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5세기 국어 존대표지의 실현 조건

        양영희(Yang Young hee) 한국어학회 2003 한국어학 Vol.19 N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using conditions of honorific endings -si-, -sap- and -yi- in 15th century Korean. With reference to the study result. acts of object respected are stated in sentences or conversations in case of -si-. On the other hand, -sap- and -yi- are used under the opposite situation. And the three endings are different in this study: ‘-si-’ is an honorific marker. ‘-sap-’ is a humble marker, and -yi- is a politeness marker. Moreover, I draw a clear line between the humbleness or the politeness and the honorifics. The former of the two express honorific meaning indirectly by means of making speaker oneself low. The latter treat with respect directly. That is to say, the former is an indirect honorific marker, the other is a direct honorific marker.

      • KCI등재
      • KCI등재

        문법교육에서 매체(언어)의 수용 방안

        양영희(Yang, Young-hee)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0 No.-

        본 연구는 문법 교육에서 매체(언어)의 수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마련되었다. 먼저 2007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의 문법 영역과 매체(언어)를 연계하는 성취기준(내용)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교육과정에서는 매체와 매체 언어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태도를 견지하면서 각각의 교육 목표와 내용을 설정하였음에 비하여 연구자들은 정작 국어교육에서 수용해야 할 대상을 분별하면서 논쟁을 하다가 최근에는 언어 중심관에 입각하여 매체가 아닌 매체 언어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후 본 논의에서는 매체와 매체 언어를 구별하는 교육과정의 입장을 문법교육에 적용하였다. 그리하여 매체는 활용의 차원에서 매체 언어는 언어 활동의 차원에서 수용 가능하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교수 · 학습과정에서 매체를 활용하여 탐구 학습을 하도록 함으로써 국어지식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고, 이렇게 학습한 국어지식을 매체 언어 활동의 기반 지식으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문법은 매체(언어)를 수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to find an adoption method of media(language) in grammar education. First, it is difficult to find standards connecting grammar and media(language) from 2007 Curriculum to 2015 Curriculum, and this results in the difficulty of connection and utilization. In addition to this, although the curriculum clearly distinguishes media from media language and defines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respectively, there has been controversy over which media should be adopted among researchers. There also has been tendency that is based on the language-oriented perspective, regarding them as media-language. After discussing current trends, this study applies educational standpoint which distinguishes media from media language to grammar education. In this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accept media as a form of utilization and media language as a form of language activity.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enhance language knowledge i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through media utilization, and this knowledge can be used as primary knowledge for media language activity. 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adopt media(language) in grammar education.

      • KCI등재

        중세국어 호칭어와 종결어미의 호응에 대한 재고

        양영희(Yang Young-hee) 한국사회언어학회 2006 사회언어학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existing views on concord of appellation term with a final ending. In general,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ere is a consistent system to accord "the object not expressed with pronoun" with "hashowsheo" form, "geudui" with "hayassheo" form, and "neo" with "hara" form. There are, however, many examples from actual use which cannot be explained in this framework. Here, the concord of appellation term with final ending in middle Korean is classified into "conforming model on rule" and "strategic model of speaker". The former is sub-classified into "authoritative type" and "bonding type", the latter "appellation type" and "final ending typ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appellation term and the final ending are related to the honorific system, such features as dialogue, personal feelings between interlocutors among others should be included in an analysis. It has been understood that some pronouns are used only with some appellations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regardless of these facts. The basic approach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nalysis distinctive from prevailing explanations.

      • KCI등재

        학교문법 교육에서의 높임법 활성화 방안

        양영희(Yang Young-hee)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60 No.-

        본고는, 높임법은 여타 문법 요소와 달리 사용 문법적 성격이 강하여, 일상생활과 직결됨에도 불구하고 정작 현재 교육과정이나 그것을 근간으로 이루어진 교과서에서 소홀하게 다루는 경향을 문제시하면서, 학습자 중심의 문법교육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의미 있게 사용되는 문법 교육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방안을 교육과정의 측면과 높임법의 내용 구축의 측면에서 모색하여 보았다. 교육과정의 측면에서는 현재 문장 구조나 문장 표현의 한 방식으로 설정된 높임법을 담화 단위로 옮겨 독립적인 내용 성취 기준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그리하였을 경우는 높임법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호칭어 사용법까지를 아우를 수 있어 일상에서 어떤 대상과 대화하는 방식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배울 수 있겠다는 판단에서이다. 그리고 교수 · 학습법은 학습자 중심의 관점에 입각하여, 화법과 통합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높임법이 화법의 ‘언어 예절’과 ‘공손성의 원리에 대한 이해’라는 두 가지 학습 요소와 통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여 대화 장면을 문법의 담화 층위로 설정하여, 그 안에서 대화 상대를 어떻게 대우하고 호칭해야 하는가 등을 익히게 함으로써 실생활과 유리되지 않는 문법 지식을 학습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그렇게 되면 높임법 지식을 다시 대화에 사용하게 됨으로써 단순한 지식 습득의 차원이 아닌 실생활에 사용되는 사용문법의 차원으로 이끌어 올릴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This study points out the problematic tendency which underestimates honorific mood even though it’s usage-based features directly connects it to everyday life unlike other grammatical features.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meaningful grammar education in real life to promote grammar education as learner-centered one. A possible way to achieve this end is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and content structure. From the aspect of curriculum, it is suggested that honorific mood which is set as sentence structure or sentence expression be moved to discourse level as an independent content achievement criteria.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is will be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since this approach will encompass the honorific mood and address form together. In addition, an alternative approach, which integrates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speech based on the learner-centered perspective is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integration is to enhance grammar learning which is connected to real life by setting dialogue scenes as discourse level of grammar and therefore learning how to address the interlocutor in the scenes, because honorific mood can integrate two learning factors, ‘language etiquette’ and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politeness’ of speech. This will enable learners to reuse their knowledge of honorific mood in their dialogue, and it might promote the knowledge as usable grammar in practice, not as simple acquisition of knowledge.

      • KCI등재후보

        중세국어 존대법의 사회언어학적 접근 가능성 모색

        양영희(Yang Young-hee) 한국사회언어학회 2005 사회언어학 Vol.13 No.1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honorific system in Middle Age Korean through a sociolinguistic approach. Although this area has been researched from many viewpoints so that mentioning the status or necessity of the honorary hierarchy in Korean is unnecessary,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tate that there has not been any previous research to explain it fro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The reason is that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speaking environment and the relationship to listeners dearly because the language data in the fifteenth century exist in the form of literature. Considering the aspects of use or characteristics of the honor hierarchy, in roost cases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is necessary and should be applied to Middle Age Korean. This study defines the honorific system in Middle Age Korean as an 'absolute honor hierarchy' as opposed to a 'relative honor hierarchy' and aims to show the reason why there was a 'language step change' at that time.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the 'solidarity' relationship in the real situation of society where the principle of 'power' dominated was explored.

      • KCI등재
      • KCI등재

        귀국 학생 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질적 연구에 대한 기초 논의

        양영희 ( Young Hee Yang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4

        본 연구는 귀국 학생의 국어능력 향상을 위해 질적 연구를 수행할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생각해 보기 위해 마련되었다. 그 과정에서 귀국 학생에 대한 연구는 단절된 국어 능력을 복원 또는 신장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은 질적 연구 방법으로써 극대화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질적 연구 방법이 단순화와 한계 설정을 최소화하고 복잡한 맥락 안에서 최대한 ‘있는 그대로’ 파악하려 하고 개인의 특성을 고유한 존재로 취급하며 연구자 세계보다 참여자의 세계를 중시하는 관점에 입각해 있다는 점이 귀국 학생의 다양한 배경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그들의 개별적인 국어사용 현상을 잘 드러내 줄 수 있겠다는 판단에서이다. 이러한 장점을 지닌 질적 연구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작정 연구를 수행하기보다 그 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음을 인지한 필자는 연구목적을 분명하게 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드러내 줄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 방법을 선택할 것을 권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sidera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competence improvement of returnees from abroad. To this end,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storation or enhancement of disconnected Korean language competence.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is goal will be maximiz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assertion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which minimizes simplification and limit set, tries to apprehend “as it is” as much as possible in the complicated context, and consid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intrinsic. Qualitative research, thus, is more interested in the world of participants than that of researchers, andthis will ensure different backgrounds of returnees, therefore reflecting better individual language use. To maximize this strength of qualitative research,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prior considerations before conducting a study. This study also suggests clarifying research purpose and choosing concrete research methods which show the goal efficiently to make the most of qualitativ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