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평가자 요소가 채점에 미치는 영향

        강석한 ( Seok Han Kang ),안현기 ( Hyun Kee Ahn ) 이중언어학회 2014 이중언어학 Vol.55 No.-

        A Study of Korean Raters` Characteristics for Foreign Speakers` Korean Oral Performance. Bilingual Research 55, 1-29.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aters` experience 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foreign speakers` Korean speaking assessment. Twelve professional Korean and twelve non-professional Korean raters assessed twenty-seven Korean learners` oral performance.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FACETS program with multi-facets Rasch model was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rofessional raters tended to assess strictly rather than non-professional raters, (2) the strict assessment was realized on the open-ended response task, while the relaxed assessment was found on the opinion response and story-telling response tasks, and (3) both groups evaluated strictly on the grammar section, while they gave higher scores to the questions on the cohesive discourse section. The study also found that some professional raters caused problem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n their assessment. Other non-professional raters, on the other hand, tended to show over-fitted or under-fitted assessment. The result implies that raters should take the assessment training before participating in the real assessment.(Konkuk University·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개별 논문 : 초등학교 1, 2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기초학력 검사 결과 및 문항 분석

        이소연 ( Soyeon Lee ),민병곤 ( Byeonggon Min ),안현기 ( Hyun Kee Ahn ) 한국독서학회 2010 독서연구 Vol.0 No.23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가정 1, 2학년 학생의 읽기 기초학력을 진단하기 위하여 개발된 검사 도구의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미도달 학생을 위한 보정교육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수한 성장 환경으로 인한 다문화가정 학생의 언어 발달 지체 및 학습부진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여러 연구를 통해 논의되어 온 바 있다. 다문화가정 학생들은 특히 한국어 기초학력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초등학교 진학 이후 국어 학습 능력에도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민병곤 외(2010)에서와 같이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언어·인지 진단도구 읽기 영역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전체 결과 분석 결과, 1학년 읽기에서 다문화가정 학생의 평균점수는 81.66점, 비다문화가정 학생의 평균점수는 87.26점으로, 비다문화가정 학생의 평균점수가 5.6점 더 높았다. 또한 2학년 읽기에서 다문화가정 학생은 평균 66.18점, 비다문화가정 학생은 평균 82.42점으로 비다문화가정 학생이16.24점 더 높아, 1학년에 비해 두 집단의 점수 차가 훨씬 더 벌어졌다.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1, 2학년 학생들의 읽기 기초학력은 문화 배경에 따른 그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분석에서도 1, 2학년 모두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학생의 평균점수도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범주별분석 결과, 1학년에서는 한글 해독 및 낱말 이해 영역과 문장 및 글 이해 영역모두 미도달 학생이 1.4%(2명)로 같게 나타났으며, 2학년에서는 미도달 학생의 비율이 한글 해독 영역, 낱말 이해 영역, 추론 및 비판적 이해 영역, 사실적 이해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극히 낮은 정답률을 나타내거나 문화 배경 및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정답률의 차이가 큰 문항을 위주로 분석 대상문항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읽기 능력에 관한 세부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읽기 기초학력이 부진한 학생들을 위한 보정교육과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est items of the diagnosis tool that was developed to assess the basic reading abilities of the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eaching students who are left behind in reading. Earlier studies have discussed this issue and observed the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poor learning abilities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With this in focus, this study designed and developed the reading diagnosis tools for the 1st and 2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 1st grad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received an average score of 81.66 and the students from non-multicultural family, 87.26. The 2nd grad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received an average score of 66.18 and the students from non-multicultural family, 82.42. We analyzed the average difference statistically and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families in both grades. We also found that the test scores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proportionally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proficiency level of their mothers, which was also statistically confirmed. The section analysis showed that 1.4% of the 1st graders failed in both sub-sections which were reading the Korean alphabets & words and comprehending sentences & paragraphs. It also showed that there was variance in percentage in failing rate (10.8%~52.5%) in the four sub-sections of the test for the 2nd graders. Based on these results we selected some test items for the in-depth analysis. The selected items were those that showed lowest correct percentage and that were severely influenced by the family type or the mothers` Korean proficiency level. With this analysis, we suggeste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competence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We finally derived some implications for teaching students who did not reach the criterion scores.

      • KCI등재

        초등학교 1, 2학년 다문화 가정 학생의 읽기 및 쓰기 기초학력 검사 도구 개발 연구

        민병곤 ( Byeong Gon Min ),윤희원 ( Hi Won Yoon ),안현기 ( Hyun Kee Ahn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7 No.-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1, 2학년 학생의 읽기 및 쓰기 기초학력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도구의 개발·검증 과정을 기술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학년 읽기의 세부 영역은 한글 해독 및 낱말 이해, 문장 해독 및 글 이해 등 두 범주로 구성하였고, 문항 수는 총 20문항이다. 2학년 읽기는 한글 해독, 낱말 이해, 사실적 이해, 추론 및 비판적 이해 등 네 범주로 구성하였고, 문항 수는 총 25문항이다. 1학년 쓰기의 세부 영역은 낱말 및 문장 쓰기, 글쓰기의 두 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은 총 20문항이다. 2학년 쓰기의 세부 영역은 낱말 쓰기, 문장 쓰기, 쓸 내용 준비하기, 표현 및 전달하기 네 범주이며 문항은 총 25문항이다. 각 과목별로 우선 2배수 문항을 개발하였고 예비검사 실시 후 변별도, 정답률 등을 바탕으로 1배수의 본 검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 검사는 도시 및 읍면 지역의 13개교, 1, 2학년 학생 2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에는 다문화 가정 학생 115명, 비다문화가정 학생 167명이 포함되어 있다. 검사 후 채점 및 문항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문항 반응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과목별 도달 기준 점수를 설정하였다. 1학년 읽기 영역의 도달 기준 점수는 50 점이었다. 다문화가정 학생은 평균 81.66점, 비다문화가정 학생은 평균 87.26점으로, 비다문화가정 학생이 5.6점 높았다. 2학년 읽기 영역의 도달기준 점수는 39점이었다. 다문화가정 학생은 평균 66.18점, 비다문화가정 학생은 평균 82.42점으로 비다문화가정 학생이 16.24점 더 높았다. 이러한 차이를 문화적 배경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1, 2학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학년 쓰기 영역의 도달 기준 점수는 57점이었다. 다문화가정 학생은 평균 77.78점, 비디문화가정 학생은 평균 82.49 점으로, 비다문화가정 학생이 4.71점 높았다. 2학년 쓰기 영역의 도달기준 점수는 45점이었다. 다문화가정 학생은 평균 69.89점, 비다문화가정 학생은 평균 83.54점으로 비다문화가정 학생이 13.65점 더 높았다. 이러한 차이를 문화적 배경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2학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도시/읍면)에 따른 학년/영역별 평균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에 따라서는 학년/영역별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와 관련한 후속 연구 과제로는 대규모 표집, 추이 분석 연구, 진단 도구의 다양화, 보정 교육용 교재 개발, 홍보 및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scribe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examination tools specially designed for diagnosing the basic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of the 1st grade and 2n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suggest applications of those tools. A reading section for the 1st graders consists of 20 item in all and is classified into two parts; decoding Hangul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and decoding sentences and understanding passages. A reading section for the 2nd graders consists of 25 items in all and is classified into four parts; decoding Hangul,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factual understanding, and inferential and critical understanding. A writing section for the 1st graders has 20 items and is made up of two parts like sentence writing and paragraph writing, while a writing section for the 2nd graders has 25 item and consists of four parts; writing a word, writing a sentence, preparing a composition, and expressing and presenting one`s thoughts. We first developed twice the number of questions and, after conducting a pilot test, we confirmed the actual examination questions to be used based on the results of administering the Item Discrimination and Item Difficulty methods. The main examination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282 students who are either the 1st or 2nd graders of 13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cities or small towns, including 115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167 students who are not. After grading, we set a criterion score of each subject on the basis of the Item Response Analysis method. The criterion score of the reading section for the 1st graders was 50 points. The average score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was 81.66 and that of students from non-multicultural family was 87.26. The criterion score of the reading section for the 2nd graders was set 39 points. The students from non-multicultural family scored 82.42 and have a lead of 16.24 points ove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with an average score of 66.18. The result of a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score between the two types of families for both graders. We set a criterion score of the writing section for the 1st graders as 57 points.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received an average score of 77.78 and the students from non-multicultural family, 82.49. The criterion score for the 2nd graders was 45 points.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gained 69.89, while those from non-multicultural family, 83.54. We analyzed this average difference statistically and found that only the 2nd grad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famili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ity and small town in average scores obtained by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regardless of grade or subject. It was noteworthy that the reading and writing section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proficiency level of student`s mother in multicultural family. We lastly proposed the followings as limits of our study as well as prospective topics for further studies; a large-scaled sampling for the more reliable test development, an analysis of future changes over years, development of diverse diagnosis tools, development of teaching-aids specially designed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designing diverse ways for promoting and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diagnosis tool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1, 2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의 쓰기 기초학력 검사 결과 및 문항 분석

        홍은실 ( Eun Sil Hong ),민병곤 ( Byeong Gon Min ),안현기 ( Hyun Kee Ahn ) 한국작문학회 2010 작문연구 Vol.0 No.10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1, 2학년생의 쓰기 능력 검사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보정 교육의 방향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본 진단 도구는 학년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년마다 평가 범주가 각기 다르다. 그리고 어휘나 텍스트 내용에서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 문화적 제약으로 작용할 것으로 간주되는 요소들을 문항에 포함시켰다. 또한 도구의 활용이 용이하도록 교사나 학생에게 익숙한 형식을 사용하였다.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 배경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2학년 쓰기에서 나타났다. 지역(도시/읍면)에 따른 학년/영역별 평균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에 따라서는 1, 2학년에서 모두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학생의 평균도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들을 분석하여 맞춤법 지도, 정교한 어휘능력 신장 및 어휘 확장 훈련, 글쓰기 지도 등의 미도달 학생의 보정 교육 방향을 도출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해 쓰기 발달 과정 연구,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쓰기 진단 도구 개발, 다문화가정 학생과 지도 교사를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writing education for the 1st grade and 2n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from multicultural family,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of the test items measuring their basic writing abilities. In this specially designed writing diagnosis tool, some items included the Korea-specific cultural factors which were expected to be difficult for the multicultural students to answer correctly. Most of the test items, however, were multiple-choice questions for the students to approach with ease. We analyzed the average differences statistically and found that only the 2nd grade multicultural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average score compared to the test scores of the non-multicultural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score between cities and small towns. It was noteworthy that the test results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proportionally and significantly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proficiency level of their mothers. To make their writing abilities improve better, we needed to reinforce spelling education, to elaborate vocabulary education and composition practice. We lastly suggested the followings for the further studies; conducting more researches on their writing development, developing diverse diagnosis tools, and developing a system being exclusively responsible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their teachers.

      • KCI등재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채점 타당도 연구 -워크숍 기반의 채점자 훈련을 중심으로-

        홍은실 ( Hong Eun-sil ),오예림 ( Oh Ye-lim ),이성준 ( Lee Sung-jun ),조수진 ( Cho Su-jin ),안현기 ( Ahn Hyun-kee ),이승원 ( Lee Seung-won ),민병곤 ( Min Byeong-gon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4

        본 연구는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채점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워크숍 기반의 채점자 훈련을 설계 및 실행하고 채점자 훈련에서 나타난 채점 근거의 유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규모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를 위한 워크숍 기반의 채점자 훈련을 설계하였다. 채점자 훈련 과정에서 평가 도구에 명시된 채점 기준을 채점자가 능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수집된 채점자 담화를 통해 채점자들이 점수 결정 과정에서 주목하는 채점의 근거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채점자들이 수험자의 응답에 점수를 부여할 때 문항의 내용 및 특성, 평가 준거, 채점 척도를 근거로 삼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채점자들은 채점자 간 협의를 통해 정신적 채점 기준과 응답 표상을 수립하여 채점에 참여하고 있었다. 채점자 훈련의 결과로 과제의 특성을 고려한 채점 접근의 전략화와 주관적 평가 준거 비중의 객관화, 평가 척도의 조정과 정교화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scoring validity through rater training workshops for the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KoSTAP). The rater training workshops in this study were designed to ensure the raters can discuss scoring rubric, clarify and modify the intended rating criteria, and reach an agreement through discussions. The rater training procedure was composed of orientation about KoSTAP and scoring rubric, sample item scoring, group discussion, group scoring, and general discuss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discussions conducted through the workshops served as a necessary process for the raters to make the scoring rubric increasingly tangible and concret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raters scored based o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sks, the criteria, and the scoring scale. In addition, the raters participated in scoring by establishing mental response representations and scoring criteria through negotiations among them. As a result of the rater training,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rating strateg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objectification of criteria weights, and adjustments and refinements in the evaluation scales.

      • KCI등재

        저해음의 비음화 : 음운론 및 음성학적 접근 Its Phonology and Phonetics

        안현기,권순석,김기열 대한언어학회 2000 언어학 Vol.8 No.1

        Ahn, Hyunkee, Soon-Suk Kwon, and Ki-Yeol Kim. 2000. Obstruent Nasalization: Its Phonology and Phonetics. Linguistics 8-1, 27-38. This paper discusses a Korean phonological rule, Obstruent Nasalization--i.e., an obstruent is phonologically nasalized when followed by a nasal. As is well known, this rule is productively prevalent in Korean, but not in English. Within the Optimality Theoretic framework, the difference in this phonological pattern between the two languages is well captured by means of adjusting the dominance relationship between two constraints (markedness and faithfulness constraints). This constraint-based explanation, however, doesn't suffice our question of why the phenomenon is phonetically natural in Korean, but cross-linguistically rare. To this question, we will provide one possible answer by suggesting that the markedness constraint is phonetically oriented due to a phonetic constraint on laryngeal feature juxtapositions. (Kyung Hee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