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의 동향과 전망

        안혜신(Ahn, Hye-sh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2

        Along with the tendency to service industry represented by the servicitiza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advancement of the service industry, the industry is now shifting from technology and suppliers to people and consumers. Nowadays the economy is growing in proportion to the service industry, and the servic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rapidly progressing, and attention is focused on the service design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apidly developing service design concept from the viewpoint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nd also to analyze and present the actual situation and present situ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rvice design based on this concept. And also this study purports to help service design to be utilized as a means of innovation. As a literature stud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and the necessity of service design according to the advancement of service industry and its role and function are explored. In addition, trends in service design abroa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agencies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subdivision of service design agencies are analyzed. In the conclusion part, the prospect of service design is presented based on the contents obtained through researc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service design of Korea is low in recognition and utilization, but the growth of the manufacturing base and the service of the industry have high potential for the service design. Overseas service design companies are subdivided into various criteria and classification. 제조업이 서비스화되어감에 따라 산업은 이제 기술, 공급자 중심에서 사람,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오늘날 경제는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제조업의 서비스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수요자 관점의 서비스디자인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렇게 급성장하고 있는 서비스디자인을 제조 및 서비스산업 관점에서의 개념을 정비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외 서비스디자인 활용 실태와 현황을 분석, 제시하여 서비스디자인이 혁신 수단으로 활용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로서 서비스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서비스업의 고도화에 따른 서비스디자인의 필요성 및 그 역할과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외 서비스디자인 활용 현황과 정책 관련 보고서 분석을 통해 국외 서비스디자인의 동향에 대해 연구하고 서비스디자인 에이전시의 증가와 세분화에 따른 서비스디자인 에이전시의 특성 분류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 분석을 통해 얻은 내용을 바탕으로 서비스디자인의 전망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는 낮은 편이나 제조업 기반의 성장과 산업의 서비스화로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잠재적 수요가 많았으며, 해외 서비스디자인 기업은 다양한 기준과 분류로 세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은행의 서비스 디자인 개선 사례 연구

        안혜신(Hye Shin Ahn),정희정(Hee Jeong Jeong),김홍찬(Hong Cha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고객의 경험과 감성을 사는 경험경제가 도래하면서 오늘날의 산업은 제품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개인적인 요구가 증대되면서 보다 혁신적인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 경제 또한 선진국형 서비스 경제화가 이루어지면서 서비스시장의 확대 및 제조기업의 서비스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경쟁을 심화시켜 고도화된 차별화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서비스 영역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보이지 않는 서비스를 차별화하는 서비스 디자인 시대가 온 것이다. 이처럼 디자인에서의 서비스는 새로운 사업의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정의 및 분야, 방향성에 대한 개념의 정립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혁신을 디자인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인 서비스 디자인의 정의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서비스디자인의 툴(Tool)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하며, 은행의 서비스 디자인 개선을 사례로 들어 사용자에게 일관된 이미지와 방향성 있는 경험을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함으로서, 디자인교육 및 산업전반에 있어 서비스 산업에 디자인학문이 공헌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연구 되어졌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해 서비스 디자인의 정의와 특성, 서비스 디자인의 개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와 서비스 디자인 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국내외 학위논문과 서적을 포함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덴마크 맥스 은행(Max Bank), 미국 움프쿠아 은행(Umpqua Bank) 그리고 독일의 도이취 은행의 공간구성과 고객을 위한 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데에는 특별한 조건들이 요구되는데 서비스 혁신을 위해 유, 무형의 요소를 총체적으로 배열하고 리서치에 근거하여 디자인하는 것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프로세스와 서비스디자인 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객에게 적절하고 유익한 서비스를 창조하려면, 먼저 사용자의 상황과 니즈, 사고방식 그리고 원동력을 충분히 이해해야만 하며, 고객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고객에게 고객 관점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s industries today rapidly shift from manufacturing products to providing services and various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personal needs rise the industries are pressed to provide better and more innovative services. The Korean domestic market is also experiencing rapid changes like the advanced nations. Such change heightens competition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ion. Thus, the importance of design is becoming larger in the service area and as such method of differentiation increases it can be said that the age of service design has started. Service in design is gaining attention as a new business area.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direction established for the fields of service design. This study has approached service innovation in the perspective of design to review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new fields of service design, conduct in depth research on the service designing tools, using examples of service design improvements of banks to establish a general concept for the field of service design by providing unified image and experience to users, and in the end contribute to the fields of design education and the overall service industry by providing a base guideline. For this purpose, study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service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service design tools were conducted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including graduate research papers. Also, a case study of the Max Bank, the Umpqua Bank and the Deutsche bank were conducted to view service design in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space designs, services, etc.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eed for special process and service design tool was found to be a key requirement in order to reorder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and design in accordance to research data for service innovation. To create valuable services for the customers, the needs and condition of the customer must be clearly understood. Base on such understanding and collaboration with the customer service design improvement can be achieved.

      • KCI등재

        공공공간에서의 서비스 디자인 아이덴티티 정립에 관한 연구

        안혜신(Hye Shin Ah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고객의 경험과 감성을 사는 경험경제가 도래하면서 오늘날의 산업은 제품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개인적인 요구가 증대되면서 보다 혁신적인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 경제 또한 선진국형 서비스 경제화가 이루어지면서 서비스시장의 확대 및 제조기업의 서비스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경쟁을 심화시켜 고도화된 차별화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서비스 영역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보이지 않는 서비스를 차별화하는 서비스 디자인 시대가 온 것이다. 이처럼 디자인에서의 서비스는 새로운 사업의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정의 및 분야, 방향성에 대한 개념의 정립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혁신을 디자인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인 서비스 디자인의 정의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서비스디자인의 툴(Tool)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하며,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의 서비스 디자인을 사례로 들어 사용자에게 일관된 이미지와 방향성 있는 경험을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함으로서, 디자인교육 및 산업전반에 있어 서비스 산업에 디자인학문이 공헌할 수 있도록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연구 되어졌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해 서비스 디자인의 정의와 특성, 서비스 디자인 툴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학위논문과 서적을 포함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의 서비스정보디자인, 서비스제품디자인, 서비스공간디자인, 서비스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서비스아이덴티티 디자인과 고객을 위한 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독일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의 정보서비스디자인은 매우 직관적으로 사용자가 이해하고 정보를 받아들이기 매우 편했다. 이러한 특징은 서비스제품디자인에서도 나타났는데 독일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의 티켓자동발권기과 같은 제품들은 제품을 매개체로하여 고객과 상호작용하며 체험을 통해 서비스의 유형성을 강화시킨다. 또한 서비스디자인아이덴티티는 역내의 다양한 곳에 일괄적으로 적용되고 있어 방향성있는 아이덴티티를 보여준다.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데에는 특별한 조건들이 요구되는데 서비스 혁신을 위해 유, 무형의 요소를 총체적으로 배열하고 리서치에 근거하여 디자인하는 것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프로세스와 서비스디자인 툴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객에게 적절하고 유익한 서비스를 창조하려면, 먼저사용자의 상황과 니즈, 사고방식 그리고 원동력을 충분히 이해해야만 하며, 고객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고객에게 고객 관점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s industries today rapidly shift from manufacturing products to providing services and various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personal needs rise the industries are pressed to provide better and more innovative services. The Korean domestic market is also experiencing rapid changes like the advanced nations. Such change heightens competition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ion. Thus, the importance of design is becoming larger in the service area and as such method of differentiation increases it can be said that the age of service design has started. Service in design is gaining attention as a new business area.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direction established for the fields of service design. This study has approached service innovation in the perspective of design to review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new fields of service design, conduct in depth research on the service designing tools, using examples of service design improvements of Frankfurt central station to establish a general concept for the field of service design by providing unified image and experience to users, and in the end contribute to the fields of design education and the overall service industry by providing a base guideline. For this purpose, study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and service design tools were conducted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including graduate research papers. Also, a case study of Frankfurt central station was conducted to view service design in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service information design, service product design, service space design, service digital media design and service identity design. As a result of this study, information service design of Frankfurt central station is intuitive and understandable for users. This distinctive feature can be also shown in service product design. Service products such as ticket automate communicates and interacts with users through products and it enhances through corporeality of service through experience. Service design identity is consistently applied at the various part of Frankfurt central stations and also it indicates the unity of identity. The need for special process and service design tool was found to be a key requirement in order to reorder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and design in accordance to research data for service innovation. To create valuable services for the customers, the needs and condition of the customer must be clearly understood. Base on such understanding and collaboration with the customer service design improvement can be achieved.

      • KCI등재

        독일 디자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교육과 정책 분야를 중심으로

        안혜신(Ahn Hye sh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1

        독일 디자인은 세 개의 뿌리, 독일공작연맹과 바우하우스, 울름조형대학에서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독일 디자인의 특성은 스타일에서 쉽게 드러나는데 매우 실질적이고 견고하며 고도의 기능주의에 입각해 기능과 형태가 매우 합리적이며 서로 간에 조화를 이루고 있다. 디자인의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디자인 교육 기관으로 기억되고 있는 바우하우스는 표현주의 예술 공예에 바탕을 둔 교육기관으로 이 학교는 기계주의 철학을 예술과 디자인으로 업그레이드시켰다. 디자인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울름 조형 대학의 교과과정 분석을 통해 독일 디자인 교육의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 또한 교육과 산업과 연관 있는 디자인 정책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독일 디자인의 정체성에 대해 연구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로서 독일 디자인 교육의 시작인 바우하우스의 역사에 대해 살펴보고 바우하우스의 교과과정과 바우하우스를 잇는 울름 조형대학의 교과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1년의 기초과정과 3년의 전공 교과목들의 교과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여 독일 디자인 교육의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았고 또한 현재 독일 대학의 교과과정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교육과 함께 독일 디자인 정책의 특징과 정책 담당기관을 살펴보고 독일 디자인의 정체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독일 디자인은 교육과 정책 측면에서 실용성과 기능성을 중시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실용적 · 통합적 · 과학적 관점의 디자인 교육을 통해 디자인 방향을 주도하는 전통과 함께 교육 뿐만 아니라 정책에서도 독특한 역사와 전통, 고유한 제도와 재정 구조 등을 가지고 서로 다른 특성에 맞는 다양성을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는 조형예술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친 바우하우스와 울름조형대학의 실질적인 교과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해보며 나아가 독일 디자인의 정체성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German design began with three roots, Deutscher Werkbund, Bauhaus, University of Ulm (Universität Ulm). The characteristics of German design are easily revealed in style, very practical and solid, and function and form are rational and harmonious with high functionalism. Remembered as the most influential design education institution in the history of design, Bauhaus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on expressive arts crafts. The school upgraded the mechanistic philosophy to art and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of Ulm University of Design, which has an impact on various fields of design, the identity of German design education was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ntity of German design by examining design policies related to education and industry.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on the history of Bauhaus, the beginning of German design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of Design at University of Ulm, which connects the Bauhaus curriculum with the Bauhaus were reviewed. In order to examine the identity of German design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of basic course and advanced courses at University of Ulm and also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curriculum at German universities are analyzed. In addition, characteristics of the German design policy and the institutions responsible for policy, are examined to identify of German desig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erman design emphasizes practicality and functionality in terms of education and policy. In addition to the tradition of leading the direction of design through practical, integrated and scientific perspectives on design, education and politics showed diversity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with unique history, tradition, unique institution and financi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al curriculum of Bauhaus and University of Ulm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field of formative arts, to review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curriculum, and to learn about the identity of German design.

      • KCI등재

        인터랙티브 서비스 디자인 평가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안혜신(Ahn Hye sh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2

        최근의 디자인은 기존의 한계를 넘어서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서비스 디자인”으로 인식이 진화 중이다. 서비스 디자인에서는 비-가시적이고 비-형태적인 서비스를 설계도 같은 표현방식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대상으로서 실제화시키고 문제점을 찾은 다음 개선한다. 서비스를 디자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행동변화를 이끌어내는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을 넘어서서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서로 상호간 작용하는 유기적인 사용자환경의 경험을 디자인하는 인터랙티브 서비스 디자인이 미래 서비스 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서비스 디자인은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여 서로간의 커뮤니케이션 뿐만 아니라 서로간의 행위까지도 전달한다. 본 연구는 산업 디자인분야의 큰 이슈인 서비스 디자인과 사용자-인터랙션 방법론의 컨버전스를 통해서 인터랙티브 서비스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여 인터랙티브 서비스디자인의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인터랙티브 서비스디자인의 개념과 인터랙티브 서비스 디자인 평가 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사례연구로 사용자-인터랙션을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인포메이션 키오스크인 InfoGate와 Starbucks Siren Order를 서비스 디자인 평가 요소인 서비스 인터페이스, 장소 요소, 시간 요소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에서 서비스 타겟 설정, 사용자 경험(UX) 및 환경 조사, 사용자 경험(UX) 및 환경 특정, 인터랙티브 서비스디자인 평가툴 적용, 통합적 서비스디자인 솔루션, 서비스 타겟 피드백 및 반영의 프로세스로 구성된 인터랙티브 서비스디자인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Recent design has evolved into a service design that interacts with users beyond their existing limitations. In the service design, invisible and non - formal service is actualized, refined by using service design methods like service map. Interactive service design designing an organic user experience, making users interactive and changing user’s behavior will be the direction of service design in the future. Interactive service design encourages user participation and communicates. This study purports to study interactive service design through convergence of service design and user - interaction methodology, a big issue in industrial design field. For this purpose, the definition and elements of interactive service design were examined through books for reference. As case study, interactive information kiosk, InfoGate at Munich airport and Starbucks Siren Order were examined in terms of Service interface, Space factor and time factor. As a final resul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teractive service design evaluation framework was suggested in conclusion part of the study which includes service target setting, user experience (UX) and environment survey, identifying user experience (UX) and environment, application of interactive service design evaluation tool, integrated service design solution, service target feedback and reflection.

      • KCI등재

        대학교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디자인 상품 개발

        안혜신(Ahn Hye Shin),김태선(Kim Tae Sun)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3

        현재 대학들은 타 대학과의 차별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중 대학 디자인 상품 판매는 대학의 이미지를 상품화하여 판매함으로써 대학의 정체성과 브랜드를 가장 효과적으로 알리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인천대학교의 경우 잦은 UI (University Identity) 변경으로 인한 대학 브랜드의 부족으로 새로운 UI를 대학 브랜딩 전략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대학교의 새로운 UI의 로고, 심볼마크, 마스코트 디자인을 다양한 대학 상품들에 응용, 생산, 판매하여 대학의 브랜딩(Branding) 및 홍보(Publicity)의 효과적인 도구로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대내외적으로 대학의 인지도와 이미지를 높이고 대학구성원들의 애교심 및 소속감의 고취, 그리고 학교의 자산을 활용한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는 대학 아이덴티티(University Identity)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학 아이덴티티(University Identity)에 대한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한 문헌연구를 진행하고, UI 상품화 디자인 전략 수립을 위해 2015년 12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24부의 유효 설문 데이터를 분석하고, SPSS ver. 18.0로 통계 처리하였다. 설문결과 구매자 중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는 실용성, 품질, 가격에 대한 만족도 보다 낮음을 고려하여 디자인에 중점을 둔 제품 전략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인 디자인 제안에서는 다양한 품목을 지양하고, 고급화 전략을 지향하며, 인천대학교만의 이미지 확립에 기여하도록 하였다. 또한 내부 커뮤니케이션과 외부 커뮤니케이션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디자인 이원화 전략을 활용하도록 디자인됐다. 최종적으로는 기본 UI를 활용한 긴팔티, 백팩, 여행가방의 총 3가지 상품에 대한 디자인 안을 제안하였고, 확장형 University Identity 개발 및 적용하여 반팔티, 백팩과 여행가방에 적용하여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Various universities have started to be concerned about university identity products for increasing the competitive university brand and identity. Each university represents its own image through university products in desig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recently changed its university identity and main campus location to Songdo and it causes weak university identity and brand. So it is urgent and necessary for Incheon national university to build strong identity through university identity and brand strateg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how university identity logo, symbol mark, and mascot design as an effective medium for university branding and publicity can be applied to various design products. Also this study purports to enhance university awareness, strengthen college spirit and its image and increase profit. For this purpose, the definition and elements of university identity are examined through books for reference. Elements of university identity products that the consumers are aware of and concerned are research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December, 2015 to January, 2016. 424 papers taken SPSS ver. 18.0 statistics. Consumers are satisfied with practicality, quality, price and design in order of importance. According to the result, design element is core factors of university identity products strategy. Final design which is suggested in conclusion part of the study rejects diverse designs, aims for high quality and purports to build strong and stable university image of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lso design strategy has dual design strategy to be flexible in dealing with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Final design includes long t-shirts, backpack, and luggage by using basic university identity and also short t-shirts, backpack and luggage by using extended university identity.

      • KCI등재

        매매상품용 자동차등록번호판 디자인 개발

        안혜신(Ahn Hye sh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1

        국내 매매상품용 중고자동차 매매업은 허가제에서 등록제로의 변경, 급속한 자동차 보급으로 그 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매매상품용 자동차의 앞면 번호판은 관리 및 보관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매매상품용 자동차의 관리 및 거래질서 확립을 위해 매매용자동차 전용 자동차등록번호판 도입방안을 마련하고, 자동차등록번호판을 위한 서체디자인을 연구하며, 매매상품용 자동차등록번호판 디자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 매매상품용 자동차 현황과 앞면등록번호판 보관 제도에 대해 분석하고, 사례연구로 해외 매매상품용 자동차등록번호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매매상품용 자동차등록 번호판 제도 개선 방안과 서체디자인, 그리고 매매상품용 자동차등록 번호판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서체디자인은 안정된 장체의 구조와 자형의 속 공간의 배분과 최적화된 두께, 자간으로 시인성과 판독성을 향상시켜 위조나 범죄를 줄일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매매상품용 자동차등록번호판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사용 후 회수 부분에 대한 점을 감안하여 다양한 방식의 디자인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Domestic used cars sale are significantly increasing according to system change from registration system to permit system and rapid dissemination. But front car license plate of the used cars have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in many aspects, such as management and storage. Hence this study purports to provide car license plate registration system for used car in order to establish efficient management system, to research typeface design and suggest used-car license plate desig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ook a literature-based research about the status of domestic used cars sale , front car license plate system of the used cars, and also analysis of car license plate designs in United Kingdom and New Zealand as case study. According to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y, this study suggests car license plate registration system for used car, typeface design and used-car license plate design as result. Typeface design in this study has stable structure of letter and spacial allocation, and optimized thickness and space between letters in oder to increase readability and legibility and also decrease forge and crime. Used-car license plate design will be able to consider the design possibilities of the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return after use from the economic aspect.

      • KCI등재

        은행의 서비스 디자인 개선 사례 연구

        안혜신(Hye Shin Ahn),서윤경(Yoon Kyoung Se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오늘날의 산업은 제품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개인적인 요구가 증대되면서 보다 혁신적인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 경제 또한 선진국형 서비스 경제화가 이루어지면서 서비스시장의 확대 및 제조기업의 서비스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경쟁을 심화시켜 고도화된 차별화가 필요하게 됨에따라 서비스 영역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보이지 않는 서비스를 차별화하는 서비스디자인 시대가 온 것이다. 이처럼 디자인에서의 서비스는 새로운 사업의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정의 및 분야, 방향성에 대한 개념의 정립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혁신을 디자인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인 서비스 디자인의 정의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서비스디자인의 툴(Tool)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하며, 은행의 서비스 디자인 개선을 사례로 들어 사용자에게 일관된 이미지와 방향성 있는 경험을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을 정립함으로서, 디자인교육 및 산업전반에 있어서비스 산업에 디자인학문이 공헌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연구 되어졌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해 서비스 디자인의 정의와 특성, 서비스 디자인의 개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와 서비스 디자인 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국내외 학위논문과 서적을 포함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독일의 도이취 은행의 공간구성과 고객을 위한 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데에는 특별한조건들이 요구되는데 서비스 혁신을 위해 유, 무형의 요소를 총체적으로 배열하고 리서치에 근거하여 디자인하는 것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프로세스와 서비스디자인 툴이 필요함을 알수 있었다. 또한 고객에게 적절하고 유익한 서비스를 창조하려면, 먼저 사용자의 상황과 니즈, 사고방식 그리고 원동력을 충분히 이해해야만 하며, 고객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고객에게 고객 관점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s industries today rapidly shift from manufacturing products to providing services and various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personal needs rise the industries are pressed to provide better and more innovative services. The Korean domestic market is also experiencing rapid changes like the advanced nations. Such change heightens competition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ion. Thus, the importance of design is becoming larger in the service area and as such method of differentiation increases it can be said that the age of service design has started. Service in design is gaining attention as a new business area.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direction established for the fields of service design. This study has approached service innovation in the perspective of design to review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new fields of service design, conduct in depth research on the service designing tools, using examples of service design improvements of banks to establish a general concept for the field of service design by providing unified image and experience to users, and in the end contribute to the fields of design education and the overall service industry by providing a base guideline. For this purpose, study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service design process, and service design tools were conducted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including graduate research papers. Also, a case study of the Deutsche bank was conducted to view service design in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area designs, services, etc.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eed for special process and service design tool was found to be a key requirement in order to reorder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and design in accordance to research data for service innovation. To create valuable services for the customers, the needs and condition of the customer must be clearly understood. Base on such understanding and collaboration with the customer service design improvement can be achieved.

      • KCI등재

        하동군 조명시설물과 휴게시설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안혜신(Ahn Hye Sh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2

        독일의 생태도시인 프라이부르크(Freiburg)과 스페인의 빌바오(Bilbao)와 같이 세계 여러 도시들은 도시 아이덴티티를 통해 문화와 관광요소를 바탕으로 도시 브랜드 가치와 공공 사회의 질 향상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여러 도시들도 문화관광도시로의 도약을 위해 도시디자인과 공공디자인을 통해 역사문화적 기능을 회복하고, 도시에 이야기를 담아 문화적 가치를 공유하며, 도시를 새롭게 변모시킬방안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국내 도시개발 기획과 공공디자인 사업에서도 지역 정체성 수립 및 홍보방안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1) 하동군은 지리산의 위용과 넓은 남해바다와 섬진강의 유유함이 조화를 이루는 천혜의 자연환경의 아름답고 유서 깊은 고장으로, 남해안을 대표하는 문화 관광 도시로의 도약과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하동만의 문화적 특색과 지리적 입지를 고려한 공공시설물 환경디자인 개발을 재정비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시설물의 정의와 구성요소 및 공공시설물 분류에 대해 문헌연구를 진행하고, 하동군의 디자인 시설물 개발 대상지의 지리적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하동군 공공시설물 중 본 연구의 대상으로 제한한 조명시설(가로등, 보안등)과 휴게시설(벤치, 파고라, 식수대)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로서 디자인 컨셉 설정에 따른 각 시설물의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디자인 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에서는 장식적인 디자인과 화려한 색채에 치중하고 일관성이 없는 다양한 형태로 기능성뿐만 아니라 주변과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조명시설과 과도한 색채와 표지판의 사용으로 시인성이 낮고 형태적으로 부조화를 이루는 곡선의 사용이 많은 휴게시설을 ‘전통과 현대의 조화로운 어울림’이라는 컨셉 아래 하동의 정체성을 현대적 감각과 기능으로 접목시킨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Various cities in the world purp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ociety through city identity by using culture and tourism. Freiburg, eco-city, Germany and Bilbao, Spain are the best examples of cultural tourism cities which are focused on urban design and public design. Several cities in Korea are trying to revive the historic cultural features with public design and they have put the story on the cultural values of the city. As such various researches are recently performed in order to change city. Hadong has beautiful and historic places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 harmony, as like Jiri mountain, Southern Ocean and Seomjin river and it was to reorganize development of the public design facilities considering the cultural traits and geographic lo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jump into the cultural tourism city, representing the South Coast. This study explored literature review on the definition of public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components and analyzed the geographical situation of target area of Hadong for public design facilities. And also current status of street furniture (bus shelters, bollard, fences, trash) and guidance facility (Integrated Information sign), subject of this study, were examined and analyzed. This study suggests design of public design facilities and design guidelines for each facility according to the design concept. This study proposes new design on the concept of ‘harmony of traditional and modern’ to replace the existing street furniture which has lack of consistency in form and color, and high saturation and brightness and guidance facility which has the low legibility, and uneasy use of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