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철도통합무선망(LTE-R)에서의 통합공공망간 주파수간섭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양영민 우송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동일 주파수 사용에 따른 통합공공망(LTE-R, PS-LTE, LTE-M)간 주파수 간섭 해소방안을 연구한다. LTE-R과 PS-LTE간에 발생한 전파간섭을 토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각종 방안의 적정 여부와 Test-Bed에서 전파간섭 발생 시나리오를 살펴보고 타 통합공공망 신호세기와의 최소 신호세기를 도출한다. 통합공공망간 PCI 설계기준, PLMN의 효과 확인, Black Cell List 솔루션, RS Power boosting 기능을 현장시험을 통하여 정상동작 여부를 검증한다. 그리고 통합공공망간 끊김 없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호연동에 대하여 Test-Bed 실험과 현장시험을 통하여 정상 동작 여부를 검증한다. 제시된 전파간섭 해소 기술과 상호 연동방안에 대하여 적정성 및 개선여부를 확인한다.

      • 學校單位 財政運營과 敎師의 期待와의 關係

        양영민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단위 재정운영과 교사의 기대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 가를 조사, 분석하여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학교단위 재정운영에 대해 교사들은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 (2) 교사들은 학교단위 재정운영에 대해 어떤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3) 학교단위 재정운영과 교사의 기대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 내 초·중·고등학교 29개교 교사 558명을 대상으로 사회조사 방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이상과 같이 수행한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단위 재정운영과 교사의 기대에 대한 지각은 연령별, 직급별, 학교별, 학교규모별,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 둘째, 학교단위 재정운영에 대해서는 부장교사와 50대 이상의 교사가 높은 수준에서 지각하고 있었고, 연령이 적은 교사와 일반교사가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어서, 재정운영과정에 2·30대의 일반교사 참여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단위 재정운영에 대해서 초등학교와 소규모 학교, 읍·면 지역의 학교가 교사의 기대를 반영하여 학교 재정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규모 학교가 학교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학교재정을 운영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학교단위 재정운영의 하위요인에 대한 인식은 책무성에 대해서는 높은 수준에서 지각하고 있었으나, 수월성에 대해서 가장 낮은 수준에서 지각하고 있어서 학생을 위한 직접교육비의 투자를 늘여야 할 것으로 본다. 다섯째, 교사의 기대 하위요인에 대한 지각은 교육수혜자의 욕구 충족, 양질의 지도성, 교사의 전문성 개발 순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이것은 교사 자신이 교수-학습활동 과정에 학생의 욕구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고 느끼고 있는 반면에 교사의 전문성개발에 대해서는 개선을 바라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여섯째, 교사의 기대에 대해서는 50대 이상의 교사와 부장교사가 높은 수준에서 지각하고 있었으나, 30대 교사와 일반교사는 낮은 수준에서 지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양질의 지도성 발휘와 학교예산의 편성과정에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수경비를 일정비율 책정하여 운영하기를 바라고 있었다. 일곱째, 교사의 기대에 대해서 학교별에 따라서는 초등학교 교사가, 규모별에 따라서는 18학급이하에 근무하는 교사가, 지역별에 따라서는 읍·면지역에 근무하는 교사가 높은 수준에서 지각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단위 재정운영과 교사의 기대 두 변인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학교단위 재정운영은 교사의 기대 하위요인인 양질의 지도성이 가장 밀접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교사의 전문성 개발, 교육 수혜자의 욕구충족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단위 재정운영 과정에서 교사의 기대를 학교경영자가 적극 수용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based budgeting and Teachers' Expectancy in an effort to make some contribution to the better quality of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below: (1) How is school-based budgeting perceived by teachers? (2) How is teachers' expectancy on the school-based budgeting? (3) What is the relationship of school-based budgeting and teachers' expectancy? The sample in this survey were 558 selected teachers in 2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eju-do randoml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 the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based budgeting and their own expectanc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ersonal background. Second, the school-based budgeting was more perceived by the position and their age. Third, the schools that were smaller or located in the town reflected the more higher teachers' expectancy in school-based budgeting. Fourth, the accountability of school-based budgeting was most largely perceived, followed by efficiency, autonomy and excellency in the order named.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make more extended financial investment in teaching-learning process. Fifth, the most widely perceived subfactor of teachers' expectancy was satisfying education consumer needs, followed by quality leadership and staff development in the order named. Sixth, the teachers' expectancy was more perceived by those who were in their 50s and over or the head teachers, and less perceived by the teachers in their 30s and the less experience teachers. Seventh, the teachers' expectancy was more perceived by the teachers who were in elementary school, in school with 18 classes or less, and in school located in the town. Final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hool-based budgeting and teachers' expectancy. The school-based budgeting was most closely correlated to the quality leadership, among the teachers' expectancy subfactors, followed by staff development and meeting education consumer nee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chool administrator needs to accept teachers' expectation for school budgeting more widely.

      •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관계적 요인이 소득 계층간 혼합거주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양영민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소득층의 집단화 거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대주택만의 대단위 건설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계층이 혼합된 분양임대 혼합단지가 조성되었다. 사회적 통합 개념이 강조되며 주거환경이 우수한 지역 내에서의 임대분양 혼합단지가 공금됨에 따라 분양주택 거주자로부터 임대주택 거주자의 사회적 배제 현상인 차별과 갈등이 발생하며, 임대주택 거주자는 심리적으로 상대적인 계층 열등감이 발생하였다. 즉, 이러한 사회적 배제 현상은 이웃간의 관계적 요인이 사회적 통합을 형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지만, 국내의 혼합단지에서는 사회적 통합을 위해 정책적으로 물리적 혼합단지 위주의 공급으로 인하여 분양주택 주민과 임대주택 주민사이의 갈등과 차별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적 통합을 형성하는 핵심요인인 공공임대주택 거주자간의 이웃 관계를 의미하는 관계적 요인이 향후 소득계층간 혼합거주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관계적 요인 외에도 물리적 혼합방식이 소득 계층간의 혼합거주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혼합단지 거주유무별로 분류하여 모델별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공공임대주택거주자, 분양임대혼합단지 임대주택거주자, 임대단지 임대주택 거주자간 요인별 비교를 실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분양임대 혼합주택 유형에 대한 선호도를 통하여 사회통합을 위한 계층간 혼합거주 인식을 간접적으로 측정하였으며, 분양임대 혼합단지 내에서 거주민간의 관계가 중요함을 시사하였지만 긍정적인 관계(신뢰, 호혜, 교류 등)와 부정적인 관계(갈등, 차별 등)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통합을 위한 소득 계층간 혼합거주 의사를 직접적으로 묻는 질문을 활용하며 거주민간의 긍정적・부정적 관계를 모두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 소득 계층간 혼합거주 의사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사용된 데이터는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3차년도“이며 종속변수로 활용된 질문은 ‘귀하의 경험에 비추어 사회통합을 위해 경제적으로 서로 다른 계층이 어울려 사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이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주요 변수인 임대주택 거주자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적 요인 외에도 거주 및 입지환경을 나타내는 환경적요인, 가구원 및 가구의 특성을 나타내는 개인적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소득 계층간 혼합거주 인식에 대해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물리적 통합방식으로 공급된 혼합단지는 소득 계층간 혼합거주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분양임대혼합단지는 공공임대주택의 대규모 단지의 건설로 인하여 발생되는 슬럼화, 입주민의 소외 및 단절, 낙인효과 등을 완화해주는 사회적 통합의 효과를 갖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두 번째, 거주자간의 관계적 요인 중 이웃신뢰도는 계층간 혼합거주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거주자간의 신뢰는 계층간의 사회적 혼합을 형성하는 핵심 요인 중 하나이며, 서로 다른 계층에 대한 포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사회적 통합을 형성한다는 이론과 일치한다. 또한, 이웃간 차별은 다른모델에서 유의하지 않았지만, 분양임대혼합단지 거주자의 계층간 혼합거주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혼합단지 내에서 임대주택 거주자들은 같은 단지내의 주민들로 받는 차별에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세 번째, 사회통합을 위한 주거정책으로 공급된 분양임대 혼합단지의 거주 여부에 따라 계층 간의 혼합거주 인식에 미치는 요인 간의 차이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향후 소득계층 간의 혼합거주에 대하여 분양임대 혼합단지 거주자들은 거주환경과, 이웃신뢰도, 강남 3구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임대단지 거주자들은 거주자간의 관계와 임대주택의 공급유형이 소득 게층간의 혼합거주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국내에서는 저소득층의 복지와 사회적 배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여건이 우수한 지역에 임대주택의 공급과 분양임대 혼합단지를 통해 궁극적으로 사회적 통합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통합을 위하여 임대주택 거주자들과 분양주택 거주자들의 물리적 혼합외에도, 혼합단지의 공급시 거주자간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공급하는 등의 실질적이며 구체적인 사회적 통합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학습자의 학습 참여 동기가 학습 몰입 및 학습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음료관련 학습프로그램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양영민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학습자의 학습 참여 동기가 학습 몰입 및 학습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음료관련 학습프로그램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급속한 사회변화의 대응기제로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삶의 질 향상 또는 고용 가능성 제고를 위한 학습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외식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한 음료 산업은 여타 다른 직종에 비해 취업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고 연령의 제한이 적다는 점에서 성인 학습자 들의 관심이 더욱 더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료관련 교육프로그램에서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 한 효과적인 학습프로그램 수립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 자의 학습 참여 동기(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가 학습 몰입을 통해 학습 만족, 학습 유용성, 학습 성취 및 학습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적 관계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로 인한 몰 입으로 연결되는 구조적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커피, 차, 와인 학습프 로그램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피, 차, 와인의 학습프로그램과정에서 학습 참여 동기 구성요소 인 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은 모두 학습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몰입은 학습 만족도와 학습 유용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학습 몰입을 통해 인지된 학습 유용 성은 학습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 만족도와 학습 유용성은 학습 성취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 성취도는 학습 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다섯째, 음료관련 학습 프로그램의 학습 참여 동기가 학습 몰입에 미치 는 영향력은 상호작용에 따라 유의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학습 참여 동기 중 학습지향 학습자들의 경우 강사/학습자간의 상호 작용이 원활할수록 학습 몰입이 높아지는 것을 나타났으며, 활동지향 학 습자들은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학습 몰입이 증대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목표지향 학습자의 경우 강사/학습자간 또는 학습자 간 상호작용은 학습 몰입에 조절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음료관련 학습 프로그램은 학습 참여 동기 유형에 따라 학습자가 학습에 발휘하는 능력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 의 참여 동기에 대한 파악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확인되 었다. 또한 다양한 음료 학습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있어 학습 참여 동기 를 기반으로 교육 과정과 학습 활동이 제공된다면 학습자의 깊은 몰입이 이루어지고 높은 만족도와 성취도를 통해 학습의 흥미와 의미를 얻어 학 습 지속으로 이어질 것이다. 아울러 학습 몰입향상을 위해 각 참여 동기 유형에 적합한 상호작용 학습 활동을 위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앞선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학적 접근을 통해 외식산업 내 음료관련 학습프로그램의 효과 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교육설계지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 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규학습 프로그램 학습자가 아닌 자율학습참여 학습자를 대상으 로 한 초기의 조사연구로서 그 활용 가치가 충분히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선택학습 참여 동기 유형별 학습프로그램 연구가 부족한 현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제 2의 직업을 준비하거나 현장직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과 학습자들의 자율 학습 참여 동기 유형별 대상으로 상호조절 변인의 효율적인 역할 부여를 위한 전략을 고찰하였다는 의미에서 외식 산업 내 학습 프로그램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2. 조사 설계 및 자료 수집 ···································· 77 제 4 장 실증 분석 ···································· 83 제 1 절 측정 항목 타당성 및 신뢰성 평가 ······················· 83 1. 확인적 요인 분석 ··········································· 83 제 2 절 연구 가설 검증 ············································· 91 1.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 의한 가설 검증 ··············· 91 2.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 94 3. 가설 검증 결과 ············································· 97 제 5 장 결론 ········································ 106 제 1 절 연구의 요약 및 결론 ···································· 106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 112 [참고문헌] ······························································ 114 [설문지] ································································ 132 [ABSTRACT] ························································· 137

      • 유튜브 홈트레이닝 방송 콘텐츠의 정보 속성이 시청자의 태도와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 ELM과 TRA를 중심으로

        양영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formation attributes of YouTube broadcasting contents on viewer’s attitude and viewing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in the relation between information attributes of YouTube broadcasting contents and viewer’s attitude and viewing intention. To this end, YouTube users who have watched home training-related contents were selected as the study population. A total of 285 participants was conveniently selected and utilized in final data analysis procedure. Data analyse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26.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 relevance sub-dimension of the information attribut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ttitude toward viewing. Secondly, trust, attractiveness, and expertise sub-dimensions of the information attributes did not affect an attitude toward viewing. Thirdly,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relation between sufficiency and an attitude toward viewing as well as in the relation between expertise and an attitude toward viewing. Fourthly, more positive was an attitude toward viewing, the higher was viewing intention. Addtionally, practical implication and future research opportunities were also suggested. 본 연구는 유튜브 홈트레이닝 방송 콘텐츠의 정보 속성이 시청자의 태도와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방송 콘텐츠의 정보 속성이 시청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관여도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유튜브를 이용하고 있으며, 홈트레이닝 관련 콘텐츠 시청경험이 있는 시청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비확률 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sampling)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통해 총 285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적식모형,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유튜브 홈트레이닝 방송 콘텐츠 속성의 하위요인 중 관련성이 태도에 유의미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튜브 홈트레이닝 방송 콘텐츠 정보속성 중 유튜버 속성의 하위요인인 신뢰성, 매력성, 전문성 모두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튜브 홈트레이닝 콘텐츠 정보속성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충분성 -> 태도, 전문성 -> 태도의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튜브 홈트레이닝 방송 콘텐츠 시청자의 긍정적인 태도가 시청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POP의 성장이 음악 장르의 편중 현상과 음악산업 발달의 불균형에 끼친 영향에 관한 고찰 : 해외 대중음악의 사례와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양영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대중음악 중 K-POP의 성장이 음악 장르의 편중 현상과 음악산업 발달의 불균형에 끼친 영향에 관한 고찰이다. 수십 년간 한국 대중음악과 시장은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을 거듭하였고, 현재 세계 9위의 큰 음악시장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한국 대중음악과 음악 산업의 발전에는 K-POP이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최근 들어 K-POP은 세계적인 히트 상품으로 자리하며 남미, 유럽, 미국 등지에서 많은 팬덤(Fandom)을 형성하고 있고, 관련 음원사업 및 부가사업의 매출 또한 꾸준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정부는 한국 음악 산업의 글로벌화를 위해서 다양한 지원과 정책을 내놓고 있고, 많은 투자자들 또한 앞다투어 음악 산업에 투자를 하고 있다. 이처럼 K-POP은 1990년대 말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사랑받는 하나의 음악 콘텐츠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국내 음악시장과 음악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세계 9위의 음악시장 규모를 갖춘 음악산업 대국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K-POP으로 인한 문제점들이 국내 음악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음악시장의 지속적이고 균형적인 성장을 위해 음악적 연구와 창작뿐만 아니라, K-POP과 국내 음악시장의 성장 과정에서 나타났던 음악적, 산업적 문제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진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K-POP의 탄생과 성장과정, 그리고 당시의 국내의 음악시장 상황 등을 통해 국내 음악시장에서 나타나게 된 음악 장르의 편중 현상의 원인에 대하여 연구하고, 음악 장르의 편중 현상과 대중매체, 공연시설 등에 관하여 해외 음악시장과의 비교, 특히 세계 음악시장 규모 상위 5개국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국내의 음악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들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K-POP의 탄생과 성장과정에서 음악시장에 나타난 음악 장르의 편중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을 짚어보고자 한다. 현재 K-POP의 가장 큰 소비자는 10대이다. 1990년대 중반까지의 경제 호황과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으로 이러한 10대 소비자들이 급격하게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10대들의 급격한 유입으로 인해 국내 음악시장에서 기형적인 현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10대들이 소비자로써 급격한 음악시장에의 진입으로 인해 국내 음악사업자들을 통해 국내 음악시장이 10대들을 위한 음악들로 채워지게 되었고, 또한 음악 기기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기성세대의 음악시장 이탈과 맞물리면서 K-POP 아이돌 그룹의 음악들로 음악시장이 심각하게 편중된 기형적인 시장이 나타나게 된 한 가지 원인이 되었으며, 이러한 음악 장르의 편중 현상과 아이돌 그룹을 만들어내는 스타 시스템으로 인한 상업적 계산 등이 맞물리면서 음악적 비중보다 방송활동의 비중이 커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두 번째로는 음악 산업과 K-POP의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한 음악 전문 대중매체와 공연시설에 관한 문제를 짚어보고자 한다. 새로운 음악 콘텐츠가 생성되고 소비되기 위해서는 그것을 소개할 음악 전문 대중매체와 공연시설이 필요하다. 세계 음악산업 규모 상위 5개국, 특히 음악산업 초기부터 전 세계 음악 산업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영미권의 경우, 도시별, 국가별로 다양한 음악들을 소개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 전문 대중매체들이 존재하고, 전 세계적으로도 많은 음악 소비자들이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해 정보를 얻고 음악을 소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국가들의 경우 도시별, 국가별로 많은 공연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세계 음악산업 규모 9위의 대한민국은 다양한 음악을 전달할 음악 전문 대중매체와 공연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공연시설의 경우 다른 장르의 음악에서는 확충과 지원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시설 건립에 관한 연구, 논의 및 계획이 K-POP 공연을 위한 대형 공연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K-POP으로 인해 국내 음악시장에서 여러 가지 편중 현상과 대중매체, 공연시설과 관련된 불균형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을 통하여 음악 산업 종사자뿐만 아니라 현재 활동 중인, 그리고 앞으로 활동하게 될 K-POP 뮤지션들에게 다양한 사업적 구상과 새로운 방향으로의 음악적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influence of the growth of K-POP in our country on the bias phenomenon of the music genre and the imbalance of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industry. For decades, the Korean pop music and market has continued to develop and grow, and now the world's ninth largest music market has been formed. In this development of the Korean pop music and music industry, K-POP is at the center. In recent years, K-POP has become a global hit product, forming many fandoms in South America,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nd sales of related music and additions have also shown steady and sustained growth. Therefore, the government is offering various support and policies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music industry, and many investors are rushing to invest in the music industry. As such, K-POP emerged in the late 1990s and has become one of the music contents loved not only at home but also abroad to date, and through this, the domestic music market and music industry have continued to develop and become the world's ninth largest music industry. At the same time, however, problems with K-POP are emerging in the local music market. Thus, for the continued and balanced growth of the domestic music market, not only musical research and creation, but also musical and industrial problems that have emerged in the process of growth of K-POP and the domestic music market must be carried out. In this paper, we will study the causes of bias in the music genre that emerged in the domestic music market through the birth and growth process of K-POP, and the situation of the domestic music market at that time, and study the problems that are emerging in the domestic music market by comparing the biased phenomenon of the music genre with the foreign music market, especially by comparing it with the top five countries in the global music market. First, I want to address the problem of bias in the music genre that appeared in the music market during the birth and growth of K-POP. Currently, K-POP's biggest consumer is teenagers. With the economic boom up until the mid-1990s and the advent of 'Seo Taiji and Children,' these teenage consumers began to flow rapidly. However, a sudden influx of teenagers has begun to bring about abnormalities in the local music market. Such teenagers' rapid entry into the music market as consumers has resulted in the domestic music market being filled with music for teenagers through local music businesses, and also as the rapid development of music listening device coincided with the departure of older generations from the music market, music by K-pop idol groups has resulted in a deformed market in which the music market has been seriously biased, creating a more commercial star-studded phenomenon and a group than the music genre and idol group. Second, I would like to address the issue of music-specialized mass media and performance facilities for the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usic industry and K-POP. To create and consume new music content, you need music-specialized media and performance facilities to introduce it. In the top five countries in the world's music industry, especially the British and American music industries, there are a variety of music-specialized media outlets that can introduce different music from city to country, and many music consumers around the world are gathering information and consuming music through diverse media.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se countries have many performance halls by city and country. However, South Korea, the ninth-largest music industry in the world, has found that it lacks music-specialized media and performance facilities to deliver diverse music.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 case of performance facilities, there was no discussion on expansion and support in other genres of music, and that research, discussion and planning on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were centered on large concert halls for K-POP performances. Thus, this study was able to prove that K-POP is causing various bias phenomena in the domestic music market and the imbalance associated with mass media and performance facilities. Through this paper, we hope to help not only the music industry workers but also the K-POP musicians who are currently active and will be active in the future, in various business ideas and musical developments in new directions.

      • 지역난방 강화이형관 벤드부의 압축강도에 대한 장기압축실험 연구

        양영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난방 열배관 시스템은 유럽에서 도시인구 급증에 따른 대기 해소와 에너지 절약을 목적으로 1920년대 도시기반시설로서 처음 적용되었다. 또한 1960 년대 공장제작 보온관의 개발로 인해 지역난방 시스템은 본격적으로 발전하였고 세계 각지로 보급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0 년대 초 지역난방사업이 처음 도입되었고 짧은 기간 동안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괄목할만한 성장을 하였다. 한국 지역난방 공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중매설 이중 보온관은 탄소강으로 되어있는 내관(Carrier, Steel pipe), 폴리우레탄(PUR: Polyurethane) 소재인 보온재,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소재인 외관의 삼중 구조로 형성되어있으며 내부에는 16kgf/cm2의 압력으로 계절에 따라 120˚C이하로 온수가 흐르고 있어 온도변화에 따른 열 팽창력이 발생 하게 된다. 이중보온관은 지반과의 반력에 의해 벤드부에 과도한 내부응력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반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신축흡수재인 폼패드(foam pad)가 추가적으로 시공되고 있으나 폼패드는 반복적인 열하중과 지반반력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 탄력을 잃고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므로 결과적으로 열배관의 내하중성에 지장을 주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 연구에서 강관의 두께 상승 방식, PUR폼 내의 첨가물 포함 방식으로 폼패드를 배제하고 이중보온관의 강성을 높인 강화이형관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 내부에 고온의 물이 흐르면서 횡 하중이 장기간에 걸쳐 작용하는 실제 보온관의 조건을 감안한 장비를 구성하고 제안된 강화이형관과 현재 사용 중인 사양을 장기 하중재하(long -term loading)시험을 수행하여 압축변위를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보온관의 횡 하중에 대한 압축강도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