

        우리나라에서의 탄소세 관련 최근 논의동향

        양인준 ( Yang In Jun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조세와 법 Vol.4 No.S2

        지구온난화현상은 오늘날 그저 남의 얘기가 아니라 우리가 현실적으로 체감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상황을 볼 때 중장기적 관점에서도 탄소세제 도입여부를 반드시 장담할 수는 없으나, 일단은 탄소세제가 지구온난화문제에 대한 유력한 대응방안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세제의 도입시 어떤 형태로 입안해야 옳을지 등에 대해 미리 검토해둘 필요성은 있다. 애초 이 글의 모태가 된 발표내용이 외국의 세제전문가를 대상으로 탄소세제 입안과 관련된 우리나라의 그간 논의동향을 정리·소개하는 것이 주요목적였던 까닭에, 이 글에서도 탄소세 도입당부에 관한 본격적 논쟁과 그에 뒤따르는 주장내용 등을 상세히 소개하지는 않았다. 우선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현황과 국가감축목표 설정동향을 살펴본 다음 우리 학계의 기존 법규범론 논의를 중심으로 몇 가지 큰 쟁점, 곧 ① 탄소세가 종래 소득세제에 비추어 어떤 문제점을 일으키는가, ② 조세정책차원에서 탄소세 도입과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상황 및 향후 전망은 어떤가, ③ 만약 우리나라에서 탄소세가 도입된다면 어떤 형태로 도입되어야 하며, 구체적 입법설계시 고려해야 할 쟁점은 무엇인가, ④ 탄소과세, 곧 탄소세의 국경세 조정문제를 어떻게 봐야 하는가 등을 중심으로 법규범적 측면에서의 주요 선행연구성과 논의현황을 요약·정리해 본다. 글쓴이는 이 글을 통해 비교적 낯선 세금형태인 탄소세에서 어떤 법적 쟁점이 문제될 수 있는지 등 최근의 논의현황을 정리하는 한편, 한 걸음 더 나아가 여기서 언급된 각 쟁점들은 각각 입법설계과정에서 구체적이고 면밀한 고려가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마땅하다는 점 등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is to briefly summarize the recent debating trends in the carbon tax system in South Korea. It is not too easy to sum up all these debating issues in this short paper.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just to show foreigners recent debating issue and its debating level in Korea. As we may know, greenhouse gas emission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recent global climate change. Therefore, Korea is also considering introduction of carbon tax system as a effect counterplan. In this context, I will try to analyse and summarize pros and cons briefly as possible as I can. Contents or points of this paper can be roughly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ly, consideration with regard to vertical equity should precede actual introduction of carbon tax system. Secondly, when it comes to drafting carbon tax bill, we should design all tax requisition after finishing analyses all tax factors from the economical and legal -especially constitutional- viewpoint. Thirdly, carbon tariff issue is also as important as internal carbon tax system in the light of business competition concept, even if I didn’t deal with this issue in detail in this paper.

      • KCI등재

        신탁부동산에 대한 과점주주의 간주취득세 과세

        임태욱(Tae-Wook Lim),양인준(In-Jun Yang) 한국조세연구포럼 2017 조세연구 Vol.17 No.2

        신탁부동산에 대하여 위탁자의 과점주주에게 간주취득세를 과세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 대법원 2014. 9. 4. 선고 2014두36266 판결 에서는 “신탁의 효력으로서 신탁재산의 소유권이 수탁자에게 이전되는 결과 수탁자는 대내외적으로 신탁재산에 대한 관리권을 갖게 된다.”는 과거 판례의 내용을 인용하면서, 신탁계약이나 신탁법에 의하여 수탁자가 위탁자에 대한 관계에서 신탁부동산에 관한 권한을 행사할 때 일정한 의무를 부담하거나 제한을 받게 되더라도 그것만으로 위탁자의 과점주주가 신탁부동산을 사실상 임의 처분하거나 관리운용 할 수 있는 지위에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는 점을 근거로 위탁자의 과점주주에게 간주취득세를 부과할 수 없다고 판시한 바 있다. 해당 대법원의 판결에 따른다면 구 지방세법 하에서 특정 법인의 과점주주가 법인 소유의 부동산 등을 신탁회사에 신탁하여 간주취득세를 회피할 가능성이 발생한다. 특히 계약에 따라 그 내용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신탁의 특성상, 위탁자인 법인은 계속하여 부동산 등을 사용ㆍ수익하면서 과점주주는 간주취득세를 회피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개정된 지방세법에서는 수탁자 명의로 등기ㆍ등록된 신탁부동산 등을 포함하도록 하여 위탁자의 과점주주에게 간주취득세를 과세할 수 있는 것으로 법률을 정비하였다. 하지만 과점주주에 대한 간주취득세는 등기·등록을 기준으로 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취득세와는 달리, 사법상으로는 취득에 해당하지 않지만 결과에 있어 취득과 동일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매기고 있는 세금이다. 따라서 과점주주에 대한 간주취득세는 경제적 실질을 기준으로 접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신탁에서는 경제적 실질이 위탁자와 수탁자 중 어느 누구에게 있다고 단정 짓기 어렵기 때문에, 위탁자와 수탁자 중 어느 일방을 기준으로 하여 그 과점주주에게 간주취득세를 과세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대법원이 인용한 기존의 판례 법리는 신탁재산의 소유권이 위탁자와 수탁자 중 누구에게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일 뿐이다. 따라서 이것을 신탁부동산에 대한 간주취득세의 과세기준으로 삼을 필요는 없다. 과점주주에 대한 간주취득세가 담세력의 관점에서 애초 경제적 실질을 반영하여 과세하자는 생각인 만큼 쟁점이 신탁부동산으로 확장되더라도 경제적 실질을 반영하여 과세하는 생각이 기본적으로 달라질 이유가 없다. 대법원의 판결에 따르면 위탁자가 경제적 실질의 대부분을 가지고 있는 경우 조세회피 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개정된 지방세법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개정된 지방세법은 경제적 실질이 수탁자에게 완전히 넘어간 경우, 신탁부동산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할 수 없는 위탁자의 과점주주에게도 간주취득세를 과세하는 것이 되어 오히려 불합리한 결과를 만들어 낸다. 결국 과점주주 간주취득세의 담세력과 신탁제도의 특성을 고려하면, 경제적 실질이 위탁자에게 남아있는 경우에만 위탁자의 과점주주에게 간주취득세를 과세하는 쪽으로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 개정된 지방세법 하에서, 위탁자의 과점주주가 신탁부동산 등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지배력을 행사할 수 없는 것이 명백한 경우에는 위탁자의 과점주주에게 간주취득세를 과세하지 않는다는 법리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해석론과 논리를 맞추어 지방세법에서는 개정된 조문의 내용대로 위탁자의 과점주주에게 간주취득세를 과세할 수 있는 것으로 하되, 경제적 실질이 없는 것이 명백한 경우에는 위탁자의 과점주주에게 간주취득세를 과세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둘 필요가 있다.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4Du36266 rendered on September 4, 2014; it was disputed whether or not the Constructive Acquisitions Tax could be taxed on truster’s oligopolistic shareholder regarding the trust property. The Supreme Court decides that the Acquisition Tax is not liable to property in trust referring the precedent: “trustee has the external and internal ownership of the property in trust.”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Decision, under the former Local Tax Ac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ligopolistic shareholder of a particular corporation avoids acquisition tax on the property owned by the company. In particular, the trust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contents are freely constituted through the contrac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uster continues to use and profit from the property while the oligopolistic shareholder can avoid the Constructive Acquisition Tax. To solve such problems, the recently revised Local Tax Law has enacted the law to include property registered in the name of the trustee, so that the Constructive Acquisition Tax can be taxed to the shareholder of the truster. However, unlike the general form of Acquisition Tax by registration, the Constructive Acquisition Tax on the oligopolistic shareholder is taxed on the basis that the result is the same as the acquisition.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e Constructive Acquisition Tax on the oligopolistic shareholder based on the economic substance. Since it is hard to conclude that the economic substance of a trust belongs to either the trustee or the trustee, it is not reasonable to assess the Constructive Acquisition Tax by either the trustee or the trustee. The existing precedent cited by the Supreme Court is merely a judgment as to whether the trust property belongs to the trustee or trustee. Therefore, it can not be used as the tax base for Constructive Acquisition Tax on trust property. The Constructive Acquisition Tax is to be taxed by the economic substance. Therefore, even if the issue is extended to trust property, there is no reason to change it.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Decision, if the truster has most of the economic substance, the possibility of tax avoidance may arise. The revised Local Tax Law was presented as a solution. However, the revised Local Tax Law is rather unreasonable, because if the economic substance is ultimately transferred to the trustee, it is also taxed on the oligopolistic shareholder who can not exercise control over the trust property. In conclusion, considering the taxable capacity of Constructive Acquisition Tax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ust system,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a solution to tax the Constructive Acquisition Tax of the oligopolistic shareholder only if the economic substance remains in the truster. In this context, the Supreme Court raises an issue of the possibility to impose the Constructive Acquisition Tax to the oligopolistic shareholder in the case of “extraordinary circumstances.” Therefore, under the revised Local Tax Law,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jurisdiction not to tax the Constructive Acquisition Tax to the oligopolistic shareholder of the truster if it is clear that oligopolistic shareholder can not exercise control over the trust property. Also,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Local Tax Law so that it does not tax the Constructive Acquisition Tax to the oligopolistic shareholder if it is clear that the truster has no economic sub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