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으로 다시 쓰는 예술

        양은아(Yang Eun-A),석지혜(Seok Ji-Hy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최근 평생교육맥락에서 확장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한 사례로서 평생교육현장의 다양한 접점에서 예술교육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가르치는 예술가”로서의 ‘Teaching Artist’ 사례에 주목하였다. 본래 다양한 예술장르의 전문예술가 그룹이었던 이들이 “가르치는 예술가(teaching artist)”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두드러진 차이는 기존의 예술(art)을 이해하는 방식의 변화 없이 단순히 페다고지적 방법론을 추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과정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들은 교육적 역량이 매개되면서 기존의 자신의 예술작업 전체를 다시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을 경험하며, 이는 예술가로서뿐 아니라 교육자로서도 성숙하는 계기로 발전된다. 교육경험이 축적되면서 이들은 교육활동에 내재된 관계적 속성이 예술창작활동의 본질과도 유사한 속성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예술가에서 교육가로의 삶을 견인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삶의 맥락과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둘째, “가르치는 예술가”로서의 활동을 기획하면서 이들이 결집하고 있는 ‘Teaching Artist’ 프로그램과 교육활동을 통해 ‘예술가’이자 ‘교육자’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해가는 공통된 경험을 밝힌다. 셋째, “가르치는 예술가”로서 거듭나는 과정에서 경험한 교육적 역량은 무엇이며, 이를 통해 기존의 예술세계는 어떻게 재규정되는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예술가이자 교육자라는 자아의 공존이 이들의 삶에서 어떻게 융합되고 있는지를 설명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case of “Teaching Artists” who have taken a leading role in arts education as a newly emerging arts education trend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the transformative process from performing artists to “teaching artists” is that it is not just a pedagogic methodological addition without the changed way of understanding art. They experience changes in viewpoint, rethinking their artwork in transition to “teaching artists”. It becomes an opportunity for them to grow as a great teacher as well as a great artist. With the accumulation of teaching experiences, they realize that the interactive feature of teaching has a similarity to the nature of artwork. This research has four parts. First part is to examine the life context and meaning in the process of attracting performing artists to “teaching artists”. Second part is to examine the reconstruction of identity both as a teacher and as an artist through the common experience they share in Teaching Artist Program. Third part is to reveal the educational competence of “teaching artists” and the different features of performing artists and “teaching artists”. Fourth part is to explain the self-coexistence both as a teacher and as an artist, and how they are fused together in their life.

      • KCI등재

        예술창작과정에서 체험하는 예술가의 직관과 학습

        양은아(Yang Eun a) 한국평생교육학회 2017 평생교육학연구 Vol.23 No.3

        최근 직관의 문제는 창조성과 연계되어 교육학뿐 아니라 경영학, 심리학, 철학 등의 제반분야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직관의 실제 및 체험적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시론적 탐색을 시도하면서, 평생학습의 상징적 모델이자 직관을 가장 중요한 능력으로 활용하는 예술가의 직관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의도적 표집방법에 의거한 미술작가 8명을 선정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연구 결과, 직관의 경험은 “직관적 판단”과 “직관적 창조”라는 두 가지 층위로 구분되었다. “직관적 판단”이 무엇을 할지에 관련된 판단의 문제라면, “직관적 창조”는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지식을 만들어내는 새로운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직관의 경험은 인지적 경험을 넘어 정서적, 영적 경험과도 맞물리며 확장되었다. 이 과정에서 예술창작활동 전반에서 직관의 발현을 추동하는 세 가지 역동, 즉 ‘직관적 정신과정-분석적 정신과정’ 간의 역동, ‘자아의식의 통합-자아의식의 분리’ 간의 역동, ‘자유-통제’ 감각 간의 역동이 도출되었다. 각 역동들은 동시적으로 발생한다기보다 주기적으로 순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종합된 직관은 양면적 차원에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조성의 근간을 이루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한다는 측면에서 직관은 극히 개별적인 능력이지만, 작가에게 필요한 직관은 또한 소통하는 능력이라는 점에서 보편적 근거 위에 있다. 이러한 직관의 능력은 교육과 학습을 통해 인간에게 기대되는 가장 핵심적인 능력이자 궁극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tackles recent problems that intuition has in connection with creativity, gaining attention not only from an education point of view but also in business administration, psychology, philosophy, etc. Accordingly, this research attempts an introductory exploration that helps one understand the actuality and experiential structure of intuition with focus on artists’ intuition, which is a symbolic model of lifetime learning, utilizing intuition as a very important ability. To do this, eight artists were recruited based on purposeful sampling, and with the research approached as a phenomenological study.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intuition was divided into two levels of “intuitive judgment” and “intuitive creation.” If “intuitive judgment” is a problem of deciding what to do, “intuitive creation” is a new way of creating unprecedented knowledge. Moreover, the experience of intuition expanded beyond cognitive experience, interlocking with emotional and spiritual experience. In this process, three dynamics that drive the expression of intuition in the overall art creative activities were obtained: dynamics between ‘intuitive mental process and analytic mental process,’ dynamics between ‘integration of self-consciousness and separation of self-consciousness,’ and dynamics between senses of ‘freedom and control.’ Intuition combined through this research was revealed to function in the ambivalent level. Forming the base of creativity and creating new knowledge, intuition is a great individual ability; however, intuition required for artists is on universal basis as a communication ability. Such intuition ability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essential one that can be expected from humans through education and learning as well as an ultimate ability.

      • KCI등재

        삶의 "전환"을 살아간다는 것: 초보 예술가들의 전환적 생애경험을 중심으로

        양은아 ( Eun A Yang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2 교육인류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인생의 중후반기에 예술가로서 새로운 삶을 기획하게 된 세 명의 초보 예술가를 대상으로 무엇이 이들의 전환적 삶을 가능하게 했는지 주요 생애사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에게는 공통적으로 두 번의 결정적인 ‘전환’사건이 있었다. 하나는 예기치 못한 ‘가족의 죽음’을 직면하면서 경험한 사건이고, 다른 하나는 ‘나의 죽음’으로 상징되는 존재적 위기를 지나면서 경험한 사건이다. 이로 인해 외형적으로는 동연적인 파장과 패턴을 보이지만 이 두 가지 변화를 동일한 차원으로 볼 수는 없다. 첫 번째 사건 이후로의 시간은 삶의 ‘지속’을 단절한 시간이었다. 물론 그 안에서 치열한 생존의 노력과 학습이 활발히 일어나지만 철저히 ‘나’의 존재가 의식 밖으로 밀려난 ‘단절’의 활동이다. 즉 나로 사는 것 같으나 나의 존재가 상실된 삶이다. 반면 두 번째 시련을 겪으면서는 이전과 다른 삶의 질적인 전환을 경험하게 된다. 상황으로부터 ‘나’를 분리시키고 존재적 조건으로서 의식 밖으로 그림자화시킨 과거와의 연결을 스스로 찾아나서는 질문을 던지게 된다. 그러나 그 과정은 저절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과거로의 팽창을 통해 나를 환기시키는 상징적 단서인 ‘꿈’을 재발견하게 되고, 그것이 현실의 구체적인 예술적 도구와 연결되면서 현재의 가능성을 다시 붙들고 갈 수 있는 시작점을 찾게 된다. 여기에서 꿈은 그때그때마다 존재를 구성해간다는 의미에서 잠재성이고, 그래서 꿈은 지금 나의 실존에 속한다. This study analyzed what caused three novice artists who embarked on new artistic careers in their mid- to latter part of lives to lead transformational lives, with a focus on their major life ev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y all had two decisive ‘transformational’ events in their lives. One was the event they experienced while facing the unexpected ‘death of a family member’ and the other was the event they experienced while undergoing the existential crisis symbolized by ‘my death’. The time after the first event was the time that cut off the ‘continuance’ of life. Of course, intense efforts and the learning of existence happen actively inside, it is the activity of ‘severance’ where the existence of ‘myself’ is thoroughly pushed outside. On the other hand, while undergoing the second trial, they experience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lif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life. They throw a question of looking for a connection with the past that becomes a ‘shadow’ outside the consciousness as the existential conditions of ‘me’. ‘Dream’ which is a symbolic clue that reminds me of myself through the expansion into the past is rediscovered and as it is connected with concrete artistic tools of the realities, the starting point from which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t can be grasped is found.

      • KCI등재

        대중인문학교실 참여 학습자의 학습활동과 경험적 변화에 관한 연구

        양은아(Yang, Eun A)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중인문교육의 장에서 한편으로는 인문학교실에 참여하여 학습활동을 확장해나가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관심분야를 중심으로 세미나 및 자기학습을 지속해온 성인학습자 총 48명을 심층면담하고, 부분적인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문적 사유가 인간의 내성뿐만 아니라 삶의 양식과 지평을 의미 있게 바꾸어 놓을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고, 그 핵심 메커니즘에 상당 부분 근접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진정한 인문학습에는 자체적으로 내장된 패턴과 과정, 그리고 경험 재구성을 위한 순환적 사이클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이 부분을 결여한 인문학습은 비록 실시되더라도 삶의 지평을 바꾸는 힘을 결코 발휘할 수 없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순환과정 안에서 성인인문학습은 그 자체적인 의미생성과 학습과정의 특이성을 획득해가게 된다. 이 과정에 대한 전인격적 경험을 우리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인문학습경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대중인문교육기관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시각에서 인문학교실의 참여와 교육 프로그램의 의미를 들여다보고자 하였으며, 둘째는 성인학습자들이 인문학습의 본궤도에 진입하여 인문학 리터러시를 획득해나가는 단계적 경험과 그 차원을 검토하였다. 셋째는 인문학습과정을 통해서 학습자들이 인문학 안에 내장된 경험구조를 어떻게 받아들이며, 그 결과 자신의 경험을 재구성해가는 전체 사이클 즉 학습과정, 학습주체, 질문의 차원, 학습체험, 학습의 의미, 학습의 적용과정에 나타난 순환적 사이클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인문학습을 통하여 학습자의 경험이 성장한다는 의미는 어떻게 해석될 수 있으며, 이들의 삶의 지평에서 어떤 의미로 규정될 수 있는지를 조망한다. This article aims at revealing the phenomena that adult learners transform their prior experiences and lives through devoting themselves in “humanities learning” or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adult liberal education that are rarely practical as well as abstruse in theoretical level. For th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to the forty-eight participants at several non-formal philosophy classe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at the same institutions were applied to draw the following four main findings. First, the heuristic meaning of the learning group and space were reveal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that the learners participate are analyzed; second, the nature of the competence, required to adjust in the learning process that I called “humanities literacy”, was discussed and the actual stage developments in the process are excavated; third, as a consequence, it reveals an exquisite interconnectedness in cycle of the elements found in this research, which includes (1) learning process, (2) the subject of learning, (3) dimension of the inquiry, (4) learning experiences, (5) meaning of the acquired learning, and (6) its application. Lastly, it discusses the extended meaning in general of the humanities learning, humanities literacy, and its implication.

      • KCI등재

        삶과 학습의 선순환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인문학습경험에 대한 생애사적 분석

        양은아(Yang Eun-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인문학습 및 인문적 사유의 가치와 의미를 평생학습이라는 생생한 삶의 지평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수행되었다. 형식교육, 비형식교육, 무형식학습이라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간경험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며 성장하는 인문학습의 총체적인 경험을 성장과 생애로 확장된 학습생애사 안에서 재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10년 이상 인문학을 학습해온 성인학습자 총 17명을 인터뷰하였다. 연구 결과 인문학습과정은 삶의 국면에서 자신에게 던져진 상황에 실존적으로 대처하는 과정이며,삶의 위기상황에서 오히려 그 위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인문학습경험은 인문학 지식과 실존적 질문이 서로 넘나들고 연계하는 과정에서 삶과 지식이 선순환적 소통을 확장해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즉 인문학습은 삶의 문제들과 함께 살아가는 긴장과 대화의 과정, 그리고 그 과정을 극복하는 노정에서 발견되는 삶의 의미와 이해이며, 근본적인 의미에서의 자기철학적 토대가 된다. 학습자들에게 있어 삶이라는 구체와 복잡성으로부터 생명력을 부여받은 앎은 다시 이들의 삶으로 되먹임되고 있다.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인문교육은 철학이나 문학, 역사 등 인문학적 소재를 다루는 학습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학습을‘어떻게’해야 하는가의 문제로 귀결되며, 인문학 안에 내장된 경험구조를 실현해 낼 수 있는 학습과정을 결여한 교육이라면 그것은 또 하나의 지식학습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반대로 이 과정을 유의미하게 흡수할 경우 인문학습은 생애학습으로서 어떤 다른 과정보다도 인간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실 질적인 역량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Recently, liberal education in humanities is being expanded in the context of adult education. From the liberal educations for 'the homeless', 'women', and 'the underprivileged'isolated from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those for CEOs in business world, recently the humanities lectures linked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residents are increasing. In short, current crisis and chances humanities education is facing are being expanded to the context of lifelong learning beyond school educati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to show the nature of life in humanities learning growing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human experiences from the viewpoint of lifelong learning in an attempt to expand the meaning of humanities learning has stayed only in school until now. For this purpose, by means of life-history I interviewed total 17 adult learners had studied humanities more than 10 years. I reorganized the whole experiences of humanities learning in expanded learning life-history of growth and life to examine what value and meanings they learn and re-structuralize their life through the various channels of humanities learning such as formal education, nonformal education, and informal learning shown in the whole context of life. Findings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learner's humanities learning in their life stage is the expanding process of virtuous circle communication between life and knowledge in the process of covering and connecting between humanities knowledge and existential questions. In this cycle, humanities learning gains the generation of meaning itself and the peculiarity of learning process. The whole personality experience in this process can be told as a humanities learning experience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In short, learning itself dealing with humanities subject matters such as philosophy, literature, and history is not important, but the problem is concluded in 'how' they should learn. The humanities learning without learning process of realizing experiential structure inside humanities is no more than another knowledge learning. On the contrary, in case of absorbing this process meaningfully, the power of humanities learning turned out to be a powerful competency changing human life more than anything else as a learning through life.

      • 체육계열 대학생의 코로나19에 관한 은유분석

        양은심 ( Yang Eun-sim ),김진아 ( Kim Jin-a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3 국제문화예술 Vol.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체육계열 대학생의 코로나19에 관한 경험적 인식을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H대학교의 체육관련 전공 학생 232명이다.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를 e-class에 탑재하여 응답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Gök & Erdogan(2010)의 개념적 은유분석 단계에 따라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은유분석 단계를 통한 분석 결과 걸림돌(48%), 절망 속 희망(32%), 긍정의 전환점(20%) 총 3개 영역의 주요 범주가 도출되었다. ‘걸림돌’의 하위 요인으로는 위험 요소, 기회 상실, 목표 상실, 대학생활 방해로 구성되었으며, 부정적 경험을 나타내고 있다. ‘절망 속 희망’의 하위 요인으로는 기회, 선악 공존, 반성으로 구성되었으며, 긍정적 경험 및 인성 함양이 포함되어 있었다. ‘긍정의 전환점’의 하위 요인은 생활의 전환, 생각의 전환, 삶의 전환으로 구성되었고. 내재적 동기를 기반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결론: 포스트 코로나가 시작된 시기임에도 오늘날의 지구촌은 환경오염과 또 다른 감염병, 인구구조의 변화가 계속 되어 언제든 찾아올 수 있는 유사성 팬데믹에 대한 교육학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대학교의 비대면 체육수업 및 미래 체육교육을 대비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mpirical perception of COVID-19 among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32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t H University in Seoul. The semi-structured open questionnaire was mounted on the e-class to collect the answered data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onceptual metaphor analysis stage of Gök & Erdogan (2010). Resul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ough the metaphor analysis stage, a total of three main categories were derived: obstacles (48%), hopes in despair (32%), and turning points of positivity (20%). The sub-factors of ‘stalking stones’ consisted of risk factors, loss of opportunity, loss of goal, and obstruction of college life, and showed negative experiences. The sub-factors of “hope in despair” consisted of opportunity, coexistence of good and evil, and reflection, and included positive experience and personality cultivation.The sub-factors of the ‘transition point of positivity’ consisted of a change in life, a change in thought, and a change in life. It showed a positive effect based on intrinsic motivation. Conclusion: Today’s global community must come up with an educational alternative to the similarity pandemic, which can come at any time as environmental pollution, another infectious disease, and changes in demographic structure continue, even though the post-COVID-19 began.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preparing for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future physical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인문학적 사유방식과 교육적 질문방식 : 성인인문교실에서의 문제제기와 질문방식의 전환

        양은아(Yang Eun-A)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성인인문학 수업의 실제사례를 통해 인문학적 사유방식과 학습자의 경험 사이를 매개하는 방법으로서 교수자가 제기하는 질문방식과 그 양상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인문학 수업에서 강사가 제기하는 질문의 구조적 층위를 분석하고, 둘째, 구체적인 교실장면에서 교수자는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질문과 질문 사이의 간극을 매개하는지 수업의 흐름과 그 전개과정을 파악하였다. 셋째는 질문과 학습자를 연결하는 소통의 방법으로서 교수자가 활용하는 교육적 개입과 방법, 활동을 검토한 뒤, 넷째, 학습자의 관점에서 교수자는 어떠한 위치와 역할로서 이해되고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인문학적 질문이 넘나드는 중층적 관계는 학습자의 실존적 차원과 어떻게 연결되면서 이를 변형 · 확장시키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수업전체를 연동하는 질문의 구조는 존재의 문제(내 존재 안의 경험)와 결합된 1인칭적 질문, 나의 삶이 거주하는 생활권의 문제(내 삶 안의 경험)와 연결된 2인칭적 질문, 구조와 사태의 문제(먼 경험)를 바라보는 3인칭적 질문의 3자적 관계로 분별되었다. 교수자는 3인칭적 질문 -> 2인칭적 질문 -> 1인칭적 질문으로 그 연결망을 확장하면서 다양한 교육적 개입과 활동을 동원하며, 질문과 질문사이를 매개하는 방법으로서 자신의 삶과 성찰적 사유를 공유한다. 인문학이 전제하는 사유방식은 질문을 매개로 풀어내는 교육적 실천이 결합되면서 ‘나’ - ‘우리’- ‘세계’의 맥락을 연결짓는 사유로 확장되며, 그 과정에서 교수자는 뛰어난 철학자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 그것을 교육적으로 풀어낼 수 있는 뛰어난 교육적 역할이 동시에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This research conducted a case study of an adult philosophy clas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the questions that teachers draw to the mature students in a class were organized and implemented. The questions in this researches were supposed to be the most important key medium of communication that interconnects the humanities' way of speculations with the experiences of the learners. In other words, teachers made appropriate use of them to pull the participant's past experience to the surface and connect them with various dimensions of one's life. In this research, I found that the questions raised by teacher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layers of lifeworld: the 1st layer question that directly touches one's inner subjective and existential matters; the 2nd layer question that deals with the issues surrounding one's well-recognized life space; the 3rd layer question that brings the macro social issues, still far from one's own experience, in the context of dialogue. The teacher in the case study utilized the three layers of questions back and forth, or rather made them interconnected to have one's experience zoomed in or faded out from the social issues. At the first stage, the humanities' way of speculation can only deal with the social issues in abstract form by applying the 3rd layer questions. However, step by step, the teacher utilized the 2nd layer questions to put the abstract issues into the context of "community of common concerns" by applying teacher's own experiences, where still the humanities' way of speculation is translated in the more friendly and common area of discourse. Finally the teacher stimulated the student's own experiences meet the very issues by applying 1st layer questions, where leaner's subjective and existential answers were developed with the help of the humanities' speculation method.

      • KCI등재

        홍콩 고등평생학습복합체제 구조적 특징 분석

        양은아(Yang Eun A),한숭희(Han Soong 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2

        최근 고등교육체제를 평생학습으로의 확장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이해하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홍콩의 사례는 기존 전통적인 엘리트중심 고등교육체제가 어떻게 성인 계속학습의 수요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가에 관한 흥미있는 현상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홍콩의 고등평생학습복합체제로의 변화과정을 통해 고등교육의 보편화라는 축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시장화 모형을 비학위과정 및 기타 변형된 형태의 계속교육과정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대학 거버넌스 구조를 만들어내는 추이와 양상을 분석하고, 그 사례로서 홍콩대학의 전문계속교육대학(‘HKU SPACE’)의 거버넌스 시스템과 작동방식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홍콩의 사례는 대학의 기능 및 거버넌스 구조만으로 보았을 때 매우 특이한 구조적 변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생태적 맥락을 드러내는데, 이런 점에서 홍콩의 고등교육은 (1) 전통적 대학이라는 울타리, (2) 그 안에 엘리트적 및 보편적 고등교육 수요에 대한 격리된 학위공급구조, (3) 모듈화되어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비학위프로그램 공급생태계, (4) 학습결과와 학위를 통한 상위계열로의 편입 가능성 등이 종합된 이른바 ‘한 지붕 두 가족’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처럼 4년제 대학중심, 학위중심의 단순함에서 벗어나서 다양한 체제가 공존함과 동시에 학위와 전문자격이 함께 학위프로그램과 비학위프로그램을 융합하고 공유하는 형태를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고등수준에서의 평생학습체제 구축에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 체제들은 공공재원으로 이루어지는 고등교육과 사적비용으로 시장화된 성인계속교육으로 고등평생학습의 생태계를 이분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점도 부정할 수 없다.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understand higher education system from a new angle of expanding toward lifelong learning. In this context, the case of Hong Kong system shows us the interesting phenomenon that tells us how traditionally elite-centered higher education system embraces the demand of lifelong continuing learning.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and progress of creating new governance structure of universities and reviewed the governance system and operational methods of professional and continuing education in Hong Kong. For this, through the process of conversion into complex system of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a marketing model that satisfies gener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creates profits by itself at the same time was applied to non-degree courses and other transformed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As a result, in the case of Hong Kong, considered only with the function and governance structure of universities, showed ecological context that enables very unique structural transformation; in this regard, higher education in Hong Kong has a so-called ‘two families under one roof’ system that includes: (1) the boundary of traditional university, (2) segregated degree-supplying structure for demands for elitist and universal higher education, (3) modularized ecosystem supplying non-degree programs that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and (4) possibility of transferring higher levels through learning outcomes and degrees. This provides a few important implications in establishing higher level of lifelong learning system, in that they have developed higher educational system where various systems coexist, and degree programs and non-degree programs and academic degrees and professional certificates are converged and shared at the same time, beyond the system that focuses on 4-year university and degree system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it is undeniable that the system has divided the ecosystem of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into those with public fund and private costs.

      • KCI등재

        실천인문학'과 결합된 인문교육의 성격변화와 대중인문교육의 새로운 맥락화

        양은아(Yang, Eun A)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3

        최근 인문교육은 그동안 자신의 존재적 텃밭이 되어왔던 제도권 안에서 기반이 흔들리는 위기를 맞고 있다. 이에 비해 학교 밖에서는 체제중심의 담론으로 존재하던 인문교육을 삶의 살아있는 맥락으로 복원시킴으로써 인간경험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며 성장할 수 있는 실천학문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현재의 인문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위기와 기회는 제도권 교육의 한계를 넘어서는 평생교육의 맥락에서 포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비형식맥락을 통해 등장한 실천인문학은 인문학의 특성을 어떤 방식으로 재규정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대중성인인문교육의 역할은 무엇인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대학 인문학자의 시각을 통해 드러난 대학기반 인문학과 인문교육의 특성을 정리하고, 이와 대비하여 실천인문학의 맥락과 특성은 무엇이며, 대중인문교육의 장과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로 대학 강단인문학이 가지고 있었던 전문성 중심주의를 검토하고, 두 번째 부분에서는 이러한 강단인문학을 비판하며 등장한 실천인문학자들이란 과연 어떤 사람들이며, 이들의 활동과 담론을 재생산하는 방식은 어떤 특성을 가지는지에 대해 검토한다. 세 번째로 이들이 추구하는 ‘실천인문학’의 맥락과 특성은 무엇이며 그 실제 전개과정은 어떠했는지를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실천인문학의 장면 안에서 교육 프로그램이 조직화되는 방식을 통해 나타나는 학문과 교육의 교류과정, 즉 실천인문학과 대중인문교육이 서로 공생하는 과정을 조망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mode of teaching experience of liberal arts such as philosophy, at the context of non-formal liberal education institutions. The paper especially focuses on the experiences of the instructors who are the member of the "practical" humanities, a newly emerging non-university humanity studies that are linked with the adult liberal education movement, especially practiced at the marginal areas, such as prison lectures, homeless college, or open programs of CSO(civil society organizations). Several findings worthy of paying atten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al" humanity movement was, on the one hand, creating new ecology of popular adult liberal education that produced new patterns of value and methods of curriculum and provision,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university-based' liberal arts and education; Second, the opportunities of popular adult liber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strengthened the academic excellency of the community of the "practical" humanity studies, in the sense that the lecturers found the mutual interdependency between "teaching" and "research" in the context of 'real atmosphere of the ordinary daily lives'; Third, the both 'practical humanity studies' and 'its allied open education movement' are successfully interlinked to make a mutually-reinforcing co-evolution, upon which new set of frameworks in the humanities and the liberal educations are developed.

      • KCI등재

        댄스스포츠 교양수업을 통한 대학생들의 인성 덕목 요구분석

        양은심 ( Yang Eun-sim ),김진아 ( Kim Jin-a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0 한국무용연구 Vol.38 No.1

        이 연구는 대학교 댄스스포츠 교양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요구하고 지각하는 인성덕목을 파악하여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인성발달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서울 소재의 K대학교에서 한 학기 댄스스포츠 교양수업을 수강하는 비전공 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인성 개념을 탐색하고자 귀납적 분석을 통해 배려의 유무, 공감의 유무, 책임의 유무, 존중의 유무로 범주화 되었으며, 현상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하고자 Stauss와 Corbin(1996)의 근거이론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패러다임 모형을 통해 인과적 상황, 중심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결과로 구성하여 범주간의 현상을 연결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필요한 인성의 요구조건은 배려, 공감, 책임, 존중의 네 가지 덕목이 핵심범주라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인성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research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for personality development in dance sports classes by identifying personality traits demanded and late by students through the college dance sports liberal arts classe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mi-structured open questionnaire for 152 students taking dance sports and culture classes in a semester at K University in Seoul. To explore the concept of character in college students, it was categorized into the existence of consideration, the existence of empathy, the existence of responsibility, and the existence of respect through inductive analysis. In order to have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status quo, the basis theory of Stauss and Corbin (1996) was used. Through the paradigm model, the phenomena between categories were linked by constructing them as causal situations, central phenomena, contextual conditions, interventional conditions, actions/interactions, and resul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ur virtues of consideration, empathy, responsibility and respect were found to be key categories in dance sports classes. We hope that this will help college students develop character by developing and utilizing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in future dance sports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