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 가지 토릭 인공수정체 삽입 후 임상결과 분석

        양순원(Soon Won Yang),이재훈(Jae Hoon Lee),임성아(Sung A Lim),정소향(So Hyang Chung)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2

        목적: TECNIS Toric 인공수정체(Abbott Medical Optics Inc., Santa Ana, CA, USA)와 AT TORBI Toric 인공수정체(Carl Zeiss Meditec AG, Jena, Germany) 삽입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임상결과 및 고위수차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1.25D 이상 및 4.5D 이하의 각막난시를 동반한 백내장으로 난시교정용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26명의 32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백내장 수술은 동일한 술자에 의해 2.2 mm 이측 절개로 시행하였다. 수술 후 3개월까지 나안 및 교정시력, 굴절력, 잔여난시, 인공수정체 축 회전 및 고위수차를 관찰하였다. 난시는 Cartesian astigmatism (J0) 및 oblique astigmatism(J45)을 이용한 power vector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술 3개월째 최대교정시력 및 잔여난시는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TECNIS Toric 삽입군에서 J0는 수술 전 0.71 ± 0.84D에서 수술 후 0.05 ± 0.39D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29), AT TORBI Toric 삽입군에서 J0는 수술전 0.88 ± 1.27D에서 수술 후 –0.02 ± 0.16D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32). 고위수차 분석에서 구면수차를 제외하고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AT TORBI Toric 삽입군에서 높은 구면수차를 보였다(p=0.047). 결론: 난시를 동반한 백내장 환자에서 두 가지 난시교정용 인공수정체 삽입술은 우수한 난시교정 및 시력교정 효과를 보였으며 결과는 3개월까지 안정적이었다. Purpose: In this study evaluated clinical outcomes and higher-order aberrations in patients with implanted Tecnis ZCT toric intraocular lens (IOL) (Abbott Medical Optics Inc., Santa Ana, CA, USA) and the Zeiss AT TORBI toric IOL (Carl Zeiss Meditec AG, Jena, Germany) in eyes with low to moderate corneal astigmatism.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32 consecutive eyes of 26 patients with a visually significant cataract and moderate corneal astigmatism (higher than 1.25 diopter [D] and lower than 4.5 D) undergoing cataract surgery with implantation of the aspheric Tecnis ZCT toric IOL (Abbott Medical Optics Inc.) and the Zeiss AT TORBI toric IOL (Carl Zeiss Meditec AG). Phacoemulsification was performed by the same experienced surgeon using 2.2 mm temporal incision. Visual, refractive and aberrometric changes were evaluated during a 3-month follow-up. Power vector analysis of Cartesian astigmatism (J0) and oblique astigmatism (J45) was performed. Results: At the 3-month follow-up, 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CDVA) and residual astigmatism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p = 0.203 and p = 0.364, respectively). Pre- and postoperative J0 were 0.71 ± 0.84 and 0.05 ± 0.39 in the Tecnis Toric group and, 0.88 ± 1.27 and -0.02 ± 0.16 in the AT TORBI group, respectively,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29 and p = 0.032, respectively). Pre- and post-operative differences of J0 and J45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234 and p = 0.603, respectively). No eye had IOL rotation ≥10°. Ocular aberrometry valu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t between the groups, except for spherical aberration, which was higher in the AT TORBI group(p = 0.0047). Conclusions: Both IOLs showed good postoperative un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CDVA and refractive results in this study. Rotational stability was excellent for both IOLs until the 3-month follow-up.

      • KCI등재

        사이클로스포린 A 0.05% 투여군 간 안전성 및 유효성을 비교평가하기 위한 제3상 임상시험

        양순원(Soon won Yang),변용수(Yong Soo Byun),노창래(Chang Rae Rho),김수영(Su Young Kim),조양경(Yang Kyung Cho),김은철(Eun Chul Kim),정성근(Sung Kun Chung),주천기(Choun Ki Joo)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2

        목적: 중등증 이상의 건조각막결막염과 관련된 안염증질환으로 인해 눈물생성이 억제된 환자를 대상으로 사이클로스포린 0.05% 시험약과 대조약을 12주간 투여한 후 각 군의 각막염색 점수 변화로 안구건조 완화효과를 평가하여 시험약이 대조약에 비해 임상적으로 열등하지 않음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임상시험은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활성군 대조, 병행설계 임상시험으로 디자인하였다. 시험대상자가 임상시험에 참여할 것을 동의하면, 2주간의 Run-in 기간을 가지며, 시험대상자들은 2주의 Run-in 기간 동안 인공눈물을 필요시 증상이 있는 눈에 1일 수회 점적하였다. Run-in 기간을 완료한 후, 시험군 또는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무작위 배정된 시험대상자는 12주 동안 4주 간격으로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본 임상시험결과 사이클로스포린 0.05% 시험약과 대조약 투여 후 12주에 각막염색 점수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Per Protocol Set 분석군에서 시험군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열등함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Full analysis set 분석군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임상시험 기간 동안 나타난 모든 이상반응을 분석한 결과, 군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107). 또한 이상반응 외에 내약성평가, 임상병리 검사, 활력징후에서도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는 항목은 없었다. 결론: 결과적으로 사이클로스포린 A 0.05% 시험약은 대조약과 같이 유효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제라고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cyclosporine 0.05% (Cyporin N eye drops 0.05%) to an active comparator (Restasis??) in moderate to severe dry eye patients. Methods: This is a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parallel, active control, non-inferiority, phase Ⅲ study. Patients had a 2-week run-in period (during the run-in period, patients used artificial tears, if applicable), and afterward 158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reatment for 12 weeks with cyclosporine 0.05% (with artificial tears, if applicable), in which the efficacy and safety were evaluated every four weeks. Results: Corneal staining tests showed that in the per protocol set group, the study group was not inferior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for the full analysis set analytic group were the same. The number of adverse events reported from the 158 pati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p = 0.1107). Additionally, other evaluations, including tolerability evaluations, clinical pathology examinations, and vital signs, show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erms of safety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Cyclosporine A 0.05% (Cyporin N eye drops 0.05%) is considered to have the same efficacy and safety compared to the active comparator.

      • KCI등재후보

        각막굴절교정학 렌즈의 근시 진행 억제 효과 및 안정성

        양순원(Soonwon Yang),나경선(Kyung-Sun Na),김현승(Hyun Seung Kim) 대한검안학회 2015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14 No.2

        Orthokeratology have been effective and safe alternative method as temporary, predictable, and reversible correction of myopia. The improvement of uncorrected visual acuity is attained by flattening of the central corneal curvature using a reverse-geometry lens. With the development of a gas-permeable lens material, application of lenses during sleep became possible. Changes in uncorrected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 and corneal curvature have been firmly established for orthokeratology by many investigators. The effect of stabilization of myopia acceleration by orthokeratology lens is unclear. Recently, the effect of stabilization of myopia acceleration by orthokeratology lens is reported by clinical trials. The mechanism by which orthokeratology lenses prevent myopia is not clear, however, possible hypothesis is reported including induction of peripheral myopic defocus, or spherical aberration to reduce accomodation. Further longer-term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continue to be accrual of the effect of orthokeratology lens wear on myopia progression and to clarify the factors in myopic development, such as genetics and environment, in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children.

      • KCI등재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후 눈물막과 안구표면의 초기 변화

        양순원(Soon won Yang),김현승(Hyun Seung Kim),나경선(Kyung Sun Na)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1

        목적: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전 안구건조증의 유병률 및 이식 후 눈물막과 안구표면의 초기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총 28명의 56안에서 시행되었으며, 3차 대학 병원에서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기 전, 시행 받은 후 1개월, 2개월, 3개월까지 총 4차례 안과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방문 시마다 전안부 검사를 포함한 정밀 안과 검사를 시행 받았다. 그리고 안구표면질환지수(ocular surface disease index) 설문지를 통해 안구건조증 여부 및 안구표면에 대한 변화를 평가하였다. 주요 결과 측정치는 최대교정시력, 눈물막파괴시간, 각막염색 점수, 쉬르머검사, 눈물 오스몰농도 그리고 안구표면질환지수였다. 결과: 총 56안 중 40안(71.4%)에서 안구건조증이 이식 전 이미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기 전 이미 안구건조증 진단을 받은 군에서 눈물 오스몰농도의 경우 기저치에 비해 이식 시행 1달, 2달, 3달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기 전 안구건조증이 없던 군에서는 눈물 오스몰농도의 경우 기저치에 비해 이식 후 2개 월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을 보였으며(p=0.01), 눈물막파괴시간은 이식 후 3개월 때 기저치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소견을 나타내었다(p=0.02). 그 외 안구표면 수치들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시행한 환자들에 있어서 100일 이내의 급성기에는 쉬르머검사나 안구표면질환지수 등의 안구표면수치들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눈물 오스몰농도의 급성기 변화가 있었던 점으로 볼 때 이식 후 1-2개월 후부터 안과 검진을 시행하는 것을 권장할 수 있으며, 또한 이식을 받기 전 안구건조증이 있을 경우 더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겠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1):1706-1713> Purpose: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dry eye in patients before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HSCT) and changes in ocular surface in the acute stage after aHSCT. Methods: We evaluated 56 eyes of 28 patients after aHSCT at a tertiary hospital. All patients underwent a full ophthalmic examination at 1 month before aHSCT (baseline) and 1, 2 and 3 months after aHSCT and answered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questionnaire to assess ocular involvement in the form of dry eye syndrome or any other ocular manifestation at each visit.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dry eye at baseline. The main outcome measures wer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tear break-up time, corneal fluorescein staining, Schirmer test, tear osmolarity and OSDI questionnaire. Results: Dry eye was already present in 40 eyes of 20 patients (71.4%) suffering from hematological disease before aHSCT. Tear osmolar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1, 2 and 3 months after aHSCT compared with baseline in the dry eye group (each p < 0.01). Tear osmolarity also increased at 2 months after aHSCT and tear break-up time decreased at 3 months after aHSCT,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1 and p = 0.02, respectively). Other changes in ocular surface indi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In the acute stage, changes in ocular surface indices such as Schirmer test and OSDI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significant changes in tear osmolarity in both groups indicate that ophthalmic examination 1 or 2 months after aHSCT is recommended. Additionally, aggressive treatment is warranted when patients have dry eyes at baseline.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1):1706-1713

      • KCI등재

        녹내장 아메드밸브 수술안에서 전체층각막이식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의 비교

        조연우,양순원,정도훈,김선주,황유숙,주천기,변용수,정소향,김현승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3

        목적: 아메드밸브 수술안에서 전체층각막이식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아메드밸브 삽입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전체층각막이식을 받은 11안,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을 받은 11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수술 후 1·3·6개월의 최대교정시력, 안압, 각막내피 세포 수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경과 관찰 기간 중거부반응 및 이식 실패를 평가하였다. 두 수술법의 이식편 생존율은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를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층각막이식군(PKP)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군(DSAEK)의 생존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p=0.295), 이식 실패는 PK군에서 수술 후 평균 12.9 ± 10.1개월, DSAEK군에서 평균 18.8 ± 5.3개월에 발생하였다. 최대교정시력은 PK군에서 수술 후 1·3개월째(p=0.027, 0.017), DSAEK군에서는 수술 후 1·3·6개월째(p=0.005, 0.005, 0.005)에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 두 군 간의 비교 시에는 DSAEK군이 PKP군보다 수술 후 1·3·6개월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시력 호전을 보였다(p=0.023, 0.007, 0.004). 결론: 본 연구에서, 각 수술 방법에 따른 유의한 생존율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DSAE군에서 이식 실패가 더 늦게 나타나는 경향과 보다 우수한 시력 결과를 보였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나,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은 아메드밸브 삽입안에서도 전체층각막이식을 대체할 수 있는 좋은 수술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인의 각막 전면, 후면난시 축의 분포와 연령에 따른 변화

        심윤섭,양순원,박율리,나경선,김현승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8

        Purpose: To evaluate age-related changes in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in Koreans. Methods: The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s of 160 subjects with age ranging from 11 to 92 years, none of whom experienced any complications, were measured with a rotating Scheimpflug camera (Pentacam®). Using this data, the changing proportions of with-the-rule to against-the-rule and changing tendency of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s with age were evaluated using polar value analysis according to the Naeser method. Results: For the anterior cornea, the proportion of with-the-rule astigmatisms decreased with age (p < 0.0001). On the other hand, for the posterior cornea, the proportion of against-the-rule astigmatisms decreased with age (p = 0.012). In the polar value analysis, there was a trend toward against-the-rule astigmatism associated with increasing age for the anterior cornea (p < 0.0001) and toward with-the-rule astigmatism for the posterior cornea (p < 0.0001). Conclusions: In previous studies, the anterior corneal surface shifted from with-the-rule to against-the-rule astigmatism with increasing age, whereas the posterior corneal surface remained as against-the-rule astigmatism in most cases. But, our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against-the-rule astigmatisms of the posterior cornea decreased with age. Thus, evaluation of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s should be performed before cataract surgery in old patients, especially when using a multifocal or toric intraocular lens. 목적: 한국인에서 연령 증가에 따른 각막 전면 및 후면 난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1세부터 92세까지 특이 안질환이 없는 160명의 각막 전면 및 후면 난시를 회전 샤임플러그 카메라(Pentaca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자료를 이용해 연령 증가에 따른 각막 전면 및 후면난시에서 도난시와 직난시의 비율변화와 극값을 이용한 변화경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각막 전면 난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직난시의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001), 각막 후면 난시는 도난시의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12). 극값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각막 전면 난시는 도난시로 변화하는 경향(p<0.0001)을, 후면 난시는 직난시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01). 결론: 기존 연구들에서 각막 전면 난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직난시에서 도난시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각막 후면 난시는 연령과 관계없이 대부분 도난시인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각막 후면 난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도난시의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고령인 환자에서의 백내장수술 시, 특히 다초점 혹은 난시교정 인공수정체를 사용할 경우 각막후면 난시에 대한 평가를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

      • KCI등재

        줌렌즈, 초고속카메라 장착 세극등현미경으로 결막미세혈관 내 혈류 속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

        김효신,김다란,윤영채,양순원,유영식,황웅주,변용수,황형빈,나경선,이현수,정소향,김은철,조양경,김현승,황호식 대한안과학회 2023 대한안과학회지 Vol.64 No.11

        목적: 줌렌즈와 초고속 카메라를 장착한 세극등현미경으로 구결막을 촬영해 결막미세혈관 내 혈류 속도를 측정하는 직관적인 방법을소개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20년 8월 21일부터 2021년 6월 12일까지 가톨릭의대 여의도성모병원에 내원한 총 10명을 대상으로 사전에 동의서를받은 후, 줌렌즈와 초고속 카메라를 장착한 세극등현미경으로 환자들의 구결막미세혈관 내 혈류를 녹화하였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을ImageJ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여 결막미세혈관 내 혈류 속도를 측정하였으며, 혈류 속도가 혈관 직경, 나이와 상관관계를 보이는지알아보았다.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총 10명에서 피험자들 나이의 중앙값은 49.0세였다. 성별은 남자 1명, 여자 9명이었다. 53개의 미세혈관 내혈류 속도의 평균은 0.786 ± 0.468 mm/s였다. 53개 결막미세혈관의 직경의 중앙값(median)은 7.06 μm였으며 사분위수 범위5.84-9.23 μm였다. 결막의 미세혈관 직경과 혈류 속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p=0.177), 피험자의 나이와 결막미세혈관 혈류 속도 또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test, p=0.669). 결론: 줌렌즈, 초고속 카메라를 장착한 세극등현미경을 이용하여 구결막미세혈관 내 혈류 속도를 영상 분석을 이용하여 쉽고 직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은 미세혈관과 관련된 기초의학, 임상의학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o introduce an intuitive method for measuring conjunctival microvascular blood flow velocity by imaging bulbar conjunctival microvessels using a slit-lamp biomicroscope equipped with a zoom lens and an ultra-high-speed camera. Methods: After obtaining consent from 10 patients (1 male, 9 females) who visited Yeouido St. Mary’s Hospital from August 21, 2020, to June 12, 2021, the patients were examined under a slit lamp microscope equipped with an ultra-high-speed camera and zoom lens. The blood flow in the conjunctival microvessels was photographed. The captured images were analyzed with ImageJ software to measure the blood flow velocity in the conjunctival microvessels, and we investigated whether the blood flow velocity correlated with the vessel diameter and age.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subjects was 49.0 years. The mean conjunctival blood flow velocity in 53 microvessels was 0.786 ± 0.468 mm/s. The median conjunctival microvascular diameter was 7.06 μm (interquartile range 5.84 to 9.23 μm). The conjunctival microvascular diameter and blood flow velocity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Spearman’s p = 0.177), and the subjects’ age and conjunctival microvascular blood flow velocity were also not correlated (Spearman’s p = 0.669).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blood flow velocity in the bulbar conjunctival microvessels could be measured easily by means of image analysis using a slit-lamp microscope equipped with an ultra-high-speed camera with a zoom lens.

      • KCI등재

        세극등현미경에서 보존액에 담긴 기증각막을 관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

        남가희,김다란,윤영채,양순원,황웅주,변용수,황형빈,나경선,이현수,정소향,김은철,조양경,김현승,황호식 대한안과학회 2024 대한안과학회지 Vol.65 No.2

        목적: 각막이식수술 전 정확한 이식 적합성 평가를 위하여 기증각막이 담긴 보존액 병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국내기증각막을 대상으로 세극등현미경검사를 시행하여 고안된 장치의 효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23년 2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여의도성모병원에서 기증받는 국내 기증각막 2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증각막이 담긴보존액 병을 고안된 장치의 홀더에 장착하여 세극등현미경에 설치하면, 세극등현미경의 빔은 장치의 거울에 의해 반사되어 보존액내의 각막에 입사하고, 이를 세극등현미경에서 관찰할 수 있다. 각막내피가 보존액 병의 위를 향한 상태와 바닥을 향한 상태에서 세극등현미경검사를 시행하고 전안부 사진을 촬영하였다. 또한, 고안된 장치를 이용하여 기증각막에 경면현미경검사와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결과: 기증각막이 담겨있는 보존액 병을 장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세극등현미경을 이용하여 공막 변연부를 360° 관찰하여 버트닝 상태를 확인하고, 세극등현미경의 좁은 빔으로는 각막 단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역조명법을 이용하여 각막상피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경면반사법을 통해 내피세포층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경면현미경검사 및 빛간섭단층촬영검사 시 내피세포밀도와 각막두께는 측정되지 않았다. 결론: 저자들이 고안한 기증각막검사용 장치는 국내 기증각막에 대한 세극등현미경검사를 쉽고 안정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하며, 각막내피나 두께에 대한 정성적인 평가가 가능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instrument devised for slit-lamp examination of donor corneas suspended in preservation medium. Methods: The study examined two donor corneas received at Yeouido St. Mary's Hospital in February 2023 and March 2023. The instrument has three main components: a plastic holder to hold the preservation medium bottle, a cube with a mirror for reflecting the slit beam, and a stand to attach the device to the slit-lamp. Using the instrument, the donor corneas were examined via slit-lamp: microscopy with the endothelium facing upward and downward. Specular microscopy and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were also performed on the preserved donor corneas. Results: Slit-lamp examination of donor corneas in preservation medium using the instrument showed overall corneal buttoning and optical sections of the donor cornea. Using specular reflection and retroillumination, the endothelial layer was partially visible. However, specular microscopy and anterior segment OCT could not examine the donor cornea in preservation medium using the instrument. Conclusions: The devised instrument facilitates slit-lamp examination of donor corneas in preservation medium, enabling a qualitative assessment of donor corneas before corneal transplantation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